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490A -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490A
KR20190011490A KR1020170094105A KR20170094105A KR20190011490A KR 20190011490 A KR20190011490 A KR 20190011490A KR 1020170094105 A KR1020170094105 A KR 1020170094105A KR 20170094105 A KR20170094105 A KR 20170094105A KR 20190011490 A KR20190011490 A KR 20190011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engaging
coupling
fitting
rectangul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영
조성호
염용덕
Original Assignee
이코리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코리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코리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490A/ko
Publication of KR2019001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 강도가 충분하고 조립성이 좋은 조립식 바닥재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는, 내부에는 다수의 육각 유닛이 상하 좌우로 연속 성형되고, 상벽 및 하벽 그리고 제1측벽 및 제2측벽으로 구성되는 외벽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각 프레임의 저면에는 다수의 레그(11)가 성형되어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각 프레임의 제1측벽(22A) 및 제2측벽(22B)은, 사각 프레임의 최외측 육각 유닛(12)의 외측면(13,14)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측벽에서 상하의 육각 유닛 사이에서 좌우결합홈(32)이 형성되고, 제2측벽에서 상하의 육가 유닛 사이에는 상기 좌우결합홈(32)에 결합되는 좌우결합돌기(34)가 성형된다. 본 발명의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는,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과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Fabricated plastic blocks for indoors and outdoors}
본 발명은 조립식 플라스틱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수가 결합되어 충분한 넓이의 실내 또는 실외를 커버할 수 있고,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실내는 물론이고 실외에서 예를 들면 스포츠와 같은 행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바닥면에 대한 처리는, 예를 들면 원래 흙 상태에 있는 바닥면을 스포츠 등과 같은 행사가 가능한 지면으로 공사하는 모든 형태의 공사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5-0109335호에 의하면, 플라스틱 블럭으로 구성되는 바닥재를 다수 조립함으로써 스포츠 코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성형 바닥재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바닥재에 의하면,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바닥재 블럭을 만들어서 다수 개 조립함으로써 용이한 시공 등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에 비하여 강도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사후 처리의 측면에서도 그리 바람직하지 못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조립식 바닥재는, 조립이 쉽게 조립된 상태가 견조한 구조적 강도를 가져야 할 것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장시간의 사용에 의한 피로하중에 의하여 또는 구조적 강도 이상의 큰 하중에 의하여 바닥재는 부분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면적에 설치된 다수 개의 바닥재 중에서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부분적으로 바닥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바닥재는 분해를 위한 구조에서 다소 부족하기 때문에, 중간에 걸치되어 있는 것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바닥재의 단점을 감안한 것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같이 부분적인 바닥재 분리가 손쉬운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강도를 가질 수 있는,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조립식 플라스틱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는, 내부에는 다수의 유닛이 상하 좌우로 연속 성형되고, 상벽 및 하벽 그리고 제1측벽 및 제2측벽으로 구성되는 외벽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각 프레임의 저면에는 다수의 레그가 성형되어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측벽과 제2측벽의 어느 일측에는 좌우결합홈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좌우결합홈에 결합되는 좌우결합돌기가 성형되고, 상기 상벽과 하벽의 어느 일측에는 상하결합홈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상하결합홈에 결합되는 상하결합돌기가 성형되어, 인접하는 사각프레임과 연속하여 접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좌우결합돌기 및 좌우결합홈, 그리고 상하결합돌기 및 상하결합홈은 억지끼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는, 사각프레임의 상벽, 하벽, 또는 양측벽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끼움부와, 상기 연장끼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은, 사각프레임의 상벽, 하벽 또는 양측벽에 성형되고 상기 연장끼움부가 결합되는 외측결합홈와,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결합홈으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연장끼움부와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의 외측결합홈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헤드와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의 