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553B1 - 가로 기둥 오목 기초 - Google Patents

가로 기둥 오목 기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553B1
KR100790553B1 KR1020070074177A KR20070074177A KR100790553B1 KR 100790553 B1 KR100790553 B1 KR 100790553B1 KR 1020070074177 A KR1020070074177 A KR 1020070074177A KR 20070074177 A KR20070074177 A KR 20070074177A KR 100790553 B1 KR100790553 B1 KR 100790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horizontal
concrete foundation
groove
horizontal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범
이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암전설
이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2163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9055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암전설, 이영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암전설
Priority to KR102007007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街路)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삼각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상부 중앙에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에 삽입되는 고정용 체결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을 덮는 가로 기둥 기초 덮개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매입되어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고정하는 이탈방지용 체결수단 및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외부를 연통하고, 내측으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관을 구비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가 제공된다.
개시된 가로 기둥 오목 기초에 의하면, 기존의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앵커볼트를 매입할 수 있어서, 가로 기둥의 부식과 가로 기둥 기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가로 기둥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 기둥 오목 기초와 더불어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사용함으로써 가로 기둥 기초 및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삼각지지대를 덮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덮개의 다양한 연출로 도시 미관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로 기둥, 콘크리트 기초, 체결수단

Description

가로 기둥 오목 기초 {Street Post Foundation}
본 발명은 가로 기둥 오목 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삼각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상부 중앙에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에 관한 것으로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 위로 돌출된 삼각지지대 및 앵커볼트를 보이지 않도록 하여 도시 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가로 기둥 기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가로등 기초(20)는 지면보다 튀어나오거나, 가로 기둥 기초의 상부면이 지면과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12) 또는 삼각지지대(14)가 돌출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13)가 지면에서 돌출하여 도시의 미관을 훼손하고, 부식에도 취약하며, 가로 기둥 기초 상부의 파손도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가로 기둥의 수직,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기초 자체를 굴삭기 등으로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했고, 굴삭기로 치우쳐진 부분에 힘을 가하여 수평을 맞추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가로 기둥 기초 자체에 수평 을 맞추거나, 가로 기둥 자체에 수직,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크레인 등으로 가로 기둥을 치우쳐진 반대쪽으로 기울여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 밑에 와셔 등을 고여 수직, 수평을 맞추는 등의 불편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의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 삼각지지대와 앵커볼트를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를 제안함으로써, 도로나 보도 위에 설치된 가로 기둥 앵커볼트의 부식방지와 가로 기둥 콘크리트 기초의 콘크리트 파손방지 및 도시 미관 향상에 도움을 주고,
또한, 가로 기둥의 수평을 수평조절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로 기둥 오목 기초는 가로(街路)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삼각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상부 중앙에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에 삽입되는 고정용 체결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을 덮는 가로 기둥 기초 덮개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매입되어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고정하는 이탈방지용 체결수단 및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외부를 연통하고, 내측으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관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외부를 연통하는 배수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치로폴, 고무, 플라스틱 및 우레탄 폼 중의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 고, 상기 가로 기둥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에 채워지는 충진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공기 순환을 위하여 상면에 공기순환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체결수단은 앵커볼트이고,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에서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된 것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앵커볼트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 결합되는 동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로 기둥와 상기 동판을 연결하는 접지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는, 가로 기둥 기초의 상면을 덮는 하부덮개와 미관을 위해 상기 하부덮개 위에 설치되는 상부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는, 내부에 LED 램프가 내장되고, 고강도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덮개는, 서로 대향하고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와,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를 결합시키는 하부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서로 대향하고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를 결합시키는 상부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는,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되고 대향부위에 상기 가로 기둥이 관통되도록 하부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이탈방지용 체결수단은 소켓이고,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는, 상기 소켓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탈방지용 핀 또는 볼트를 밑면에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이탈방지용 핀 또는 볼트는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와셔 또는 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는, 가장자리와 대향부위가 상향 절곡되고 상기 대향부위에 상기 가로 기둥이 관통되도록 상부 관통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는, 상향 절곡된 가장자리의 하부에 배수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덮개는, 내부에 보도블럭, 타이어 분, 투스콘, 아스콘, 화강석 및 콘크리트 중의 어느 하나로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가로 기둥 오목 기초에 의하면,
