KR100514714B1 -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714B1
KR100514714B1 KR1020050019600A KR20050019600A KR100514714B1 KR 100514714 B1 KR100514714 B1 KR 100514714B1 KR 1020050019600 A KR1020050019600 A KR 1020050019600A KR 20050019600 A KR20050019600 A KR 20050019600A KR 100514714 B1 KR100514714 B1 KR 100514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rame
tray
horizont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흥
Original Assignee
윤재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흥 filed Critical 윤재흥
Priority to KR102005001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트레이를 따라 견인되면서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이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의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러와; 수직 가이드 롤러의 사이를 통과한 케이블을 가이드 하도록 프레임의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롤러와; 수평 가이드롤러가 케이블의 하부와 상부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롤러를 지지브라켓에 하부와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조립수단과; 프레임의 일측을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들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케이블의 견인방향에 관계없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화됨으로써 케이블 견인장소로의 운반이 간편함과 동시에 견인장소에 제한됨이 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CABLE TRACTION GUIDE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견인방향에 관계없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케이블 견인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전력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통칭함)을 대형건물이나 지하터널 등에 배선할 경우, 건물 또는 터널의 벽면을 따라 트레이를 설치한 다음, 케이블의 한쪽 끝부분을 견인하여 트레이의 상면에 케이블을 지지시키면서 배선한다.
한편, 종래에는 케이블을 견인하면서 트레이에 배선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트레이와 마찰접촉하여 케이블 견인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케이블의 배선방향이 급격히 변경되는 부분에서는 케이블이 절곡각도가 커져서 트레이와의 마찰저항이 더욱 커지며, 따라서 케이블 견인이 더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트레이와의 마찰저항이 커진 상태에서 케이블을 견인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마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케이블 견인시 케이블을 안내하여 트레이와의 마찰접촉을 줄여주는 가이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는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이드 장치는, 트레이와 케이블의 마찰접촉이 예상되는 부분에 설치된 상태에서, 견인되는 케이블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과 트레이의 마찰접촉을 최소화시키며, 따라서 케이블을 수월하게 견인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이드 장치는, 대형건물이나 지하터널 등의 벽체를 따라가면서 배선 방향이 상부와 하부 및 좌/우측부로 다양하게 변경되는 케이블의 견인방향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케이블을 가이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케이블은 대형건물이나 지하터널 등의 벽체를 따라가면서 상부와 하부로 설치되는 트레이에 배선되는 바, 트레이를 따라 가면서 상부와 하부 및 좌/우측부로 절곡되면서 견인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이드 장치는 주로 케이블의 하부만 가이드 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부 및 좌/우측부로 견인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되는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가이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블의 견인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하기 간편함에 따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케이블 견인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견인장소에 제한됨이 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트레이를 따라 견인되면서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이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의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러와; 상기 수직 가이드 롤러의 사이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롤러와;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가 상기 케이블의 하부와 상부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를 상기 지지브라켓에 하부와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조립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을 상기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프레임(10)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수평플레이트(12)와, 수평플레이트(12)의 일단에 "T"자형태로 수직하게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14)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의 수평플레이트(12)와 수직플레이트(14)는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면 철재 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프레임(10)의 수평플레이트(12) 상면(12a)에는 케이블(C)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수단은 수평플레이트(12)에 수평방향하게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롤러(20)와, 수평 가이드롤러(20)의 양쪽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러(22)들로 구성된다.
수평 가이드롤러(20)는 양쪽의 지지브라켓(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20)는 지지브라켓(24)의 상부, 하부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지지브라켓(2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하부면을 가이드 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2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케이블(C)의 상부면을 가이드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수평 가이드롤러(20)를 지지브라켓(2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옮겨가며 설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20)를 상부 또는 하부에 옮겨서 조립 설치하기 위한 조립수단을 구비한다.
조립수단은 수평 가이드롤러(20)에 형성된 축구멍(20a)과, 이 축구멍(20a)과 정렬되도록 지지브라켓(24)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조립구멍(24a, 24b) 및, 서로 정렬된 수평 가이드롤러(20)의 축구멍(20a)과 지지브라켓(24)의 상, 하부조립구멍(24a, 24b)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축(2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립수단은, 지지브라켓(24)의 하부조립구멍(24b)에 수평 가이드롤러(20)의 축구멍(20a)을 정렬시킨 후, 서로 정렬된 하부조립구멍(24b)과 축구멍(20a)에 조립축(26)을 끼워 조립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20)를 지지브라켓(2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시킨다. 또한, 지지브라켓(24)의 상부조립구멍(24a)에 수평 가이드롤러(20)의 축구멍(20a)을 정렬시킨 후, 서로 정렬된 상부조립구멍(24a)과 축구멍(20a)에 조립축(26)을 끼워 조립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20)를 지지브라켓(2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수평 가이드롤러(20)의 축구멍(20a)과 지지브라켓(24)의 조립구멍(24a, 24b)을 관통한 조립축(26)의 말단부에는 분할핀(26a)이 끼워져 조립된다. 따라서 지지브라켓(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평 가이드롤러(20)를 지지브라켓(24)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프레임(10)의 일측을 트레이(T)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30)을 구비한다.
