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972B1 -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972B1
KR101486972B1 KR20120157106A KR20120157106A KR101486972B1 KR 101486972 B1 KR101486972 B1 KR 101486972B1 KR 20120157106 A KR20120157106 A KR 20120157106A KR 20120157106 A KR20120157106 A KR 20120157106A KR 101486972 B1 KR101486972 B1 KR 10148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pipe
sewer
support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508A (ko
Inventor
황창원
김남규
홍은정
박은배
이병익
김현중
김성현
지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나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나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나오엠
Priority to KR2012015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9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되는 중량체의 하수관거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그 중심을 정확히 맞춘 후 하수관거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거가 연결되는 지점의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하수관거 중 어느 하나의 하수관거가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를 상기 하수관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수관거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제1 관안착부; 상기 하수관거 중 다른 하나의 하수관거가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를 상기 하수관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수관거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제2 관안착부; 및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의 중심을 정렬시키시도록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drainage pipe}
본 발명은 상하수도 결합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연결되는 중량체의 하수관거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그 중심을 정확히 맞춘 후 하수관거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주택 및 각종 시설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과, 사용된 하폐수를 원격지의 하수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는 하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지하에 매설된다.
한편, 상기 상하수도관의 매설은,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하수도관을 일렬로 연통되게 연결한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지면을 절개하고, 이곳에 상기 상하수도관 구조물을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토사로 매몰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매설방법을 보면 단순히 땅을 파서 그곳에 상하수도관을 넣은 후 다시 땅을 덮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상하수도관의 주변부에 위치되는 토사를 다져 토사의 조밀도를 높이는 한편, 상하수도관이 매설된 지면상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을 도포함으로서,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 인한 상하수도관의 파손위험이 최소화되었다. 따라서 상하수도관의 매설에 있어서 별도의 보강공사 없이도 상기한 시공법만으로도 충분히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상하수도관의 안정성에도 별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하천유역 또는 강수량이 많은 산간지역 등 지반의 붕괴와 부분적인 침하가 빈번한 곳에서는 상기한 시공법만으로는 상하수도관을 매설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상기한 시공법은 상하수도관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횡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극히 미약하므로, 상하수도관 매설지의 경미한 지반침하로도 상하수도관이 쉽게 휘거나 뒤틀리면서 그 일부의 파손 및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틈을 통해 누수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통상의 하수관거는 현재까지도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작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그 중량이 매우 무거워 운반이나 시공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시공 후, 하자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93414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호 연결되는 중량체의 하수관거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그 중심을 정확히 맞춘 후 하수관거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관거가 연결되는 지점의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하수관거 중 어느 하나의 하수관거가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를 상기 하수관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수관거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제1 관안착부; 상기 하수관거 중 다른 하나의 하수관거가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를 상기 하수관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수관거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제2 관안착부; 및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의 중심을 정렬시키시도록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중안부 바닥에 형성되는 지지브래킷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내면에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는 가이드관, 상기 장홀에 삽입되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이동관과, 상기 이동관의 지지핀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관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에 의하면, 상호 연결되는 중량체의 하수관거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그 중심을 정확히 맞춘 후 하수관거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100)는 하수관거(10)가 연결되는 지점의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하수관거(10)를 지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관안착부(120) 및 제2 관안착부(130), 이 제1 관안착부(120) 및 제2 관안착부(1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사각 판 형성된다.
제1 안착부(120)는 상기 하수관거(10) 중 어느 하나의 하수관거(10)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높이조절부(14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제1 안착부(120)는 높이조절부(140)와 결합되는 안착프레임(121), 이 안착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수관거(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재(123) 및 안착프레임(12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하수관거(1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재(125)를 포함한다.
안착프레임(121)은 하수관거(10)를 상측에서 안착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며, 하면에 높이조절부(140)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안착프레임(121)은 제2 가이드부재(123)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나사홀(121a)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재(123)는 안착프레임(121)에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10)를 상기 하수관거(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착프레임(121)의 중앙부 내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부재(123)는 안착프레임의 중앙부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래킷부재(123a)와, 이 지지브래킷부재(12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부재(123b)를 구비한다.