헤드결합홈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연장끼움부의 외측에는 끼움돌기가 성형되고,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의 외측결합홈의 내부에는 끼움홈이 성형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끼움돌기의 하단부에는 삽입시의 안내를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끼움돌기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분리를 위한 경사면이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각 프레임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사각프레임의 내부의 유닛은 육각유닛으로 성형되고, 이대 사각 프레임의 제1측벽 및 제2측벽은 사각 프레임의 최외측 육각 유닛의 외측면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측벽에서 상하의 육각 유닛 사이에서 좌우결합홈이 형성되고 제2측벽에서 상하의 육각 유닛 사이에는 상기 좌우결합홈에 결합되는 좌우결합돌기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육각 유닛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보강브릿지가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바닥재를 조립할 때,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질 때 억지끼움(Interference fit)으로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크 결합 등과 비교하면 실질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 조립식 바닥재의 내구성을 충분히 담보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끼움돌기에는 삽입(결합) 방향 뿐만 아니라 분리 방향에도 적어도 일부에는 경사면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평면상에서 다수 개 배열되어 있는 바닥재 가운데 일부를 분리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재의 일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은, 설치 후 사용에 의한 일부 손상을 부분적으로 쉽게 수리 및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 바닥재의 사각프레임의 내부 형성되는 유닛은 육각 형상(하니콤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외력에 대하여 최고의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강도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고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바닥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바닥재의 저면을 보이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바닥재에서 도 1의 A부분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바닥재에서 도 1의 B부분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바닥재에서 도 1의 B부분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 바닥재의 좌우결합돌기가 결합된 부분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장끼움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재(10)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고 사각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재(10)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어서,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를 상하 및 좌우로 결합함으로써 넓이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바닥재(10)의 사각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유닛이 상하 및 좌우로 반복적으로 연속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바닥재의 사각프레임(2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측벽[제1측벽(22A)과 제2측벽(22B)], 상부에 형성되는 상벽(24A), 그리고 하부에 형성되는 하벽(24B)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사각프레임(20)의 내부에 배열되는 유닛은 실질적을 좌우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성형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 유닛(12)은 육각형의 유닛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이러한 육각 유닛(12)은 도 1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닥재(10)를 설명하면서, 전체적인 방향 등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본 발명의 바닥재(10)는, 상면에서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수평면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바닥재(1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레그(11)가 성형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육각 유닛(12)의 각각의 모서리에 성형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각 프레임(10)의 내부에 성형되는 유닛(12)은 도시한 바와 같은 육각 유닛을 예로 들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다수의 레그(11)에 의하여 지면에서 일정 간격 위에서 지지되는 바닥재(10)의 상면은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닛(12) 자체 및 연속 배열되는 육각유닛(12)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는 빗물의 배수 또는 이물질의 하강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유닛(12)이 육각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기능의 수행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재(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사각프레임의 양측면 및 상하면은 상술한 레그와 동일한 높이를 가져야 할 것임은 당연하고, 사출 성형의 필요에 따라서 살빼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육각 