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66U -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 Google Patents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666U
KR20110007666U KR2020100000909U KR20100000909U KR20110007666U KR 20110007666 U KR20110007666 U KR 20110007666U KR 2020100000909 U KR2020100000909 U KR 2020100000909U KR 20100000909 U KR20100000909 U KR 20100000909U KR 20110007666 U KR20110007666 U KR 201100076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onnector
deck material
base frame
fix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049Y1 (ko
Inventor
이완호
Original Assignee
이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호 filed Critical 이완호
Priority to KR2020100000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04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0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에 설치되어지는 데크를 시공함에 있어서 데크자재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데크자재 간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데크는 기본 골격을 이루는 장선(長線)의 상측에 데크자재를 설치하는 구조로, 종래에는 데크자재를 장선에 직접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데크자재 간의 이격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미관을 수려하기 위하여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데크자재 간의 유격이 지나치게 넓고 데크자재를 지지하는 고정력이 약해서 줄눈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없어서 미관을 해치고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상 데크자재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성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결구의 구조를 베이스프레임과 보조프레임으로 나뉘어지는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데크자재의 연결상태가 유격이 좁은 간격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데크자재의 유동을 방지하여 줄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the joiner of deck-plates}
본 고안은 바닥면에 설치되어지는 데크를 시공함에 있어서 데크자재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데크자재의 유동을 방지하여 줄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미관을 수려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는 등산로나 연못, 습지, 계곡과 같이 자연공간 또는 현관출입문이나 건물의 후원, 건물 간의 통행로 등과 같이 건축물에 다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데크자재를 평면상으로 나열하여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데크의 구조는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대어진 장선(長線)을 설치하고, 그 장선 상부에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데크자재를 직각으로 배열하여 데크자재를 장선에 고정함으로써 넓은 면적의 데크를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데크를 장선에 고정피스로 직접 연결함으로써 데크를 시공하였으나, 이렇게 조립할 경우에 고정피스가 상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않고 데크자재의 수축률에 따라 데크자재 간에 균열 및 파손이 생기는 문제가 있어서, 도 7과 같이 데크자재 사이에 연결구를 위치시킨 후 장선에 연결구를 조립함으로써 데크자재를 결합토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도 데크는 데크자재의 함수율에 따라서 개별 장당 이어지는 부분에 빗물 빠짐이나 오염물질 빠짐 등을 감안하여 약간의 유격, 즉 줄눈을 주어야 하는데, 그 줄눈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어서 미관상 좋지 않고,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서 지저분하게 되며, 또한 연결구의 구조상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적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자재(200)에 연결구(100)를 끼워서 장선(300)에 연결구를 볼트고정시킨 후 다시 연결구의 타측에 데크자재를 계속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데크를 간단하게 시공하면서도 데크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연결구(100)와 데크자재(2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연결구(100)의 내입공간(110)의 상,하 높이가 데크자재(200)의 결합돌부(210)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넓어야하고, 이에 따라 연결구(100)와 데크자재(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긴밀히 고정지 못하고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입공간(110)의 상면에 요철면을 형성하여 데크자재(200)가 결합되어진 상태에서의 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이지만,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하고 단순히 데크자재(200)가 빠지는 것만을 보조할 뿐, 데크자재(200)가 여전히 유동되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데크가 시공된 상태에서는 줄눈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미관이 수려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 작은 충격에도 데크자재(200)가 유동되어지면서 줄눈의 간격이 일측은 벌어지고 타측은 넓어지게 비틀어지게 되며 미관을 매우 해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데크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그 벌어짐의 간격이 매우 심화되므로 미관을 더욱 해칠 뿐만 아니라, 충격이 있을 때마다 데크자재(200)가 유동되며 데크의 내구성이 약해져 결국에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크의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데크를 시공함에 있어서, 연결구를 장선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데크자재를 연결구의 측면으로 삽입하여 조립하여야 하는데 연결구의 내입공간의 상,하 높이와 딱 맞는 