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87Y1 - 부교 조립체 - Google Patents

부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87Y1
KR200467587Y1 KR2020120010964U KR20120010964U KR200467587Y1 KR 200467587 Y1 KR200467587 Y1 KR 200467587Y1 KR 2020120010964 U KR2020120010964 U KR 2020120010964U KR 20120010964 U KR20120010964 U KR 20120010964U KR 200467587 Y1 KR200467587 Y1 KR 200467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assembly
connection
pin
sectio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to KR2020120010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조립체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고, 부력조립체의 상면에 제1형강과 제2형강을 교차되게 설치하여, 흔들림이 적고 내구성이 강한 부교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교 조립체는, 부력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체(110)가 상면 또는 측면에 이웃하게 연결된 부력조립체(100);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상면에 장착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형강(200); 상기 제1형강(200)에 상면에 상기 제1형강(200)과 교차되게 배치되며, 단면이 'H'형상을 갖는 제2형강(300); 상기 제2형강(300)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형강(300)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연결한다.

Description

부교 조립체 {A floating bridge}
본 고안은 부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면 위에 부력체를 설치하고 부력체 위에 판재를 조립하여 보행 가능한 장소를 제공하는 부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교 조립체는 해변이나 강가의 수면 위에 설치되며, 보트와 같은 선박이 접안되는 선착장에서 사용되거나, 군사훈련 중 강에 임시적으로 가설하여 군수장비 등이 도강하도록 하는 교량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교 조립체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부유체(20)와, 상기 부유체(20)를 다른 부유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유체(20)는 내부는 공기가 채워지는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판부(21)와 하판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ㄷ' 형상의 핀으로 형성되며, 이웃하게 배치되는 서로 다른 부유체(20) 사이에 삽입되어 2개의 서로 다른 부유체(20)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부교 조립체는 연결수단의 결합력이 약하여 파도나 부교 조립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불균형에 의해 부유체(20)가 분리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또한, 부유체(20)는 하중의 불균형에 의해 롤링 등의 흔들림이나 울렁거림이 커서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수면 위를 떠다니는 부유물이 부유체(20)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222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004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력조립체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부력조립체의 상면에 제1형강과 제2형강을 교차되게 설치하여, 흔들림이 적고 내구성이 강한 부교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교 조립체는 부력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체(110)가 상면 또는 측면에 이웃하게 연결된 부력조립체(100);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상면에 장착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형강(200); 상기 제1형강(200)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200)과 교차되게 배치되며, 단면이 'H'형상을 갖는 제2형강(300); 및
상기 제2형강(300)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400); 을 포함하되,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형강(300)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연결하며,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부력을 갖으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측면 또는 상면에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부력체(110);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10)를 연결시키는 연결핀(120); 을 포함하되, 상호 이웃한 상기 부력체(110)의 각 측면에는 높이가 다른 연결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120)은 상기 연결부(112)가 상하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되어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10)를 연결시킨다.
