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48B1 -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 Google Patents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1348B1 KR100981348B1 KR1020080025382A KR20080025382A KR100981348B1 KR 100981348 B1 KR100981348 B1 KR 100981348B1 KR 1020080025382 A KR1020080025382 A KR 1020080025382A KR 20080025382 A KR20080025382 A KR 20080025382A KR 100981348 B1 KR100981348 B1 KR 1009813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 coupling
- coupler
- downward
- connec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2—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도로나 교량의 바닥판으로 시설되는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는, 이웃하는 두 데크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채널(100)(200)과,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100)(200)을 결속하는 커플러(500)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100)(200)은 각각, 데크에 인접하여 돌출되고 상향 연장되어 수용 홈(110-1)(210-1)을 형성하는 상향돌기결합부(110)(21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500)는, 그의 폭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형성하는 수용 홈(110-1)(210-1)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하향돌기결합부(510)(6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매트는 상기 데크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인접한 데크들을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데크, 매트, 복합소재, 스냅핏, 바닥판, 도로, 교량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크(deck)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매트의 조립과 해체가 매우 쉬운 스냅핏(snap-fit) 착탈 조립식 연결 구조를 가지며,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의 폭이 크거나 시설 영역이 넓은 지역에서도 데크 매트를 짧은 시간에 쉽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연결구, 그리고 상기 데크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인 가설도로 및 교량 등의 바닥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데크 매트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데크 매트는, 예를 들어, 유전 시추공의 시공을 위한 임시 진입로나 임시 작업장의 바닥, 또는 목재 벌채용 가설 도로, 건설 공사용 가설 도로, 군사작전을 위한 긴급 작전 가설 도로, 교량 바닥판 등에 사용한다. 조립식 데크 매트는, 여러 장의 데크를 미리 준비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매트를 만들어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해체하여 재사용한다.
이러한 조립식 데크 매트에 대한 종래의 다양한 예들 중 하나가 본 출원인에 게 허여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4251호 공보(출원번호 제10-2004-00707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데크는, 목재, 콘크리트, 합성수지로 구성한 전통적인 형태의 데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중량의 문제, 강도의 문제, 내구성과 유지보수의 문제, 조립과 해체의 불편함의 문제, 시공비의 증가와 시공 기간의 지연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 이용하여 중량, 강도 및 내구성의 문제들을 개선하고, 스냅핏(snap-fit) 착탈 조립식 연결 구조를 도입하여 운반과 조립 및 해체의 편리성을 도모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공보에 개시된 데크 매트는, 하나의 단위 데크 조립체에 대해 인접한 단위 데크 조립체를 위에서 아래로 눌러 결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단위 조립체들을 한쪽 끝에서부터 순서대로 조립할 수밖에 없어 조립 및 해체의 편리성이나 작업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좀 더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개시된 데크를 포함하여 전술한 종래의 목재,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데크 매트는, 모두 종방향 즉, 도로의 길이방향으로의 연결에 대해서는 조립과 해체의 편리성 및 강성 등이 고려되어 있지만, 횡방향 즉, 도로의 폭 방향으로의 연결을 위한 고려는 없기 때문에, 폭이 넓은 도로나 교량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도로나 교량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이에 적용할 데크 매트도 해당 도로나 교량의 폭 만큼 넓게 만들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자면 데크 및 단위 데크 조립체의 취급과 운반이 어려워지고 시공성도 나빠지게 된다. 또한, 폭이 좁은 데크 조립체를 도로나 교량의 횡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배치하는 것 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이웃하는 단위 데크 조립체끼리 횡방향으로 결속하기 위한 마땅한 방법이 없어 횡방향으로는 연결하지 아니한 채 그대로 놓아두거나, 또는 현장에서 임시방편적인 수단을 동원하여 연결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조립과 해체도 복잡하고 불편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데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데크 매트가 가지는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서브 데크 조립체들을 바닥에 늘어놓고 데크 연결구를 위에서 아래로 눌러 결합하면 인접한 서브 데크 조립체들이 스냅핏 착탈 방식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조립과 해체가 매우 쉽고 종, 횡의 어떠한 방향으로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스냅핏 착탈 방식의 데크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인 가설도로, 교량 등의 바닥판을 구현할 수 있는 데크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는, 이웃하는 두 데크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채널과,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을 결속하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은 각각, 데크에 인접하여 돌출되고 다시 상향 연장되어 수용 홈을 형성하는 상향돌기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그의 폭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 채널의 상향돌기결합부가 형성하는 수용 홈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하향돌기결합부를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는, 이웃하는 두 데크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 성되는 결합 채널과,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을 결속하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향 연장부와, 이 외향 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향돌기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그의 폭 방향 가운데에서 하향 연장되는 하향 연장부와, 이 하향 연장부의 양쪽에서 돌출되고 다시 하향 연장되어 수용 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채널의 상향돌기결합부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하향돌기결합부를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는, 이웃하는 두 데크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채널과,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을 결속하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은 각각, 데크에 인접하여 돌출되고 다시 상향 연장되어 수용 홈을 형성하는 제1 상향돌기결합부와, 상기 제1 상향돌기결합부의 아래쪽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향 연장부와, 이 외향 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돌기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그의 폭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 채널의 제1 상향돌기결합부가 형성하는 수용 홈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제1 하향돌기결합부와, 폭 방향 가운데에서 하향 연장되는 하향 연장부와, 이 하향 연장부의 양측에서 돌출되고 다시 하향 연장되어 수용 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채널의 제2 상향돌기결합부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제2 하향돌기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데크 연결 장치들은, 상기 결합 채널(제1 결합 채널)로부터 상기 데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데크가 삽입되는 제2 결합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들에 있어서, 각각 상기 결합채널의 상향돌 기결합부 및 상향돌기결합부와, 이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커플러의 하향돌기결합부 및 하향돌기결합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그의 하향 연장부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이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로 분리되어,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하향 연장부의 마주보는 바깥쪽 면 사이에는 신축 이음재가 개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매트는, 도로나 교량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2개 이상의 