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608A - 데크로드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608A
KR20160142608A KR1020150078558A KR20150078558A KR20160142608A KR 20160142608 A KR20160142608 A KR 20160142608A KR 1020150078558 A KR1020150078558 A KR 1020150078558A KR 20150078558 A KR20150078558 A KR 20150078558A KR 20160142608 A KR20160142608 A KR 2016014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eck
buffer
cushio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069B1 (ko
Inventor
홍채희
Original Assignee
(주)홍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인 filed Critical (주)홍인
Priority to KR102015007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06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로드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로드의 측면보나 기둥 등의 홈 내에 삽입되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며 이러한 마감부재와 홈 내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완충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데크로드 바닥 및 데크로드 난간을 양측 측면보에 의해 결합되어 다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데크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측면보 또는 기둥의 종방향 완충홈에 삽입되는 장방향 완충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측면보 또는 기둥의 완충홈 내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동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 마감부재{FINISHING MEMBER FOR DECK ROAD}
본 발명은 데크로드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로드의 측면보나 기둥 등의 홈 내에 삽입되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며 이러한 마감부재와 홈 내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완충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산책로로써 강가나 등산로 등에 시설된다. 이러한 데크로드는 나무판재로 바닥을 이루어 사용자가 걷더라도 피로감을 덜 주면서 주위 자연경관과 잘 어울려 여유로움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데크로드는 나무 바닥과 사용자 안전을 위한 난간을 구비하며, 특히 보나 기둥을 구비하여 견고한 데크로드로 시설하게 된다.
반면 보나 기둥 등은 견고함을 위하여 견고한 H빔이 다수 사용된다. 반면 H빔 등은 견고하게 데크로드를 지탱하게 되지만 외관상 주위 자연경관과는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혹여 사용자가 움직이다 H빔 등의 금속부재에 부딪히게 되면 몸을 다칠 수도 있어 안전이 우려되기도 한다. 이러한 보나 기둥에 대한 안전 시설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0790553호(2008년 01월 03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469629호(2014년 12월 05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498268호(2015년 03월 05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크로드의 측면보나 기둥 등의 H빔 등에 나무재질이면서 외부가 둥근 완충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부딪혀도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무재질로 되어 주위 경관과 잘 어울리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부재의 내부로 스프링이나 발포의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부딪혀도 완충작용으로 안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부재 측면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측면보나 기둥의 홈에도 돌출부를 형성하여, 완충부재의 결합은 손쉽게 되면서도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 간격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양측 돌출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나무 재질의 완충부재 내부면을 커버부재에 의해 감싸도록 하여 나무재질의 완충부재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하게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크로드 바닥 및 데크로드 난간을 양측 측면보에 의해 결합되어 다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데크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측면보 또는 기둥의 종방향 완충홈에 삽입되는 장방향 완충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측면보 또는 기둥의 완충홈 내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동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측면보 또는 기둥의 완충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측면보 또는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외부면에 위치되어 둥근 형상을 이루는 외면마감면; 및 상기 완충홈에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이 완충홈 내에 삽입되며, 완충홈 내에 위치되어 완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발포탄성체, 코일스프링, 및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완충홈에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삽입부를 감싸는 내부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홈삽입부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커버; 상기 홈삽입부 내향면을 감싸는 내면커버; 및 상기 측면커버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커버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홈 측면에서 내향으로 돌출된 몸체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몸체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이탈방지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데크로드의 측면보나 기둥 등의 H빔 등에 나무재질이면서 외부가 둥근 완충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부딪혀도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무재질로 되어 주위 경관과 잘 어울리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완충부재의 내부로 스프링이나 발포의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부딪혀도 완충작용으로 안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완충부재 측면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측면보나 기둥의 홈에도 돌출부를 형성하여, 완충부재의 결합은 손쉽게 되면서도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 간격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양측 돌출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나무 재질의 완충부재 내부면을 커버부재에 의해 감싸도록 하여 나무재질의 완충부재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대한 측방향 설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대한 종방향 설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측면보에 완충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기둥에 완충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측면보에 완충부재의 탄성부재로써 발포탄성체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기둥에 완충부재의 탄성부재로써 