유닛(12)이 평면 상으로 배열된 바닥재(10)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닥재(10)를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조립하기 위하여, 제1측벽(22A)에는 좌우결합홈(32)을 일정 간격으로 성형하고, 제2측벽(22B)에는 상기 좌우결합홈(32)에 결합되는 좌우결합돌기(34)를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다수 개 성형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사각 프레임(20)의 내부 유닛(12)을 육각유닛으로 성형하는 실시 예에의 경우를 살펴보면, 가장 우측에 배열된 육각 유닛 중에서 상하 관계에 있는 두개의 유닛(12,12a)을 살펴보면, 두 개의 유닛(12,12a)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외측면(14,1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20)을 형성하는 제1측벽(22A)이 되고, 그 사이에는 삼각형의 공간(32)이 형성되는데 이를 좌우결합홈으로 활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에서 가장 좌측에 배열된 육각 유닛 중에서 상하 관계에 있는 두 개의 유닛(12,12a)을 살펴보면, 예를 들면 두 개의 유닛(12,12a)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외측면(13,13a)은 사각 프레임(20)을 형성하는 제2측벽(22B)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하 두 개의 유닛(12,12a) 사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벽(22B) 부분에는 좌우결합돌기(34)가 성형되는데, 이는 좌우결합홈(32)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바닥재(10)의 상하 방향 결합에서, 일측면에서는 사각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상하 한 쌍의 육각 유닛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좌우 결합홈(32)을 형성하고, 타측면에서는 이러한 결합홈(32)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돌기(34)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좌우결합돌기(34)와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부분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B부분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좌우결합돌기(34)는, 제2측벽(22B)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끼움부(34b)와 상기 연장끼움부(34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헤드(34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결합홈(32)은 헤드(34a)가 삽입되는 헤드결합홈(32a)과 연장끼움부(34b)가 결합되는 외측결합홈(32b)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좌우결합돌기(34)의 헤드(34a)는 제1측벽(22A)의 헤드결합홈(32a)에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때 좌우결합돌기(34)의 연장끼움부(34b)(도 3 참조)는 제1측벽(22A)에 형성되는 외측결합홈(32b)(도 4 참조) 속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좌우결합돌기(34)가 좌우결합홈(32)에 결합된 상태, 즉 헤드(34a)가 헤드결합홈(32a)에 결합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연속되는 바닥재(10)가 결합되면, 실제로 결합되는 부분의 구조적 강도가 가장 취약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을 가질 때, 좌우결합돌기(34)는 좌우결합홈(32)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바닥재(10)에서 좌우결합돌기(34)와 좌우결합홈(32)의 치수 조정을 통하여, 양자가 조금씩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닥재는 시공된 상태에서 외력에 대하여 견디는 구조적 강도도 중요하지만,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을 때 중간에 조립된 일부를 분해하고 새로운 바닥재로 교환하는 작업도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방향으로 결합되어 체결(locking)되는 후크 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억지끼움에 비하여 결합은 용이하지만 중간에 있는 바닥재를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후 관리에 문제가 발생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측벽(22b)에 성형된 좌우결합돌기(34)의 연장끼움부(34b)의 상하 방향 중간 부분에는 끼움돌기(34d)가 성형되고 있다. 그리고 좌우결합홈(32)에서 목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제1측벽(22A)에 성형되는 외측결합홈(32b)의 마주 보는 대향면에는, 상기 끼움돌기(34d)가 억지끼움되는 끼움홈(22D)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측결합홈(32b)에 성형된 끼움움(22D)에 끼움돌기(34d)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인접한 바닥재(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바닥재(10)의 제1측벽(22A)이 인접하는 바닥재(10)의 제2측벽(22B)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측벽(22A)이 인접하는 바닥재(10)의 제2측벽(22B)과 약간 중첩된 상태에서 헤드(34a)가 헤드결합홈(32a)에 삽입되는데, 이때 연장끼움부(34b)는 외측결합홈(32b)에 삽입된다. 그리고 연장끼움부(34b)가 외측결합홈(32b)에 삽입되면, 끼움돌기(34d)가 끼움홈(22D)에 억지끼움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끼움홈(22D)에 끼움돌기(34d)가 결합된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억지끼움은, 끼움돌기(34d) 가 끼움홈(22D)에 결합될 때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34d)와 끼움홈(22D)이 서로 억지끼움되도록 설계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바닥재(10)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억지끼움 상태를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바닥재(10)를 서로 분리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끼움돌기(34d)가 끼움홈(22D)에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34d)에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34da,34dc)이 성형되어 있다. 