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63B1 -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63B1
KR101759163B1 KR1020170010724A KR20170010724A KR101759163B1 KR 101759163 B1 KR101759163 B1 KR 101759163B1 KR 1020170010724 A KR1020170010724 A KR 1020170010724A KR 20170010724 A KR20170010724 A KR 20170010724A KR 101759163 B1 KR101759163 B1 KR 10175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bolt
support
vibra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김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김병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01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는 케이블 트레이 및 전산(全山) 볼트로 천장에 고정되어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를 포함하며,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는: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가로 지지 부재와, 전산 볼트를 수납하여 가로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와, 수직 지지대와 전산 볼트 사이에는 방진 패드가 위치한다.

Description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VIBRATION ENDURABLE CABLE TRAY STRUCTURE}
본 기술은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의 건축물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 및/또는 관(pipe)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한국 특허 제10-1436333호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굳은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이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 및/또는 관이 연장된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측 및 우측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과, 사이드 레일들을 가로질러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에 장착될 수 있다.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거치대는 전산(全山) 볼트로 지지되어 지진 등과 같은 강한 진동 발생하면 전산 볼트가 지지한 면이 진동함에 따라 전산볼트가 힘들 받아 휨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에 견딜 수 있는 내진성 케이블 트레이 거치대를 별도로 설치 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을 제거 하고, 내진 특성을 가지는 제품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나아가, 기존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트레이 거치대가 건축물에 상시 전력, 통신이 전달하는 전원 인입의 관로 배관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주된 목적 중 하는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및 그 거치대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트레이 및 그 거치대를 철거하지 않고 내진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는 케이블 트레이 및 전산(全山) 볼트로 천장에 고정되어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를 포함하며,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는,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가로 지지 부재와, 전산 볼트를 수납하여 가로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와, 수직 지지대와 전산 볼트 사이에는 방진 패드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직 지지대는 내부를 개방하는 홈을 가지며, 홈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턱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는 전산 볼트를 고정하는 클램프 볼트와, 클램프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클램프 너트를 더 포함하며, 클램프 너트는 턱에 나사 결합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고정되고, 클램프 볼트는 반발력에 의하여 전산 볼트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클램프 너트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턱에는 클램프 너트와 상응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방진 패드에는 전산 볼트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방진 패드는 내진성을 가지는 탄성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가 고정된 건물에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방진 패드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를 고정하는 전산 볼트에 제공되는 힘을 완충할 수 있어 전산 볼트의 물리적 변형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의 예시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의 결합 상태와 분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수직 지지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클램프 볼트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클램프 너트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방진 패드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케이블 트레이는 전력선 등의 배선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케이블 전력, 제어, 통신 및 계장용 케이블 등을 배선할 때 케이블들을 지지,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트레이는 금속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유닛 또는 유닛의 집합체 및 그에 부속하는 부속재 등으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사다리형, 펀칭형, 통풍채널형, 바닥밀폐형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물의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10)의 