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68B1 - 회전용 연결 마감재 - Google Patents

회전용 연결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68B1
KR102498568B1 KR1020220127560A KR20220127560A KR102498568B1 KR 102498568 B1 KR102498568 B1 KR 102498568B1 KR 1020220127560 A KR1020220127560 A KR 1020220127560A KR 20220127560 A KR20220127560 A KR 20220127560A KR 102498568 B1 KR102498568 B1 KR 10249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rotation
finish material
rotational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희연
Original Assignee
(주)알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유케이 filed Critical (주)알유케이
Priority to KR102022012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결합할 수 있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부재를 연결함은 물론 상기 부재를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각도에 제약을 받지 않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용 연결 마감재{CONNECTION FINISHING MATERIAL FOR ROTATION}
본 발명은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결합할 수 있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부재를 연결함은 물론 상기 부재를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각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 데크, 가구, 건축 구조물 등의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장석 또는 경첩이 사용된다. 데크는 공원, 산, 및 강가와 같은 곳에 산책로나 등산로와 같은 통행로 및 계단, 의자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석 또는 경첩은 부재와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부재의 회전 각도에 제약이 있거나 부재를 회전 혹은 펼쳤을 때 장석(또는 경첩)이 외부로 튀어나와 미관상 좋지 않고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장석(또는 경첩)은 부재와 부재를 연결 시 돌출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부재들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호 결합된 부재들 간의 회전각도가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4033호(데크 연결부재. 공고일자: 2013년 01월 21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6961호(목재 데크용 연결 부재. 공개일자: 2014년 04월 21일) 등록특허공보 제10-2215116호(경첩장치. 공고일자: 2021년 02월 10일) 등록특허공보 제10-218211호(경첩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경첩조립체. 공고일자: 2020년 11월 24일)
본 발명은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결합하면서 부재의 회전각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결합하면서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재와 부재를 연결 시 돌출부를 최소화하고 설치 시 부재들 간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용 연결 마감재는 인접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부재가 조립되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조립되는 제2 회전연결마감재와,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를 결합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는 몸체부를 각각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측다리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측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복수의 회전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몸체부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다리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의 각 몸체부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에 상기 회전연결부의 제1,2 연결다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는 상호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2 회전연결마감재는 상측다리부재 및 하측다리부재가 내측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몸체부의 모서리 양단이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2 회전연결마감재의 상측다리부재 및 하측다리부재는 단면에서 봤을 때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용 연결 마감재는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복수의 부재를 서로 맞물리는 구조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 복수의 부재를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된 부위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면이 평편한 장석인 회전연결마감재에 의해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호 결합된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펼쳤을 때 돌출된 부분이 없어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상 깔끔한 느낌을 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연결마감재에 의해 인접하는 부재를 상호 결합하고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서로 연결된 부재를 쌓아서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부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회전연결마감재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각 부재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용 연결 마감재의 기술구성에 있어서, 제1 회전연결마감재(10) 및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회전연결부(30)에 의해 조립된 구성을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의 구성을 단면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의 (A), (B), (C)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회전연결구(30)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각 도면.
도 4의 (A) 내지 (E)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회전연결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각 도면.
도 5의 (A), (B), (C)는 본 발명의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의해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회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각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2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재'라는 용어는 도어, 데크, 가구, 건축 구조물 등과 같이 인접하는 대상물을 장석 또는 경첩으로 상호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할 때, 상기 상호 결합되는 대상물 자체를 부재로 의미한다. 또한, 상기 '부재'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된 것을 의미하고, 일예로 목재, 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 대상물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크'라는 용어는 공원, 산, 강가 등과 같은 곳에 산책로나 등산로와 같은 통행로 및 계단, 의자를 형성할 때 설치되는 기술구성을 의미하며, 상기 데크에 사용되는 패널(인접하는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때 본 발명의 회전용 연결 마감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용 연결 마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필수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 및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회전연결부(30)에 의해 조립된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용 연결 마감재는 인접하는 두 부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기술구성이다.