발포탄성체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완충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대한 실시예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완충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대한 실시예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0 등에서와 같이, 산책을 하는 등 데크로드 바닥(11) 및 양측의 데크로드 난간(12) 등이 시설되어 보행할 수 있는 시설인 데크로드(1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데크로드(10)는 양측 바닥(11) 및 난간(12) 등이 지면에 설치된 기둥(14)에 의해 지지되면서, 데크로드(10)를 따라 양측으로 기둥기초(141)에 고정된 기둥(14)들을 이어주면서, 바닥(11)이나 난간(12) 등이 고정되는 측면보(13)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둥(14)이나 측면보(13) 등은 H빔 등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강성을 이루어 전체 데크로드(10)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데크로드(10)는 주로 산책로나, 강가, 등산로 등에 시설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행하도록 하면서도, 주로 나무재질이나 친근한 디자인으로 시설하여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여유로움을 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반면 이러한 데크로드(10)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측면보(13)나 기둥(14)은 H빔으로 시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H빔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될 경우 주위 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우려가 있고, 또는 이러한 H빔에 사용자가 머리나 몸이 부딪힐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처럼 완충역할을 하면서도 주위 경관과 잘 어울리는 형상이나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부재(20)를 측면보(13)나 기둥(14)에 결합하여 데크로드 마감부재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에 측면보(13)나 기둥(14)에 형성된 완충홈(15)에 완충부재(20) 일측이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외면이 둥근 형상을 갖으면서도 완충부재(20) 본체 재질이면서 외부로 보이는 부분은 나무재질이거나 나무재질 문양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주위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이에 이러한 데크로드(10) 및 완충부재(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는, 데크로드 바닥(11) 및 데크로드 난간(12)을 양측 측면보(13)에 의해 결합되어 다수 기둥(14)에 의해 지지되는 데크로드(10)에 관한 것이다.
이에 상기 측면보(13) 또는 기둥(14)의 종방향 완충홈(15)에 삽입되는 장방향 완충마감재(2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20)는 측면보(13) 또는 기둥(14)의 완충홈(15) 내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동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혹여 부딪혀도 완충작용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물론 단단한 물건이 부딪히더라도 완충 작용으로 인해 H빔 등의 서설물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20)는, 상기 측면보(13) 또는 기둥(14)의 완충홈(15)에 일측이 삽입되고 측면보(13) 또는 기둥(14)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0)는, 외부면에 위치되어 둥근 형상을 이루는 외면마감면(21)을 이루어, 둥근 외면마감면(21)에 사람몸이 부딪혀도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홈(15)에 삽입되는 홈삽입부(22)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완충홈(15) 내로 홈삽입부(22)가 삽입되는 정도를 탄성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함으로서 완충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재(20)의 일측이 완충홈(15) 내에 삽입되며, 완충홈(15) 내에 위치되어 완충부재(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의 예를 보면, 도 3, 도 4에서처럼 발포탄성체(31)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도 5, 도 6, 도 9, 도 10 등에서처럼 코일스프링(32)으로 하여 탄성부재를 이룰 수도 있다. 아울러 도 7, 도 8, 도 11 내지 도 13, 도 16 내지 도 18 등에서처럼 탄성부재가 판스프링(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시설되는 데크로드의 시설 상황에 따라 알맞게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20)는, 완충홈(15)에 삽입되는 홈삽입부(22)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홈삽입부(22)를 감싸는 내부 커버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40)는 보다 바람직한 재질로써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20)의 홈삽입부(22)가 H빔 등의 물체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형태를 오래도록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핸 탄성력으로 나무재질의 완충부재가 다수 횟수로 이동하더라도 금속재인 커버부재에 의해 보호되므로 이동면에서의 마찰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돌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도 나무재질인 홈삽입부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커버부재(40)에 형성하면 더욱 견고하게 구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홈삽입부(22)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커버(4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홈삽입부(22) 내향면을 감싸는 내면커버(42)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측면커버(41)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커버이탈방지돌부(43) 등의 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이탈방지돌부(43) 등의 이탈방지돌부는 완충홈(15)의 돌기와의 작용으로 완충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에 상기 완충홈(15) 측면에서 내향으로 돌출된 몸체걸림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20)는 상기 몸체걸림돌기(16)와 대응되는 이탈방지돌부로서 커버이탈방지돌부(43) 등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Finishing Member for deck road)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수의 실시예의 구성 및 조립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는 도 1 및 도 2 등에서와 같은 데크로드(10)에 측면보(13), 기둥(13) 등에 결합되는 것이며, 이에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대한 측방향 설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대한 종방향 설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데크로드(10)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측면보에 완충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기둥에 완충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대체로 H빔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보(13), 기둥(14) 등에서 외향으로 위치되는 H빔의 완충홈(15)에 일측이 삽입되게 완충부재(20)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20)는 H빔 등의 측면보(13), 기둥(14)에 형성된 완충홈(15)에 삽입되면서 소정 간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내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완충작용을 이룬다.