상기 부력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형강(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장착홈(1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된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핀(120)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130);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120)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40)이 결합되되, 상기 체결수단(140)은,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내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외측 방향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부재(141)와; 상기 걸림부재(141)와 상기 연결핀(1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부재(141)를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2);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120)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50)이 결합되되, 상기 체결수단(150)은, 상기 연결핀(120)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외부에 자유상태로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핀(120)의 내부 방향으로 절첩되는 걸림부재(151);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과 상기 연결핀(1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을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2);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400)의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난간봉(51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형강(300)의 상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봉(510)의 하단은 상기 지지판(40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310)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고정홀(310)을 관통한 상기 난간봉(510)의 하단에는 제2결합너트(52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부교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을 장착하고, 상기 제1형강의 상면에 상기 제2형강을 교차되게 결합하여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력조립체 사이로 수류의 저항을 분산시켜 흔들림이 감소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부력체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일자의 상기 장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형강의 설치시 위치를 가이드하고,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 정확한 위치에 가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연결핀을 다수개의 상기 부력체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에 삽입하여 다수개의 상기 부력체를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부력조립체의 조립이 간편해지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연결핀의 하단에 상기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흔들림에 의해 상기 부력조립체에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핀이 상기 연결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고정수단이 제1결합너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연결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걸림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조립 작업 없이 상기 연결핀을 상기 연결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작업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걸림부재의 측면이 상기 연결부의 접촉되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크게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에 조립시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연결핀의 내부로 쉽게 삽입되고, 조립 후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연결부의 상부로 이동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난간봉의 하단을 상기 고정홀에 삽입한 후 상기 제2결합너트를 상기 난간봉의 하단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난간봉의 고정력이 강화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교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교 조립체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간봉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핀과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핀과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9는도 8의 D-D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교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교 조립체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간봉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조립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교 조립체는 부력조립체(100), 제1형강(200), 제2형강(300), 지지판(400), 난간봉(510) 및 제2결합너트(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다수개의 부력체(110), 연결핀(120) 및 고정수단(130)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상기 부력체(110)가 상하 또는 좌우 측면방향으로 적층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구조물이며, 상기 연결핀(120)에 의해 상면 또는 측면에 이웃 배치된 상기 부력체(110)가 상호 결합 고정되고, 다수개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후술할 상기 제2형강(30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상호 연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어 수면 위에 부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부력체(11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10)가 상면 또는 측면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110)는 가로 방향으로 3개씩, 세로 방향으로 5개씩, 높이 방향으로 2개씩 배치된다.
상기 부력체(110)의 둘레 방향 각 측면에 형성된 모서리부(111)는 모따기 가공된 것과 같이 비스듬한 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110)의 둘레 방향 각 측면에 형성된 상기 모서리부(111)에는 연결부(1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2)는 외측 방향으로 납작한 반원의 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4개로 이루어져 4개의 상기 모서리부(111)의 각 면에 하나씩 배치된다.
그리고 4개의 상기 연결부(112)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110)들이 측면에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때 상기 연결부(112)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12)에는 상기 부력체(110)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원형의 연결공(1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113)에는 상기 연결핀(120)이 삽입 고정되며, 이로 인해 다수개의 상기 부력체(110)가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부(111)의 상단 부근에는 결합홈(1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4)에는 후술할 상기 연결핀(120)의 돌기부(121a)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부력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형강(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장착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15)은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110)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장착홈(115)에는 후술할 상기 제1형강(200)이 삽입 배치되며,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상기 부력체(110)의 장착홈(115)들과 연통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력체(110)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자의 상기 장착홈(1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형강(200)의 설치시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고,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 정확한 위치에 가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연결핀(120)은 원통형으로 상하 길게 형성되며, 상단은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부와 같이 납작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핀(120)의 상단에는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며, 각 면의 너비가 상기 모서리부(111)의 너비와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121)의 4개의 외측면에는 돌기부(121a)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21a)는 상기 부력체(110)의 모서리부(111)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4)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120)을 상기 부력체(110)에 고정한다.
상기 연결핀(120)은 사용 용도에 따라 길이가 짧은 연결단핀과 길이가 긴 연결장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단핀은 측면에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부력체(110)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써, 길이가 상기 부력체(110)의 높이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단핀은 1층 구조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구성할 때에 사용된다.
반면, 상기 연결장핀은 상하로 적층된 상기 부력체(110)들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써, 길이가 상기 부력체(110)의 길이의 약 2배 정도이다.
물론, 상기 연결장핀은 상하로 배치된 상기 부력체(110)들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 배치된 부력체(110)들을 한번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핀(120)은 상기 연결장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핀(120)은 다수개의 상기 부력체(110)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되어 다수개의 상기 부력체(110)를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조립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조립을 용이하기 위해 상기 부력체(110)의 4개의 모서리부(111)에는 점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111)에는 1개의 점이,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111)에는 2개의 점이, 또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111)에는 3개의 점이,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부(111)에는 4개의 점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조립시 상기 점 표시부의 순서에 따라 점이 1개 표시된 상기 모서리부(111)를 기준으로 나머지 3개의 상기 부력체(11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맞추어 배치한다.