제1 롤러부재(123b)는 하수관거(10)의 하면과 접촉하며 양측면에 지지브래킷부재(123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축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재(125)는 하수관거(1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안착프레임(12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수관거(10)의 직경에 따라 안착프레임(121)에서 이동하여 하수관거(1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 가이드부재(125)는 안착프레임(121)의 양측 내면에 각각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125a)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수관거(10)와 접촉하는 제2 롤러부재(125b) 및 암나사홀(121a)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125a)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암나사홀(121a)에서 이동하는 이송축(125c)을 구비한다. 이때, 이송축(125c)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롤러부재(125b) 또한 지지플레이트(12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축이 돌출 형성된다.
제2 관안착부(130)는 제1 관안착부(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10)의 타측에 설치되며, 제1 관안착부(130)에 안착된 하수관거(10)와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하수관거(10)가 안착되어 이동한다.
이러한, 제2 관안착부(130)는 안착프레임(131)과, 제1 가이드부재(133) 및 제2 가이드부재(135)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가이드부재(133)는 제1 관안착부(130)와 동일한 지지브래킷부재(133a)와, 이 지지브래킷부재(13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부재(133b)를 구비한다.
또한, 제2 가이드부재(135) 또한 제1 관안착부(130)와 동일한 지지플레이트(125a)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부재(125b) 및 암나사홀(121a)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125a)에 결합되는 이송축(125c)을 구비한다.
높이조절부(140)는 상기 제1 관안착부(120) 및 상기 제2 관안착부(130)에 각각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10)의 중심을 정렬시키시도록 상기 제1 관안착부(120) 및 상기 제2 관안착부(130)의 안착프레임(121, 131) 하부에 구비되어 안착프레임(121, 131)을 승강시킨다.
이를 위하여, 높이조절부(140)는 길이방향으로 장홀(141a)이 형성되어 베이스부(110)에 결합되는 가이드관(141), 상단이 안착프레임(121, 131)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가이드관(14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관(143)과, 이 이동관(143)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관(14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관(143)을 승가 시키는 승강부재(145)를 포함한다.
가이드관(141)은 상단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 승강부재(14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부재(145)는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가이드관(141)에서 승강된다.
이동관(143)은 장홀(141a)에 삽입되어 승강부재(145)에 지지되는 지지핀(143a)과, 이 지지핀(143a)이 삽입되는 삽입공(143b)을 구비한다. 삽입공(143b)은 이동관(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관(143)은 이동거리가 클 때 삽입공(143b)에 삽입되는 지지핀(143a)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클 이동을 크게 하고, 큰 이동이 완료되면, 승강부재(145)의 회전을 통해 그 높이가 미세하게 조절된다.
한편, 장홀(141a)은 가이드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100)는 베이스부(110)에서 그 높이가 조절되는 제1 관안착부(120)와 제2 관안착부(130)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는 하수관거(10)의 중심을 용이하게 정렬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이 정렬된 하수관거(10)를 제1 가이드부재(123, 133) 및 제2 가이드부재(125, 135)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시켜 연결할 수 있다. 즉, 하수관거(10)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베이스부 120 : 제1 관안착부
130 : 제2 관안착부 140 : 높이조절부

Claims (3)

  1. 하수관거(10)가 연결되는 지점의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하수관거 중 어느 하나의 하수관거가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121)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를 상기 하수관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재(123)와, 상기 하수관거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재(125)를 구비하는 제1 관안착부(120); 상기 하수관거 중 다른 하나의 하수관거가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131)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를 상기 하수관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수관거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부재(133)와, 상기 하수관거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 가이드부재(135)를 구비하는 제2 관안착부(130); 및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기 하수관거의 중심을 정렬시키시도록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관안착부 및 상기 제2 관안착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장홀(141a)이 형성되는 가이드관(141), 상기 장홀에 삽입되는 지지핀(143a) 및 상기 지지핀이 삽입되는 삽입공(143b)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이동관(143)과, 상기 이동관의 지지핀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관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145)를 