특히 측면보(13), 기둥(14) 등은 긴 길이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게 완충부재(20)도 긴 길이를 갖거나 비교적 짧게 이루어질 경우 다수 개를 구비할 수 있다.
각 구성들의 예들을 살펴보면,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측면보에 완충부재의 탄성부재로써 발포탄성체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가 구비된 데크로드에 있어서, 기둥에 완충부재의 탄성부재로써 발포탄성체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5 및 도 6 등에서는 측면보(13)와 기둥(14)에 대해 완충부재(20) 내측으로 탄성부재로써 스치로폼 등과 같은 발포탄성체(31)를 구비하여 완충작용이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처럼 탄성부재로써 코일스프링(32)을 구비함으로써, 완충작용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도 7, 도 8에서는 완충부재(20) 내부를 감싸는 커버부재(40)를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면서, 일측이 절개하여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으로 커버이탈방지돌부(43)를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편의 커버이탈방지돌부(43)는 돌출된 부분의 끝단이 H빔의 완충홈(15)에 대해서 외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편의 이탈방지돌부(43)와 대응되게, H빔의 내면에도 긴 길이의 몸체걸림돌기(16)를 용접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에 H빔 완충홈(15) 벽면에 형성된 몸체걸림돌기(16)는 그 끝단이 완충홈(15) 내부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H빔의 완충홈(15) 내측으로 완충부재(20) 및 커버부재(40)를 끼워 조립하게 되면, 두 돌출부인 돌출편 커버이탈방지돌부(43)와 몸체걸림돌기(16)는 스치듯 지나면서 서로 경계를 지나게 된 이후에는 각각의 외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즉 완충부재(20) 및 커버부재(40)가 측면보(13), 기둥(14) 등의 H빔 완충홈(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부재(40)의 커버이탈방지돌부(43)의 돌출편이, H빔의 몸체걸림돌기(16)에 의해 저지되어 결국 완충부재(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반면 완충홈(15) 내면에 있는 코일스프링(32)이 완충부재(20)를 외향으로 밀기 때문에, 제일 외향으로 완충부재(20)가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대해 도 12에서처럼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완충부재(20)는 H빔의 완충홈(15) 내부로 소정 간격만큼 들어가게 되어 완충작용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탄성부재로써 판스프링(33)을 구비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러한 판스프링에 대해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돌출편을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완충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대한 실시예시 분해사시도이다.
이처럼 앞서 설명한 코일스프링(32)으로 된 탄성부재에 대해 판스프링(33)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판스프링의 경우 코일스프링에 비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내구성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처럼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 있어서, 우선 "T"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돌출된 홈삽입부(22)를 측면보(13), 기둥(14) 등의 완충홈(15) 내에 삽입되게 되며, 보다 넓은 너비를 갖으면서 외면이 둥근 외면마감면(21)을 형성한다.
이에 홈삽입부(22)의 외면을 감싸는 커버부재(40)를 마련하는 것이며, 다수의 볼트나 리벳 등으로 커버부재(40)를 홈삽입부(22)에 고정시킨다.
