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240B1 - 바닥배수용 트렌치 - Google Patents

바닥배수용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240B1
KR101879240B1 KR1020160113504A KR20160113504A KR101879240B1 KR 101879240 B1 KR101879240 B1 KR 101879240B1 KR 1020160113504 A KR1020160113504 A KR 1020160113504A KR 20160113504 A KR20160113504 A KR 20160113504A KR 101879240 B1 KR101879240 B1 KR 10187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oncrete layer
trench
side wal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300A (ko
Inventor
류민수
Original Assignee
류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민수 filed Critical 류민수
Priority to KR102016011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2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배수용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렌치의 골격을 몸체(10)가 형성하는데, 상기 몸체(10)는 바닥판(12)의 폭방향 양측에 측벽(1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2)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바닥콘크리트층(30)에의 고정과 지지를 위한 고정편(28)이 있다. 상기 고정편(28)이 있는 일측 단부의 바닥판(12)과 측벽(14)에는 연결단차부(22)가 있어 인접하는 트렌치의 몸체(10)의 타측 단부가 안착된다. 상기 측벽(14)의 양측 외면에는 마감콘크리트층(36)에 매몰되어 측벽(14)의 변형을 방지하는 결합편(20)이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렌치가 상대적으로 소형 경량화되면서도 배수구조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바닥배수용 트렌치{Trench for draining}
본 발명은 바닥배수용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경량으로 만들어지면서도 마감콘크리트층 내에 정확하게 설치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실 바닥과 같은 곳에는 배수를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즉,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이 위에 마감콘크리트층을 형성하면서 배수를 위한 구조도 같이 두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거푸집을 만들고 상기 마감콘크리트층을 형성하면서 배수구조를 만들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진 트렌치를 마감콘크트리층에 설치하여 배수구조를 만들게 된다.
상기 트렌치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콘크리트를 재료로 만든 것은 중량이 무거워 취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로 된 트렌치는 일정 이상의 크기가 필요하게 되어 소형 경량화하는 것이 어려워 배수구조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합성수지로 된 트렌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수지로 된 트렌치들은 휨이 발생하는 경우들이 많아서, 서로 인접하는 트렌치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트렌치가 휨에 따라 트렌치와 마감콘크리트층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역시 누수문제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휨이 발생하여 트렌치의 바닥의 편평도가 떨어지게 되면 트렌치의 일측에 물이 고여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합성수지로 된 트렌치들은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워서 바닥콘크리트층에 있는 모르타르 상에 얹어진 상태로 마감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부력에 의해 떠오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중량물을 트렌치 상에 놓고 마감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894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13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경량화되면서도 마감콘크리트층의 형성시에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휨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트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렌치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고정 설치되고 마감콘크리트층에 위치되어 배수작용을 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에서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편의 선단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이 구비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과 측벽에는 연결단차부가 바닥판과 측벽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차부에 해당되는 상기 바닥판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접착제가 위치되어 인접하는 몸체의 바닥판이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고정 설치되고 마감콘크리트층에 위치되어 배수작용을 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에서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편의 선단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이 구비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과 측벽에는 연결단차부가 바닥판과 측벽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차부에는 상기 바닥판의 표면과 연속되는 표면을 가지는 걸이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고, 상기 연결단차부가 있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걸이편이 안착되는 걸이홈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리브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측벽의 외면 일측에는 결합편이 돌출되어 상기 측벽 외면 전방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측벽에는 그레이팅단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부터 차폐하는 그레이팅의 폭방향 양단이 안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용 트렌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트렌치는 합성수지를 압착성형하여 만들어지므로, 그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편이 고정모르타르에 의해 바닥콘크리트층에 고정되고, 트렌치 끼리도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마감콘크리트층의 형성시에 트렌치가 부력에 의해 뜨지 않게 되어 특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렌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바닥판에 트렌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리브를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바닥판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트렌치의 전체 형상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물이 바닥판의 바닥면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에서는 트렌치의 몸체 폭방향 양단에 결합편을 두어서 마감콘크리트층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결합편에 의해 트렌치가 마감콘크리트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어 트렌치의 측벽과 마감콘크리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이 정확하게 트렌치의 내부를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트렌치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연결단차부를 두었다. 