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위에서 보았듯이 도어, 데크, 가구, 건축 구조물 등의 인접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기술구성으로서,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20)의 기술구성은 그 형상 및 구조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의 기술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에 대해 서술한 바는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는 디귿자(ㄷ) 형상의 몸체부(12)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12)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측다리부재(14) 및 상기 몸체부(12)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측다리부재(16)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디귿자(ㄷ)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2)의 내측 양끝단이 연장되어 상측다리부재(14) 및 하측다리부재(16)가 형성되고, 이들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몸체부(12)의 모서리 양단은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도 2와 같이 일단은 R1에 해당할 수 있고 타단은 R2에 해당할 수 있으나 상기 R1 및 R2는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2)의 표면에는 복수의 오목홈이 길이 방향에 따라 라인 형태로 기설정된 간격에 따라 배치될 수 있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의 모서리 양단은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므로 몸체부(12)가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의 양끝단에는 도 2와 같이 상측다리부재(14)와 하측다리부재(16)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측다리부재(14)는 몸체부(12)의 내측으로 기설정된 각도인 θ1을 가질 수 있고, 하측다리부재(16)는 몸체부(12)의 내측으로 기설정된 각도인 θ2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θ1과 θ2는 상응하는 각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에 의해 몸체부(12)는 내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므로, 제1 회전연결마감재(10)가 제1 부재(100)에 결합될 때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마땅히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도 제2 부재(200)에 결합될 때 탄성력으로 인해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측다리부재(14)의 내측 끝단의 모서리는 기설정된 곡률인 r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측다리부재(16)의 내측 끝단의 모서리는 기설정된 곡률인 r2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r1과 r2는 상응하는 곡률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측다리부재(14)와 하측다리부재(16)의 내측 끝단의 각 모서리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므로, 제1 회전연결마감재(10)가 제1 부재(100)에 결합될 때 부드럽게 결합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마땅히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도 제2 부재(200)에 결합될 때 부드럽게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측다리부재(14)와 하측다리부재(16)의 표면에는 복수의 오목홈(19)이 길이 방향에 따라 라인 형태로 기설정된 간격에 따라 배치될 수 있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탄성력을 부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2)에는 1개 이상의 회전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제1 체결구멍(18a),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구멍(18a),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구멍(18a),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은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같은 형상 및 같은 역할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체결구멍(18a)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체결구멍(18a)에 대해 서술한 바는 상기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제1 체결구멍(18a)의 지름은 후술할 회전연결부(30)의 제1 연결다리(34) 및 제2 연결다리(36)의 지름과 끼움맞춤 공차에 따라 정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체결구멍(18a)의 지름과 제1 연결다리(34) 및 제2 연결다리(36)의 지름은 상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의 길이는 후술하는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의 길이와 상응하거나 또는 상기 제1,2 부재(100,200)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연결부(3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는 도 1과 같이 회전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고 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30)는 회전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회전연결부(30)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 형태의 몸체부(32)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32)의 일단에서 몸체부(32)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다리(34) 및 상기 몸체부(32)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다리(3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 연결다리(34)는 몸체부(32)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원기둥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다리(36)는 몸체부(32)의 타단에서 수직으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원기둥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연결부(30)는 좌우대칭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다리(34) 및 제2 연결다리(36)의 지름은 전술한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의 제1 체결구멍(18a),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의 지름과 끼워 맞춤 공차에 따라 정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다리(34) 및 제2 연결다리(36)의 지름은 회전연결부(30)가 회전할 때의 응력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30)의 몸체부(32)는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 판의 형태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다리(34) 및 제2 연결다리(36)를 잇는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32)는 제1 연결다리(34)의 상측 및 제2 연결다리(36)의 상측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길이는 제1 연결다리(34) 및 제2 연결다리(36)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 및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의 각각의 회전 체결구멍의 중심점 사이 거리와 상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연결부(30)에는 축 베어링(40)이 조립되며,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다리(34)에는 제1 베어링(42)이 조립되고 제2 연결다리(36)에는 제2 베어링(44)이 조립된다. 상기 축 베어링(40)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42) 및 제2 베어링(44)을 포함하고 회전연결부(30)에 체결되어진다.