데크자재를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데크자재를 간단하게 연결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데크자재와 연결구의 결합이 긴밀히 이루어져 데크가 시공된 상태에서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데크자재의 유동이 방지되어 줄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데크자재를 연결설치하기 위한 연결구의 구조를 베이스프레임과 보조프레임으로 나뉘는 분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하단부가 절곡부에 의한 끼움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그 끼움 구조에 유격을 형성하여 데크자재를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설치할 경우 데크의 하중에 의하여 유격이 좁아지면서 데크자재의 끼움상태가 긴밀히 이루어져 데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데크자재의 연결시 데크의 상부에 연결수단이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미세한 유격을 갖도록 조립가능하고, 데크를 시공완료한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되어진 상호작용에 의하여 데크자재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데크의 유동이나 비틀림을 방지하여 줄눈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며 미관을 향상시키고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연결구의 끼움 구조에 형성된 유격에 의하여 데크자재에 수축이 발생할 경우에 그 수축 정도를 상쇄시키며 데크의 결합상태를 긴밀히 유지하면서도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연결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a는 도 1의 연결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구의 베이스프레임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베이스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구의 보조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데크자재의 끼움에 의하여 끼움 구조가 눌림되어지는 상태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데크 연결상태 구조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데크를 시공시 데크자재(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를 장선(3)의 상단에 고정시킴으로써 데크를 시공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1)는 베이스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20)으로 분할되어져 끼움 구조에 의하여 조립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면(11)과 하부고정면(12)이 수직면(13)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이루어져 양측에 베이스프레임(10)의 양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내공간이 형성되는 것이고, 그 내공간에 데크자재(2)를 삽입토록 하여 데크자재(2)가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으로는 보조프레임(20)이 탈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베이스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20)을 끼운 후 보조프레임(20)측으로 데크자재(2)가 삽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연결구(1)와 데크자재(2)가 끼움된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연결구(1)를 장선(3)의 상단에 위치시켜 볼트조임한 후, 연결구(1)의 볼트조임된 상측 내공간으로 다시 데크자재(2)를 끼워서 조립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데크를 시공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하부고정면(12)의 일측으로 받침대(14)가 형성되면서 그 타측으로는 받침절곡부(15)가 형성되어 하부고정면(12)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들려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보조프레임(20)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22)의 일측으로 받침대(24)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는 끼움날개(25)가 형성되어 수평면(22)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들려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절곡부(15)는 바닥면을 지지하면서 그 단부에 걸림면(15a)을 형성함으로써 직각으로 내공간(15b)을 형성하여 끼움날개(25)가 내공간(15b)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면서 연결구(1)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절곡부(15)와 끼움날개(25)를 형성함에 있어서, 받침절곡부(15)의 내공간(15b)의 폭이 끼움날개(25)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하면 끼움날개(25)의 결합시 상,하측으로 유격이 발생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장선에 1차로 고정되어진 연결구(1)에 다시 데크자재(2)를 끼우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및 가압에 의하여 본체프레임(10)이 하측으로 눌려지게 되면서 끼움 구조상의 유격이 상쇄되어져 이미 설치된 연결구(1)와 데크자재(2)간의 결합력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데크를 시공한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20)의 결합되어진 상호작용에 의하여 데크자재(2)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줄눈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며 미관을 해치지 않고 데크자재(2)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결구(1)의 끼움 구조에 형성된 유격에 의하여 데크자재(2)가 늘어나서나 수축되는 경우에도 유격에 의하여 상쇄작용을 일으키며 데크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20)의 수평면(22) 하측으로는 걸림벽(23)을 형성하면 베이스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20)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면서도 데크부재(2)가 시공되어진 상태에서 데크의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면(11)의 양측을 단차지게 형성하면 끼움날개(25)와 받침절곡부(15)의 결합시 발생하게 되는 단차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데크자재(2)를 삽입할 경우 베이스프레임(10)이 하부측으로 눌림 되면서 동시에 상측으로 돌출되어진 면이 데크자재(2)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면(11)의 하단, 즉 보조프레임(20)이 결합되어지는 내입부의 상면에 요철면(11a)을 형성하면 데크자재(2)가 연결구(1)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유동이나 임의 빠짐을 더욱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1: 연결구 2: 데크부재