데크가 배열되고, 인접한 데크끼리는 상기한 데크 연결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 스냅핏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매트는,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 상기한 데크 연결 장치에 의해 종방향 또는/및 횡방향으로 결속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매트에 있어서,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의 중공 단면부 안에는 발포 수지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력체를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데크 매트를 종, 횡의 어느 방향으로도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폭이 넓은 가설 도로나 면적이 넓은 작업장 등을 위한 데크 매트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전 시추공 시공이나 목재 벌채를 위한 진입로 개설, 군사적 목적의 임시 통행로 개설, 각종 건설 현장에서의 진입로 개설 등의 다양한 현장과 목적을 위한 진입로 개설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내부식, 고내구성 특성을 보유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재질의 데크를 사용하는 경우, 경량, 고강도 및 고내구성의 데크 매트를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한랭지역 등 가혹 조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 및 데크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연결 장치(10)는, 데크(2)들을 도로나 교량의 종방향(즉, 길이방향) 및 횡방향(즉, 폭방향)으로 결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10)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데크(2)를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바닥에 단순히 나열해 놓고, 데크 연결 장치(10)를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하는 간편한 착탈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구성을 도 1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연결 장치는, 이웃하는 양 데크(2) 쪽에 구비되는 결합 채널(100)(200)과, 두 결합 채널(100)(200)을 결속하는 커플러(500)를 포함한다. 결합 채널(100)과 결합 채널(200)은 각각 이웃하는 두 데크(2)의 마주보는 측면에 일체화되는데, 데크(2)로부터 직접 일체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마련한 다음 데크(2)의 측면에 부착 또는 결합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상기 양쪽의 결합 채널(100)(200)에는 각각, 데크(2)에 인접하여 돌출된 다음 다시 상향 연장되는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향돌기결합부(110)(210)는 상기 커플러(500)와 상하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스냅핏 형태의 기계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수용 홈(110-1)(210-1)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플러(500)는, 그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하향돌기결합부(510)(610)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향돌기결합부(510)(610)는, 상기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형성하는 수용 홈(110-1)(210-1)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각 결합 채널(100)(200)에는, 상기 커플러(50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와 같은 외향 연장부(101)(201) 및 지지부(102)(20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데크 연결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 데크(2)들을 도로나 교량의 바닥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단순히 나열해 놓고, 이웃하는 두 데크(2)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에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10)(610)를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양쪽의 결합 채널(100)(200)을 결속함으로써, 데크 매트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와, 이에 각각 대응하는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10)(610)에는,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111)(211), (511)(611)가 형성된다. 상기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10)(610)가 결합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에 스냅핏 삽입되는 도중에는 상기 돌기(111)(211), (511)(611)들에 의해 결합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탄성적으로 물러나게 된다. 스냅핏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는 결합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본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상향돌기결합부(110)(210)와 하향돌기결합부(510)(610)의 돌기(111)(211), (511)(611)들이 엇갈려 맞물리게 되고, 그에 따라 구조적으로 견고한 결속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돌기결합부(110)(210), (510)(610)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횡방향(수평 방향)으로의 지탱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커플러(500)에는 상기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의 선단 부분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턱(512)(6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턱(512)(612)은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10)(610)에 맞물려 있는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의 선단 후방을 막아 지지함으로써 상향 돌기결합 부(110)(210)가 쉽게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는,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조의 편리성, 강성, 무게 등을 고려하여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섬유강화 복합소재는, 폴리에스테르, 비닐 에스터, 페놀 또는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강화섬유로 구성되며, 주로 인발 성형 공법에 의해 제조된다. 강화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다양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섬유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데크도 마찬가지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결합 채널(100)(200)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향 연장부(101)(201)와, 이 외향 연장부(101)(201)의 선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향돌기결합부(120)(220)를 가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커플러(500)는, 그의 폭 방향 가운데에서 하향 연장되는 하향 연장부(501)를 구비하고, 이 하향 연장부(501)에 하향돌기결합부(520)(620)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돌기결합부(520)(620)는, 상기 하향 연장부(501)의 양쪽에서 돌출되고 다시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20)(220)가 스냅핏 삽입되기 위한 수용 홈(520-1)(620-1)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커플러(500)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는 지지부(50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부(502)는 차량 등에 의한 수직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커플러(500)를 결합채널(100)(200)에 꼭 맞게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러(5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처음부터 단일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커플러(500)는 한 개의 바디로 압출 성형되는 것이다. 이완느 달리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제조한 다음 서로 부착 또는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500)의 하향 연장부(501)의 가운데 부분 즉,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2분할된 형태로 우선적으로 제조한 다음, 양쪽으로 분할된 2개의 부재를 서로 맞대어 접합함으로써 일체화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의 일점쇄선의 라인을 따라 분할하여 제조하여 양쪽으로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가 분리된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를 구성한 다음, 하향 연장부(500-1)(500-1)의 마주보는 면을 맞대어 접착, 용착, 융착,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일체화 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와 같은 맥락으로, 상기 결합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20)(220)와 상기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20)(620)에는,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는 형태의 돌기(121)(221), (521)(6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채널(100)(200)에는,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20)(620)의 선단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턱(122)(2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 