상기 제1 베어링(42) 및 제2 베어링(44)의 내경은 제1 연결다리(34)와 제2 연결다리(36)의 지름과 끼워 맞춤 공차에 따라 정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다리(34)와 제2 연결다리(36)의 지름과 제1 베어링(42) 및 제2 베어링(44)의 내경(즉, 제1 관통구멍(42a)과 제2 관통구멍(44b)의 지름)은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어링(42) 및 제2 베어링(44)의 외경은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의 제1 체결구멍(18a),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의 지름과의 끼워 맞춤 공차에 따라 정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끼워 맞춤 공차는 억지끼움맞춤 공차가 적용될 수 있지만, 제1 베어링(42)의 외경은 R로, 제1 체결구멍(18a),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의 지름도 R로 서로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42)과 제2 베어링(44)은 별도로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베어링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축 베어링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베어링(42)에 형성된 제1 관통구멍(42a)의 지름은 제1 베어링(42)의 내경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2 베어링(44)에 형성된 제2 관통구멍(44b)의 지름은 제2 베어링(44)의 내경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본 발명의 회전연결부(30)에 축 베어링(40)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3(C)를 참조하면, 회전연결부(30)의 제1 연결다리(34)에는 제1 베어링(42)이 체결되고, 제2 연결다리(36)에는 제2 베어링(44)이 체결된다. 상기 회전연결부(30)의 몸체부(32)는 몸체부(32) 두께만큼 제1 베어링(42) 및 제2 베어링(44)보다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에 제1 베어링(42)을 체결하고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에 제2 베어링(44)을 체결하고, 상기 제1 베어링(42)에 제1 연결다리(34)를 체결하고 상기 제2 베어링(44)에 제2 연결다리(36)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제1 베어링(42)과 제2 베어링(44)을 사용하지 않고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를 회전연결부(30)로 상호 결합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의 각 체결구멍에 회전연결부(30)의 제1 연결다리(34)와 제2 연결다리(36)를 각각 체결함으로써 상기 체결구멍의 면과 제1,2 연결다리(34,36)의 면의 마찰력은 사용자의 물리력에 의해 충분히 회전이 가능한 마찰력을 가지기 때문에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회전연결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는 개략도이다. 즉, 상기 도 4(A)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4 (B) 내지 (E)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4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의 몸체부(12) 각 모서리는 기설정된 곡률(도 2에서 R1, R2)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호 회전이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회전연결부(30)의 제1 연결다리(34) 및 제2 연결다리(36)의 중심점의 거리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를 기준으로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180°회전이 가능한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는 회전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므로,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상기 제2 회전연결마감재(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보았듯이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20)를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부(12)에 복수의 회전체결구멍, 즉 제1 체결구멍(18a), 제2 체결구멍(18b), 제3 체결구멍(18c), 제4 체결구멍(18d)이 위/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12)에 일정간격으로 제1,2,3,4 체결구멍(18a,18b,18c,18d)을 각각 형성하게 되면,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에 각각 조립된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의 회전각도 범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20)의 제1 체결구멍(18a)에 회전연결구(30)의 제1,2 연결다리(34,36)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2 부재(100,200)의 회전각도 범위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이고, 상기 제4 체결구멍(18d)에 회전연결구(30)의 제1,2 연결다리(34,36)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2 부재(100,200)의 회전각도 범위는 시계 방향으로 180°이다. 또한, 상기 제2 체결구멍(18b) 또는 제3 체결구멍(18c)에 회전연결구(30)의 제1,2 연결다리(34,36)가 끼워지게 되면, 구체적으로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의 제1 체결구멍(18a)에는 회전연결구(30)의 제1 연결다리(34)가 끼워지고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의 제2 체결구멍(18b)에 회전연결구(30)의 제2 연결다리(36)가 끼워져 즉, 어긋나게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제1,2 부재(100,200)의 회전각도 범위는 180° 보다 작은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5의 (A), (B), (C)는 본 발명의 회전용 연결 마감재를 사용하여 서로 인접하는 두 부재(제1 부재, 제2 부재)를 상호 결합시킨 후, 상기 부재들이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각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의 상호 회전에 의하여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상호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두 부재는,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본 발명의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회전하는데, 본 발명의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는 회전연결구(30)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는 제1 부재(100)의 일측단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는 제2 부재(200)의 일측단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구(30)의 제1 연결다리(34)는 제1 회전연결부재(10)의 제1 체결구멍(18a)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연결구(30)의 제2 연결다리(36)는 제2 회전연결부재(20)의 제1 체결구멍에 체결된다. 즉,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의 상측다리부재(14) 내측면은 제1 부재(100)의 상측면에 접촉되고 하측다리부재(16)의 내측면은 제1 부재(100)의 하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의 몸체부(12) 내측면은 제1 부재(100)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접촉에 의해, 상측다리부재(14)와 하측다리부재(16)가 갖는 기설정된 각도에 의한 탄성변형으로 제1 회전연결마감재(10)는 제1 부재(100)와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 탄성변형으로 인해 상측다리부재(14)의 내측면은 제1 부재(100)의 상측면에 밀착되고 하측다리부재(16)의 내측면은 제1 부재(100)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제1 회전연결마감재(10)는 제1 부재(100)와 결합되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일한 조립방법으로 역시 제2 회전연결마감재(20)도 제2 부재(200)와 결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조립된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상호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 도 5(A)와 같이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평편하게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도 5(B)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도 5(C)와 같이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에 체결된 회전연결부(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통상 도면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다.
