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413B1 - 교량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413B1
KR100466413B1 KR10-2002-0060279A KR20020060279A KR100466413B1 KR 100466413 B1 KR100466413 B1 KR 100466413B1 KR 20020060279 A KR20020060279 A KR 20020060279A KR 100466413 B1 KR100466413 B1 KR 10046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upport piece
panel
bridg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844A (ko
Inventor
안상구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엘 filed Critical (주)디에스엘
Priority to KR10-2002-006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4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들을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핑거블록(200 ; 200')의 핑거부(212)와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핑거삽입홈(H1)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H2)이 구비되고, 이 패널가이드홈(H2)에 제1보강패널(300)이 끼워지되, 제1보강패널(300)의 양쪽 선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교량(BG ; BG')의 베이스패널(100)에 얹혀져 지지되고, 핑거부(212)의 자유단부가 제1보강패널(300)에 이동가능하게 얹혀져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교량간의 이격공간으로의 하중이 보다 안전하게 지지되고, 이물질에 의한 제반문제가 해소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교량연결구조{Coupling Structur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들을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량간의 이격공간으로의 하중이 보다 안전하게 지지되고, 이물질에 의한 제반문제가 해소되어진 교량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교각의 상부에 얹혀지는 교량은,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차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교축방향으로의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되고, 또한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 및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교축방향으로의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되므로,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의 선단 간에는 교축방향으로의 길이변화를 위한 이격거리를 두어야 한다.
교량이 교축방향으로 신장되어서 상호 맞대어진 교량의 선단이 서로 근접된 경우에는 차량이 교량연결부분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지만, 교량이 교축방향으로 축소되어서 상호 맞대어진 교량의 선단 간의 이격거리가 확장된 경우에는 차량의 바퀴가 교량연결부분에 간섭되어 차량 승차감이 크게 저하되며, 더욱이 교축방향으로의 신축길이변화가 이보다 더욱 크다면(교량의 교축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수록 신축길이변화는 커진다) 교량간의 이격거리가 더욱 커지게 되므로, 차량의 바퀴가 교량연결부분에 완전히 빠지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교량의 선단에 별도의 교량연결기구를 설치하여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간의 이격공간으로의 하중이 교량연결기구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해야 한다.
교량들을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면서 교량간의 이격공간으로의 하중을 지지하는 교량연결구조는, 이미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레일을 교량연결기구로 이용하는 레일식 교량연결구조와, 핑거블록을 교량연결기구로 이용하는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레일식 교량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에 선단측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챔버(11)가 서로 대향되게 매설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지지대(13)가 교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각각의 이동지지대(13)의 양쪽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챔버(11)의 개구부로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블록(12)을 매개로 이들 챔버(1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동지지대(13)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15)이 이동가능하게 얹혀지되, 각각의 이동지지대(13)에 레일(15)이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의 상부 선단에 한 쌍의 선단블록(14)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선단블록(14)과 레일(15), 혹은 레일(15)과 레일(15)들이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레일연결부재(16)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교량(BG ; BG')이 신장되면, 이동지지대(13)를 중심으로 가이드블록(12)이 미끄러지면서 교량(BG ; BG')이 서로 근접되어서 이들간의 이격거리(L)가 축소되고, 이동지지대(13)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레일(15)들이 이에 상응하게 서로 근접되어서 레일연결부재(16)가 접혀지게 된다. 반면, 교량(BG ; BG')이 축소되면, 구성요소들간의 작동이 상기 작동의 역으로 진행되어, 교량(BG ; BG')의 이격거리(L)가 증가되고, 레일(15)들간의 이격거리도 증가된다. 한편, 선단블록(14)과 레일(15), 레일(15)과 레일(15)이 레일연결부재(16)를 매개로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빗물이나 먼지등의 이물질이 교량(BG ; BG')들간의 이격공간으로 침투되지 않는다.