턱(122)(222)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돌출턱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실시예 3)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전술한 제1,2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결합 채널(100)(200)은, 데크(2)에 인접하여 돌출되고 다시 상향 연장되어 수용 홈(110-1)(210-1)을 형성하는 제1 상향돌기결합부(110)(210)와, 상기 제1 상향돌기결합부(110)(210)의 아래쪽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향 연장부(101)(201)와, 이 외향 연장부(101)(201)의 선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돌기결합부(120)(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플러(500)는, 그의 폭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 채널(100)(200)의 제1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형성하는 수용 홈(110-1)(210-1)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제1 하향돌기결합부(510)(610)와, 폭 방향 가운데에서 하향 연장되는 하향 연장부(501)와, 이 하향 연장부(501)의 양측에서 돌출되고 다시 하향 연장되어 수용 홈(520-1)(620-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 채널(100)(200)의 제2 상향돌기결합부(120)(220)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제2 하향돌기결합부(520)(620)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 및 상향돌기결합부(120)(220)와, 이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커플 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10)(610) 및 하향돌기결합부(520)(620)에는,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111)(211), (121)(221), (511)(611), (521)(6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500)에는 상기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의 선단 부분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턱(512)(612)이 형성되고, 결합채널(100)(200)에는,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20)(620)의 선단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턱(122)(222)이 형성된다.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500)는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향 연장부(501)의 중간 부분(도면상 일점 쇄선)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2분할한 형태로 우선적으로 제조한 다음, 분할된 2개의 부재를 맞대어 접합한(일체화 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예시 도면과 같이, 커플러(500)는 상기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을 분할하여 도면상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로 분리된 형태로 별도로 제조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를 구성한 다음, 하향 연장부(501-1)(501-1)의 마주보는 면을 맞대어 접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4)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결합 채널(100)을 데크(2)에 더욱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형태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도 2 참조)와 결 합 채널의 형태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한다. 그러나 도면에는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채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의 제1 결합 채널(100)(200)에 제2 결합 채널(100-1)(200-1)이 더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결합 채널(100-1)(200-1)은, 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로부터 데크(2)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데크(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결합 채널(100)(200), (100-1)(200-1)은 공장이나 시공 현장에서 데크(2)에 미리 조립해 둔다. 실질적인 시공에 들어가서는, 제1,2 결합 채널(100)(200), (100-1)(200-1)이 사전에 조립되어 있는 데크(2)를 도로나 교량에 단순하게 나열해 두고, 커플러(500)만을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조립하는 것이다.
제2 결합 채널(100-1)(200-1)은, 제1 결합 채널(100)(200)로부터 직접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도면상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서로 별도의 부재로 나누어진 형태로 제조한 후 제1 결합 채널(100)(200)과 접합하여 일체화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은, 제1실시예의 결합 채널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결합 채널(100)(200)은, 데크에 인접하여 돌출되고 다시 상향 연장되어 수용 홈(110-1)(210-1)을 형성하는 상향돌기결합부(110)(210)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커플러(500)도 전술한 제1실시예의 커플러와 동일한 구성으 로 되어있다. 즉, 커플러(500)는, 그의 폭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형성하는 수용 홈(110-1)(210-1)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하향돌기결합부(510)(610)를 포함한다.
나머지의 구성 즉, 돌기(111)(211), (511)(611)나 돌출턱(512)(612) 등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 5)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결합 채널(100)을 데크(2)에 더욱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형태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도 3 참조)와 결합 채널의 형태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가급적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도면에는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채널은, 제2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의 제1 결합 채널(100)(200)에 제2 결합 채널(100-1)(200-1)이 더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결합 채널(100-1)(200-1)은, 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로부터 데크(2)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데크(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결합 채널(100)(200), (100-1)(200-1)은 공장이나 시공 현장에서 데크(2)에 미리 조립해 둔다. 실질적인 시공에 들어가서는, 제1,2 결합 채널(100)(200), (100-1)(200-1)이 사전에 조립되어 있는 데크(2)를 도로나 교량의 바닥에 단순하게 나열해 두고, 커플러(500)만을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조립 하는 것이다.
제2 결합 채널(100-1)(200-1)은, 제1 결합 채널(100)(200)로부터 직접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도면상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서로 별도의 부재로 나누어진 형태로 제조한 후 제1 결합 채널(100)(200)과 접합하여 일체화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본 실시예의 제1 결합 채널(100)(200)은, 제2실시예의 결합 채널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결합 채널(100)(20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향 연장부(101)(201)와, 이 외향 연장부(101)(201)의 선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향돌기결합부(120)(220)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커플러(500)도 전술한 제2실시예의 커플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커플러(500)는, 그의 폭 방향 가운데에서 하향 연장되는 하향 연장부(501)와, 이 하향 연장부(501)에 형성되는 하향돌기결합부(520)(620)를 구비한다.
나머지의 구성 즉, 돌기(121)(221), (512)(612)나 돌출턱(122)(222) 등의 구성 및 작용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 6)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결합 채널(100)을 데크(2)에 더욱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형태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도 4 참조)와 결합 채널의 형태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한다. 그러나 도면에는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채널은, 제3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의 제1 결합 채널(100)(200)에 제2 결합 채널(100-1)(200-1)이 더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결합 채널(100-1)(200-1)은, 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로부터 데크(2)를 향해 연장되어서, 여기에 상기 데크(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결합 채널(100)(200), (100-1)(200-1)은 공장이나 시공 현장에서 데크(2)에 미리 조립해 둔다. 실질적인 시공에 들어가서는, 제1,2 결합 채널(100)(200), (100-1)(200-1)이 사전에 조립되어 있는 데크(2)를 도로나 교량의 바닥에 단순하게 나열해 두고, 커플러(500)만을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조립하는 것이다.
