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830A -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830A
KR20090085830A KR1020080011688A KR20080011688A KR20090085830A KR 20090085830 A KR20090085830 A KR 20090085830A KR 1020080011688 A KR1020080011688 A KR 1020080011688A KR 20080011688 A KR20080011688 A KR 20080011688A KR 20090085830 A KR20090085830 A KR 2009008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drainage
drainage structure
height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255B1 (ko
Inventor
김형성
Original Assignee
김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성 filed Critical 김형성
Priority to KR102008001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2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예를 들어 지하 또는 주차장 등에서 우수나 지하수의 침수, 그리고 물청소 후 세척수의 처리를 위한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배수구조물은 건축물의 지하나 주차장 등의 기반과 평활작업을 위한 포장층으로 이루는 바닥에 지하수의 침수 또는 물청소 후 세척수의 집수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배수로로서, 건축물의 기반에 고정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요소 및 그 조절요소 상에 설치되는 수로부재를 갖추어서, 정밀 시공은 물론 배수구의 설치작업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된다.
건축물, 배수구,

Description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Structure of water pip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예를 들어 지하 또는 주차장 등에서 우수나 지하수의 침수, 그리고 물청소 후 세척수의 처리를 위한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간편 용이한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지하나 주차장 등의 바닥에는 지하수의 침수 또는 물청소 후 세척수의 처리를 위해 배수로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러한 배수로는 대략 건축물 바닥의 가장자리 또는 바닥의 중앙을 지나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깊이 내려앉은 개방형의 골 형상으로 이루어서 건축물 바닥의 침수나 세척수를 집수하여 외부(정화조)로 배출해내는 배수관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배수로의 시공과정을 보면 도 1a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 즉 기반(1)상에 토목설계된 배수의 깊이와 너비에 맞추어 양측의 모서리부재들(2)을 앙카볼트(3)와 지지대(4)를 이용해 가설시킨다.
그리고 가설된 양측 모서리부재들(2) 각기의 내면에는 배수로의 벽면성형을 위한 거푸집(5)을 설치시킨 후 기반(1)상에 적층되어 바닥의 평활작업을 위한 포장층(1a)을 콘크리트로 타설시키고 일정시간 양생과정을 통하여 소기의 배수로를 성 형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로의 시공에서는 모서리부재들(2)의 가설을 위한 앙카볼트(3)와 지지대(4)들은 용접작업을 통해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용접작업은 많은 시간과 수공이 소요되고 또 용접부분의 불량이 발생하여 하자 보수가 빈번한 등의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로 성형의 양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거푸집(4)을 해체시키고 그 배수로의 마무리작업이 필연적으로 따르고 있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거푸집(4)을 이용해 성형 된 배수로의 측벽은 거칠어 그 표면의 평활작업 즉, 도 1b에서와 같이 배수로 측벽의 표면처리와 배수로의 바닥은 집수 된 침수나 세척수의 원할 한 배수를 위해 배수로의 바닥처리(7)가 요구되는, 즉 입수 측으로부터 출수 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배작업은 작업자 시각에 의존되고 있는 것이어 그 구배가 정밀하지 못하고 따라서 배수가 원할하지 못한 등의 시공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압출방식으로 성형되는 수로부재들을 연이어 배치하고 그 수로부재들의 구배가 높낮이 조절요소를 이용해 간단히 조절되게 함으로서, 배수로의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정밀시공이 가능하여 배수가 원할 한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로부재의 측벽 높이를 시공되는 포장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제품의 공용화는 물론 시공성이 