예시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10)의 결합 상태와 분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수직 지지대(22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10)는 케이블 트레이(100) 및 전산(全山) 볼트(230)로 천장(C)에 고정되어 케이블 트레이(100)를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200)를 포함하며,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200)는: 케이블 트레이(100)를 지지하는 가로 지지 부재(210)와, 전산 볼트(230)를 수납하여 가로 지지 부재(210)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220)를 포함하며, 수직 지지대(220)와 전산 볼트(230) 사이에는 방진 패드(24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10)가 고정된 건물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방진 패드(240)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10)를 고정하는 전산 볼트(230)에 제공되는 힘을 완충할 수 있어 전산 볼트(230)의 물리적 변형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수직 지지대(220)의 내부에는 전산 볼트(230)가 수납된다. 전산 볼트(230)의 일 단은 건물의 천장(C)에 고정될 수 있다. 전산 볼트(230)의 타 단은 가로 지지 부재(210)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고정 너트(N)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20)는 케이블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어 케이블 트레이(100)를 지지한다. 케이블 트레이(100)에는 케이블, 관로, 튜브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20)는 일 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 좌우로 서로 마주 보는 턱(P)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턱(P)은 도 3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의하면 턱(P)은 수직 지지대(220)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절개된 양단일 수 있다.
도 3으로 예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턱(P)에는 요철부(S')가 형성될 수 있다. 턱에 형성된 요철부(S')는 클램프 너트(254)에 형성된 요철부(S)와 서로 상응한다. 턱(P)에 형성된 요철부(S')와 클램프 너트(254)에 형성된 요철부(S)에 의하여 클램프 너트(254), 클램프 볼트(252) 및 수직 지지대(220) 결합시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수직 지지대(220)의 내부에는 전산 볼트(230)가 수납되며, 전산 볼트(230)와 수직 지지대(220)의 사이에는 방진 패드(240)가 위치한다. 방진 패드(240)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이다. 방진 패드(240)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10)가 고정된 건물이 진동할 때 전산 볼트(230)에 제공되는 진동을 완충하여 진동에 의하여 전산 볼트가 물리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각형 빔(angled beam) 형태의 수직 지지대(220)를 개시하고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 지지대(220)는 내부가 개방되고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전산 볼트(230)는 클램프 볼트(252)와 클램프 너트(254)에 의하여 수직 지지대(220)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도 2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프 볼트(252)가 나사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클램프 너트(254)는 나사 결합의 반발력에 의하여 턱(P)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클램프 볼트(252)는 더이상 움직일 수 없는 클램프 너트(254)에 대하여 전산 볼트(230)를 밀어서 고정한다.
도 4는 클램프 볼트(252)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 볼트(252)의 단부에는 전산 볼트(230)를 고정할 때 전산 볼트(230) 나사산 훼손을 줄이도록 톱니 산(M)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톱니 산은 전산 볼트의 나사산 피치(pitch)에 상응하므로 클램프 볼트(252)로 전산 볼트(230) 고정시 전산 볼트(230)의 나사산 훼손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클램프 너트(254)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램프 너트(254)에는 클램프 볼트(252)와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멍(H)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너트(254)에서 수직 지지대에 형성된 턱(P)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턱(P)에 형성된 요철부(S')에 상응하는 요철부(S)가 형성된다. 요철부(S)는 턱(P)에 형성된 요철부(S')와 요철 결합하여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10) 체결시 클램프 너트(254)가 유격없이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도 6은 방진 패드(240)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진 패드(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건물에 진동이 있는 경우에도 전산 볼트(230)에 제공되는 물리력을 완충한다. 나아가 방진 패드(240)에 의하여 전산 볼트(230)가 고정된 상부의 콘크리트 부분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산 볼트(230)와 접촉하는 방진 패드(240)의 일 면에는 전산 볼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된 홈(242)이 형성된다. 방진 패드(240)에 형성된 홈(242)에 의하여 전산 볼트(230)가 수직 지지대(220)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는 건물로부터 진동이 제공되어도 방진 패드가 진동을 완충하므로 전산 볼트에 가해지는 물리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산 볼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를 위한 실시예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케이블 트레이 200: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210: 가로 지지 부재 220: 수직 지지대
230: 전산 볼트 240: 방진 패드
242: 홈 252: 클램프 볼트
254: 클램프 너트

