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819B1 -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819B1
KR101779819B1 KR1020170069014A KR20170069014A KR101779819B1 KR 101779819 B1 KR101779819 B1 KR 101779819B1 KR 1020170069014 A KR1020170069014 A KR 1020170069014A KR 20170069014 A KR20170069014 A KR 20170069014A KR 101779819 B1 KR101779819 B1 KR 10177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ench
bottom frame
suppor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주은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은메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배차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트렌치 커버의 한쪽 단부가 안착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요철을 다수 갖는 위치조절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받침프레임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위치조절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위치조절부와 대응되는 요철을 다수 갖는 지지부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결합돌부가 형성된 바닥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간의 높낮이차로 인한 틈새를 메우며, 상면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이음매판을 포함하는 트렌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SETTING HEIGHT ADJUSTING TYPE TRENCH}
본 발명은 빗물과 오수 등을 배수하기 위해 지면이나 바닥을 파서 만드는 도랑(trench)에 매립 설치되고, 아울러 배수로 덮개(트렌치 커버)를 떠받쳐 지지하는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랑의 깊이나 기울기 등 설치장소의 여건에 상관없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높은 곳과 낮은 곳의 구배차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여러 개를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출입구나 가장자리를 비롯하여 도로변이나 각종 건축물 등의 옥외 가장자리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수 및 집수하기 위해 땅바닥을 파서 배수로나 집수로와 같은 도랑(trench)을 만들고, 그 도랑 안에 금속 트렌치(트렌치 커버를 받쳐주는 받침대 및 배수로 기능을 함)를 매립 설치하며, 이를 별도의 트렌치 커버로 덮어 보행자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 또는 기타 오물이 내부로 빠지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트렌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배수로의 개구부 벽면 상단에 고정되는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하단에서 곡척형으로 연장되어 트렌치 커버(200)를 받쳐주는 수평부(120)로 구성되어 배수로의 개구부 양쪽에 한 쌍이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트렌치(100)는 대개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로 배수로를 시공할 때 배수로의 개구부 벽면 상단에 배열함으로써 양생 과정을 거쳐 배수로에 일체로 고착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배수로를 양생한 상태에서 그 개구부 벽면 상단에 볼팅 체결이나 콘크리트못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트렌치(100)는 마치 앵글이나 산형강처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설치장소의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과 지면의 기울기, 상하 굴곡 등에 유연하게 대응 설치할 수 없어 차량이 빈번하게 지나다니는 주차장의 출입구와 같이 외력의 영향이 잦은 곳에 설치 시 쉽게 변형되는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트렌치 커버(200)가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쉽게 유동 및 흔들리면서 충돌음이나 마찰소음을 일으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트렌치(100)는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특성상 설치장소에 따라 길이 및 구배를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로 여러 개를 성형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렌치의 다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743호에 「배수 트렌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6)의 하향절곡부(14)에 하향으로 돌출부(17)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17)에 고정브라켓(4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5)이 형성된 트렌치본체(10) 및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부(42)가 형성되고, 그 수평부(42)에서 상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플랜지(16)의 하향절곡부(14)에 결합되는 수직부(44)가 형성되며, 그 수직부(44)에 상하로 긴 장공(45)이 형성된 고정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트렌치본체(1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다수 개의 고정브라켓(40)에 의해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하향절곡부(14)의 체결공(15)과 고정브라켓(40)의 장공(45)을 정렬한 상태에서 나사(6)로 체결하여 설치한다. 이때, 수직부(44)와 체결공(15)의 정렬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고정브라켓(40)에 대한 트렌치본체(10)의 설치 높이와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실내의 주방바닥과 같이 지면이 대개 수평면을 이루는 설치장소에서 단지 원활한 배수를 위해 지면에 대하여 트렌치본체(10)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불과하여 높은 곳과 낮은 곳의 구배차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연결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497호에 「계단식 구배를 갖는 조립형 트렌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 덮개(100)의 지지날개(1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안치연결구(210a)와, 상기 한 쌍의 안치연결구(210a)를 연결하는 단측 연결구(221a) 및 장측 연결구(222a)가 형성되되, 상기 단측 연결구(221a)와 상기 장측 연결구(222a) 사이에 턱(223a)이 형성되어 계단을 이루는 단차연결구(220a)를 갖는 단차연결부(200a)와, 상기 단측 연결구(221a) 및 상기 안치연결구(21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일측 유로부(300a)와, 상기 장측 연결구(222a) 및 상기 안치연결구(21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타측 유로부(400a)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양쪽이 미리 정해진 높이차를 갖는 단차연결부(200a)를 이용하여 일측 유로부(300a)와 타측 유로부(400a)를 소켓이음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여서 일측 유로부(300a)와 타측 유로부(400a) 간의 구배차가 일률적이고 획일적일 수밖에 없는 데다 설치장소의 지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이나 도랑의 깊이 및 기울기나 상하 굴곡 등에 상당한 간섭 및 영향을 받아 안정적인 설치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101680583 B1(2016.11.23) KR100937497 B1(2010.01.11) KR1020120134743 A(2012.12.12.) KR101272679 B1(2013.06.03.) KR101552602 B1(2015.09.07.) KR2019960005433 Y1(1996.06.