아울러 소정 위치의 볼트나 리벳 등에는 코일스프링(32) 또는 판스프링(33)을 함께 고정시킨다. 이로써 탄성부재, 커버부재(40) 등을 볼트 등에 의해 완충부재(20)에 고정시킨 후, 완충부재(20)를 완충홈(15)에 가압하여 간단히 조립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는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대부분 데크로드는 이미 시공된 상태이나, 마감부재인 완충부재 등은 후공정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 공정시 별도의 복잡한 가공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끼움 작업만으로도 손쉽게 완충부재를 결합하여 마감하기 때문에 데크로드 마감부재의 설치작업이 쉽게 된다.
이러한 손쉬운 시공성은 새로운 데크로드의 시설에 대한 것에 적용할 경우에도 손쉽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기존에 시설되어 있던 데크로드에 대해서도 마감부재의 시공도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기존 시설되어 있는 데크로드의 기둥이나 측면보 등에 대해서, 완충부재가 삽입될 완충홈의 양측면에 이탈방지돌부를 형성한 후, 바로 커버부재가 결합된 완충부재를 끼움 결합하면 마감부재의 시공이 완료되는 등 간단한 시공으로 설치가 된다.
다음으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즉 도 16, 도 17은 둥근 형태인 원형돌출부로 이탈방지돌부를 형성하며,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32)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외부 힘의 작용으로 내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마감부재에서 이탈방지용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판스프링을 포함한 완충부재가 완충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대한 실시예시 분해사시도이다.
긴 길이를 이루는 원형 형태의 몸체걸림돌기를 H빔 등의 완충홈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시키고, 둥근 돌기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형돌출부로 이탈방지돌부를 커버부재(40)에 형성하여, 판스프링(33)과 함께 커버부재(40)를 완충부재(20)에 결합한다. 이후 완충부재(20) 및 커버부재(40) 등을 완충홈(15)내로 삽입하게 되면, 이탈방지돌기와 몸체걸림돌기 등에 의해 완충부재(20)가 완충홈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면서 판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부재(20)가 외향으로 위치되고 양측 이탈방지돌기와 몸체걸림돌기에 맞닿으면서 고정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외력이 가해지면 도 17, 도 19에서처럼 스프링의 탄성력을 넘어서는 힘에 의해 완충부재(20)가 완충홈(15) 내부로 소정 간격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완충작용을 갖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혹여 측면보나 기둥에 부딪혀도 완충부재의 완충작용으로 상처를 입지 않게 된다. 그리고 H빔 등과 직접 사용자 몸이 접하지 않고 완충부재의 둥근 외면인 외면마감면(21)에 닿기 때문에 상해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데크로드 11 : 데크로드 바닥
12 : 데크로드 난간 13 : 측면보
14 : 기둥 15 : 완충홈
16 : 몸체걸림돌기
20 : 완충부재 21 : 외면마감면
22 : 홈삽입부 40 : 커버부재
43 : 커버이탈방지돌부

Claims (5)

  1. 데크로드 바닥 및 데크로드 난간을 양측 측면보에 의해 결합되어 다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데크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측면보 또는 기둥의 종방향 완충홈에 삽입되는 장방향 완충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측면보 또는 기둥의 완충홈 내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동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측면보 또는 기둥의 완충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측면보 또는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외부면에 위치되어 둥근 형상을 이루는 외면마감면; 및
    상기 완충홈에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이 완충홈 내에 삽입되며, 완충홈 내에 위치되어 완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발포탄성체, 코일스프링, 및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완충홈에 삽입되는 홈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삽입부를 감싸는 내부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홈삽입부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커버;
    상기 홈삽입부 내향면을 감싸는 내면커버; 및
    상기 측면커버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커버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홈 측면에서 내향으로 돌출된 몸체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몸체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이탈방지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마감부재.