클램핑수단(30)은,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에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도록 수평플레이트(12)의 밑면(12b)에 형성되는 클램핑홈(32)과, 클램핑홈(32)에 수용된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를 상기 클램핑홈(32)에 밀어붙이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수직플레이트(14)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34)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램핑홈(32)은 수평플레이트(12)의 밑면(12b)에 대략 "¬"자형 절곡편(16)이 고정됨에 따라 수평플레이트(12)의 밑면(12b)과 절곡편(16)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핑수단(30)은 밑면(12b)에 형성된 클램핑홈(32)에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를 끼워서 지지시킨 다음, 가압볼트(34)로써 트레이(T)를 가압하여 클램핑홈(32)에 밀어붙임에 따라 상기 클램핑홈(32)과 수평상단부(T1)를 높은 강도로 결합시킨다. 특히, 클램핑홈(32)과 수평상단부(T1)를 높은 강도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이 트레이(T)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케이블(C) 견인시, 상기 프레임(10)이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프레임(10)의 타측을 트레이(T)에 보조적으로 고정시키는 보조클램핑수단(40)을 구비한다.
보조클램핑수단(40)은, 트레이(T)의 크로스바(T2)에 걸어지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후크(42)와, 크로스바(T2)의 높낮이 위치에 따라 상기 후크(4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프레임(1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후크 높낮이 조절수단(44)으로 구성된다.
후크(42)는 걸고리부(42a)를 갖춘 것으로, 트레이(T)의 크로스바(T2)에 걸어져 지지된다.
후크 높낮이 조절수단(44)은, 후크(42)에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10)의 수평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나사축(44a)과, 나사축(44a)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수평플레이트(12)의 밑면(12b)에 지지되는 높낮이 조절너트(44b) 및, 나사축(44a)의 단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수평플레이트(12)의 상면(12a)에 지지되는 고정너트(44c)로 구성된다.
특히, 높낮이 조절너트(44b)는 나사축(44a)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수평플레이트(12)의 밑면(12b)에 지지되므로, 그 회전에 따라 나사축(44a)을 상,하로 나사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고정너트(44c)는 나사축(44a)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수평플레이트(12)의 상면(12a)에 지지되므로, 상기 나사축(44a)을 고정시키며, 따라서 높낮이가 조절된 나사축(44a)과 후크(42)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보조클램핑수단(40)에 의하면, 후크(42)를 트레이(T)의 크로스바(T2)에 걸어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을 트레이(T)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특히, 상기 클램핑수단(30)과 함께 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트레이(T)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을 트레이(T)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따라서 케이블(C) 견인시, 케이블(C)의 견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이 상부로 들리거나 또는 하부로 꺾이거나 또는 측면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보조클램핑수단(40)에 의하면, 후크(42)를 트레이(T)의 크로스바(T2)에 걸어 지지시킨 다음, 높낮이 조절너트(44b)와 고정너트(44c)를 통해 후크(42)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을 항상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며, 따라서 프레임(10)에 설치된 수평 가이드롤러(20)와 수직 가이드롤러(22)가 항상 수평, 수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 4 내지 도 8을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수평방향으로 견인되거나 또는 하부로 절곡되면서 견인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블(C)이 하부로 절곡되는 부분에 프레임(10)을 배치시킨다. 이때, 수평 가이드롤러(20)는 지지브라켓(24)의 하부에 조립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프레임(10)의 배치가 완료되면, 클램핑수단(30)(도 2참조)을 이용하여 프레임(10)의 일측을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에 지지시킨다.
한편, 프레임(10)의 일측을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에 지지시키는 과정에서, 보조클램핑수단(40)의 후크(42)를 트레이(T)의 크로스바(T2)에 걸어서 지지시킨다. 그리고 후크(42)의 지지가 완료되면, 나사축(44a)에 나사결합된 높낮이 조절너트(44b)와 고정너트(44c)를 회전시켜서 상기 프레임(1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일측과 타측이 모두 다 트레이(T)에 고정적으로 클램핑된다. 그리고 트레이(T)에 클램핑된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수평방향으로 견인되거나 또는 하부를 향해 절곡되면서 견인되는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상부로 절곡되면서 견인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C)이 상부로 절곡되는 부분에 프레임(10)을 배치시킨다. 이때, 수평 가이드롤러(20)는 지지브라켓(24)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프레임(10)의 배치가 완료되면, 클램핑수단(30)(도 3참조)을 이용하여 프레임(10)의 일측을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에 지지시킨다.