그리고 4개의 상기 부력체(110)의 상기 연결부(112)가 모인 곳에 상기 연결핀(120)을 수직으로 삽입하고, 고무망치나 발바닥으로 압력을 가해 누르면 상기 연결핀(120)의 돌기부(121a)가 상기 결합홈(114)에 걸려 완전히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로, 전용조립렌치를 상기 연결핀(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2개의 구멍에 눕힌채로 끼우고, 상기 구멍에 조립 'ㄱ'키가 들어가면 키를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2명이 서로 반대편에 서서 상기 전용조립렌치의 손잡이를 어느쪽이든지 강하게 45도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핀(120)의 돌기부(121a)가 상기 결합홈(114)에 걸려 완전히 결합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30)은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된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핀(12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너트(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너트(130)는 수지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연결부(112)의 하면과 접하게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상기 고정수단(1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112)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흔들림에 의해 상기 부력조립체(100)에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핀(120)이 상기 연결부(11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130)이 제1결합너트(130)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작업이 가능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형강(200)은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상면에 장착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단면이 'ㄷ'자 형인 상기 제1형강(200)은 개방된 일단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부력체(110)의 상기 장착홈(115)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1형강(200)은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세로 방향, 즉 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세로 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부력체(110)의 장착홈(115)에 삽입되며, 볼트 등으로 상기 부력체(1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형강(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상면에 3개씩 배치되며,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부력조립체(100)들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2형강(300)은 상기 제1형강(200)의 개방된 일면, 즉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형강(200)과 교차되게 가로 방향을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2형강(300)의 단면은 'H'자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며, 하단이 상기 제1형강(200)의 상단에 볼트 등으로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2형강(300)은 세로로 길게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제1형강(200)과 모두 연결되며, 이로 인해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200)을 장착하고, 상기 제1형강(200)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200)과 교차되게 상기 제2형강(300)을 결합하여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부력조립체(100) 사이로 수류의 저항을 분산시켜 흔들림이 감소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2형강(300)의 상부에는 후술할 상기 난간봉(510)이 장착되는 고정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31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난간봉(510)이 배치되는 위치, 즉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측면 근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400)은 방부목으로 이루어지는 판재이며, 상기 제2형강(300)의 상면에 넓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판(400)은 다수개의 상기 제2형강(300)에 결합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용이하게 하고, 외관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400)의 상부에는 상기 난간봉(510)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봉(510)은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4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400)을 관통하여 상기 제2형강(30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난간봉(510)의 하단에는 나사부(511)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511)는 상기 제2형강(30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310)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고정홀(310)에 삽입된 상기 나사부(511)의 하단에는 상기 제2결합너트(520)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난간봉(510)을 상기 제2형강(3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결합너트(520)는 일반적 너트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난간봉(510) 사이에는 밧줄 등이 연결되며, 보행자들이 지지판(400)의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난간봉(51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나사부(511)를 상기 고정홀(310)에 삽입한 후 상기 제2결합너트(520)를 상기 나사부(511)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난간봉(510)의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핀과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부교 조립체는 제1실시예의 연결핀(12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과 모두 동일함으로 연결핀(120)을 제외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140)은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장착되며, 걸림부재(141)와 탄성부재(14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재(141)는 일단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재(141)의 일단은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외측 방향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재(141)는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핀(120)에는 외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141)가 삽입 배치되는 수용홈(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41)는 상기 수용홈(125)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125)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홈(125)의 내측면과 접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구속된다.