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트렌치 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도랑의 깊이나 기울기 등 설치장소의 여건에 상관없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여러 개의 높낮이차(구배)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계단식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트렌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구배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트렌치 커버의 한쪽 단부가 안착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요철을 다수 갖는 위치조절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받침프레임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위치조절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위치조절부의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을 다수 갖는 지지부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에 좌우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결합돌부가 형성된 바닥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높이 차를 두고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간의 높이 차로 인한 틈새를 메우며, 상면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이음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랑의 깊이나 기울기 등 설치장소의 여건에 상관없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단위별로 구배차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여러 개를 계단식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을 연결 및 지면에 고정하도록 하부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의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을 다수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앵커 볼트 체결을 위한 클리어런스 홀을 갖는 윙 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으로, 상기 받침프레임과 상기 브래킷 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받침프레임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의 형상이 T형인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지지돌부와 대향면에 상기 지지돌부와 대응되는 지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윙 플레이트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받침프레임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끼움홈과 대향면에 상기 끼움홈과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됨으로써 한층 더 안정적으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으로, 상기 브래킷에 나사 체결을 위한 슬리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받침프레임들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결합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양쪽면을 이루는 전후면판이 상기 브래킷의 슬리브에 나사 체결로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끝 부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받침프레임의 위치조절부와 바닥프레임의 지지부가 요철식 맞물림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여러 개를 이어서 연결하는 바닥프레임에 대한 받침프레임의 결합 위치를 작업자가 임의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도랑의 깊이나 기울기 등 설치장소의 여건에 상관없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단위별 구배차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 및 지면의 상하 굴곡 등에 적절히 맞추어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랑의 깊이나 기울기 등 설치에 따른 제약 조건이 없는 범용성을 높임은 물론 설치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 시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 및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렌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렌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렌치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렌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렌치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렌치의 구성요소 중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렌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렌치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는, 크게 받침프레임(10), 바닥프레임(20), 이음매판(30) 및 브래킷(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프레임(10)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부 내측에는 트렌치 커버의 한쪽 끝 부분이 안착되는 받침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일정한 높이로 위치조절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조절부(12)의 안쪽 측면에는 단면의 형상이 T형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요철(12a)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프레임(10)의 바깥쪽 면 가운데 부분에는 브래킷(4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의 형상이 T형으로 이루어진 지지돌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바깥쪽 면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프레임(1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 및 배치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프레임(20)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폭 방향 양측에는 일정한 높이로 지지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단면의 형상이 T형으로 이루어진 결합돌부(22)가 좌우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바닥프레임(20)은 받침프레임(10)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마치 홈형강(channel