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155B1 - 방폭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방폭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155B1
KR101643155B1 KR1020160031373A KR20160031373A KR101643155B1 KR 101643155 B1 KR101643155 B1 KR 101643155B1 KR 1020160031373 A KR1020160031373 A KR 1020160031373A KR 20160031373 A KR20160031373 A KR 20160031373A KR 101643155 B1 KR101643155 B1 KR 10164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member
pipe
inner barrel
outer barrel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덕진
Original Assignee
전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덕진 filed Critical 전덕진
Priority to KR102016003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발의 위험이 있는 부분에 설치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방폭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폭발의 위험이 있는 이송관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이송관과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1 두께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통 부재; 상기 내통 부재와 접촉되지 않게 상기 내통 부재와 동심을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내통 부재와 제 2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2 두께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외통 부재;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외통 부재를 바닥에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외통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폭 커버 장치{Cover for explosion}
본 발명은 방폭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폭발의 위험이 있는 부분에 설치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방폭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등 각종 소자를 제조하는 작업장에는 각종 가스나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들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송관 내부에 이물질들이 고착되어 내부의 압력이 위험 수준까지 높아지거나, 또는, 이송관에 각종 진동, 충격, 응력 스트레스, 열 스트레스 등에 의한 피로 하중이 누적되면 이송관의 취약한 지점이 언제든 폭발할 수 있고, 이러한 폭발로 인하여 파손이 인근 장비로 전달되거나, 화재가 발생되거나, 작업자가 부상하는 등 각종 2차 사고로 위험이 전파되는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이송관에 벨로우즈관 등을 연결시켜서 이송관 내부의 이물질들을 벨로우즈관으로 유도하고, 그 내부를 정기적으로 세척하거나, 벨로우즈관이 각종 진동이나 충격이나 외력을 완화시켜서 피로 하중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벨로우즈관의 폭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폭발이 발생될 때, 폭발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관을 덮는 방폭 커버가 개발된 바 있으나, 단일 커버 부재를 이용하는 구조로서 구조적으로 매우 약해서 방폭 성능이 떨어지고, 부수적이고 추가적인 기능이 없어서 제품을 고부가 가치화할 수 없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스페이서에 의해 중간에 에어층을 갖는 내통 부재와 외통 부재를 이용하는 이중 구조로서, 이송관 또는 벨로우즈관의 폭발시 적은 비용으로도 큰 방폭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스페이서 부재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작업 공간을 고려한 절곡 커버, 개방부의 방향이 서로 다른 하부 블록, 상부 블록, 에어층, 가스층, 탄성층, 해면층, 합성수지층, 소화약제층, 응고층, 강화층 등을 이용하여 제품의 고부가 가치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폭 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방폭 커버 장치는, 폭발의 위험이 있는 이송관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이송관과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1 두께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통 부재; 상기 내통 부재와 접촉되지 않게 상기 내통 부재와 동심을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내통 부재와 제 2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2 두께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외통 부재;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외통 부재를 바닥에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외통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이송관의 폭발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홀을 갖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고,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내통 부재 및 상기 외통 부재와 용접 또는 패스너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이송관의 하부와 대응되는 하부 내통 부재; 및 상기 이송관의 상부와 대응되고, 상기 하부 내통 부재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내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통 부재는, 상기 하부 내통 부재에 대응되는 하부 외통 부재; 및 상기 상부 내통 부재와 대응되고, 상기 하부 외통 부재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외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 상기 하부 외통 부재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개방된 수직홀 형태의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블록; 상기 상부 외통 부재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개방된 수직홈 형태의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하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을 상기 나사봉의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은,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조인트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벨로우즈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 부재는 상기 벨로우즈관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벨로우즈관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 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패스너로 고정되며, 상기 조인트 나사를 위한 작업 공간 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통 부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절곡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외통 