상기 탄성부재(142)는 상기 수용홈(125)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부재(141)와 상기 연결핀(12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부재(141)를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142)는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걸림부재(141)의 타단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수용홈(125)의 내측면과 접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수단(140)을 구비한 상기 연결핀(12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수단(140)이 구비된 상기 연결핀(120)을 상기 연결부(112)의 연결공(113)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부재(141)가 상기 연결공(113)의 내주면과 접하여 상기 수용홈(125)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42)는 압축된다.
이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41)가 상기 연결공(113)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141)는 다시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141)는 상기 연결부(112)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연결핀(120)이 상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40)이 상기 연결핀(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14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걸림부재(141)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연결핀(120)을 상기 연결부(112)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141)가 상기 연결부(112)에 고정되어 작업을 간소화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핀(120)과 체결수단(150)의 사시도, 도 9는도 8의 D-D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의 부교 조립체는 제1실시예의 연결핀(12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과 모두 동일함으로 연결핀(120)을 제외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수단(150)은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장착되며, 걸림부재(151)와 탄성부재(15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재(151)는 일단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외부에 자유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부재(151)가 삽입 배치되는 수용홈(126)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51)는 상기 수용홈(126)의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51)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핀(120)에 가까워지게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재(151)는 연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연성에 의해 타단을 누르면 상기 연결핀(120) 방향으로 절첩되어 상기 수용홈(126)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152)는 상기 걸림부재(151)의 일단과 상기 연결핀(1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을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152)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수단(150)을 구비한 상기 연결핀(12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120)을 상기 연결부(112)의 연결공(113)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이 상기 연결공(113)의 내주면과 접하여 절첩되면서 상기 수용홈(126)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152)는 압축된다.
이 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51)가 상기 연결공(113)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은 다시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전개되고,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112)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연결핀(120)이 상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50)의 일단이 상기 연결핀(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부재(152)에 의해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으로 절첩되는 상기 걸림부재(151)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연결핀(120)을 상기 연결부(112)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151)가 상기 연결부(112)에 고정되어 작업을 간소화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고안인 부교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부력조립체, 110 : 부력체,
111 : 모서리부, 112 : 연결부,
113 : 연결공, 114 : 결합홈,
115 : 장착홈, 120 : 연결핀,
121 : 돌출부, 121a : 돌기부,
130 : 고정수단 140, 150 : 체결수단,
141, 151 : 걸림부재 142, 152 : 탄성부재,
200 : 제1형강 300 : 제2형강,
310 : 고정홀 400 : 지지판,
500 : 난간봉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부력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체(110)가 상면 또는 측면에 이웃하게 연결된 부력조립체(100);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상면에 장착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형강(200);
    상기 제1형강(200)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200)과 교차되게 배치되며, 단면이 'H'형상을 갖는 제2형강(300); 및
    상기 제2형강(300)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400); 을 포함하되,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형강(300)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연결하며,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부력을 갖으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측면 또는 상면에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부력체(110);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10)를 연결시키는 연결핀(120); 을 포함하되,
    상호 이웃한 상기 부력체(110)의 각 측면에는 높이가 다른 연결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120)은 상기 연결부(112)가 상하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되어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10)를 연결시키며,
    상기 부력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형강(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장착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된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핀(120)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13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120)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40)이 결합되되,
    상기 체결수단(140)은,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내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외측 방향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부재(141)와;
    상기 걸림부재(141)와 상기 연결핀(1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부재(141)를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 조립체.
