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50A -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50A
KR20190000050A KR1020170078890A KR20170078890A KR20190000050A KR 20190000050 A KR20190000050 A KR 20190000050A KR 1020170078890 A KR1020170078890 A KR 1020170078890A KR 20170078890 A KR20170078890 A KR 20170078890A KR 20190000050 A KR20190000050 A KR 20190000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ipping
receiving groove
vibra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언관
Original Assignee
기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언관 filed Critical 기언관
Priority to KR102017007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050A/ko
Publication of KR2019000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배관의 직경에 맞춰 고정하는 배관용 클램프를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가 제공됨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댐핑부재가 배관의 둘레면을 둘러싸 상기 배관을 클램프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되는 상기 배관은 지진 등 진동과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진 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vibration proof type pipe clamp}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내를 따라 설치되는 가스 혹은, 유류용 배관을 고정하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소형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용 클램프를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용 클램프는 건물의 천장과 바닥면 및 벽체 등에 각종 통신선 및 전기선 등을 내재시킨 선로배관을 고정하거나, 배수 또는 급수되도록 수도배관 내지 배수배관을 고정할 때 사용하게 된다.
또한, 배관용 클램프는 건물의 천장 혹은 벽면, 바닥면을 따라 도시가스관, LPG관, 난방관, 유류관 등의 가스 배관 혹은 유류용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배관용 클램프가 사용된다.
상기에 전술한 배관용 클램프는 배관의 용도와 유체에 따라 다양한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천장 및 벽면 등과 같은 지지체 상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을 상기 지지체 상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관의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주변 환경으로부터 부과되는 중량, 압력에 의한 배관의 수축, 팽창, 및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배관용 클램프는 배관이 클램프의 내주면에 얹혀진 구조임에 따라 지진과 같은 진동 또는 외부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배관용 클램프는 상기 배관에 전달되는 진동 혹은 충격에 대해서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가스 배관의 사고는 2차 사고 등 큰 피해를 나타낼 수 있음에 따라 내진설계의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국내 지진발생의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배관 설치시 내진설계 기준 규제가 중요시 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관용 클램프의 내주면에는 진동 흡수용 스프링 또는 완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용 클램프에 고정된 배관은 진동 또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상기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208462호, 등록특허 제10-134736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상기 배관용 클램프는 배관의 고정 및 해체가 다소 용이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클램프의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물론 등록특허 제10-16012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배관의 직경에 따라 클램프에 고정 및 해체가 용이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은 U-볼트가 상기 배관을 고정함에 따라서 고정된 상기 배관은 천장 및 벽면과 같은 지지체 상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지지체 상과 상기 배관의 간격조절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의 구성은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U-볼트의 내경에 고정된 상기 배관은 방사 방향 진동에 대해서만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의 직경이 다소 작은 소형 배관일 경우에는 상기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은 중대형 배관보다 큰 손상 및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형 배관은 중대형 배관보다 작은 진동은 소형 배관의 전체에 큰 진동으로 전달 되기 때문이다.