제2 결합 채널(100-1)(200-1)은, 제1 결합 채널(100)(200)로부터 직접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도면상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서로 별도의 부재로 나누어진 형태로 제조한 후 제1 결합 채널(100)(200)과 접합하여 일체화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본 실시예의 제1 결합 채널(100)(200)은, 제3실시예의 결합 채널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결합 채널(100)(200)은, 제1 상향돌기결합부(110)(210), 외향 연장부(101)(201) 및 제2 상향돌기결합부(120)(220)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커플러(500)도 전술한 제3실시예의 커플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커플러(500)는, 제1 하향돌기결합부(510)(610), 하향 연장 부(501) 및 제2 하향돌기결합부(520)(620)를 구비한다.
나머지의 구성 즉, 돌기(111)(211), (121)(221), (511)(611), (521)(621)나 돌출턱(122)(222), (512)(612) 등의 구성 및 작용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 7)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도 3 참조) 와 커플러(500)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500)는, 도면의 요철이나 굴곡에 따라 데크(2)들이 어느 정도 굴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쉽도록 함과 더불어 시공 후에는 데크(2)들이 노면에 잘 안착되도록 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500)는, 그의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이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로 분리됨으로써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의 마주보는 바깥쪽 면 사이에는 신축 이음재(550)가 개재되어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를 신축이 자유로운 상태로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신축 이음재(550)는, 공지의 이른바 '에바조트(EVAZOTE) 조인트'에 사용되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축 이음재(550)를 채용한 커플러(500)를 사용하여 데크(2)를 종, 횡 방향으로 연결하면, 데크(2)와 데크(2) 사이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으므 로, 노면의 요철이나 굴곡에 순응하는 데크 매트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축 이음재(550)를 채용한 커플러(500)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연결 장치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8)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도 4 참조)와 커플러(500)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이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로 분리됨으로써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의 마주보는 바깥쪽 면 사이에는 신축 이음재(550)가 개재되어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를 신축이 자유로운 상태로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신축 이음재(550)의 구성과 기능은 상술한 제7실시예(도 8 참조)서 이미 설명하였고, 커플러(500)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연결 장치(도 4 참조)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9)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전술한 제5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도 6 참조)와 커플러(500)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이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로 분리되어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의 마주보는 바깥쪽 면 사이에는 신축 이음재(550)가 개재되어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를 신축이 자유로운 상태로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신축 이음재(550)의 구성과 기능은 상술한 제7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하였고, 커플러(500)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는 전술한 제5실시예의 연결 장치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0)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는, 전술한 제6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도 7 참조)와 커플러(500)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이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로 분리됨으로써,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의 마주보는 바깥쪽 면 사이에는 신축 이음재(550)가 개재되어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를 신축이 자유로운 상태로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신축 이음재(550)의 구성과 기능은 상술한 제7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하 였고, 커플러(500)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는 전술한 제6실시예의 연결 장치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조립식 데크 매트)
이하, 본 발명의 조립식 데크 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데크 매트는, 도로나 교량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2개 이상의 데크(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를 배열하고, 인접한 데크(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끼리 전술한 제1 내지 제1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에 의해 스냅핏 결합한 형태이다.
첨부 도면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시설되는 데크 매트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나 교량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데크(20-1)를 연결한 형태의 데크 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20)가 구비되고, 이 데크 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20)는 도로나 교량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제1 내지 제1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인접한 데크 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20)들을 연결함으로써, 가설 도로나 교량 바닥판 등을 매우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시공에 있어서, 결합 채널(100)(200)(제2 결합채널(100-1)(200-1)을 포함할 수 있다)은 서브 데크 조립체(20)에 공장이나 시공 현장에서 미리 결합시켜 둔다. 따라서 결합 채널(100)(200)이 미리 구비된 데크 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20)를 종 방향 또는/및 횡방향으로 단순히 나열한 상태에서, 이웃하는 데크 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20)들을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500)로써 결속한다. 상기 커넥터(500)는 본 발명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커넥터(500)를 나열된 데크 또는 서브 데크 조립체(20)의 결합 채널에 맞추어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것에 의해 스냅핏 결합이 단번에 이루어지고 아래에서 위로 당겨 올리는 것에 의해 단번에 해체되므로, 데크 매트의 시공(조립)과 철수(해체)가 한층 쉬워진다. 또한 조립과 해체가 쉬워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보수나 교체도 용이해진다.