  5. 부력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체(110)가 상면 또는 측면에 이웃하게 연결된 부력조립체(100);
    상기 부력조립체(100)의 상면에 장착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형강(200);
    상기 제1형강(200)의 상면에 상기 제1형강(200)과 교차되게 배치되며, 단면이 'H'형상을 갖는 제2형강(300); 및
    상기 제2형강(300)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400); 을 포함하되,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형강(300)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부력조립체(100)를 연결하며,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부력을 갖으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측면 또는 상면에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부력체(110);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10)를 연결시키는 연결핀(120); 을 포함하되,
    상호 이웃한 상기 부력체(110)의 각 측면에는 높이가 다른 연결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120)은 상기 연결부(112)가 상하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되어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부력체(110)를 연결시키며,
    상기 부력체(1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형강(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장착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조립체(100)는,
    상기 연결부(112)에 관통 삽입된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핀(120)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13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120)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50)이 결합되되,
    상기 체결수단(150)은,
    상기 연결핀(120)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핀(120)의 하단 외부에 자유상태로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핀(120)의 내부 방향으로 절첩되는 걸림부재(151);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과 상기 연결핀(1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부재(151)의 타단을 상기 연결핀(1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 조립체.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0)의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난간봉(51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형강(300)의 상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봉(510)의 하단은 상기 지지판(40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310)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고정홀(310)을 관통한 상기 난간봉(510)의 하단에는 제2결합너트(52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교 조립체.
KR2020120010964U 2012-11-28 2012-11-28 부교 조립체 KR200467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64U KR200467587Y1 (ko) 2012-11-28 2012-11-28 부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64U KR200467587Y1 (ko) 2012-11-28 2012-11-28 부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87Y1 true KR200467587Y1 (ko) 2013-06-26

Family

ID=5139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964U KR200467587Y1 (ko) 2012-11-28 2012-11-28 부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89B1 (ko) * 2019-04-16 2019-10-23 함창우 발전소 방류 냉각수의 친환경 거품 제거 시스템
KR102132956B1 (ko) 2019-12-31 2020-07-13 주식회사 한강산업 부력식 스윙도교
KR102318921B1 (ko) * 2020-03-31 2021-10-27 유태관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주입 조립식 구조체
CN114837064A (zh) * 2022-05-20 2022-08-02 江麓机电集团有限公司 一种便携式浮力单元及其组装方法
WO2022214115A1 (en) * 2021-04-08 2022-10-13 Lodě Helios s.r.o. Coupl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539A (ko) * 2009-12-30 2011-07-07 수풍산업 주식회사 부교의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539A (ko) * 2009-12-30 2011-07-07 수풍산업 주식회사 부교의 조립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89B1 (ko) * 2019-04-16 2019-10-23 함창우 발전소 방류 냉각수의 친환경 거품 제거 시스템
KR102132956B1 (ko) 2019-12-31 2020-07-13 주식회사 한강산업 부력식 스윙도교
KR102318921B1 (ko) * 2020-03-31 2021-10-27 유태관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주입 조립식 구조체
WO2022214115A1 (en) * 2021-04-08 2022-10-13 Lodě Helios s.r.o. Coupling device
CN114837064A (zh) * 2022-05-20 2022-08-02 江麓机电集团有限公司 一种便携式浮力单元及其组装方法
CN114837064B (zh) * 2022-05-20 2024-05-17 江麓机电集团有限公司 一种便携式浮力单元及其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587Y1 (ko) 부교 조립체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1605007B1 (ko) 난간 구조물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CA2752934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US20110164927A1 (en) System for increased floatation and stability on tension leg platform by extended buoyant pontoons
KR20090076813A (ko) 슬래브 폼 장치
KR101570316B1 (ko) 하부 웨이트의 위치가 상하로 변화됨과 아울러 상부 웨이트의 합계중량 조절이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플로트
KR100990801B1 (ko)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KR20110007666U (ko)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100804057B1 (ko) 플로트 조립체의 부속물 설치구조
KR200460671Y1 (ko) 해양 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의 멀린 플랜크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KR101467197B1 (ko)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06502B1 (ko) 면진 성능을 가진 한옥의 주두 및 그 설치방법
KR20070049444A (ko) 건축물의 계단용 난간 구조
KR100780572B1 (ko) 목재 데크의 신축 연결구조
KR101228441B1 (ko)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20130007442U (ko) 맨홀용 안전장비
KR101122283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20220118159A (ko) 조립식 안전 펜스
KR102017233B1 (ko)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
KR20100080992A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0459182Y1 (ko) 안전지주 설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