우수한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바닥, 예를 들어 지하 또는 주차장 등에서 우수나 지하수의 침수, 그리고 물청소 후 세척수의 처리를 위한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배수구조물은 건축물의 지하나 주차장 등의 기반과 평활작업을 위한 포장층으로 이루는 바닥에 지하수의 침수 또는 물청소 후 세척수의 집수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배수로로서, 건축물의 기반에 고정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요소 및 그 조절요소 상에 설치되는 수로부재를 갖추어서, 정밀 시공은 물론 배수구의 설치작업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의 효과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압출방식으로 성형되는 수로부재들을 연이어 배치하고 그 수로부재들의 구배가 높낮이 조절요소를 이용해 간단히 조절되게 함으로서, 배수로의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배수로 구배의 정밀시공이 가능하여 원할 한 배수가 이루진다.
또 본 발명은 수로부재의 측벽 높이를 시공되는 포장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제품의 공용화는 물론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나 주차장 등의 기반과 평활작업을 위한 포장층으로 이루는 바닥에 지하수의 침수 또는 물청소 후 세척수의 집수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배수 구조물은 건축물의 기반(1)에 고정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요소(10)와, 이 조절요소(10) 상에 설치되는 수로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 조절요소(10)는 기반(1)에 앙카볼트(12)로 고정되는 고정자(14)와, 이 고정자(14)와 나사결합되어 좌.우회전하는 것에 의해 승강되고 수로부재(20)와 이후에 설명할 암.수형의 결합구조를 이용해 결속되는 가동자(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조절요소(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나사회전방식에 의한 높낮이 조절 이외에 높낮이 조절을 위해 조절요소(10) 길이의 신축을 이루는 모든 방식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수로부재(20)는 기저부(22)와, 이 기저부(22)의 양측에 삽입방식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들(24)로 구성되는데, 이렇게 구성되는 수로부재(20)는 적합한 합성수지제를 이용하여서 압출성형방식에 의해 시공 및 운반성 등을 고려해 일정 단위의 길이로 제조되어 보급될 것이다.
그리고 기저부(22)의 양측에 삽입방식으로 설치되는 측벽들(24)은 기저부(22)와 결속요소(25)를 이용해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측벽들(24)은 배수로의 깊이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건축물 바닥 포장층(1a)의 두께에 따른 변화에 맞추어 그 높이를 현장에서 간편히 제단하여 시공 할 수 있도록 측벽들(24)의 벽에 등 간격으로 다단의 절단홈들(24a)을 갖추고 있으며, 도 내측에는 그레이팅 설치를 위한 단턱(24b)를 갖는다.
한편 조절요소(10)의 가동자(16)와 수로부재(20)의 기저부(22) 사이는 암.수의 결합구조(30)로 결속된다.
이러한 결합구조(30)는 기저부(22)의 저면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병행하게 설치되고 탄력성을 갖는 숫 형의 걸림편(32)과, 가동자(16)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암 형의 수용부(34)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 건축물 배수 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시공할 건축물의 바닥 기반(1)에 조절요소들(10)을 수로부재(20)의 단위길이를 고려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한다. 이때 조절요소들(10)은 입수 측으로부터 출수 측 가며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높이를 가지게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절요소들(10)의 시공이 완료되면 그 조절요소들(10) 상에 수로부재(20)의 기저부(22)를 암.수형의 결합구조(30)를 이용해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수로부재(20)의 기저부(22) 설치 작업을 완료시킨 후 기저부(22)의 양측에 측벽(24)을 조립시키면 배수로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배수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 후 포장층(1a)을 타설시키면 공사가 완료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건축물 바닥의 배수구 시공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이 시공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절요소 14 :고정자
16 :가동자 20 :수로부재
22 :지저부 24 :측벽
30 :결합구조

Claims (6)