Claims (6)

  1. 케이블 트레이 및
    전산(全山) 볼트로 천장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지지하는 가로 지지 부재와,
    상기 전산 볼트를 수납하여 상기 가로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전산 볼트 사이에는 방진 패드가 위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내부를 개방하는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턱이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는
    상기 전산 볼트를 고정하는 클램프 볼트와,
    상기 클램프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클램프 너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너트는 상기 턱에 상기 나사 결합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 볼트는 상기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전산 볼트를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너트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턱에는 상기 클램프 너트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요철부와 상응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패드에는
    상기 전산 볼트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패드는,
    내진성을 가지는 탄성체인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KR1020170010724A 2017-01-23 2017-01-23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KR10175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24A KR101759163B1 (ko) 2017-01-23 2017-01-23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24A KR101759163B1 (ko) 2017-01-23 2017-01-23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63B1 true KR101759163B1 (ko) 2017-07-18

Family

ID=5943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724A KR101759163B1 (ko) 2017-01-23 2017-01-23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6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922B1 (ko) 2017-07-17 2017-10-12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용 방진형 행거장치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트레이
KR101856184B1 (ko) * 2017-12-13 2018-05-10 이성훈 내진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1967166B1 (ko) 2018-12-17 2019-04-09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형 케이블트레이
KR101981236B1 (ko) 2018-07-30 2019-05-22 김대식 전산볼트용 보강부재 및 그 전산볼트용 보강부재가 적용된 내진용 행거장치
KR101981947B1 (ko) 2018-07-30 2019-05-24 김대식 전산볼트 연결용 브래킷 및 그 전산볼트 연결용 브래킷이 적용된 내진용 행거장치
KR20190075265A (ko) 2017-12-21 2019-07-01 (주) 나라기술단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2078389B1 (ko) * 2019-09-27 2020-02-17 김동선 내진 보강 구조를 가지는 아일랜드형 주방 시스템
KR102145604B1 (ko) 2020-03-09 2020-08-18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케이블트레이
KR102253617B1 (ko) * 2020-07-13 2021-05-21 주식회사 퍼스트기술단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구조
KR102293850B1 (ko) * 2021-03-2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20220008030A (ko) * 2020-07-13 2022-01-20 (주)퍼스트기술단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구조
KR102396140B1 (ko) * 2020-12-21 2022-05-12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712803B1 (ko) 2016-07-22 2017-03-07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712803B1 (ko) 2016-07-22 2017-03-07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922B1 (ko) 2017-07-17 2017-10-12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용 방진형 행거장치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트레이
KR101856184B1 (ko) * 2017-12-13 2018-05-10 이성훈 내진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20190075265A (ko) 2017-12-21 2019-07-01 (주) 나라기술단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981236B1 (ko) 2018-07-30 2019-05-22 김대식 전산볼트용 보강부재 및 그 전산볼트용 보강부재가 적용된 내진용 행거장치
KR101981947B1 (ko) 2018-07-30 2019-05-24 김대식 전산볼트 연결용 브래킷 및 그 전산볼트 연결용 브래킷이 적용된 내진용 행거장치
KR101967166B1 (ko) 2018-12-17 2019-04-09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형 케이블트레이
KR102078389B1 (ko) * 2019-09-27 2020-02-17 김동선 내진 보강 구조를 가지는 아일랜드형 주방 시스템
KR102145604B1 (ko) 2020-03-09 2020-08-18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케이블트레이
KR102253617B1 (ko) * 2020-07-13 2021-05-21 주식회사 퍼스트기술단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구조
KR20220008030A (ko) * 2020-07-13 2022-01-20 (주)퍼스트기술단 케이블 트레이의 내진 구조
KR102484147B1 (ko) * 2020-07-13 2023-01-04 주식회사 퍼스트기술단 내진 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396140B1 (ko) * 2020-12-21 2022-05-12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293850B1 (ko) * 2021-03-22 2021-08-25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JP4890617B2 (ja) パイプ又はケーブルが延在する少なくとも1つの導管を動的に封止するシステム
KR101709089B1 (ko)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102109580B1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SG182046A1 (en) Hanging type vibration isolator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JP2017226989A (ja) 接合構造、接合工法、及び接合金具
KR20150004164U (ko) 내진용 스프링 행거
KR20230113252A (ko)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0710835B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US6508441B1 (en) Sway brace
KR101809826B1 (ko) 복합형 완충시스템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JP5132456B2 (ja) 天井ブレース連結構造
KR101942180B1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KR101684686B1 (ko) 건축설비 내진 및 면진용 가대
KR20170133860A (ko) 내진용 배관 행거
KR102003597B1 (ko) 기계설비배관의 내진 및 방진지지장치
JP2016211216A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964662B1 (ko) 부스덕트용 내진장치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KR102384349B1 (ko) 배관고정용 클램프
KR20210132768A (ko) 방사상 유동식 내진행거
KR101919348B1 (ko)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