KR1020150078558A 2015-06-03 2015-06-03 데크로드 마감부재 KR101776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58A KR101776069B1 (ko) 2015-06-03 2015-06-03 데크로드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58A KR101776069B1 (ko) 2015-06-03 2015-06-03 데크로드 마감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08A true KR20160142608A (ko) 2016-12-13
KR101776069B1 KR101776069B1 (ko) 2017-09-07

Family

ID=5757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558A KR101776069B1 (ko) 2015-06-03 2015-06-03 데크로드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0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191A (zh) * 2017-04-01 2017-07-18 长安大学 一种耗能性桥梁防震挡块构造及防震方法
CN107489105A (zh) * 2017-09-05 2017-12-19 程新锋 一种桥梁建设用装栏杆辅助装置
CN108867479A (zh) * 2018-07-17 2018-11-23 章俊 一种市政工程使用的公路护栏
CN109295890A (zh) * 2018-08-31 2019-02-01 西安科技大学 一种公路护栏结构
CN112359717A (zh) * 2020-11-04 2021-02-12 姚云生 一种钢-混组合桥梁用镂空面板的连接部构件
KR102241980B1 (ko) * 2021-01-11 2021-04-19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Rfid시스템
KR102265305B1 (ko) 2020-07-30 2021-06-16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데크 마감용 몰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06A (ko) 2018-11-27 2020-06-04 민성준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2610698B1 (ko) 2018-12-14 2023-12-05 민성준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20210020380A (ko) 2019-08-14 2021-02-24 민성준 면진장치가 구비된 데크로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553B1 (ko) 2007-07-24 2008-01-03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 기둥 오목 기초
KR101469629B1 (ko) 2014-06-12 2014-12-05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시공되는 데크로드
KR101498268B1 (ko)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904B1 (ko) * 2010-08-05 2011-05-17 (주)조이앤조경개발 합성 목재를 이용한 기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553B1 (ko) 2007-07-24 2008-01-03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 기둥 오목 기초
KR101469629B1 (ko) 2014-06-12 2014-12-05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시공되는 데크로드
KR101498268B1 (ko)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191A (zh) * 2017-04-01 2017-07-18 长安大学 一种耗能性桥梁防震挡块构造及防震方法
CN107489105A (zh) * 2017-09-05 2017-12-19 程新锋 一种桥梁建设用装栏杆辅助装置
CN107489105B (zh) * 2017-09-05 2019-05-21 广西诚鑫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建设用装栏杆辅助装置
CN108867479A (zh) * 2018-07-17 2018-11-23 章俊 一种市政工程使用的公路护栏
CN108867479B (zh) * 2018-07-17 2020-10-30 杭州富彩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使用的公路护栏
CN109295890A (zh) * 2018-08-31 2019-02-01 西安科技大学 一种公路护栏结构
KR102265305B1 (ko) 2020-07-30 2021-06-16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데크 마감용 몰딩
CN112359717A (zh) * 2020-11-04 2021-02-12 姚云生 一种钢-混组合桥梁用镂空面板的连接部构件
KR102241980B1 (ko) * 2021-01-11 2021-04-19 주식회사 황금휘날레 Rfid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069B1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69B1 (ko) 데크로드 마감부재
KR101605007B1 (ko) 난간 구조물
KR101306114B1 (ko) 안전성 향상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1689814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데크 구조체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92440B1 (ko) 산책로용 목재 데크
US20130291471A1 (en) Wooden deck fastening device
KR101663806B1 (ko) 목재클립유닛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목재데크 구조.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714589B1 (ko) 난간용 목재 지주
KR100990801B1 (ko)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KR101370820B1 (ko) 교량받침장치
KR200467587Y1 (ko) 부교 조립체
KR101467197B1 (ko)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JP5536186B2 (ja) エスカレータの踏み段
WO2010059057A2 (en) Trampoline padding element, trampoline padding cover and trampoline padding assembly
KR200475940Y1 (ko) 다목적 프레임
KR101079991B1 (ko) 차수막, 벽체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벽체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
KR102166078B1 (ko) 바닥구조
KR101364158B1 (ko) 논슬립 데크 보호대
KR102417878B1 (ko) 눈썰매장 또는 워터슬라이드를 형성하기 위한 놀이시설용 구조체
KR101107753B1 (ko) 진동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를 위한 마루틀 및 그것이 구비된 마루
KR10190500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phc파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산책로 및 자전거 도로 시공방법
KR101762369B1 (ko) 목재 장선을 이용한 마루 방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