  1. 건축물의 지하나 주차장 등의 기반과 평활작업을 위한 포장층으로 이루는 바닥에 지하수의 침수 또는 물청소 후 세척수의 집수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배수로로서,
    상기 건축물의 기반에 고정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요소; 및
    상기 조절요소 상에 설치되는 수로부재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요소와 상기 수로부재는 암.수형의 결합구조를 이용해 결합 되게 한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요소는 기반에 앙카볼트로 고정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와 나사결합되어 좌.우회전하는 것에 의해 승강되고 상기 수로부재와 암.수의 결합구조를 이용해 결속되는 가동자로 구성된 건축물의 배수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부재는 기저부와, 이 기저부의 양측에 삽입방식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된 건축물의 배수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등 간격으로 상기 측벽의 높이를 절단방식으로 조절을 위한 절단홈들을 갖는 건축물의 배수구조물.
  6. 건축물의 지하나 주차장 등의 기반과 평활작업을 위한 포장층으로 이루는 바닥에 지하수의 침수 또는 물청소 후 세척수의 집수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배수로로서,
    상기 기반에 앙카볼트로 고정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와 나사결합되어 좌.우회전하는 것에 의해 승강되는 가동자로 구성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조절요소; 및
    상기 조절요소상에 설치되고, 기저부와 이 기저부의 양측에 삽입방식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되는 수로부재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KR1020080011688A 2008-02-05 2008-02-05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KR10096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88A KR100966255B1 (ko) 2008-02-05 2008-02-05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88A KR100966255B1 (ko) 2008-02-05 2008-02-05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30A true KR20090085830A (ko) 2009-08-10
KR100966255B1 KR100966255B1 (ko) 2010-06-25

Family

ID=4120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88A KR100966255B1 (ko) 2008-02-05 2008-02-05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2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06B1 (ko) * 2009-11-04 2010-06-17 주식회사 에코빌드 디엔씨 건물의 방수턱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KR101486972B1 (ko) * 2012-12-28 2015-01-29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KR20180026300A (ko) * 2016-09-02 2018-03-12 류민수 바닥배수용 트렌치
KR101997768B1 (ko) * 2018-04-29 2019-10-01 이주철 트렌치용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191B2 (ja) 1997-12-26 2000-10-30 丸高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勾配溝ブロック用成形型枠
JP2001115565A (ja) * 1999-08-11 2001-04-24 Watanabe Tekkosho:Kk 支持ブラケット
JP2006144230A (ja) * 2004-11-16 2006-06-08 Kanai:Kk アンカーボルト
KR20070122190A (ko) * 2007-12-10 2007-12-28 박인구 배수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06B1 (ko) * 2009-11-04 2010-06-17 주식회사 에코빌드 디엔씨 건물의 방수턱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KR101486972B1 (ko) * 2012-12-28 2015-01-29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거 결합용 지지 장치
KR20180026300A (ko) * 2016-09-02 2018-03-12 류민수 바닥배수용 트렌치
KR101879240B1 (ko) * 2016-09-02 2018-07-17 류민수 바닥배수용 트렌치
KR101997768B1 (ko) * 2018-04-29 2019-10-01 이주철 트렌치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255B1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255B1 (ko)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KR20070122190A (ko) 배수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139217A (ko)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23406B1 (ko)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CA2725098C (en) Adjustable mold and associated method for making a drainage channel
KR20090006315A (ko) L형 우수저류조
CN212771825U (zh) 一种园林路面石材铺设结构
KR100930419B1 (ko) 보도블럭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JP2007146457A (ja) 排水路構築方法
KR20020035216A (ko) 도로 저면에 지하수의 유입이 많은 연약지반의 배수로시공 공법 및 그 배수관
JP5451709B2 (ja) 自由勾配兼用有底側溝
KR101801714B1 (ko)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배수로 구조물
KR101288436B1 (ko) 조립식 지중 우수 저류조 시공방법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DK178315B8 (en) Base Rendering
CN104120777A (zh) 排水沟施工结构
KR101215873B1 (ko) 누수 및 부식 방지가 완벽한 빗물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작방법
CN204252266U (zh) 活动废水池
CN216074993U (zh) 一种双仓预制装配式水渠
CN217517772U (zh) 一种排污及景观步道一体化的桩基截流沟结构
JP6126415B2 (ja) 側溝の共同溝化工法
JP2013185361A (ja) 高架橋高速道路の排水溝形成部材及び該排水溝形成部材を使用する高架橋高速道路の施工方法
JP5317514B2 (ja) ます蓋の施工方法
KR200457950Y1 (ko) 수로블록
CN211142685U (zh) 一种方便排水的预装式水泥道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