첫째, 기존의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삼각지지대를 매입할 수 있어서, 도로나 보도 위에 설치된 가로 기둥의 부식과 가로 기둥 콘크리트 기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가로 기둥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둘째, 가로 기둥 오목 기초와 더불어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사용함으로써 가로 기둥 기초 및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삼각지지대를 덮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덮개의 다양한 연출로 도시 미관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가로 기둥의 수직, 수평을 수평조절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 기둥 오목 기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로 기둥 오목 기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가로(街路) 기둥이란 가로나 도로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철주 또는 스테인레스 기둥 등을 의미한다. 즉, 가로등주, 보안등주, 정원등주 등 도시의 가로에 설치되는 각종 기둥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로 기둥 오목 기초(100)는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삼각지지대(14)가 삽입되도록 상부 중앙에 홈(120)이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110)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120)의 바닥에 삽입되는 고정용 체결수단(130)에 의해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12)가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용 체결수단(130)이 볼트인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너트 홈이 있을 수 있고, 고정용 체결수단(130)이 장너트인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볼트가 하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는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12), 삼각지지대(14) 및 고정용 체결수단(130)을 덮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110)의 상면을 덮기 위해서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를 고정하기 위해 이탈방지용 체결수단(140)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110)의 상부에 매입된다. 이탈방지용 체결수단(140)은 소켓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와 유사한 체결수단에 의해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 기둥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선관(150)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120)의 바닥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110)의 외부를 연통하여 구비되고, 전선관(150)의 내측으로 전선이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120)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관(160)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120)의 바닥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110)의 외부를 연통하는 것이 좋고, 이 경우 배수관(160)은 콘크리트 기초(110)의 측면으로도, 하부로도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가 설치된 후, 콘크리트 기초의 홈(120)의 공간을 채우기 위해, 스치로폴, 고무,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 폼 등으로 만들어지고, 가로 기둥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홈(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홈(120)에는 충진재(170)가 채워질 수 있다.
게다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체결수단(130)이 앵커볼트인 경우,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에서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앵커볼트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 결합되는 동판(18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판(180)은 접지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로 기둥과 상기 동판을 연결하는 접지선(19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도 2의 가로 기둥 오목 기초에 설치한 실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 기둥의 수평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는, 가로 기둥 기초의 상면을 덮는 하부덮개와 미관을 위해 상기 하부덮개 위에 설치되는 상부덮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하부덮개의 형상은 가로 기둥 기초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덮개는 가로 기둥 기초의 형상과는 무관하게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는 내부에 LED 램프(241)가 내장되고, 고강도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투명상부덮개(240)일 수 있고, LED 램프의 발광에 의해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사람들의 보행에도 안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덮개는 서로 대향하고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210)를 결합시키는 하부결합부재(21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서로 대향하고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220)와,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220)를 결합시키는 상부결합부재(2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하부덮개부재(210)와 상부덮개부재(220)에는 하부결합부재(213)와 상부결합부재(223)의 결합이 가능한 돌기나 홈(212, 222)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210)는,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되고 대향부위에 가로 기둥이 관통되도록 하부 관통홈(211)이 형성되어, 가로 기둥의 설치 전 후에 상관없이 분리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앞선 도 3에 도시된 이탈방지용 체결수단(140)이 소켓이면,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210)는, 상기 소켓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탈방지용 핀 또는 볼트(214)를 밑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덮개부재(210)가 이탈방지용 핀 또는 볼트(214)를 구비한 경우,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와셔 또는 너트(2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조절수단(13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로 기둥(10)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 등에 가로 기둥(10)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너트, 와셔 등의 수평조절수단(132) 위에 임시로 합판이나 철판으로 지그를 만들어 수평계로 수평을 맞춘 다음, 가로 기둥을 설치한다.