부재와 동일한 SUS 재질이고, 상기 내통 부재의 상기 제 1 두께는 상기 외통 부재의 상기 제 2 두께 이하이며,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 사이에 적어도 에어층, 가스층, 탄성층, 해면층, 합성수지층, 소화약제층, 응고층, 강화층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적은 비용으로도 큰 방폭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외통 부재의 외부로 사고가 전파되거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폭 커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의 상부 내통 부재와, 스페이서 부재 및 상부 외통 부재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폭 커버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100)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100)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100)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방폭 커버 장치(100)의 상부 내통 부재(10-2)와, 스페이서 부재(30) 및 상부 외통 부재(20-2)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폭 커버 장치(100)는, 크게 내통 부재(10)와, 외통 부재(20)와, 스페이서 부재(30) 및 지지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 부재(10)는 폭발의 위험이 있는 이송관(1)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관(1)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관(1)의 폭발시 충격과 비산물을 1차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1)과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1 두께(T1)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에서 상기 이송관(1)을 사이에 두고 하나는 상기 이송관(1)의 하방에 먼저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이송관(1)의 상방에 나중에 설치하여 단계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등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내통 부재(10)는, 서로 마주보고 조립될 수 있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내통 부재(10)는 상기 이송관(1)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하프 파이프(half pipe)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내통 부재(10-1) 및 상기 이송관(1)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역시 하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내통 부재(10-1)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내통 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내통 부재(10)는 충격 흡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SUS 계열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금속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내통 부재(10)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의 외관이 원형을 이루는 원형 파이프 형상에만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삼각 파이프 형상, 사각 파이프 형상, 타원 파이프 형상, 다각 파이프 형상, L자나 U자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 기하학적 파이프 형상 등 매우 다양한 파이프 형상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 부재(20)는,상기 이송관(1)의 폭발시 상기 내통 부재(10)에서 차단하지 못한 나머지 충격과 비산물을 2차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부재(10)와 접촉되지 않게 상기 내통 부재(10)와 동심을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내통 부재(10)와 제 2 거리(D2)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2 두께(T2)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에서 상기 이송관(1)을 사이에 두고 하나는 상기 이송관(1)의 하방에 먼저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이송관(1)의 상방에 나중에 설치하여 단계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등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외통 부재(20)는, 서로 마주보고 조립될 수 있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외통 부재(20)는, 상기 하부 내통 부재(10-1)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내통 부재(10-1) 보다 직경이 큰 하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외통 부재(20-1) 및 상기 상부 내통 부재(10-2)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내통 부재(10-2) 보다 직경이 큰 하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외통 부재(20-1)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외통 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외통 부재(20)는 충격 흡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SUS 계열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금속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통 부재(20)는 상기 내통 부재(10)와 동일한 SUS 계열의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상기 내통 부재(10)와 상기 외통 부재(20)의 재질이 서로 다르거나 SUS 이외의 각종 금속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외통 부재(20) 역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의 외관이 원형을 이루는 원형 파이프 형상에만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삼각 파이프 형상, 사각 파이프 형상, 타원 파이프 형상, 다각 파이프 형상, L자나 U자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 기하학적 파이프 형상 등 매우 다양한 파이프 형상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내통 부재(10)의 상기 제 1 두께(T1)는 상기 외통 부재(20)의 상기 제 2 두께(T2)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내통 부재(10) 보다 상기 외통 부재를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이송관(1)의 폭발시, 상기 내통 부재(10)가 1차로 폭발물을 차단하고, 상기 내통 부재(10)에서 차단하지 못한 나머지 폭발물을 상기 외통 부재(20)가 2차로 충분히 차단할 수 있게 하여 최종적으로는 폭발물이 외부로 비산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상부 외통 부재(20-2)의 상면에는 조립시 호이스트나 기중기의 걸고리에 걸어 조립될 수 있도록 걸림 고리(R)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 고리(R)의 형상 역시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spacer) 부재(30)는, 상기 내통 부재(10)와 상기 외통 부재(2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부재(10)와 