등록특허 제10-0208462호 등록특허 제10-1347367호 등록특허 제10-16012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소형 배관의 직경에 맞춰 고정하는 배관용 클램프를 진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 완충용 클램프는 건축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가스 혹은, 유류용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클램프는 건물 내의 천장에 고정되면서 상기 배관의 설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각 고정부재의 하측 끝단에 각각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배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관의 둘레면을 파지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파지몸체로부터 배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댐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몸체는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파지부 및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파지부로 분할 형성되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결합에 의해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어느 한 측 끝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라운드 혹은, 절곡 구조를 이루면서 맞물리는 연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다른 한 측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일괄적으로 고정되도록 절곡된 결합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파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댐핑부재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은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도록 라운드지게 요입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 내에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홈 외부로 노출되면서 배관의 둘레면을 파지 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파지몸체를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이 수용홈의 양 끝단은 상기 파지몸체로부터 벌어지면서 틈새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댐핑부재의 끝단은 상기 틈새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댐핑부재가 배관의 둘레면을 둘러싸 상기 배관을 클램프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배관의 축 방향 및 방사 방향 등의 진동 또는 충격을 댐핑한다. 이에, 고정된 상기 배관은 지진 등과 같은 외부 진동 및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진 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결합단에서 볼트와 너트가 결합 될 때, 결합 된 상기 볼트와 너트는 역회전 방지독으로 외부의 진동 및 충격에도 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상기 결합단은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건물 내의 천장 혹은 벽 등의 지지체 상에 연결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배관과 상기 지지체 상의 간격은 상기 배관의 시공에 맞춰 그에 맞는 길이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파지몸체가 결합되고 배관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파지몸체가 고정된 결합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파지몸체가 고정된 결합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배관(60)은 유류 혹은, 가스 등의 전달을 위해 제공되며 건축 구조물 내를 따라 설치되는 소형의 배관(60)임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60)이 설치되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는 건물의 천장 내부나 벽체 내부 혹은, 바닥 내부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는 상기 배관(60)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고정부재(10)가 상기 배관(6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가 천장 내부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고정부재(10)에 매달려 고정되는 구조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는 크게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로 분할 형성되는 파지몸체(20)와 댐핑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축 구조물 내를 따라 배관용 클램프로 진동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상기 진동이 상기 댐핑부재(30)에서 댐핑 되도록 하여 가스 혹은 유류의 이송을 위한 배관(60)이 상기 진동으로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파지몸체(20)는 상기 배관(6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각 고정부재(10)의 상측 끝단은 상기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부재(10)의 다른 하측 끝단에는 상기 파지몸체(20)의 일단이 각각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파지몸체(20)는 상기 배관(60)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몸체(20)는 후술될 댐핑부재(30)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25)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5)은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도록 라운드지게 요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댐핑부재(30)가 상기 수용홈(25) 내에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홈(25)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배관(60)의 둘레면을 파지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파지몸체(20)는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홈(25)의 양 끝단은 상기 파지몸체(20)로부터 벌어지면서 틈새(26)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될 댐핑부재(30)의 양 끝단을 상기 벌어진 틈새(26)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파지몸체(20)는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파지부(21) 및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파지부(22)로 분할 형성되면서 상기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결합에 의해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두 형상이 양쪽에서 쉽게 포개짐으로 상기 배관(60)의 둘레면을 감쌀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어느 한 측 끝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라운드 혹은, 절곡 구조를 이루면서 맞물리게 형성되는 연결단(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50)을 통해 상기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두 형상을 분리, 혹은 결합이 이뤄진다.
한편, 상기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다른 한 측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재(10)에 일괄적으로 고정되도록 절곡된 결합단(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단(40)의 결합공(41)과 상기 고정부재(10)에 결합공(41a)이 통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역회전 방지독(42)이 반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두 결합단(40)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10)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단(40)의 결합공(41) 위치와 상기 고정부재(10)의 결합공(41a) 위치가 서로 통할 때, 상기 결합공(41)에 볼트(45)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45)와 너트(46)는 서로 대응한 정회전으로 조임됨으로써 상기 파지몸체(20)는 상기 고정부재(10)에 일괄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볼트(45) 및 너트(46)가 상기 역회전 방지독(42)의 돌출 위치까지 조임되어 결합 되었을 때에는 상기 볼트(45)의 머리 및 상기 너트(46)가 상기 역회전 방지독(42)에 걸리게 되어 정회전은 가능하나 역회전이 되지 않는다.