따라서, 기초의 상면이 정확한 수평이 아닐지라도 수평조절수단(132)에 의해 가로 기둥(10)의 수직, 수평이 손쉽게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220)는, 가장자리와 대향부위가 상향 절곡되고 대향부위가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대향부재(224)에 가로 기둥이 관통되도록 상부 관통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덮개와 상부덮개를 이용하여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시공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대향부재(224)는 신축성 있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져서 가로 기 둥(10)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220)는, 상향 절곡된 가장자리의 하부에 배수홈(225)이 형성되어 상부덮개부재(220) 내부에 스며든 물기 등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가로 기둥 오목 기초에 설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실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의 상면이 보도의 지면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덮개는 내부에 보도의 마감재와 같은 재료인 보도블럭, 타이어 분, 투스콘, 아스콘, 화강석 및 콘크리트 등 중의 어느 하나의 마감수단(300)으로 충진될 수도 있다. 즉, 외부의 도로의 포장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맞추어 도시의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과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 의한 가로 기둥 기초 덮개는, 가로 기둥 기초 덮개가 지면 아래로 매입되는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120)의 공기 순환을 위하여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상면에 공기순환관(216)을 더 구비한다.
이 때, 기존 베이스 커버(500)를 장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관(216)은 기존 베이스 커버(5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우천시 공기순환 관(216)을 통하여 빗물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수시를 대비하여 공기순환관(216)의 높이는 마감재인 보도블럭(400)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순환관(216)은 기존 베이스 커버(500) 설치후 기존 베이스 커버(500)의 연결조인트 사이로 침투된 물이나, 배수관을 통하여 지중으로 흡수되고 남은 기초 내부의 잔여 수분을 공기 순환을 통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술한 수평조절수단(132)에 의해 기초의 상면이 정확한 수평이 아닐지라도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 또는 가로 기둥(11)의 수직, 수평이 이미 맞추어졌으므로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가 설치된 후, 보도블럭(400)을 깔기 위해 모래 부설을 할 경우 가로 기둥 기초 덮개(200) 위에도 마찬가지로 모래를 부설한 다음 보도블럭(400)을 설치하면, 가로 기둥 기초 자체가 깊이 혹은 얕게 묻힌 것과 무관하게 모래로 수평을 맞추면 되기 때문에 기초의 높낮이를 힘들게 맞추지 않아도 되는 설치상의 장점이 생기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기존의 가로등 기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 기둥 오목 기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로 기둥 오목 기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도 2의 가로 기둥 오목 기초에 설치한 실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 기둥의 수평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실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로 기둥 11...가로 기둥 몸체
12... 베이스 플레이트 13...앵커볼트
14...삼각지지대 20...가로 기둥 기초
100...가로 기둥 오목 기초 110...콘크리트 기초
120...홈 130...고정용 체결수단
131...고정용 너트 132...수평조절수단
140...이탈방지용 체결수단 150...전선관
160...배수관 170...충진재
180...동판 190...접지선
200...가로 기둥 기초 덮개 210...하부덮개부재
211...하부 관통홈 212, 222...돌기 또는 홈
213...하부결합부재 214...이탈방지용 핀 또는 볼트
215...와셔 또는 너트 216...공기순환관
220...상부덮개부재 221...상부 관통부
223...상부결합부재 224...대향부재
225...배수홈 240...투명상부덮개
241...LED 램프 300...마감수단
400...보도블럭 500...기존 베이스 커버

Claims (17)

  1. 가로(街路)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삼각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상부 중앙에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가로 기둥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에 삽입되는 고정용 체결수단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을 덮는 가로 기둥 기초 덮개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매입되어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를 고정하는 이탈방지용 체결수단; 및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외부를 연통하고, 내측으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관을 구비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외부를 연통하는 배수관을 더 구비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3. 제 1항에 있어서,