도 14에는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변형된 형태로 연결한 데크 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서브 데크 조립체(20)를 도로의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결합 채널(100)(200)과 커넥터(500)가 4개의 데크(20) 가운데로 연장되어 만나고, 도로의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결합 채널(100)(200)과 커넥터(500)는 종방향으로 연결된 결합 채널(100)(200)과 커넥터(500)의 측면에서 잘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데크 조립체(20)를 도로의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결합 채널(100)(200)과 커넥터(500)가 4개의 데크(20) 가운데로 연장되어 만나고, 도로의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결합 채널(100)(200)과 커넥터(500)는 횡방향으로 연결된 결합 채널(100)(200)과 커넥터(500)의 측면에서 잘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결합 채널(100)(200)과 커넥터(500)의 연장 형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15 및 도 1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 사용한 데크 매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데크 매트는, 가설 도로 등과 같은 데크 매트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는,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등록특허 제10-0604251호 공보 및 등록특허 제10-0620363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스냅핏 착탈 조립식 복합소재 데크(300-1)는 경량,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을 지니고 있고, 종방향으로 스냅핏 결합 구조에 의해 연결하여 서브 데크 조립체(300)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이라는 사실은 상기 공보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장점을 가지는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와, 이들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속할 수 있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10)를 조합하여, 기계적 및 물성적으로 우수하고 조립과 해체도 한층 더 편리한 개량된 데크 매트를 제공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데크 조립체(300)는,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데크(300-1)를 종방향으로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 데크 조립체(300)들을 도로나 교량의 바닥에 종방향 또는/및 횡방향으로 복수 열로 배치하고, 인접한 서브 데크 조립체(300)들끼리 상술한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10)로써 결합하여 데크 매트를 구현한다.
첨부 도면 도 17에는 상기한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 재 데크(300-1)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는, 상부판(311)과 하부판(312) 사이가 종방향으로 복수의 복부판(313)에 의해 구획되어 복수의 중공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데크(300-1)는 또한, 종방향 일측 단부를 이루는 복부판(313)에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가 형성되고, 종방향 반대측 단부를 이루는 복부판(313)에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복합소재 데크(300-1)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에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또 하나의 복합 소재 데크(300-1)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를 위에서 아래로 끼워 기계적으로 결합(결속)함으로써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서브 데크 조립체(300)가 구현된다.
상술한 복합소재 데크(300-1) 및 그의 스냅핏 결합을 위한 돌기 결합부(314, 315)(316,317) 등의 구성은,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604251호 공보 및 등록특허 제10-0620363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구성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공보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는 폴리에스테르, 비닐 에스터, 페놀 또는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강화섬유로 구성되며, 주로 인발 성형 공법에 의해 제조된다. 강화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다양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섬유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장에서 여러 조각의 복합소재 데크(300-1)와 데크 연결 장치(10)를 미리 만들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현장에서 서브 데크 조립체(300)를 만들어 바닥에 단순히 나열하고, 이어서 데크 연결 장치(10)를 통해 스냅핏 방식으로 결속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도로나 작업장에 알맞은 데크 매트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를 데크 매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종방향으로의 결속은,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300)들의 복합소재 데크(300-1)가 이미 지니고 있는 돌기 결합부(314, 315)(316, 317)를 그대로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횡방향으로의 결속에만 상술한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300)들은, 서로 마주보는 그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와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에 의한 상하 방향의 스냅핏 결합에 의해 결속하고, 횡방향으로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데크 연결 장치(10)에 의한 스냅핏 결합에 의해 결속하는 것이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로 이루어진 서브 데크 조립체(300)들의 종방향 결속을 그 자체의 돌기결합부(314, 315)(316, 317)에 의하지 않고, 상술한 본 발명의 데크 연결 장치(10)에 의해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개시한다. 다만, 횡방향으로의 결속에는 전술한 제1 내지 제8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 중 하나를 이용한다.
먼저, 도 18에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에 대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데크 매트는, 상술한 스냅핏 착탈 조립식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들로 이루어진 서브 데크 조립체(300)가 본래 지지고 있는 스냅핏 착탈 결합 요소 즉,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와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를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채널(100)(200) 대용으로 활용하고, 여기에 2개의 커플러(500)를 사용하여 결속한 형태의 데크 매트이다.
즉, 상기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종방향 양쪽 단부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된 데크(300-1)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에, 상기 커플러(500)를 뒤집은 상태로 하여 그의 제1,2 돌기결합부(510, 520)를 아래에서 위로 스냅핏 결합한다. 이의 커플러(500)는 중간에 신축 이음재(550)가 없는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커플러(500) 즉, 위에서 아래로 결합되는 커플러(500)에 구비되는 신축 이음재(550) 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하면, 인접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데크(301-1)에 구비된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와 상기 반전된 커플러(500)의 제1,2 돌기결합부(610, 620)가 이웃하게 되므로, 이들에 또 하나의 커플러(500), 바람직하게는 중간에 신축 이음재(550)가 구비된 커플러(500)를,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결합한다. 즉, 커플러(500)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위쪽의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510, 520)는 인접 데크(301-1)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에 스냅핏 결합되고,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610, 620)는 상기 반전된 커플러(500)의 제1,2 돌기결합부(610, 620)에 동시에 스냅핏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19에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 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데크 매트는, 일측의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는 그대로 이용하고, 인접 서브 조립체(3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에는 모서리 연결구(700)를 결합하며, 모서리 연결구(700) 쪽에는 제2 결합채널(200-1)을 결합하고,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와 제2 결합채널(200-1)이 가지는 제1,2 상향돌기결합부(210, 220)를 커플러(500)로써 결속한 형태의 데크 매트이다.