본 레일식 교량연결구조는, 이에 사용되는 구성요소가 다소 많다고 할 수 있고, 또한 부재들간의 상호 조립작업이 번거롭다고 할 수 있지만, 이들 구성요소의 제조가 용이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아직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레일식 교량연결구조는, 레일(15)들이 교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다시말해서 교량(BG ; BG')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차량이 이를 통과할 때 레일(15)과 차량 바퀴와의 간섭이 심하게 발생되므로, 차량의 승차감 저하가 초래되고, 상호 간섭으로 인한 이음이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레일식 교량연결구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가 제안되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의하면, 종래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는,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 상면에 베이스패널(5)이 각각 안착되고, 한 쌍의 핑거블록(20 ; 2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베이스패널(5)에 각각 얹혀지며, 앵커 등의 고정부재(F1)를 매개로 베이스패널(5)과 핑거블록(20 ; 20')이 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에 고정되는 한편, 물받이용 패널(400)의 양쪽 선단이 앵커 등의 고정부재(F2)를 매개로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BG ; BG')의 보강부(C2) 선단면에 각각 체결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핑거블록(20 ; 2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멍(21a)이 형성되어진 본체부(21)로부터 핑거부(22)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핑거부(22)들 사이에핑거삽입홈(H1)이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교량(BG ; BG')간의 이격거리(L)가 근접되어지면, 한쪽 교량(BG)에 설치되어진 핑거블록(20)의 핑거부(22)가 다른 한쪽 교량(BG')에 설치되어진 핑거블록(20')의 핑거삽입홈(H1)으로 삽입되면서, 한쪽 교량(BG)에 설치되어진 핑거블록(20)의 핑거삽입홈(H1)에 다른 한쪽 교량(BG')에 설치되어진 핑거블록(20')의 핑거부(22)가 삽입되어, 두 손으로 깍지를 끼듯이 한 쌍의 핑거블록(20 ; 20')이 상호 맞물리게 된다. 반면, 교량(BG ; BG')간의 이격거리(L)가 멀어지게 되면, 이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핑거블록(20 ; 20')이 서로 벌어지게 되는데, 한 쌍의 핑거블록(20 ; 20')이 서로 벌어지더라도, 이들 핑거블록(20 ; 20')의 핑거부(22)들이 교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나란히 배치되면서 교량(BG ; BG')간의 이격공간으로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차량이 교량(BG ; BG')의 연결부분을 주행하게 되면, 차량바퀴가 한 쌍의 핑거블록(20 ; 20')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의 핑거부(22)들이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의 핑거삽입홈(H1) 역시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차량바퀴가 이들 핑거블록(20 ; 20') 위를 자연스럽게 통과하게 되어, 승차감의 저하가 방지되고, 간섭으로 인한 이음발생이 크게 감소된다. 한편, 빗물이나 먼지, 자갈등의 이물질은 핑거블록(20 ; 20')의 핑거삽입홈(H1)을 통해서 물받이용 패널(400)로 투입된 후에, 물받이용 패널(400)을 따라 교량의 양쪽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교량(BG ; BG')간의 이격공간으로의 이물질들 투입이 방지된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에 의하면, 핑거블록(30 ; 30')이 고정부재(F1)를 매개로 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에 직접 체결되고, 물받이용 주름관(600)의 양쪽 선단이 주름관 고정부재(7)를 매개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진 핑거블록(30 ; 30')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는, 핑거블록(20,20' ; 30,30')의 핑거부(22 ; 32)가 어디에도 지지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핑거부(22 ; 32)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핑거블록(20,20' ; 30,30')에 상당히 큰 모멘트가 발생된다. 따라서, 핑거블록(20,20' ; 30,30')의 본체부(21 ; 31)와 고정부재(F1)와의 결합부분이나, 고정부재(F1)와 교량(BG,BG')의 선단 보강부(C2)와의 결합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이의 파손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빗물이나 먼지, 자갈등의 이물질들이 핑거블록(20,20' ; 30,30')의 핑거삽임홈(H1)을 통해서 물받이부재(400 ; 600)로 직접 투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비교적 부피와 자중이 큰 이물질이 물받이부재(400 ; 600)로 투입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부피와 자중이 큰 이물질이 물받이부재(400 ; 600)로 투입되면, 이들을 모체로 하여 이들 주변에 이물질들이 빠르게 적재되므로, 물받이부재(400 ; 600)가 이물질들의 자중에 의해서 파손되거나, 교량(BG ; BG')의 신축이 이물질들에 의해서 방해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교량간의 이격공간으로의 하중이 보다 안전하게 지지되고, 이물질에 의한 제반문제가 해소되는 교량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일식 교량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핑거블록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핑거블록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블록식 교량연결구조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핑거블록의 요부분해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베이스패널, 110 ; 플랜지,