상기 연결단차부에 의해 트렌치의 연결부분이 일정 거리만큼 겹치게 되고 특히 상기 고정편에 의해 해당 부분이 바닥콘크리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렌치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트렌치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렌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트렌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횡단면을 보인 횡단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트렌치를 사용하여 배수구조를 구성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트렌치를 사용하여 배수구조가 구성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트렌치 끼리 결합되는 것을 보인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트렌치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몸체(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0)는 예를 들면, 유리강화 플라스틱을 압착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10)는 크게 바닥판(12)과 상기 바닥판(12) 폭방향 양단에 세워진 측벽(14)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바닥판(12)과 양측의 측벽(14)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15)이 만들어진다. 상기 내부공간(15)은 상기 몸체(10)의 상부와 길이방향 양쪽 끝단이 개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몸체(10)의 대부분의 영역에서의 횡단면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단차부(24)에 해당되는 부분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상기 바닥판(12)에는 길이방향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길이방향리브(16)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바닥판(1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2)의 저면에는 상기 길이방향리브(16)에 의해 오목하게 들어간 채널(17)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길이방향리브(16)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길이방향리브(16)의 구성은 상기 바닥판(12)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길이방향리브(16)는 상기 바닥판(1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바닥판(12)의 두께가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라면 반드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길이방향리브(16)의 횡단면 형상도 도시된 실시례의 것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리브(1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길이방향리브(16')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는 다르게 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판(1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사인곡선형태로 길이방향리브(16')가 형성된다. 특히, 길이방향리브(16')를 포함한 전체 바닥판(12)의 횡단면이 사인곡선을 이룬다. 하지만, 상기 길이방향리브(16')만이 곡선으로 되고 바닥판(12)의 나머지 부분은 평면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양측의 측벽(14)에는 그레이팅단(1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14)은 상기 그레이팅단(18)을 기준으로 단차지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단(18)에는 상기 내부공간(15)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으면서도 물이 내부공간(15)으로 들어 갈 수 있도록 된 그레이팅(도시되지 않음)의 폭방향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그레이팅단(18)을 기준으로 양측의 상기 측벽(14) 사이의 간격이 더 커지게 된다.
상기 바닥판(12)과 상기 측벽(14)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도면들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경사부(19)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경사부(19)는 상기 길이방향리브(16)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양측의 측벽(14)의 외면에는 결합편(2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20)은 아래에서 설명될 마감콘크리트층(36) 내부에 매몰되어 상기 측벽(14)과 마감콘크리트층(36)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20)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편(20)은 상기 측벽(14)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는 상기 양측의 측벽(14)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마감콘크리트층(36)에서 결합편(2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편(20)이 측벽(14)의 외면에서 약간 하방으로 돌출되었다가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되어 있으나,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연결단차부(22)가 있다. 상기 연결단차부(22)는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2)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어진다. 특히 상기 연결단차부(22)는 상기 바닥판(12)의 반대쪽 단부에서의 두께 정도 낮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인접한 다른 트렌치의 단부가 상기 연결단차부(22)에 안착되면, 이들 2개의 트렌치의 바닥판(12)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된다.
상기 연결단차부(22)에도 상기 길이방향리브(16)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 부분에서는 역시 상기 바닥판(12)의 두께만큼 낮게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단차부(22)에서 상기 길이방향리브(16)의 사이에 해당하는 표면에는 장착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4)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어지고 인접한 트렌치의 몸체(10)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단차부(22)에서 연장되어 연결편(26)이 있다. 상기 연결편(26)은 상기 연결단차부(22)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차부(22)에서 바닥, 즉 아래에서 설명될 바닥콘크리트층(30)을 향해 연장되게 상기 연결편(26)이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편(26)은 상기 길이방향리브(16)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17)의 일측 단부를 막는 역할도 한다.