steel)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21)들에는 받침프레임(10)들의 위치조절부(12)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그 위치조절부의 요철(12a)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21a)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음매판(30)은 하나의 바닥프레임(20)과 이에 높이 차를 두고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20-1) 사이에 끼워져 그 바닥프레임(20)과 다른 바닥프레임(20-1) 간의 높이 차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를 메우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바닥프레임의 결합돌부(22)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부(3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이음매판(30)은 하나의 바닥프레임(20)과 이에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20-1)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그 결합홈부(31)가 바닥프레임의 결합돌부(22)와 서로 맞물리듯이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쉽게 빠지거나 움직이지 않고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음매판(30)은 압력이 가해지면 부드럽고 유연하게 변형되어 기밀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탄성에 의해 바닥프레임(2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및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음매판(30)은 하나의 바닥프레임(20)과 이에 높이 차를 두고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20-1)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부의 요철(12a)과 지지부의 요철(21a)이 이루는 하나(한 칸)의 간격보다 약간 더 높고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40)은 하나의 바닥프레임(20)과 이에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20-1)을 연결 및 지면(도랑)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부의 요철(21a)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41a)을 다수 갖는 연결부(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지면(도랑)에 미리 박은 앵커 볼트가 관통하여 별도의 너트와 체결할 수 있도록 클리어런스 홀(43)을 갖는 윙 플레이트(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40)의 지지돌부(13)와 대향면에는 받침프레임(1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그 지지돌부(13)와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홈부(44)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또 끼움홈(14)과 대향면에는 윙 플레이트(42)의 안정적인 지지 및 지탱을 위해 그 끼움홈(14)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돌기(45)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40)에는 나사못이나 볼트로 나사 체결을 위한 슬리브(46)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최외곽(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브래킷(40)의 슬리브(46)에는 받침프레임(10)들과 바닥프레임(20)의 결합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를 막아 양쪽면을 이루는 전후면판(50)이 나사 체결로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프레임(10)과 바닥프레임(20) 및 브래킷(40)은 각각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 보강 및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 다수 개의 리브(rib)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12)의 요철(12a)과 지지부의 요철(21a)은 그 단면의 형상이 T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 및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T형을 비롯하여 Y형이나 †형, ↑형 등과 같이 상호 미끄럼 방식으로 삽입 및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그 미끄러져 끼워지는 축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암수가 번갈아 반복되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는, 여러 개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 및 이어서 설치하는데, 이 과정에서 고랑의 기울기나 상하 굴곡, 깊이 등에 따라 바닥프레임(20)에 대한 받침프레임(10)의 결합 위치를 작업자가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계단식으로 구배를 주어 설치할 수 있다.
즉, 바닥프레임(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부(21)의 요철(21a)과 받침프레임의 위치조절부(12)에 형성된 요철(12a) 간의 결합 위치를 고랑의 깊이나 기울기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끼워맞춤 방식으로 견고하게 맞물림 결합함으로써 고랑의 깊이나 기울기 및 상하 굴곡에 대응 또는 원하는 구배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최하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바닥프레임(20)에 대한 하나의 받침프레임(10)의 결합 위치를 최대한 높게 설정하고, 이에 연속적으로 이음되는 상부의 다른 바닥프레임(20-1)(20-2)에 대한 다른 받침프레임(10-1)(10-2)의 결합 위치를 단계적으로 그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의 고저 차이를 두고 여러 개를 계단식 단일구조로 간단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바닥프레임(20)에 대한 다른 바닥프레임(20-1)의 높이 차이가 지지부(21)의 요철(21a) 2단계 간격일 경우 이음매판(30)을 2단으로 적층하여 끼움으로써 그 바닥프레임(20)과 다른 바닥프레임(20-1) 간의 높이 차로 인한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브래킷(40)의 연결부(41) 안쪽 면에 형성된 요철(41a) 일부와 바닥프레임(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부(21)의 요철(21a) 일부끼리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고, 이와 함께 지지홈부(44)와 끼움돌기(45)를 받침프레임의 지지돌부(13)와 끼움홈(14)에 끼워 넣음으로써 하나의 바닥프레임(20)과 이에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20-1)을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이음매판(30)과 브래킷(40)이 여러 개의 이음 부분에 발생하는 틈새를 최소화하고 외력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 상태를 한층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닥프레임(20)과, 이에 이음되는 다른 바닥프레임(20-1)에 대하여 하나의 받침프레임(10)만으로도 그 하나의 바닥프레임(20)과 다른 바닥프레임(20-1) 간에 높낮이를 달리하여 여러 개를 계단식 단일구조로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바닥프레임(20)(20-1)이 높낮이의 차이를 두고, 한 개의 받침프레임(10)에 의해 서로 엇갈리는 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받침프레임 11: 받침부
12: 위치조절부 12a: 요철