상기 외통 부재(20)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 확보용 기구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스페이서 부재(30)는, 상기 이송관(1)의 폭발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홀(H)을 갖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고,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내통 부재(10) 및 상기 외통 부재(20)와 용접 또는 패스너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30)에 상기 중공홀(H)을 형성하는 이유는, 외관이 동일하고, 상기 중공홀(H)이 형성되지 않은 원기둥 형상의 부재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상기 스페이서 부재(30)가 보다 가볍고 보다 내구성이 우수하며, 폭발시의 충격 흡수성이 훨씬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미 이러한 중공홀 구조의 구조체가 갖는 우수성은 각종 실험 자료에서 널리 증명된 공지의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스페이서 부재(30)는 상기 내통 부재(10) 및 상기 외통 부재(20)와 용접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부재(10) 및 상기 외통 부재(2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고, 원형의 파이프 형상 이외에도 상기 중공홀(H)이 없는 원기둥 형상이나, 각종 다각 파이프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외통 부재(20)를 바닥에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외통 부재(20)를 지지하는 일종의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42)과, 상기 하부 외통 부재(20-1)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개방된 수직홀 형태의 제 1 개방부(OP1)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블록(43)과, 상기 상부 외통 부재(20-2)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개방된 수직홈 형태의 제 2 개방부(OP2)가 형성되는 상부 블록(44) 및 상기 하부 블록(43) 및 상기 상부 블록(44)을 상기 나사봉(42)의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42)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개방부(OP1)의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개방부(OP2)의 상기 제 2 방향은 도면과 같이, 서로 어긋나게 90도 각도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서, 상기 나사봉(42)과의 조립시 한 방향으로는 각각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유사시, 상기 제 1 개방부(OP1)와 상기 제 2 개방부(OP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나사봉(42)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두 방향에서 모두 상기 나사봉(42)을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어서 상기 나사봉(42)이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지지 부재(40)는 도면에서 예시된 나사봉 구조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이외에도 각종 수평 부재와 각종 수직 부재 및 각종 패스너들로 이루어지는 복합 프레임 구조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폭 커버 장치(100)는 상기 이송관(1)의 취약한 부분, 즉, 절곡된 부분이나 두께가 얇은 부분이나 사고 위험성이 높거나, 사고시 전파력이 높은 부분 등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상기 이송관(1)은, 연결관(1-1) 및 상기 연결관(1-1)과 조인트 나사(J)에 의해 고정되는 벨로우즈관(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내통 부재(10)는 상기 벨로우즈관(1-2)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벨로우즈관(1-2)을 둘러싸는 형태인 본 발명의 방폭 커버 장치(100)는, 상기 벨로우즈관(1-2)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 부재(2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패스너(F)로 고정되며, 상기 조인트 나사(J)를 위한 작업 공간 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통 부재(2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절곡 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절곡 커버(50)는 상기 벨로우즈관(1-2)의 폭발시, 상기 벨로우즈관(1-2)의 외경 방향으로 비산되는 폭발물이나 비산물은 상술된 상기 내경 부재(10) 및 상기 외경 부재(20)가 차단하고, 상기 벨로우즈관의 전방 및 후방으로 비산되는 폭발물이나 비산물은 상기 절곡 커버(50)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상기 절곡 커버(50)와 이웃하는 다른 절곡 커버(50) 사이의 작업 공간을 통해서 상기 조인트 나사(J)를 조이거나 풀러서 상기 벨로우즈관(1-2)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방폭 커버 장치(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를 상기 벨로우즈관(1-2)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기 너트 부재(45)를 이용하여 상기 나사봉(42)에 상기 하부 블록(43)을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켜서 상기 벨로우즈관(1-2)과 이격되게 상기 하부 내통 부재(10-1) 및 상기 하부 외통 부재(20-1)를 먼저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상기 너트 부재(45)를 이용하여 상기 나사봉(42)에 상기 상부 블록(44)을 고정시켜서 상기 벨로우즈관(1-2)과 이격되게 상기 상부 내통 부재(10-2) 및 상기 상부 외통 부재(20-2)를 나중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내통 부재(10)와 상기 외통 부재(20) 사이에 결과적으로 에어층(A)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내통 부재(10)와 상기 외통 부재(20)를 이용하는 이중 구조는 구조적으로 상기 벨로우즈관(1-2)의 폭발시 1차 및 2차에 걸쳐서 폭발력을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도 큰 방폭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에어층(A)에 의해 상기 벨로우즈관(1-2)의 열이나 진동 등이 외부로 전달되거나 반대로 외부의 열이나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벨로우즈관(1-2)으로 전달되는 것을 모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에어층(A) 대신, 그 위치에 가스층, 탄성층, 해면층, 합성수지층, 소화약제층, 응고층, 강화층 등을 적용하여 방폭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화를 시키거나 응고를 시키는 등 제품의 고부가 가치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이송관
10: 내통 부재
10-1: 하부 내통 부재
10-2: 상부 내통 부재
20: 외통 부재
20-1: 하부 외통 부재
20-2: 상부 외통 부재
30: 스페이서 부재
40: 지지 부재
41: 베이스 플레이트
42: 나사봉
43: 하부 블록
44: 상부 블록
45: 너트 부재
50: 절곡 커버
51: 절곡부
100: 방폭 커버 장치

Claims (6)

  1. 폭발의 위험이 있는 이송관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이송관과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1 두께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통 부재;