상기 연결편(26)에서 연장되어 고정편(28)이 있다. 상기 고정편(28)은 상기 연결편(26)에서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편(28)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고정편(28)은 고정모르타르(34)에 의해 바닥콘크리트층(3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고정편(28)이 경화된 고정모르타르층(34) 내에 위치되어 고정되면, 상기 바닥판(12)의 저면 쪽으로 마감콘크리트층(36)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들어오더라도 트렌치가 떠오르는 현상이 없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일단부에만 상기 고정편(28)이 있지만, 상기 고정편(28)이 있는 반대쪽 단부는 상기 연결단차부(22)의 고정홈(24)에 있는 접착제에 의해 인접한 트렌치에 고정되므로, 몸체(10)가 전체적으로 콘크리트에 의해 떠오르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단차부(22)에 인접하여 고정편(28)이 있어서 하나의 트렌치가 연결단차부(22)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었을 때, 다른 하나의 트렌치는 바닥콘크리트(30)에 고정편(28)이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인접한 2개의 트렌치가 모두 바닥콘크리트(3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다른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트렌치도 몸체(1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10)는 크게 바닥판(112)과 상기 바닥판(112) 폭방향 양단에 세워진 측벽(114)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바닥판(112)과 양측의 측벽(114)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115)이 만들어진다. 상기 내부공간(115)은 상기 몸체(110)의 상부와 길이방향 양쪽 끝단이 개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12)에는 길이방향리브(116)가 형성된다. 상기 길이방향리브(116)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바닥판(11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12)의 저면에는 상기 길이방향리브(116)에 의해 오목하게 들어간 채널(117)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방향리브(16)의 횡단면 형상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양측의 측벽(114)에는 그레이팅단(11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114)은 상기 그레이팅단(118)을 기준으로 단차지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단(118)에는 상기 내부공간(115)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으면서도 물이 내부공간(115)으로 들어 갈 수 있도록 된 그레이팅(도시되지 않음)의 폭방향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그레이팅단(118)을 기준으로 양측의 상기 측벽(114) 사이의 간격이 더 커지게 된다.
상기 바닥판(112)과 상기 측벽(114)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도면들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경사부(119)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경사부(119)는 상기 길이방향리브(116)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양측의 측벽(114)의 외면에는 결합편(12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120)은 아래에서 설명될 마감콘크리트층(36) 내부에 매몰되어 상기 측벽(114)과 마감콘크리트층(36)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12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연결단차부(122)가 있다. 상기 연결단차부(122)는 상기 몸체(110)의 바닥판(112)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어진다. 특히 상기 연결단차부(122)는 상기 바닥판(112)의 반대쪽 단부에서의 두께 정도 낮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인접한 다른 트렌치의 단부가 상기 연결단차부(122)에 안착되면, 이들 2개의 트렌치의 바닥판(112)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된다.
상기 연결단차부(122)에도 상기 길이방향리브(116)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 부분에서는 역시 상기 바닥판(112)의 두께만큼 낮게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단차부(122)에는 상기 측벽(114)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걸이편(124)이 있다. 상기 걸이편(124)은 그 표면이 상기 바닥판(112)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된다. 상기 걸이편(124)의 저면은 상기 연결단차부(122)의 다른 부분의 저면보다는 높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홈(129)에 안착되었을 때, 서로 인접하는 트렌치의 바닥판(112)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일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편(124)은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그 폭방향 양단이 상기 연결단차부(122)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상기 걸이편(12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단차부(122)에서 연장되어 연결편(126)이 있다. 상기 연결편(126)은 상기 연결단차부(122)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차부(122)에서 바닥, 즉 아래에서 설명될 바닥콘크리트층(130)을 향해 연장되게 상기 연결편(126)이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편(126)은 상기 길이방향리브(116)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117)의 일측 단부를 막는 역할도 한다.
상기 연결편(126)에서 연장되어 고정편(128)이 있다. 상기 고정편(128)은 상기 연결편(126)에서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편(128)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고정편(128)은 고정모르타르(134)에 의해 바닥콘크리트층(3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10)에서 상기 연결단차부(122)가 있는 반대쪽에는 걸이홈(129)이 있다. 상기 걸이홈(129)에는 상기 걸이편(124)이 안착되어 인접한 트렌치가 걸이홈(129)과 걸이편(124)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홈(129)은 상기 걸이편(1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이홈(129)과 걸이편(124)은 같은 수로 된다.