200,200' ; 핑거블록, 210 ; 제1지지편,
210a,210b ; 조립용 바아 삽입구멍, 211 ; 접합부,
212 ; 핑거부, 220 ; 제2지지편,
231,232 ; 조립용 바아, 240 ; 체결구멍,
300 ; 제1보강패널, 400 ; 물받이용 패널,
500 ; 제2보강패널,
A ; 아스팔트, BG,BG' ; 교량,
C1 ; 교량본체부, C2 ; 보강부,
F1,F2,F3 ; 고정부재, H1 ; 핑거삽입홈,
L ; 교량간 이격거리, R1,R2 ; 철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마주보는 교량의 선단 보강부 상면에 각각 베이스패널이 안착되고, 이들 베이스패널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블록이 각각 얹혀지며, 베이스패널과 핑거블록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교량의 선단 보강부에 고정되는 한편, 물받이부재의 양쪽 선단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의 선단 보강부나 베이스패널에 각각 체결되어진 교량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핑거블록의 핑거부와 베이스패널 사이에 핑거삽입홈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이 패널가이드홈에 제1보강패널이 끼워지되, 제1보강패널의 양쪽 선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교량의 베이스패널에 얹혀져 지지되고, 핑거부의 자유단부가 제1보강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얹혀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6b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연결구조는, 상호 마주보는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 상면에 각각 베이스패널(100)이 안착되고, 이들 베이스패널(100)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블록(200 ; 200')이 각각 얹혀지며, 베이스패널(100)과 핑거블록(200 ; 200')이 고정부재(F1)를 매개로 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에 고정되는 한편, 물받이부재(400,600)의 양쪽 선단이 고정부재(F2)를 매개로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BG ; BG')의 선단 보강부(C2)나 베이스패널(100)에 각각 체결되되, 핑거블록(200 ; 200')의 핑거부(212)와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핑거삽입홈(H1)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H2)이 구비되고, 이 패널가이드홈(H2)에 제1보강패널(300)이 끼워져서, 제1보강패널(300)의 양쪽 선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교량(BG ; BG')의 베이스패널(100)에 얹혀져 지지되고, 핑거부(212)의 자유단부가 제1보강패널(300)에 이동가능하게 얹혀져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핑거블록(200 ; 200')의 고정단부(211,220)가 고정부재(F1)를 매개로 교량(BG ; BG')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핑거블록(200 ; 200')의 자유단부{핑거부(212)}가 제1보강패널(300)에 이동가능하게 얹혀져 지지되므로, 핑거블록(200 ; 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양쪽 선단부를 통해서 고르게 지지된다. 따라서, 핑거블록(200 ; 200')의 고정단부(211,220)와 고정부재(F1)와의 결합부분이나, 고정부재(F1)와 교량(BG,BG')의 선단 보강부(C2)와의 결합부분에 응력집중이 억제되어, 이의 파손이 방지되고, 제품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이물질들이 핑거삽입홈(H1)을 통해서 패널가이드홈(H2)으로 투입된 후, 제1보강패널(300)과 베이스패널(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물받이용패널(400)로 투입되는데, 패널가이드홈(H2)이 핑거삽입홈(H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들이 핑거삽입홈(H1)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고, 이보다 더욱 협소한 제1보강패널(300)과 베이스패널(10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므로, 액체상태의 빗물이나, 부피와 자중이 매우 작은 미세한 이물질들만이 물받이부재(400,600)로 투입되므로, 이물질들에 의한 물받이용 패널(400)의 파손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물받이용 패널(400)을 물받이부재로 이용하고 있지만, 물받이용 주름관(600)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교량들간의 이격공간으로의 이물질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것들을 물받이부재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와,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연결구조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핑거블록(200 ; 200')의 고정단부(211,220)가 핑거부(212)의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핑거블록(200 ; 200')의 핑거부(212)와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핑거삽입홈(H1)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H2)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핑거블록(200 ; 200')의 고정단부(211,220)와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제2보강패널(500)이 끼워져서, 핑거블록(200 ; 200')의 핑거부(212)와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핑거삽입홈(H1)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H2)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핑거블록으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핑거블록(20,20' ; 30,30')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이러한 일체형 핑거블록(20,20' ; 30,30')은 제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핑거삽입홈(H1)을 크게 형성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핑거삽입홈(H1)이 큰 경우에는, 부피와 자중이 큰 이물질이 핑거삽입홈(H1)으로 투입되고, 핑거삽입홈(H1)에 부피와 자중이 큰 이물질이 투입되면, 교량(BG ; BG')의 신축이 방해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핑거블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에 의하면, 상기 조립식 핑거블록(200 ; 200')은, 4각판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제1지지편(210)과, 4각판형태를 이루면서 제1지지편(2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다수의 제2지지편(220)이, 조립용 바아(231,232)에 순차적으로 번갈아 끼워져서 상호 맞대어 고정되되 ; 제1지지편(210)의 한쪽 선단부를 이루는 접합부(211)들 사이에 제2지지편(220)이 끼워져서, 제1지지편(210)의 다른 한쪽 선단부를 이루는 핑거부(212)가 제2지지편(22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핑거부(212)들 사이에는 핑거삽입홈(H1)이 형성되며, 상호 맞대어 고정되어진 제1지지편 접합부(211)와 제2지지편(220)들을 세로높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멍(240)이 형성되고, 제1지지편(210)의 폭(W1)이 제2지지편(220)의 폭(W2)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본 조립식 핑거블록(200 ; 200')은, 폭이 얇은 제1·2지지편(210,220)들이서로 맞대어져 조립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핑거삽입홈(H1)이 작게 형성되므로, 부피와 자중이 큰 이물질들이 핑거삽입홈(H1)으로 투입되지 않게 되어, 교량(BG ; BG')의 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제1지지편(210)의 세로높이(T1)가 제2지지편(220)의 세로높이(T2)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2지지편(220)의 저면부가 제1지지편(210)의 접합부(211)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지지편(210)과 제2지지편(220)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이의 제조가 용이하지만, 조립용 바아(231,232)에 수직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제2지지편(220)에 응력이 집중되는 단점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제1지지편 접합부(211)의 세로높이(T1')가 제2지지편(220)의 세로높이(T2)와 동일하고, 제1지지편 핑거부(212)의 세로높이(T1)가 접합부(211)의 세로높이(T1')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1지지편 핑거부(212)와 제2지지편(220)이 서로 상응하게 맞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지지편(210)의 하부가 2중구조를 이루게 되어 제조상 어려움이 있지만, 조립용 바아(231,232)에 수직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제1지지편(210)과 제2지지편(220)이 하중을 고르게 지지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제1지지편(210)의 세로높이(T1)가 제2지지편(220)의 세로높이(T2)와 동일하고, 상호 맞대어진 제1지지편 접합부(211) 및 제2지지편(220)과, 이들을 받치고 있는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제2보강패널(500)이 끼워져서, 핑거블록(200 ; 200')의 핑거부(212)와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핑거삽입홈(H1)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H2)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보강패널(500)을 이용하게 되어 부재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지만, 제1지지편(210)과 제2지지편(220)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고, 핑거블록(200 ; 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1·2지지편(210,220)이 고르게 