    상기 내통 부재와 접촉되지 않게 상기 내통 부재와 동심을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내통 부재와 제 2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2 두께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외통 부재;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외통 부재를 바닥에서부터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외통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방폭 커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이송관의 폭발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홀을 갖는 파이프 형상이고,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내통 부재 및 상기 외통 부재와 용접 또는 패스너로 고정되는, 방폭 커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이송관의 하부와 대응되는 하부 내통 부재; 및 상기 이송관의 상부와 대응되고, 상기 하부 내통 부재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내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통 부재는, 상기 하부 내통 부재에 대응되는 하부 외통 부재; 및 상기 상부 내통 부재와 대응되고, 상기 하부 외통 부재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외통 부재;를 포함하는, 방폭 커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봉;
    상기 하부 외통 부재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개방된 수직홀 형태의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블록;
    상기 상부 외통 부재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개방된 수직홈 형태의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하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을 상기 나사봉의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
    를 포함하는, 방폭 커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조인트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벨로우즈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벨로우즈관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벨로우즈관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둘러싸는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 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패스너로 고정되며, 상기 조인트 나사를 위한 작업 공간 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통 부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절곡 커버;
    를 더 포함하는, 방폭 커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부재는 상기 외통 부재와 동일한 SUS 재질이고,
    상기 내통 부재의 상기 제 1 두께는 상기 외통 부재의 상기 제 2 두께 이하이며,
    상기 내통 부재와 상기 외통 부재 사이에 적어도 에어층, 가스층, 탄성층, 해면층, 합성수지층, 소화약제층, 응고층, 강화층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설치되는, 방폭 커버 장치.
KR1020160031373A 2016-03-16 2016-03-16 방폭 커버 장치 KR101643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73A KR101643155B1 (ko) 2016-03-16 2016-03-16 방폭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73A KR101643155B1 (ko) 2016-03-16 2016-03-16 방폭 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155B1 true KR101643155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73A KR101643155B1 (ko) 2016-03-16 2016-03-16 방폭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04A (ko) * 2020-01-23 2021-08-02 (주) 정우카프링 관연결구용 내화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3994U (ko) * 1987-11-26 1989-06-05
JPH03167311A (ja) * 1989-11-28 1991-07-19 Mitsubishi Rayon Co Ltd 紡績性良好なアクリル繊維
JP3167311B2 (ja) * 1990-01-26 2001-05-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ルチ信号変換素子および記録再生装置
KR20140086508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KR20160015687A (ko) * 2014-07-31 2016-02-15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3994U (ko) * 1987-11-26 1989-06-05
JPH03167311A (ja) * 1989-11-28 1991-07-19 Mitsubishi Rayon Co Ltd 紡績性良好なアクリル繊維
JP3167311B2 (ja) * 1990-01-26 2001-05-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ルチ信号変換素子および記録再生装置
KR20140086508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KR20160015687A (ko) * 2014-07-31 2016-02-15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04A (ko) * 2020-01-23 2021-08-02 (주) 정우카프링 관연결구용 내화커버
KR102334734B1 (ko) * 2020-01-23 2021-12-07 (주) 정우카프링 관연결구용 내화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8182B2 (en) Damping device for building seismic reinforcement
KR101531411B1 (ko) 행거형 방진장치
US7337586B2 (en) Anti-seismic device with vibration-reducing units arranged in parallel
KR20100066099A (ko) 내진패킹을 구비한 배관고정장치
KR101643155B1 (ko) 방폭 커버 장치
TWI749163B (zh) 制振裝置
KR20170037252A (ko) 파이프 고정용 슈받침 장치
KR10180566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312958B1 (ko) 중량물의 진동감쇄장치
KR101781270B1 (ko)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KR101870212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홀더
JP6615689B2 (ja) 使用済燃料中間貯蔵施設の金属キャスク固定構造
KR20070076037A (ko) 진동흡수기능을 구비하는 배관 서포트장치
KR101617034B1 (ko) 선박용 파이프 서포터
JP6209784B2 (ja) 減震ストッパ構造並びに当該減震ストッパ構造を備えた防振架台
KR102033825B1 (ko) 기계구조물용 내진장치
KR20190000050A (ko)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KR200487550Y1 (ko) 내진용 유 클램프
KR100881971B1 (ko) 면진용 배관 행거 장치
CN212986277U (zh) 一种化工管道固定支架
KR102006072B1 (ko) 배관 고정용 내진장치
RU148481U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KR102239103B1 (ko) 전기 공사용 배관 지지 장치
RU2656422C2 (ru) Противовзрывная панель
JP2009085416A (ja) 防振架台ならびに該防振架台に用いられる防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