상기 걸이편(124)이 외팔보 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걸이홈(129)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외팔보 형상으로 되고 상기 걸이편(124)은 상기 연결단차부(122)에 연결된 상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닥배수용 트렌치를 사용하여 배수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트렌치는 압착성형을 통해 만들어진다. 즉, 상몰드와 하몰드로 구성되는 몰드 내에 재료인 유리강화 플라스틱을 넣어서 150℃ 정도의 온도에서 급경화시키는 성형방식으로, 마치 붕어빵 찍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물론, 상기 트렌치를 사출성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트렌치를 활용하여 배수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한다. 배수구조가 필요한 바닥에는 먼저, 바닥콘크리트층(30)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콘크리트층(30)의 표면에는 별도로 방수층(32)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층(32)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트렌치를 설치하기 위해 배수구조가 형성되는 경로를 따라 군데군데에 고정모르타르(34)를 둔다. 상기 고정모르타르(34)는 트렌치의 몸체(10)가 설치되는 경로를 따라 필요한 곳에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트렌치의 고정편(28)이 있는 위치에 고정모르타르(34)를 둔다.
상기 고정모르타르(34)에 상기 몸체(10)의 고정편(28)을 위치시키면서,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2)이 물이 배수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경사는 상기 고정편(28)과 방수층(32)의 사이에 위치되는 고정모르타르(34)의 두께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에서 상기 고정편(28)이 있는 단부의 연결단차부(22)에는 인접하게 되는 다른 트렌치의 몸체(10)의 반대쪽 단부가 안착된다. 상기 연결단차부(22)에 인접하는 트렌치의 몸체(10)의 단부가 안착되면 서로 연결되는 트렌치의 바닥판(12)은 연속되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특히, 이 부분에서 상기 고정홈(24)에 접착제를 두고 인접하게 되는 트렌치의 몸체(10)가 접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고정모르타르(34)가 있는 곳에서 일측 트렌치의 몸체(10)는 그 고정편(28)이 상기 고정모르타르(34)에 매몰되어 고정되고, 인접하는 트렌치의 몸체(10)는 상기 고정편(28)이 있는 트렌치의 몸체(10)를 통해 실질적으로 바닥콘크리트(30)에 고정된다.
여기서, 하나의 트렌치 몸체(10)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고정편(28)을 고정모르타르(34)에 매몰시키는 작업과, 타측 단부를 이미 인접한 고정모르타르(34)에 고정된 트렌치 몸체의 연결단차부(22)에 접착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배수를 위한 전체 트렌치의 설치가 끝나게 되면 다음으로 상기 마감콘크리트층(3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마감콘크리트층(36)은 상기 바닥콘크리트층(30) 상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측벽(14) 외면에 돌출된 결합편(20)을 덮도록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측벽(14)의 상단면과 마감콘크리트층(36)의 상면이 일치하도록 마감콘크리트층(36)이 형성된다. 도 5에는 마감콘크리트층(36)까지 모두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감콘크리트층(36)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트렌치 몸체(10)가 설치되어 고정됨에 의해 배수구조가 만들어진다. 상기 마감콘크리트층(36)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트렌치들은 고정모르타르(34)에 의해 바닥콘크리트층(30)에 결합된 상태에 있으므로, 그 설치위치가 콘트리트에 의해 변경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20)이 마감콘크리트층(36)내에 매설된 상태로 마감콘크리트층(36)이 경화되면 상기 측벽(14)이 상기 마감콘크리트층(36)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양측의 측벽(14)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것도 역시 상기 결합편(20)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2)에 형성된 길이방향리브(16)는 바닥판(12)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여, 상기 바닥판(12)이 가능한한 얇게 되도록 치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는 트렌치의 몸체(110)가 상기 걸이편(124)이 걸이홈(129)에 안착됨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서로 인접한 몸체(11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고, 일측 몸체의 고정편(128)이 모르타르(34)에 고정됨에 의해 실질적으로 고정편(128)이 없는 쪽의 몸체(110)의 단부도 고정되어 마감콘크리트층(36)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걸이편(124)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부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몸체(110)의 단부가 떠오르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그레이팅단(18)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레이팅을 상기 내부공간(15)을 덮도록 설치할 수 있다면, 상기 측벽(14)에 그레이팅단(18)이 없어도 상관없다.