상기 모서리 연결구(700)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의 돌기 결합부(314, 315)에 대응하는 제1,2 돌기결합부(710, 720)를 가진다. 이의 모서리 연결구(700)는,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등록특허 제10-0604251호 공보 및 등록특허 제10-0620363호 공보에 개시된 코너 커넥터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일측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에는, 모서리 연결구(700)의 제1,2 돌기결합부(710, 720)가 아래에서 위로 스냅핏 결합된다. 이러한 모서리 연결구(700)의 바깥쪽에는, 제2 결합 채널(200-1)이 결합된다. 이의 제2 결합 채널(200-1)에는 본래 제1 결합 채널(200)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데크(301-1)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와 제1 결합 채널(2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210, 220)가 서로 이웃하게 된다. 이에 커플러(500)를 가져다가 위에서 아래로 결합시키면,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510, 520)는 인접 데크(301-1)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와 스냅핏 결합되고,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610, 620)는 제1 결합 채널(2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210, 220)와 스냅핏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20에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데크 매트는, 일측의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와 인접 서브 조립체(3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에 각각 모서리 연결구(700)(700)를 결합하고, 양쪽 모서리 연결구(700)(700)에는 제2 결합채널(100-1)(200-1)을 결합하며, 양쪽의 제2 결합채널(100-1)(200-1)이 가지는 제1 결합채널(100)(200)을 커플러(500)로써 결속한 형태의 데크 매트이다.
구체적으로, 일측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에는, 모서리 연결구(700)의 제1,2 돌기결합부(710, 720)가 아래에서 위로 스냅핏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인접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에도 모서리 연결구(700)가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결합된다. 이러한 양쪽 모서리 연결구(700)의 바깥에는 제2 결합 채널(100-1)(200-1)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양쪽 제2 결합채널(100-1)(200-1)이 본래 지지는 제1 결합채널(100)(200)이 서로 이웃하게 된다. 이에 커플러(500)를 가져다가 위에서 아래로 결합시키면,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510, 520)는 제1 결합채널(1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110, 120)와 스냅핏 결합하고,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610, 620)는 제1 결합채널(2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210, 220)와 스냅핏 결합된다.
도 18 내지 도 20에서, 결합 채널(500)은 전술한 제8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도 9 참조) 즉, 신축 이음재(550)를 가지는 커플러만을 하나의 예로서 도시하였지 만, 신축 이음재가 없는 전술한 제6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도 7 참조)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도 21에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데크 매트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들이, 하나는 스냅핏 결합식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서브 데크 조립체(300)로 이루어지고, 그에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20)는 일반적인 데크 즉, 상기 데크 조립체(300)와 마주하는 측면에 어떠한 돌기 결합부도 없는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서브 데크 조립체(20)가 배치될 때의 연결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서브 데크 조립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데크(300-1)를 종방향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이의 서브 데크 조립체(300)를 이루는 복수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는, 상부판(311)과 하부판(312) 사이가 종방향으로 복수의 복부판(313)에 의해 구획되어 복수의 중공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종방향 일측 단부를 이루는 복부판(313)에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가 형성되고 종방향 반대측 단부를 이루는 복부판(313)에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종방향으로 인접한 데크(300-1)끼리 상기 제1,2 하향돌기결합부(314, 315)와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에 의한 상하 방향의 스냅핏 결합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속되어 상기 서브 데크 조립체(300)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서브 데크 조립체(20)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 서브 데크 조 립체(300)의 제1,2 상향돌기 결합부(316, 317)와 종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데크 조립체(20)의 측면에는, 상기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300)를 향해 연장되어 제1,2 상향돌기결합부(210, 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 채널(200)을 구비하는 제2 결합 채널(200-1)이 결합되어 있다.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서브 조립체(300)로부터는 그 자체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가 돌출되고, 서브 조립체(20)로부터는 제1 결합채널(2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210, 220)가 돌출된다.
여기에 커플러(500)를 결합하면,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510, 520)는 상기 서브 데크 조립체(3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316, 317)에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결합되고, 상기 커플러(500)의 제1,2 하향돌기결합부(610, 620)는 상기 서브 데크 조립체(20)에 결합된 상기 제1 결합 채널(200)의 제1,2 상향돌기결합부(210, 220)에 위에서 아래로 스냅핏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냅핏 결합식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와 일반적인 데크를 연결하는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에는, 본 발명의 데크 매트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매트는, 앞서 설명한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의 내부 중공 부분에 부력체(800)를 충전한 형태의 데크 매트이다.