하부에 있는 경사면(34da)은 상대적으로 보다 완만하게 성형되는 것으로 끼움돌기(34d)가 외측결합홈(32b)에 결합할 때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에 있는 경사면(34dc)은 끼움홈(22D)의 상단턱(22DC)에서 분리될 때, 상단턱(22DC)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경사면(34dc)이 성형되어 있지 않고, 끼움돌기(34d)의 상단면이 수평면을 가지게 되면, 끼움홈(22D)의 상단턱(22DC)과 체결되어 분리하는 것이 극히 어렵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끼움돌기(34d)의 성형에서, 상기 상부 경사면(34dc)이 하부 경사면(34da)와 같이 연장끼움부(34b)에서 바로 경사면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부 경사면(34dc)은 연장끼움부(34b)에서 일정한 크기의 수직 돌출부(34de)를 성형한 다음 경사면으로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만 상기 끼움홈(22D)과 끼움돌기(34d)와 분리될 수 있다는 의미이고, 약한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결합시 요구되는 힘보다 바닥재(10)의 분리에 요구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바닥재(10)를 좌우 방향으로 조립하는 경우, 연장끼움부(34b)가 외측결합홈(32b)에 삽입되면, 끼움돌기(34d)가 끼움홈(22D)에 억지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바닥재(10)를 억지끼움으로 평면상으로 연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닥재(10)를 억지끼움으로 연결하는 구성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끼움홈(22D)과 끼움돌기(34d) 사이의 억지끼움에 한정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좌우결합돌기(34)의 헤드(34a)가 헤드결합홈(32a)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도 바닥재(10)의 연결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써, 연장끼움부(34b)의 길이[이는 제1측벽(22A)에서 헤드(34a)까지의 길이에 해당한다}와 제2측벽(22B)의 두께 사이에서 억지끼움이 발생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억지끼움의 경우에도, 상술한 경우와 같이 연장끼움부(34b)의 끼움돌기(34d) 및 외측결합홈(32b)의 끼움홈(22D)과 같은 돌기 및 홈을 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에는 바닥재(10)의 사각 프레임(20)의 상하 결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서 다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20)의 좌우 결합에서는 상하 배열되는 육각유닛(12) 사이에서 제1측벽(22A)에는 좌우결합홈(32)을 형성하고, 제2측벽(22B)에는 좌우결합돌기(34)를 성형하여 양자를 결합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바닥재(1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육각 유닛(12)이 전체적으로 완전한 상태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강도가 하니콤 구조에서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바닥재(10)의 사각프레임(20)의 상벽(24a) 및 하벽(24b)에도, 상하결합홈(38) 및 상하결합돌기(36)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결합돌기(36)가 인접한 바닥재(10)의 상부에 성형된 상하결합홈(38)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닥재는 상하 방향으로도 조립하여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하결합돌기(36)는 사각프레임(20)의 하벽(24B)에서 하방(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끼움부(36b)와, 그 단부에 형성된 헤드(36a)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하결합홈(38)은 헤드(36a)가 결합되는 헤드결합홈(38a)와, 연장끼움부(36b)가 결합되는 외측결합부(38b)로 구성된다.
사각프레임(20)의 상벽(24a)은 육각 유닛(12)의 상단 꼭지점을 연결하는 선이기 때문에, 좌우 인접하는 육각 유닛(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되는 상하결합홈(38) 중에서 헤드결합홈(38a)의 형상은, 제1측벽(22A)에 성형되는 헤드결합홈(32a)의 형상과는 상이하고, 이는 도 5에서 명백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형상의 상벽(24a)의 헤드결합홈(38a)에 들어가는 하벽(24b)의 상하결합돌기(36)의 헤드(36a)의 형상이 좌우결합돌기(34)의 헤드(34a)의 형상과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하결합돌기(36)의 헤드(36a)와 좌우결합돌기(34)이 헤드(34a)를 상이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다수의 바닥재(10)를 결합(조립)하는 경우, 방향성을 쉽게 찾아서 정확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헤드(34a,36a)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작업자는 방향을 보다 쉽게 알 수 있고, 각각의 헤드결합홈에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결합돌기(36)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36a)의 형상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좌우결합돌기(34)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다. 즉, 상하결합돌기(36)의 연장끼움부(36b)의 양측에는 끼움돌기(36d)가 성형되는데, 이러한 끼움돌기(36d)는 좌우결합돌기의 끼움돌기(34d)의 구성 및 기능과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결합돌기(36)가 끼워지는 외측결합홈(38b)의 구성도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 외측결합홈(38b)의 양측면에는 끼움홈(24D)이 성형되고, 이러한 끼움홈(24D)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끼움돌기(36d)도 좌우결합돌기의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게 된다.