지지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보강패널(3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가이드홈(H2)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F3)를 매개로 어느 한쪽 교량(200 ; 200')의 베이스패널(100)이나 선단 보강부(C2)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핑거블록의 핑거부와 베이스패널 사이에 핑거삽입홈과 상호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이 패널가이드홈에 제1보강패널이 끼워지되, 제1보강패널의 양쪽 선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교량의 베이스패널에 얹혀져 지지되고, 핑거부의 자유단부가 제1보강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얹혀져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핑거블록에 가해지는 하중이 고르게 지지되므로,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고, 제품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들이 핑거삽입홈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걸러지고, 이보다 더욱 협소한 제1보강패널과 베이스패널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걸러지므로, 이물질들에 의한 물받이용 패널의 파손이 방지되고, 교량의 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핑거삽입홈이 협소한 조립식 핑거블록을 이용하게 되면, 부피와 자중이 큰 이물질이 핑거삽입홈으로 투입되지 않게되어, 교량의 신축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상호 마주보는 교량의 선단 보강부 상면에 각각 베이스패널이 안착되고, 이들 베이스패널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핑거블록이 각각 얹혀지며, 베이스패널과 핑거블록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교량의 선단 보강부에 고정되는 한편, 물받이부재의 양쪽 선단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호 맞대어지는 교량의 선단 보강부나 베이스패널에 각각 체결되어진 교량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핑거블록의 핑거부와 베이스패널 사이에 핑거삽입홈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이 패널가이드홈에 제1보강패널이 끼워지되, 제1보강패널의 양쪽 선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교량의 베이스패널에 얹혀져 지지되고, 핑거부의 자유단부가 제1보강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얹혀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블록의 고정단부가 핑거부의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핑거블록의 핑거부와 베이스패널 사이에 핑거삽입홈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블록의 고정단부와 베이스패널 사이에 제2보강패널이 끼워져서, 핑거블록의 핑거부와 베이스패널 사이에 핑거삽입홈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패널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어느 한쪽 교량의 베이스패널이나 선단 보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블록(200 ; 200')은, 4각판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제1지지편(210)과, 4각판형태를 이루면서 제1지지편(2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다수의 제2지지편(220)이, 조립용 바아(231,232)에 순차적으로 번갈아 끼워져서 상호 맞대어 고정되되 ; 제1지지편(210)의 한쪽 선단부를 이루는 접합부(211)들 사이에 제2지지편(220)이 끼워져서, 제1지지편(210)의 다른 한쪽 선단부를 이루는 핑거부(212)가 제2지지편(22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핑거부(212)들 사이에는 핑거삽입홈(H1)이 형성되며, 상호 맞대어 고정되어진 제1지지편 접합부(211)와 제2지지편(220)들을 세로높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멍(240)이 형성되고, 제1지지편(210)의 폭(W1)이 제2지지편(220)의 폭(W2)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편(210)의 세로높이(T1)가 제2지지편(220)의 세로높이(T2)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2지지편(220)의 저면부가 제1지지편(210)의 접합부(211)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편 접합부(211)의 세로높이(T1')가 제2지지편(220)의 세로높이(T2)와 동일하고, 제1지지편 핑거부(212)의 세로높이(T1)가 접합부(211)의 세로높이(T1')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1지지편 핑거부(212)와 제2지지편(220)이 서로 상응하게 맞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편(210)의 세로높이(T1)가 제2지지편(220)의 세로높이(T2)와 동일하고, 상호 맞대어진 제1지지편 접합부(211) 및 제2지지편(220)과, 이들을 받치고 있는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제2보강패널(500)이 끼워져서, 핑거블록(200 ; 200')의 핑거부(212)와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핑거삽입홈(H1)과 연통되는 패널가이드홈(H2)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연결구조.