상기 부력체(800)는 발포 수지,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폼(EPS), 우레탄 폼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이외에 다른 부유성 재료로 이루어져도 좋다. 부력체(800)를 발포 수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300-1)의 중공부 안에 원료 수지를 주입하고, 양쪽 개구부를 밀봉한 후 발포 성형함으로써, 발포된 부력체(800)가 중공부 내부에 꽉 차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부력체(800)는, 수분을 머금지 않기 때문에 복합소재 데크(300-1)의 중공부에 진흙이 들어가거나 얼음이 어는 현상을 방지하여 데크의 파손을 방지하고 데크가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밀림과 같은 지역에서 벌목용 가설 도로를 구축하는 경우, 만일 지표가 물이 많은 진흙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부력체(800)에 의해 데크의 중공부에 진흙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데크가 진흙 또는 물속으로 가라앉는 현상도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혹한 지역의 늪지대에 유전용 가설 도로를 구축하는 경우, 겨울에는 늪지대의 진흙이나 물이 데크의 중공부 안으로 들어가 결빙하여 팽창함으로써 데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부력체(800)에 의해서 복합소재 데크(300-1)의 중공부에 진흙이나 물이 유입할 수 없어 상기한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매우 안정적이고 유용한 데크 매트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구조의 데크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데크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과 해체가 매우 편리하고, 도로의 폭이 넓은 가설 도로나 면적이 넓은 작업장 등의 데크 매트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 매트는, 예를 들어 유전 시추공 시공이나 목재 벌채를 위한 진입로 개설, 군사적 목적의 임시 통행로 개설, 각종 건설 현장에서의 진입로 개설 등의 다양한 현장과 목적을 위한 진입로 개설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내부식, 고내구성 특성을 보유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재질의 데크를 사용하면, 경량, 고강도 및 고내구성의 데크 매트를 제공할 수 있고, 한랭지역 등의 가혹 조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설 도로나 교량용 데크 매트는 반드시 좁은 범위의 가설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는 데크 매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거더 또는 빔에 의하여 지지가 되는 데크 매트, 판재 구조물, 벽체 형태를 포함하는 판형상의 구조물 등,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데크 매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 및 데크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구성을 도 1의 A-A 선 및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시설되는 데크 매트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데크 연결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변형된 형태로 연결한 데크 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와 데크 연결 장치를 이용한 데크 매트의 일례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데크 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5 및 도 16의 데크와 데크 상호간에 스냅핏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 데크 조립체 간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5에서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의 중공 단면 내부에 부력체가 채워진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0-1, 300-1: 데크 10: 데크 연결 장치
20, 300: 서브 데크 조립체 100, 200: (제1) 결합채널
101, 201: 외향 연장부 102, 202: 지지부
110, 210: (제1) 상향돌기결합부 110-1, 210-1: 수용홈
111, 211: 돌기 120: (제2) 상향돌기결합부
121, 221: 돌기 122, 222: 돌출턱
311: 상부판 312: 하부판
313: 복부판 314: 제1 하향돌기결합부
315: 제2 하향돌기결합부 316: 제1 상향돌기결합부
317: 제2 상향돌기결합부 500: 커플러
500-1: 커플러 요소 501-1: 하향 연장부
502: 지지부 510, 610: (제1) 하향돌기결합부
511, 611: 돌기 512, 612: 돌출턱
520, 620: (제2) 하향돌기결합부 520-1, 620-1: 수용홈
521, 621: 돌기 550: 신축 이음재
700: 모서리 연결구 710: 제1 돌기결합부
720: 제2 돌기결합부 800: 부력체
Claims (25)
- 삭제
- 삭제
- 이웃하는 데크와 데크를 결속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서,이웃하는 두 데크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 채널(100)(200)과,상기 양쪽의 제1 결합 채널(100)(200)을 결속하는 커플러(500)를 포함하고,상기 양쪽의 제1 결합 채널(100)(200)은 각각, 데크에 인접하여 돌출되고 다시 상향 연장되어 수용 홈(110-1)(210-1)을 형성하는 제1 상향돌기결합부(110)(210)와, 상기 제1 상향돌기결합부(110)(210)의 아래쪽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향 연장부(101)(201)와, 이 외향 연장부(101)(201)의 선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돌기결합부(120)(220)를 포함하고,상기 커플러(500)는, 그의 폭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의 제1 상향돌기결합부(110)(210)가 형성하는 수용 홈(110-1)(210-1)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제1 하향돌기결합부(510)(610)와, 폭 방향 가운데에서 하향 연장되는 하향 연장부(501)와, 이 하향 연장부(501)의 양측에서 돌출되고 다시 하향 연장되어 수용 홈(520-1)(620-1)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의 제2 상향돌기결합부(120)(220)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스냅핏 삽입되는 제2 하향돌기결합부(520)(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연결 장치.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결합 채널(100)(200)에는, 상기 제1 결합 채널(100, 200)로부터 상기 데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데크가 삽입되는 제2 결합 채널(100-1)(200-1)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연결 장치.
-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결합채널(100)(200)의 상향돌기결합부(110)(210) 및 상향돌기결합부(120)(220)와, 이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커플러(500)의 하향돌기결합부(510)(610) 및 하향돌기결합부(520)(620)에는,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111)(211), (121)(221), (511)(611), (521)(6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연결 장치.
-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러(500)는,그의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이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로 분리되어,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로 이루어지고,상기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의 마주보는 바깥쪽 면 사이에는 신축 이음재(550)가 개재되어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연결 장치.
-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는 조립식 데크 매트로서,도로나 교량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2개 이상의 데크가 배열되고, 인접한 데크끼리 청구항 제3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데크 연결 장치에 의해 스냅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매트.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데크는, 복수의 데크(20-1)를 연결한 형태의 서브 데크 조립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매트.