한편, 프레임(10)의 일측을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에 지지시키는 과정에서, 보조클램핑수단(40)의 후크(42)를 트레이(T)의 크로스바(T2)에 걸어서 지지시킨다. 그리고 후크(42)의 지지가 완료되면, 나사축(44a)에 나사결합된 높낮이 조절너트(44b)와 고정너트(44c)를 회전시켜서 상기 프레임(1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일측과 타측이 모두 다 트레이(T)에 고정적으로 클램핑된다. 그리고 트레이(T)에 클램핑된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상부를 향해 절곡되면서 견인되는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여러번 단차지게 절곡되면서 견인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C)이 절곡되는 부분 각각에,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100, 200)들을 각각 배치시킨다. 이때, 케이블(C)이 하부로 절곡되는 부분의 가이드 장치(100)는 그 수평 가이드롤러(20)가 지지브라켓(24)의 하부에 조립되어 있으며, 케이블(C)이 수평하게 절곡되는 부분의 가이드 장치(200)는 그 수평 가이드롤러(20)가 지지브라켓(24)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이드 장치(100, 200)들의 배치가 완료되면, 클램핑수단(30)과 보조클램핑수단(40)(도 2 및 도 3참조)을 이용하여 각각의 가이드 장치(100, 200)들을 트레이(T)에 수평하게 클램핑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가이드 장치(100, 200)들은, 트레이(T)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트레이(T)를 따라 여러번 단차지게 절곡되는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절곡되면서 견인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C)이 절곡되는 부분에 각각,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100, 200)들을 각각 배치시킨다. 그리고 프레임(10)의 배치가 완료되면, 클램핑수단(30)과 보조클램핑수단(40)(도 2참조)을 이용하여 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을 트레이(T)에 수평하게 지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는, 트레이(T)에 고정적으로 클램핑된다. 그리고 트레이(T)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절곡되는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타측에 클램핑수단(50)이 하나 더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타측의 클램핑수단(50)은, 일측의 클램핑수단(40)과 등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수평플레이트(12)의 밑면(12b)에 형성되는 클램핑홈(52)과, 프레임(10)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54)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클램핑수단(50)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180°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클램핑홈(52)에 트레이(T)의 수평상단부(T1)를 끼워서 지지시킨 다음, 가압볼트(54)로써 트레이(T)를 가압하여 클램핑홈(52)에 밀어붙이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을 트레이(T)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특히, 프레임(10)을 180°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트레이(T)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프레임(10)을 180°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트레이(T)에 고정시키는 이유는, 프레임(10)의 상면(12a)에 설치된 수직 가이드롤러(22)와 수평 가이드롤러(20)를 가능한 한 트레이(T)의 외측으로 근접시키기 위함이며, 이는 도 11에서와 같이 케이블(C)을 트레이(T)의 외측에서 견인할 경우, 트레이(T)의 외측에 근접한 수직 가이드롤러(22)와 수평 가이드롤러(20)로 하여금 상기 케이블(C)을 보다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변형예의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보조클램핑수단(4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18)이 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다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클램핑수단(50)을 이용할 경우에도, 프레임(10)의 일측을 트레이(T)의 크로스바(T2)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들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케이블의 견인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화됨으로써 케이블 견인장소로의 운반이 간편함과 동시에 견인장소에 제한됨이 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가 트레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수평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견인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가 트레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부방향으로 견인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가 트레이의 여러 곳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여러번 단차지게 절곡되면서 견인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가 좌측, 우측으로 절곡되면서 견인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변형예의 가이드 장치가 트레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변형예의 가이드 장치가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측에서 도입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2: 수평플레이트
12a: 상면 12b: 밑면
14: 수직플레이트 16: 절곡편
20: 수평 가이드롤러 20a: 축구멍
22: 수직 가이드롤러 24: 지지브라켓
24a: 상부조립구멍 24b: 하부조립구멍
26: 조립축 30: 클램핑수단
32: 클램핑홈 34: 가압볼트
40: 보조클램핑수단 42: 후크
44: 당김수단 44a: 나사축
44b: 높낮이 조절너트 44c: 고정너트
50: 클램핑수단 52: 클램핑홈
54: 가압볼트 100, 200: 가이드 장치

Claims (5)

  1. 트레이를 따라 견인되면서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이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의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롤러와;
    상기 수직 가이드 롤러의 사이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롤러와;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가 상기 케이블의 하부와 상부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를 상기 지지브라켓에 하부와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조립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을 상기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에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축구멍과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조립구멍과;
    서로 정렬된 상기 수평 가이드롤러의 축구멍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 하부조립구멍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밑면에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수평상단부를 수용하는 클램핑홈과;