상기 결합편(20)도 상기 측벽(14)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치수 및/또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면, 반드시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10: 몸체 12: 바닥판
14: 측벽 15: 내부공간
16: 길이방향리브 17: 채널
18: 그레이팅단 19: 연결경사부
20: 결합편 22: 연결단차부
24: 고정홈 26: 연결편
28: 고정편 30: 바닥콘크리트층
32: 방수층 34: 고정모르타르
36: 마감콘크리트층 110: 몸체
112: 바닥판 114: 측벽
115: 내부공간 116: 길이방향리브
117: 채널 118: 그레이팅단
119: 연결경사부 120: 결합편
122: 연결단차부 124: 걸이편
126: 연결편 128: 고정편
129: 걸이홈

Claims (8)

  1.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고정 설치되고 마감콘크리트층에 위치되어 배수작용을 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에서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편의 선단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이 구비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과 측벽에는 연결단차부가 바닥판과 측벽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차부에 해당되는 상기 바닥판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접착제가 위치되어 인접하는 몸체의 바닥판이 접착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고정 설치되고 마감콘크리트층에 위치되어 배수작용을 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바닥콘크리트층 상에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에서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편의 선단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이 구비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바닥판과 측벽에는 연결단차부가 바닥판과 측벽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차부에는 상기 바닥판의 표면과 연속되는 표면을 가지는 걸이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고, 상기 연결단차부가 있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걸이편이 안착되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리브가 형성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외면 일측에는 결합편이 돌출되어 상기 측벽 외면 전방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그레이팅단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부터 차폐하는 그레이팅의 폭방향 양단이 안착되는 바닥배수용 트렌치.
KR1020160113504A 2016-09-02 2016-09-02 바닥배수용 트렌치 KR10187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04A KR101879240B1 (ko) 2016-09-02 2016-09-02 바닥배수용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04A KR101879240B1 (ko) 2016-09-02 2016-09-02 바닥배수용 트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300A KR20180026300A (ko) 2018-03-12
KR101879240B1 true KR101879240B1 (ko) 2018-07-17

Family

ID=6172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04A KR101879240B1 (ko) 2016-09-02 2016-09-02 바닥배수용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09B1 (ko) * 2019-01-17 2019-12-11 태산인더스 주식회사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632U (ko) * 1997-08-29 1999-03-15 김덕호 배수로용 홈통
JP2003221898A (ja) * 2002-01-31 2003-08-08 Takiron Co Ltd ドレン排水溝材
KR20090085830A (ko) * 2008-02-05 2009-08-10 김형성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KR101779819B1 (ko) * 2017-06-02 2017-09-19 주은메탈 주식회사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50Y1 (ko) 2001-07-05 2001-11-16 주식회사 태.종합기술단 폴리머콘크리트를 주원료로 하는 프리캐스트 트렌치 및이를 이용한 바닥배수구조
KR20100038949A (ko) 2008-10-07 2010-04-15 김진아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632U (ko) * 1997-08-29 1999-03-15 김덕호 배수로용 홈통
JP2003221898A (ja) * 2002-01-31 2003-08-08 Takiron Co Ltd ドレン排水溝材
KR20090085830A (ko) * 2008-02-05 2009-08-10 김형성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KR101779819B1 (ko) * 2017-06-02 2017-09-19 주은메탈 주식회사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09B1 (ko) * 2019-01-17 2019-12-11 태산인더스 주식회사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300A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26879A1 (en) Under mud shower pan
KR101879240B1 (ko) 바닥배수용 트렌치
EP2405062A1 (en) Showerdrain with insert
KR101599811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41433A (ko) 조립식 욕실방수판용 가변형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욕실방수판
EP2390431B1 (en) Gutter drain
KR101757898B1 (ko) 유로 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150001401A (ko) 변형 방지 조립식 수로관
JP2015169035A (ja) 分割床パンの製造方法及びこの分割床パンの防水構造
JP6078102B2 (ja) 排水用ブロックの接続構造
KR200380424Y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101486140B1 (ko) 보도 블록틀
KR20150133162A (ko) 기둥의 마감용 폼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200424769Y1 (ko) 배수 트렌치
KR101535116B1 (ko)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0509275B1 (ko) 건축용 법면보호블록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2017013121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KR101535109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제조를 위한 거푸집 조립체
RU2649704C1 (ru) Несущая структура перекрытия
KR101262856B1 (ko) 콘크리트 맨홀 성형틀
KR20180018636A (ko)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JP2011052499A (ja) 浴室ユニットの床構造及び床施工方法
JP5058656B2 (ja) カラー舗装用溝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