    스치로폴, 고무, 플라스틱 및 우레탄 폼 중의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고, 상기 가로 기둥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에 채워지는 충진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공기 순환을 위하여 상면에 공기순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체결수단은 앵커볼트이고,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 홈의 바닥에서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 결합되는 동판을 더 구비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기둥와 상기 동판을 연결하는 접지선을 더 구비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는,
    가로 기둥 기초의 상면을 덮는 하부덮개와
    미관을 위해 상기 하부덮개 위에 설치되는 상부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내부에 LED 램프가 내장되고, 고강도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서로 대향하고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와,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를 결합시키는 하부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서로 대향하고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를 결합시키는 상부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는,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되고 대향부위에 상기 가로 기둥이 관통되도록 하부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체결수단은 소켓이고,
    상기 한 쌍의 하부덮개부재는, 상기 소켓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탈방지용 핀 또는 볼트를 밑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핀 또는 볼트는 상기 가로 기둥 기초 덮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와셔 또는 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는, 가장자리와 대향부위가 상향 절곡되고 상기 대향부위에 상기 가로 기둥이 관통되도록 상부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덮개부재는, 상향 절곡된 가장자리의 하부에 배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내부에 보도블럭, 타이어 분, 투스콘, 아스콘, 화강석 및 콘크리트 중의 어느 하나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
KR1020070074177A 2007-07-24 2007-07-24 가로 기둥 오목 기초 KR100790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77A KR100790553B1 (ko) 2007-07-24 2007-07-24 가로 기둥 오목 기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77A KR100790553B1 (ko) 2007-07-24 2007-07-24 가로 기둥 오목 기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553B1 true KR100790553B1 (ko) 2008-01-03

Family

ID=3921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77A KR100790553B1 (ko) 2007-07-24 2007-07-24 가로 기둥 오목 기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553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99B1 (ko) 2008-01-25 2008-08-07 (주)디엔테크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KR100877328B1 (ko) * 2008-02-01 2009-01-07 (주)성현하이텍 가로등 설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매립박스
KR100917022B1 (ko) * 2009-02-04 2009-09-1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가로 기둥용 보호 장치
KR100917983B1 (ko) * 2008-12-05 2009-09-18 (주)이알코리아개발 가로 시설물의 매립형 지지장치
KR100920127B1 (ko) 2009-04-29 2009-10-07 주식회사 경풍 강성을 보강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920128B1 (ko) 2009-04-29 2009-10-07 주식회사 경풍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0935790B1 (ko) 2009-06-02 2010-01-06 광주광역시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KR100939968B1 (ko) * 2009-04-20 2010-02-04 미경산업주식회사 표지판 및 가로시설물의 매립식지주 덮개
CN105442627A (zh) * 2016-01-19 2016-03-30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板索基础
KR20160142610A (ko) 2015-06-03 2016-12-13 (주)홍인 보강기능을 가진 속주를 포함한 기둥
KR20160142608A (ko) 2015-06-03 2016-12-13 (주)홍인 데크로드 마감부재
KR20160142609A (ko) 2015-06-03 2016-12-13 (주)홍인 보드판마감재를 포함한 휀스기둥
CN107354998A (zh) * 2017-07-19 2017-11-17 姚攀峰 一种无基础节点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556U (ko) 1986-07-18 1988-02-06
JPH0365740U (ko) * 1989-10-26 1991-06-26
KR200207579Y1 (ko) 1998-03-16 2001-01-15 송용철 플랜지를 갖는 가로등주의 수직조정용 고무 밑판