즉, 상기 고정부재(10)에 일괄 고정된 파지몸체(20)에서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상기 볼트(45) 및 너트(46)가 서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댐핑부재(30)는 상기 배관(60)의 둘레면을 파지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파지몸체(20)로부터 상기 배관(6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핑부재(30)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댐핑부재(30)가 상기 몸체(20)의 내경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60)의 축 방향과 더불어 방사 방향 진동을 댐핑한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양 끝단을 상기 각 파지부의 수용홈(25)의 양 끝단에 벌어진 틈새(26)에 걸어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걸이 방식의 결합에도 불구하고 원치않는 탈거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댐핑부재(30)가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 내에 일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파지몸체(2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댐핑부재(30)가 설치되고, 이러한 상기 댐핑부재(30)는 상기 파지몸체(20)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배관(60)의 둘레면 크기에 맞춰 상기 배관(60)을 파지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2 내지 도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학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결합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파지몸체가 결합되고 배관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우선 건물 내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60)을 고정하기 위한 배관용 클램프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내의 천장에 상측 끝단이 고정되면서(도시는 생략됨) 상기 배관(6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부재(10)와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내에는 댐핑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60)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댐핑부재(30)가 둘러싸고 상기 제1파지부(21) 및 제2파지부(22)의 연결단(50)으로 서로 맞물림과 더불어 상기 고정부재(10)의 하측 끝단과 결합단(40)이 볼트(45)와 너트(46)로 일괄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배관(60)의 둘레면 크기에 맞춰 상기 댐핑부재(30)는 상기 배관(60)의 둘레면을 따라 파지함과 더불어 수용홈(25)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6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용 클램프는 복수로 건축 구조물 내의 지지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상기 댐핑부재(30)가 상기 배관(60)의 둘레면을 둘러싸 상기 배관(60)을 파지몸체(20)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되는 상기 배관(60)은 지진 등 진동과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진 됨으로써 각종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단(40)은 상기 고정부재(1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10)는 건축 구조물 내의 지지체와 설치가 됨에 따라 상기 배관(60)과 상기 지지체 상의 간격은 상기 배관(60)의 시공에 맞춰 그에 맞는 길이의 고정부재(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고정부재 20. 파지몸체
21. 제1파지부 22. 제2파지부
25. 수용홈 26. 틈새
30. 댐핑부재 40. 결합단
41. 결합공 42. 역회전 방지독
45. 볼트 46. 너트
50. 연결단 60. 배관

Claims (5)

  1. 건축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가스 혹은, 유류용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클램프는
    건물 내의 천장에 고정되면서 상기 배관의 설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각 고정부재의 하측 끝단에 각각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배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관의 둘레면을 파지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파지몸체로부터 배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하는 댐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몸체는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파지부 및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파지부로 분할 형성되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결합에 의해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어느 한 측 끝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라운드 혹은, 절곡 구조를 이루면서 맞물리는 연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다른 한 측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일괄적으로 고정되도록 절곡된 결합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댐핑부재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도록 라운드지게 요입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 내에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홈 외부로 노출되면서 배관의 둘레면을 파지 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파지몸체를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이 수용홈의 양 끝단은 상기 파지몸체로부터 벌어지면서 틈새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댐핑부재의 끝단은 상기 틈새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KR1020170078890A 2017-06-22 2017-06-22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KR20190000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890A KR20190000050A (ko) 2017-06-22 2017-06-22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890A KR20190000050A (ko) 2017-06-22 2017-06-22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50A true KR20190000050A (ko) 2019-01-02

Family

ID=6502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890A KR20190000050A (ko) 2017-06-22 2017-06-22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0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376A (zh) * 2019-09-20 2019-12-20 绍兴市晟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防松动且有保护功能的污水管道用固定装置
KR102636255B1 (ko) * 2023-06-13 2024-02-15 (주)드림텍 감속기 오일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376A (zh) * 2019-09-20 2019-12-20 绍兴市晟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防松动且有保护功能的污水管道用固定装置
CN110593376B (zh) * 2019-09-20 2020-10-23 绍兴市晟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防松动且有保护功能的污水管道用固定装置
KR102636255B1 (ko) * 2023-06-13 2024-02-15 (주)드림텍 감속기 오일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411B1 (ko) 행거형 방진장치
KR101948596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KR101817474B1 (ko) 배관의 진동 저감 장치
KR101802385B1 (ko)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JP3195374U (ja) 配管固定装置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KR101870213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KR20080002087U (ko) 내진용 배관지지장치
KR20100106171A (ko) 내진 및 면진용 배관고정장치
KR20190000050A (ko) 진동 방지형 배관용 클램프
KR101687663B1 (ko) 방진수단이 구비된 배관용 행거
KR20160000689U (ko)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JP5906101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1870212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홀더
JP5917182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194859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JP4392567B2 (ja) 耐震防振装置
KR200487550Y1 (ko) 내진용 유 클램프
KR200487183Y1 (ko) 내진 및 내화용 입상 파이프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KR101942181B1 (ko) 내진용 매립형 지지대
KR102397745B1 (ko)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1019387B1 (ko) 방진 및 내진을 위한 배관 행거용 배관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