포함하는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중안부 바닥에 형성되는 지지브래킷부재(123a, 133a)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부재(123b, 133b)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안착프레임의 내면에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125a, 135a)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부재(125b, 135b)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축(125c, 13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KR20120157106A 2012-12-28 2012-12-28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KR10148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7106A KR101486972B1 (ko) 2012-12-28 2012-12-28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7106A KR101486972B1 (ko) 2012-12-28 2012-12-28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508A KR20140086508A (ko) 2014-07-08
KR101486972B1 true KR101486972B1 (ko) 2015-01-29

Family

ID=5173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7106A KR101486972B1 (ko) 2012-12-28 2012-12-28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9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03B1 (ko) * 2016-08-22 2016-10-1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CN109173008A (zh) * 2018-09-14 2019-01-11 崔现平 一种引流管用外置支架
CN110917730A (zh) * 2019-11-14 2020-03-27 江苏大学 一种高稳定性天然气过滤分离器的清洗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34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장관 매설용 버팀부재
KR101647701B1 (ko) * 2015-12-31 2016-08-11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장관 매설용 버팀부재를 이용한 관 매설방법
KR101643155B1 (ko) * 2016-03-16 2016-07-27 전덕진 방폭 커버 장치
CN106193252B (zh) * 2016-08-22 2019-10-25 北京高安诺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软管导向箱笼及箱笼式软管导向装置
CN106736737B (zh) * 2016-12-07 2018-11-02 长安大学 一种管棒类材料加工用支撑装置
CN107675775B (zh) * 2017-09-18 2020-08-28 凯丰智慧(山东省)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雨水管道施工的施工装置及施工方法
KR102632939B1 (ko) * 2018-10-17 202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이프 고정 지그
KR102178840B1 (ko) * 2019-04-03 2020-11-13 조경호 파이프 앵글 조절 지그
CN111306364A (zh) * 2020-03-06 2020-06-19 中国航发沈阳发动机研究所 一种限位导向装置
CN112376671B (zh) * 2020-10-27 2021-11-09 祝珺 一种水利工程施工导流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807813A (zh) * 2022-05-02 2022-07-29 庐江县金鑫金属表面处理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管热镀锌的能够双向调整的夹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752A (ja) * 2002-01-18 2003-07-30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流水部材の固定装置
JP2003227156A (ja) * 2002-01-31 2003-08-15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排水管等の流水部材の固定用具
KR20090085830A (ko) * 2008-02-05 2009-08-10 김형성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752A (ja) * 2002-01-18 2003-07-30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流水部材の固定装置
JP2003227156A (ja) * 2002-01-31 2003-08-15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排水管等の流水部材の固定用具
KR20090085830A (ko) * 2008-02-05 2009-08-10 김형성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03B1 (ko) * 2016-08-22 2016-10-12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관 지지장치
CN109173008A (zh) * 2018-09-14 2019-01-11 崔现平 一种引流管用外置支架
CN110917730A (zh) * 2019-11-14 2020-03-27 江苏大学 一种高稳定性天然气过滤分离器的清洗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508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972B1 (ko)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US8887451B2 (en) Pivoting bracket for foundation support system
KR100550097B1 (ko)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CN113063032A (zh) 一种用于生态湿地的管道施工方法
CN110886343A (zh) 一种市政供水管道施工结构及方法
KR101481817B1 (ko) 침하방지를 위한 하수도관 지지구조
KR101674117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CN110285261A (zh) 污水管道铺设工艺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100634186B1 (ko) 도로 배수구 집수맨홀
JP2003113960A (ja) 埋設管支持具
KR101738370B1 (ko) 배관 매설방법
KR20100010135A (ko) 다양한 직경의 하수관 연결 수단을 갖는 집수정 구조체
KR101309211B1 (ko)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20170142067A (ko) 흄관 받침대
CN214466642U (zh) 一种公路路基管道加固结构
CN213839819U (zh) 一种市政管道预制垫件
KR102296681B1 (ko) 투수성 반응벽체의 설치장치
CN220647001U (zh) 一种承插口排水管道的加固装置
CN216009799U (zh) 一种排水管道铺设支撑组件
CN219279081U (zh) 一种市政给排水用送管装置
CN219472912U (zh) 一种市政管网开槽埋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