KR200259641Y1 (ko) 2001-09-01 2002-01-05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교통시설물의 지주 설치구조
KR200337550Y1 (ko) 2003-03-10 2004-01-03 최종채 베이스 일체형 가로등 커버
KR20050015899A (ko) * 2003-08-14 2005-02-21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등 기초
KR200411758Y1 (ko) 2006-01-04 2006-03-16 한문수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KR200413200Y1 (ko) 2006-01-20 2006-04-04 진재필 가로등의 베이스 커버
KR200421903Y1 (ko) 2006-05-09 2006-07-19 이종국 작업성이 향상된 가로등용 지지블록
KR200421902Y1 (ko) 2006-05-09 2006-07-19 최유석 가로등 접지홀 기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556U (ko) 1986-07-18 1988-02-06
JPH0365740U (ko) * 1989-10-26 1991-06-26
KR200207579Y1 (ko) 1998-03-16 2001-01-15 송용철 플랜지를 갖는 가로등주의 수직조정용 고무 밑판
KR200259641Y1 (ko) 2001-09-01 2002-01-05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교통시설물의 지주 설치구조
KR200337550Y1 (ko) 2003-03-10 2004-01-03 최종채 베이스 일체형 가로등 커버
KR20050015899A (ko) * 2003-08-14 2005-02-21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등 기초
KR200411758Y1 (ko) 2006-01-04 2006-03-16 한문수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KR200413200Y1 (ko) 2006-01-20 2006-04-04 진재필 가로등의 베이스 커버
KR200421903Y1 (ko) 2006-05-09 2006-07-19 이종국 작업성이 향상된 가로등용 지지블록
KR200421902Y1 (ko) 2006-05-09 2006-07-19 최유석 가로등 접지홀 기초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99B1 (ko) 2008-01-25 2008-08-07 (주)디엔테크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KR100877328B1 (ko) * 2008-02-01 2009-01-07 (주)성현하이텍 가로등 설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매립박스
KR100917983B1 (ko) * 2008-12-05 2009-09-18 (주)이알코리아개발 가로 시설물의 매립형 지지장치
KR100917022B1 (ko) * 2009-02-04 2009-09-1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가로 기둥용 보호 장치
KR100939968B1 (ko) * 2009-04-20 2010-02-04 미경산업주식회사 표지판 및 가로시설물의 매립식지주 덮개
KR100920127B1 (ko) 2009-04-29 2009-10-07 주식회사 경풍 강성을 보강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920128B1 (ko) 2009-04-29 2009-10-07 주식회사 경풍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0935790B1 (ko) 2009-06-02 2010-01-06 광주광역시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KR20160142610A (ko) 2015-06-03 2016-12-13 (주)홍인 보강기능을 가진 속주를 포함한 기둥
KR20160142608A (ko) 2015-06-03 2016-12-13 (주)홍인 데크로드 마감부재
KR20160142609A (ko) 2015-06-03 2016-12-13 (주)홍인 보드판마감재를 포함한 휀스기둥
CN105442627A (zh) * 2016-01-19 2016-03-30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板索基础
CN107354998A (zh) * 2017-07-19 2017-11-17 姚攀峰 一种无基础节点及其施工方法
CN107354998B (zh) * 2017-07-19 2023-04-11 姚攀峰 一种无基础节点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553B1 (ko) 가로 기둥 오목 기초
KR101077238B1 (ko)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1902Y1 (ko) 가로등 접지홀 기초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KR100935790B1 (ko)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KR100906137B1 (ko)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및 기초와 이에 장착되는 가로등주
KR200466352Y1 (ko) 도로시설물 지주용 기초대
KR100934934B1 (ko)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KR101779819B1 (ko)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KR101377720B1 (ko) 가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20080038555A (ko) 볼트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CN103335242B (zh) 一种无边框地埋灯及其安装方法
KR20100000441U (ko) 지중 매입형 가로용 기둥
KR20200061555A (ko) 등주 지지용 앙카블록
KR100374000B1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100908220B1 (ko) 가로등주 고정 장치
KR101439789B1 (ko) 기둥 설치장치
KR101205544B1 (ko) 지주용 캡
KR101311259B1 (ko) 기초환경블록을 이용한 지주의 설치장치
KR100978760B1 (ko) 조립식 배전용 전주의 구조물
KR20090105887A (ko) 기둥 시공 방법
KR100982719B1 (ko) 도로용 조명 구조물
KR200437253Y1 (ko) 지주설치구조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