KR10-2002-0060279A 2002-10-02 2002-10-02 교량연결구조 KR10046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79A KR100466413B1 (ko) 2002-10-02 2002-10-02 교량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279A KR100466413B1 (ko) 2002-10-02 2002-10-02 교량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844A KR20040029844A (ko) 2004-04-08
KR100466413B1 true KR100466413B1 (ko) 2005-01-13

Family

ID=3733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279A KR100466413B1 (ko) 2002-10-02 2002-10-02 교량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480B1 (ko) * 2012-02-23 2012-11-21 (주) 한길산업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14B1 (ko) * 2002-10-02 2005-01-13 (주)디에스엘 교량연결용 핑거블록
KR100838829B1 (ko) * 2007-03-13 2008-06-17 (주)영광산업개발 프리팩트 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교량조인트 및 시공방법
KR101256771B1 (ko) * 2009-12-25 2013-04-25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고무 지승장치
KR101014391B1 (ko) * 2010-11-02 2011-02-15 남은호 비배수 교체용 차수재를 적용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342U (ko) * 1978-07-26 1980-02-12
JPH02125006U (ko) * 1989-03-27 1990-10-15
US5171100A (en) * 1990-12-12 1992-12-15 Bergstedt Jan Eric O Preformed expansion joint system
US5172533A (en) * 1991-10-02 1992-12-22 Face Construction Technologies, Inc. Resilient finger joint for concrete slabs
JPH09209305A (ja) * 1996-02-06 1997-08-12 Atsushi Nagano 橋梁の接合構造
KR19990003295A (ko) * 1997-06-25 1999-01-15 유근무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1229326A (ja) * 1998-02-13 1999-08-24 Sumitomo Metal Ind Ltd 橋梁継目の渡り桁式伸縮装置
KR20010009480A (ko) * 1999-07-09 2001-02-05 조재연 교량의 신축 조인트
JP2001288707A (ja) * 2000-04-06 2001-10-19 Nippon Chuzo Kk 橋梁用フィンガー式伸縮装置
KR20030011435A (ko) * 2001-08-02 2003-02-11 일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20040029847A (ko) * 2002-10-02 2004-04-08 (주)디에스엘 교량연결용 핑거블록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342U (ko) * 1978-07-26 1980-02-12
JPH02125006U (ko) * 1989-03-27 1990-10-15
US5171100A (en) * 1990-12-12 1992-12-15 Bergstedt Jan Eric O Preformed expansion joint system
US5172533A (en) * 1991-10-02 1992-12-22 Face Construction Technologies, Inc. Resilient finger joint for concrete slabs
JPH09209305A (ja) * 1996-02-06 1997-08-12 Atsushi Nagano 橋梁の接合構造
KR19990003295A (ko) * 1997-06-25 1999-01-15 유근무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1229326A (ja) * 1998-02-13 1999-08-24 Sumitomo Metal Ind Ltd 橋梁継目の渡り桁式伸縮装置
KR20010009480A (ko) * 1999-07-09 2001-02-05 조재연 교량의 신축 조인트
JP2001288707A (ja) * 2000-04-06 2001-10-19 Nippon Chuzo Kk 橋梁用フィンガー式伸縮装置
KR20030011435A (ko) * 2001-08-02 2003-02-11 일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20040029847A (ko) * 2002-10-02 2004-04-08 (주)디에스엘 교량연결용 핑거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480B1 (ko) * 2012-02-23 2012-11-21 (주) 한길산업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844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48B1 (ko)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CA2704053C (en) Floor covering
KR100762943B1 (ko) 결합구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및 이의 조립 방법
RU2242572C2 (ru) Панель, в частности, панель для настила пола
CA1169687A (en) Expansion seal
US4964257A (en) Method of assembling a panel assembly
KR102558143B1 (ko) 플로어 패널용 접합 시스템
CA2546689A1 (en) Floorboar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flooring, and a flooring formed thereof
EA005549B1 (ru) Полые взаимно соединяющиеся панели в качестве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RU2007114277A (ru) Панель, в частности панель для пола
KR200491809Y1 (ko) 교량 점검통로
KR102199254B1 (ko) 합성목재 데크 결합구조
KR100466413B1 (ko) 교량연결구조
JPH059564B2 (ko)
US7562421B2 (en) Connecting clasp
KR950032902A (ko) 사다리형 침목 및 레일트랙
KR20190011490A (ko)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KR102346359B1 (ko) 단열데크
KR100466414B1 (ko) 교량연결용 핑거블록
KR950032947A (ko) 마루 구조물
CN102720333B (zh) 木地板块及木地板
KR102655192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JPH02296904A (ja) 橋梁用伸縮装置のウエブ遊間内構造
JP2014218868A (ja) 連結マクラギ
JP3641623B2 (ja) フローリング根太構造の根太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