    상기 클램핑홈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수평상단부를 상기 클램핑홈에 밀어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을 상기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보조클램핑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클램핑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크로스바에 걸어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후크와;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에 따라 상기 후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후크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후크에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밑면에 지지되며,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축을 상,하로 나사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너트와; 상기 나사축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나사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을 상기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을 하나 더 구비하며, 상기 타측의 클램핑수단은 상기 일측의 클램핑수단과 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KR1020050019600A 2005-03-09 2005-03-09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KR10051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00A KR100514714B1 (ko) 2005-03-09 2005-03-09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00A KR100514714B1 (ko) 2005-03-09 2005-03-09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714B1 true KR100514714B1 (ko) 2005-09-13

Family

ID=3730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00A KR100514714B1 (ko) 2005-03-09 2005-03-09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71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55Y1 (ko) 2007-09-14 2009-10-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터닝 포설 작업용 롤러장치
KR200449530Y1 (ko) 2008-03-14 2010-07-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상부 이송 케이블의 거치대
KR200450074Y1 (ko) 2008-05-01 2010-09-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커팅 케이블 상부 이송 분배기
CN102290747A (zh) * 2011-09-01 2011-12-21 中建五局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在水平桥架内敷设电缆的辅助装置及敷设方法
KR101215501B1 (ko) 2011-01-18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 장치
KR200470689Y1 (ko) * 2009-07-23 2014-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용 견인 가이드장치
KR200473064Y1 (ko) 2010-12-17 2014-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200475305Y1 (ko) 2010-12-02 2014-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 장치
CN109368394A (zh) * 2018-10-12 2019-02-22 广州国机智能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裁切设备
KR102317629B1 (ko) * 2021-02-09 2021-10-25 현명수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20230126460A (ko) * 2022-02-23 2023-08-30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KR20230170319A (ko) 2022-06-10 2023-12-19 윤재흥 케이블이송용 렁사이드 롤러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55Y1 (ko) 2007-09-14 2009-10-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터닝 포설 작업용 롤러장치
KR200449530Y1 (ko) 2008-03-14 2010-07-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상부 이송 케이블의 거치대
KR200450074Y1 (ko) 2008-05-01 2010-09-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커팅 케이블 상부 이송 분배기
KR200470689Y1 (ko) * 2009-07-23 2014-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용 견인 가이드장치
KR200475305Y1 (ko) 2010-12-02 2014-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 장치
KR200473064Y1 (ko) 2010-12-17 2014-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101215501B1 (ko) 2011-01-18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 장치
CN102290747A (zh) * 2011-09-01 2011-12-21 中建五局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在水平桥架内敷设电缆的辅助装置及敷设方法
CN109368394A (zh) * 2018-10-12 2019-02-22 广州国机智能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裁切设备
KR102317629B1 (ko) * 2021-02-09 2021-10-25 현명수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20230126460A (ko) * 2022-02-23 2023-08-30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KR102622576B1 (ko) * 2022-02-23 2024-01-08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KR20230170319A (ko) 2022-06-10 2023-12-19 윤재흥 케이블이송용 렁사이드 롤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714B1 (ko)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KR100920148B1 (ko) 공동주택 맨홀의 곡선부에 설치되는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장치
US5941507A (en) Cable installation guide
KR200443420Y1 (ko) 케이블 포설장치
KR102324856B1 (ko)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1525776B1 (ko) 케이블 이송장치
KR102104514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케이블 가이드 구조물 및 그 장치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KR102562082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200039233A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 장치에 전원 공급 케이블을 장착하기 위한 지그 조립체
CN210725164U (zh) 一种无线网设备安装结构
KR1018097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지지대
KR100915420B1 (ko) 가공전선 전주의 주상 변압기 설치장치
CN219669818U (zh) 一种纯铜电线电缆传送装置
US6873771B2 (en) Holder and holder base having a wedge
CN212719063U (zh) 一种紫外激光器安装固定装置
CN219874801U (zh) 一种布线架设装置
KR200486803Y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도 방지 장치
CN211930196U (zh) 一种电力工程施工用安装支架
KR200444150Y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구
CN217769090U (zh) 一种机电用控制柜
CN213972458U (zh) 一种pvc管牵引机室外侧支撑装置
CN220421403U (zh) 一种地铁电缆敷设装置
CN220344093U (zh) 一种方便组装的食品展示台
CN219029972U (zh) 一种纸箱固定装置用辅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