13: 지지돌부 14: 끼움홈
20: 바닥프레임 21: 지지부
21a: 요철 22: 결합돌부
30: 이음매판 31: 결합홈부
40: 브래킷 41: 연결부
41a: 요철 42: 윙 플레이트
43: 클리어런스 홀 44: 지지홈부
45: 끼움돌기 46: 슬리브

Claims (4)

  1.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트렌치 커버의 한쪽 단부가 안착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요철을 다수 갖는 위치조절부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받침프레임;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위치조절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위치조절부의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을 다수 갖는 지지부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에 좌우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의 형상이 T형인 결합돌부가 다수 형성된 바닥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높이 차를 두고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 간의 높이 차로 인한 틈새를 메우며, 상면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부가 형성된 이음매판;
    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과 이에 이음 설치되는 다른 바닥프레임을 연결 및 지면에 고정하도록 하부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의 요철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을 다수 갖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앵커 볼트 체결을 위한 클리어런스 홀을 갖는 윙 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
    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과 상기 브래킷 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받침프레임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의 형상이 T형인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지지돌부와 대향면에 상기 지지돌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윙 플레이트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받침프레임의 외측면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끼움홈과 대향면에 상기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 나사 체결을 위한 슬리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받침프레임들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결합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양쪽면을 이루는 전후면판이 상기 브래킷의 슬리브에 나사 체결로 고정된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KR1020170069014A 2017-06-02 2017-06-02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KR10177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14A KR101779819B1 (ko) 2017-06-02 2017-06-02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14A KR101779819B1 (ko) 2017-06-02 2017-06-02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819B1 true KR101779819B1 (ko) 2017-09-19

Family

ID=6003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014A KR101779819B1 (ko) 2017-06-02 2017-06-02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8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40B1 (ko) * 2016-09-02 2018-07-17 류민수 바닥배수용 트렌치
CN108719127A (zh) * 2018-07-20 2018-11-02 遵化市龙凤畜牧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化养鸡设备的笼底托梁结构及组装方法
KR102078815B1 (ko) * 2019-05-24 2020-04-07 주식회사 그린에코텍 경사조절 가능한 배수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97B1 (ko) 2009-07-24 2010-01-19 지산개발산업(주) 계단식 구배를 갖는 조립형 트렌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97B1 (ko) 2009-07-24 2010-01-19 지산개발산업(주) 계단식 구배를 갖는 조립형 트렌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40B1 (ko) * 2016-09-02 2018-07-17 류민수 바닥배수용 트렌치
CN108719127A (zh) * 2018-07-20 2018-11-02 遵化市龙凤畜牧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化养鸡设备的笼底托梁结构及组装方法
CN108719127B (zh) * 2018-07-20 2023-09-22 唐山市龙凤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养鸡设备的笼底托梁结构及组装方法
KR102078815B1 (ko) * 2019-05-24 2020-04-07 주식회사 그린에코텍 경사조절 가능한 배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819B1 (ko)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US8944414B2 (en) Component rail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790553B1 (ko) 가로 기둥 오목 기초
KR200489711Y1 (ko) 조립식 트렌치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0753011B1 (ko) 높이 및 경사조절이 용이한 도로안전 경계석 받침대
JP5639165B2 (ja) 床形状構造
KR101491450B1 (ko)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KR200900881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20110063019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839087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물탱크용 기초패드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방법
KR200480256Y1 (ko) 난간동자용베이스
KR101796463B1 (ko) 구조물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180000415U (ko)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KR101580954B1 (ko)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KR101916370B1 (ko) 설치각 조절형 트렌치 커버 받침대
KR200178217Y1 (ko) 실내용 칸막이의 높낮이 및 수평조절 장치
KR20090028398A (ko) 서포트의 멍에 지지방법 및 지지시스템
CN209975949U (zh) 一种框架式装修结构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100609471B1 (ko)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JP4317769B2 (ja) 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の基礎構造
KR101622947B1 (ko) 구조물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2246719B1 (ko) 난간 연결구조
KR200495064Y1 (ko) 창문형 에어컨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