도 5(C)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며, 상기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180°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부재(20)와 대칭된 상태로 제1 부재(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포개진 상태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부재(200)가 180°회전하였을 때 제1 회전연결마감재(10)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20)의 평편한 형태에 의해 돌출되는 부위가 없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20)의 구성 및 형상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12)의 몸체부(12)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체결구멍을 도 2와 같이 4개로 형성하지 않고, 3개의 회전 체결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12)의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20)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하게 구현하되, 회전 체결구멍의 개수만 3개로 변경하는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10,20)의 몸체부(12)에 3개의 회전 체결구멍, 즉 제1 체결구멍(18e), 제2 체결구멍(18f), 제3 체결구멍(18g)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3 체결구멍(18e,18f,18g)의 동작은 전술한 도 2에서 제시한 제1,2 회전연결부재(10,12)의 제1,2,3,4 체결구멍(18a,18b,18c,18d)과 동일하다.
10: 제1 회전연결마감재 12, 32: 몸체부
14: 상측다리부재 16: 하측다리부재
18a, 18e: 제1 체결구멍 18b, 18f: 제2 체결구멍
18c, 18g: 제3 체결구멍 18d: 제4 체결구멍
20: 제2 회전연결마감재 30: 회전연결부
34: 제1 연결다리 36: 제2 연결다리
40: 축 베어링 42: 제1 베어링
44: 제2 베어링

Claims (4)

  1. 인접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조립되는 제1 회전연결마감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조립되는 제2 회전연결마감재와,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를 결합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는 몸체부를 각각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측다리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측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복수의 회전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몸체부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다리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의 각 몸체부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에는 상기 회전연결부의 제1,2 연결다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회전연결마감재와 제2 회전연결마감재는 상호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는 상기 상측다리부재 및 하측다리부재가 내측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는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양단이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회전연결마감재의 상측다리부재 및 하측다리부재는 단면에서 봤을 때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연결 마감재.
KR1020220127560A 2022-10-06 2022-10-06 회전용 연결 마감재 KR10249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60A KR102498568B1 (ko) 2022-10-06 2022-10-06 회전용 연결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60A KR102498568B1 (ko) 2022-10-06 2022-10-06 회전용 연결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568B1 true KR102498568B1 (ko) 2023-02-10

Family

ID=8522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560A KR102498568B1 (ko) 2022-10-06 2022-10-06 회전용 연결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211B1 (ko) 1910-09-27 1999-09-01 모리시타 요이찌 광학적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90100026A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KR101224033B1 (ko) 2012-05-22 2013-01-21 주식회사 백향우드 데크 연결부재
KR20140046961A (ko) 2012-10-11 2014-04-21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목재 데크용 연결 부재
KR20170001133U (ko) * 2015-09-18 2017-03-28 주용경 건축 외장재용 조이너
KR102215116B1 (ko) 2020-06-22 2021-02-10 정승대 경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211B1 (ko) 1910-09-27 1999-09-01 모리시타 요이찌 광학적정보기록매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90100026A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KR101224033B1 (ko) 2012-05-22 2013-01-21 주식회사 백향우드 데크 연결부재
KR20140046961A (ko) 2012-10-11 2014-04-21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목재 데크용 연결 부재
KR20170001133U (ko) * 2015-09-18 2017-03-28 주용경 건축 외장재용 조이너
KR102215116B1 (ko) 2020-06-22 2021-02-10 정승대 경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860B2 (en) Construction panel interconnection system
US9447804B2 (en) Furniture joint
RU2223371C2 (ru) Плита и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для плит
US20080214087A1 (en) Parts for Construction Kits
US20040118062A1 (en) Connection for wall elements
KR102104830B1 (ko) 합성 목재 난간대
DE102010049941B4 (de) Drehgelenk und höhenverstellbarer Tisch
KR102498568B1 (ko) 회전용 연결 마감재
US3865051A (en) Folding article of furniture
US4684282A (en) Structural element for three dimensional objects, e.g. furniture
RU2378460C2 (ru) Фасад из блокхауса
KR102082609B1 (ko) 골판지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JP5660212B2 (ja) フェンス用の関節型ブラケット
WO2007002998A1 (en) Hinge
KR102474691B1 (ko)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패널 구조체
CA1263083A (en) Tubular elements and joints for their mutual articulated connection to form a partition wall of variable shape
US20140273713A1 (en) Modular construction kits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4178738A (en) Modular grille
KR102523690B1 (ko) 회전 가능한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102662998B1 (ko) 다용도 조립식 부스
RU2614174C1 (ru)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а круглого поручня из дерева и деревянный поручень,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й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а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TWI748819B (zh) 建築用桿件轉角接頭
KR102504079B1 (ko) 폴딩 도어용 힌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딩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