- 제11항에 있어서,데크 연결 장치에 구비된 상기 커플러(500)는,그의 하향 연장부(501)의 폭 방향 중간 부분이 양쪽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로 분리되어, 폭 방향으로 독립된 2개의 커플러 요소(500-1)(500-1)로 이루어지고,상기 2개의 하향 연장부(501-1)(501-1)의 마주보는 바깥쪽 면 사이에는 신축 이음재(550)가 개재되어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데크 매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382A KR100981348B1 (ko) | 2008-03-19 | 2008-03-19 |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382A KR100981348B1 (ko) | 2008-03-19 | 2008-03-19 |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0026A KR20090100026A (ko) | 2009-09-23 |
KR100981348B1 true KR100981348B1 (ko) | 2010-09-10 |
Family
ID=4135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5382A KR100981348B1 (ko) | 2008-03-19 | 2008-03-19 |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1348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8581B1 (ko) * | 2013-02-06 | 2013-08-23 | 이성우 |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
KR101453065B1 (ko) * | 2013-02-04 | 2014-10-23 | 주식회사 무한건설 | 조립형 교량점검난간 |
KR101472319B1 (ko) * | 2013-02-04 | 2014-12-12 | 주식회사 무한건설 | 조립형 바닥판 |
KR101774046B1 (ko) * | 2017-01-13 | 2017-09-01 | 박대열 | 조립식 일체형 가설교량 |
KR101991765B1 (ko) | 2018-10-05 | 2019-06-21 | 이성우 | 대칭형 frp 패널과 덮개형 연결패널을 이용한 스냅-핏 결합의 잠김 및 패널 분리교체 가능 구성을 가지는 frp 패널의 조립구조, 이를 구비한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KR101998636B1 (ko) | 2019-01-23 | 2019-07-10 | 김옥래 | 조명장치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재 |
KR102474691B1 (ko) * | 2022-07-19 | 2022-12-06 | (주)알유케이 |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패널 구조체 |
KR102523690B1 (ko) * | 2022-11-29 | 2023-04-19 | (주)알유케이 |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1408B1 (ko) * | 2009-10-19 | 2010-09-10 | 주식회사 이데크 | 데크 결합 구조체 |
KR200459049Y1 (ko) * | 2010-01-27 | 2012-03-13 | 이완호 |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
KR101511290B1 (ko) * | 2014-05-12 | 2015-04-13 | 주식회사 이진 |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
KR101450581B1 (ko) * | 2014-07-24 | 2014-10-15 | (주)아름다운강산 |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
NL2020510B1 (en) * | 2018-02-28 | 2019-09-04 | Mingfeng Composite Europe B V | Method and assembly for building a bridge deck and bridge comprising such deck |
KR102314453B1 (ko) * | 2019-07-03 | 2021-10-19 | 새론테크 주식회사 | 건축물 천장용 패널 조립체 |
KR102498568B1 (ko) * | 2022-10-06 | 2023-02-10 | (주)알유케이 | 회전용 연결 마감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4127A (ja) | 1996-08-12 | 1998-02-24 | Sekisui Chem Co Ltd | デッキ材用幅調整材 |
JPH11124820A (ja) | 1997-10-20 | 1999-05-11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構築物用床版 |
KR100586377B1 (ko) | 2004-10-13 | 2006-06-09 |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
KR100604251B1 (ko) * | 2004-09-06 | 2006-07-28 |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교량 바닥판 |
-
2008
- 2008-03-19 KR KR1020080025382A patent/KR1009813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4127A (ja) | 1996-08-12 | 1998-02-24 | Sekisui Chem Co Ltd | デッキ材用幅調整材 |
JPH11124820A (ja) | 1997-10-20 | 1999-05-11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構築物用床版 |
KR100604251B1 (ko) * | 2004-09-06 | 2006-07-28 |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교량 바닥판 |
KR100586377B1 (ko) | 2004-10-13 | 2006-06-09 |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065B1 (ko) * | 2013-02-04 | 2014-10-23 | 주식회사 무한건설 | 조립형 교량점검난간 |
KR101472319B1 (ko) * | 2013-02-04 | 2014-12-12 | 주식회사 무한건설 | 조립형 바닥판 |
KR101298581B1 (ko) * | 2013-02-06 | 2013-08-23 | 이성우 |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
KR101774046B1 (ko) * | 2017-01-13 | 2017-09-01 | 박대열 | 조립식 일체형 가설교량 |
KR101991765B1 (ko) | 2018-10-05 | 2019-06-21 | 이성우 | 대칭형 frp 패널과 덮개형 연결패널을 이용한 스냅-핏 결합의 잠김 및 패널 분리교체 가능 구성을 가지는 frp 패널의 조립구조, 이를 구비한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KR101998636B1 (ko) | 2019-01-23 | 2019-07-10 | 김옥래 | 조명장치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연결부재 |
KR102474691B1 (ko) * | 2022-07-19 | 2022-12-06 | (주)알유케이 |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패널 구조체 |
KR102523690B1 (ko) * | 2022-11-29 | 2023-04-19 | (주)알유케이 |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0026A (ko) | 2009-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348B1 (ko) |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 |
US7131161B2 (en) |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bridge deck of tubular profile having vertical snap-fit connection | |
KR101942842B1 (ko) |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 |
EA005549B1 (ru) | Полые взаимно соединяющиеся панели в качестве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 |
EP1916349A2 (en) | Angular joint element for metal carpentry | |
KR20010076347A (ko) | 건축물의 구조용 부재와 건축물의 구조의 형성방법 | |
JP4844918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 |
KR102072043B1 (ko) |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747104B1 (ko) | 장스팬 층고절감형 u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78168B1 (ko) |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 |
KR101298581B1 (ko) |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 |
KR20110096419A (ko) | 접합에 의해 결합력을 보강하도록 측면으로 연장된 확장부를 구비한 수직결합방식 복합소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복합소재 바닥판 | |
KR20180094673A (ko) |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586377B1 (ko) |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 |
KR100800300B1 (ko) | 우레탄패널 | |
KR100466413B1 (ko) | 교량연결구조 | |
KR20220064505A (ko) |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 |
KR101385556B1 (ko) | Pc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그 조립공법 | |
KR20220048104A (ko) | 공동주택용 중공 역리브 pc슬래브 | |
KR102723748B1 (ko) | 조립식 옹벽 블록 | |
KR100581028B1 (ko) |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 | |
KR100502583B1 (ko) |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부재의 기계적연결구조 | |
KR101436546B1 (ko) | 친환경 건축용 슬래브 및 이의 결합체 | |
KR101479612B1 (ko) | 자중을 이용하여 이음부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체결 방법 | |
KR102167717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