10: 베이스프레임 11: 상부고정면
12: 하부고정면 13: 수직면
14: 받침대 15: 받침절곡부
20: 보조프레임 22: 수평면
23: 걸림벽 24: 받침대
25: 끼움날개

Claims (5)

  1. 데크자재(2)를 연결설치하기 위한 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는 베이스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20)으로 분할되어지고, 베이스프레임(10)은 상부고정면(11)과 하부고정면(12)이 수직면(13)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고정면(12)의 일측으로는 받침대(14)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는 받침절곡부(15)가 형성되어 하부고정면(12)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진 상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프레임(20)은 수평면(22)의 일측으로 받침대(24)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는 베이스프레임(10)의 받침절곡부(15)에의 삽입을 위한 끼움날개(25)가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20)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데크자재(2)의 연결설치가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절곡부(15)는 내공간(15b)의 폭이 끼움날개(25)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어 끼움날개(25)의 결합시 상,하 유격이 발생되어 데크자재(2)의 연장설치시 본체프레임(10)이 눌림되어지며 연결구(1)의 결합상태를 견고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20)의 수평면(22) 하측으로는 걸림벽(23)이 형성되어 데크의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끼움날개(25)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면(11)은 양측이 단차지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상부고정면(11)의 하단에 요철면(11a)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2020100000909U 2010-01-27 2010-01-27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200459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09U KR200459049Y1 (ko) 2010-01-27 2010-01-27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09U KR200459049Y1 (ko) 2010-01-27 2010-01-27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66U true KR20110007666U (ko) 2011-08-03
KR200459049Y1 KR200459049Y1 (ko) 2012-03-13

Family

ID=4559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909U KR200459049Y1 (ko) 2010-01-27 2010-01-27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0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524A1 (ko) * 2012-03-15 2013-09-19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200472231Y1 (ko) * 2012-02-16 2014-04-10 (주)엘지하우시스 데크 연결용 브라켓
KR101458767B1 (ko) * 2014-02-06 2014-11-10 태성정밀부품(주) 바닥재 패널 조립용 클립
KR102628434B1 (ko) * 2023-02-08 2024-01-24 주식회사 엔엔티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목재판재 및 목재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356B1 (ko) 2018-10-12 2021-05-26 주식회사 스틸엔우드 데크조립체
KR102121907B1 (ko) * 2019-12-27 2020-06-26 주식회사 교강산업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데크
KR102435715B1 (ko) 2022-02-04 2022-08-24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데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553Y1 (ko) 1999-08-20 2000-02-15 주식회사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KR100340088B1 (ko) 1999-09-21 2002-06-12 손경성 천정판넬 고정구
KR100716121B1 (ko) 2005-11-04 2007-05-10 신일공영(주) 판넬용 연결구
KR100981348B1 (ko) * 2008-03-19 2010-09-1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31Y1 (ko) * 2012-02-16 2014-04-10 (주)엘지하우시스 데크 연결용 브라켓
WO2013137524A1 (ko) * 2012-03-15 2013-09-19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1458767B1 (ko) * 2014-02-06 2014-11-10 태성정밀부품(주) 바닥재 패널 조립용 클립
KR102628434B1 (ko) * 2023-02-08 2024-01-24 주식회사 엔엔티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목재판재 및 목재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049Y1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049Y1 (ko)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10077826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93352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0491809Y1 (ko) 교량 점검통로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KR101007030B1 (ko) 정형화된 조립식 목재블록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KR20120013010A (ko) 보강형 교량점검시설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KR100655507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30939A (ko) 목재데크
KR100981408B1 (ko) 데크 결합 구조체
KR200397947Y1 (ko) 해체 편리성이 증진된 거푸집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슬라브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102534196B1 (ko) 조립식 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