다음에는 사각프레임(20)의 내부에 들어가는 유닛(12)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사각프레임(20)의 내부에 구현되는 지지 유닛(12)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하니콤 형상)을 가지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육각 유닛(12)은 실질적으로 구조적으로 하중의 분산에 유리한 트러스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닥재는 이와 같은 육각형 구조, 즉 하니콤형 구조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성형함으로써,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분한 지지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바닥재에 가해지는 하중은 수직으로 가해지는 수직 성분도 있지만, 가중의 수평 분력에 의하여 수평 방향의 분력 등과 같이 모든 외력을 포함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본 발명의 바닥재(10)는, 상면에서는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수평면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바닥재(1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레그(11)가 성형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육각 유닛(12)의 각각의 모서리에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육각 유닛(12)의 상면은 상기 다수의 레그(11)에 의하여 지면에서 일정 간격 위에서 수평면을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육각유닛(12) 자체 및 연속 배열되는 육각유닛(12)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는 빗물의 배수 또는 이물질의 하강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재(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사각프레임의 양측면 및 상하면도 상술한 레그와 동일한 높이를 가져야 할 것임은 당연하고, 사출 성형의 필요에 따라서 살빼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바닥재(10) 상에서 다수의 이용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많은 종류의 하중이 바닥재에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재(10)에 가해지는 하중은 실질적으로 바닥재(10)의 내부 구성에 의하여 충분히 지지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육각 유닛(허니콤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을 유도하여 트러스트 구조물과 같이 전체적으로 외력에 강한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및 상하로 연속 배열되는 육각 유닛(12)의 구조적 강도 보강을 위하여, 육각 유닛(12)의 내부에는 보강브릿지(16)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보강브릿지(16)는 육각유닛(12)의 내부에서 구조적 강도 보강을 위하여 성형되는 것이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육각유닛(12)의 내부에서 등간격인 3개의 모서리에서 내부 중앙으로 연장하여 한 점에서 만나도록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육각 유닛의 내부 중앙점에서 120도 등간격을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육각 유닛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보강브릿지(16)는 외력의 분산에 더욱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바닥재(10)의 상면은 예를 들면 스포츠를 즐길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스포츠 또는 워킹 등과 같은 어떠한 경우에도 바닥재(10)의 상면은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떠한 종목의 스포츠, 워킹, 런닝의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은 안전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닥재(10)의 상면은 충분한 마찰력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보강브릿지(16)의 상면에 마찰돌기(17)를 성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보강브릿지(16)를 따라 성형되는 경우 선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마찰돌기는 보강브릿지(16)의 상면 뿐만 아니라 육각 유닛의 상면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육각 유닛(12)을 이용하여 바닥재(10)를 형성하는 경우, 도 1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장 외측의 육각 유닛(12) 중에서 외측면(14)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프레임(20)의 수직면과 일치하게 되고, 이는 사각 프레임(20)의 좌측 수직면에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하니콤형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육각 유닛(12)을 상하 좌우로 배열함으로써 사각프레임(20)을 만들게 되면, 사각 프레임(20)의 좌우 양측면(22:22A,22B)은 육각유닛(12)의 외측면(14)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도 1에서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사각 프레임(20)을 배열하게 되면, 적어도 좌우 방향에 대하여 육각유닛 형상(하니콤 형상)이 손상되지 않는 사각프레임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외력의 분산에 유리하여 구조적 강도 측면에서 충분한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유닛이 배열되어 있는 사각프레임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는 경우, 연결부분의 강도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분해도 손쉽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 ..... 바닥재
11 ..... 레그
12 ..... 육각 유닛
13, 14 ..... 육각 유닛의 외측면
16 ..... 보강브릿지
17 ..... 마찰돌기
20 ..... 사각 프레임
22A ..... 제1측벽
22C ..... 외측결합홈
22D ..... 끼움홈
22B ..... 제2측벽
24A ..... 상벽
24B ..... 하벽
38b ..... 외측결합홈
24D ..... 끼움홈
32 ..... 좌우결함홈
34 ..... 좌우결합돌기
34a ..... 헤드
34b ...... 연장끼움부
36 ..... 상하결합돌기
36a ..... 헤드
36b ..... 연장끼움부

Claims (7)

  1. 내부에는 다수의 유닛이 상하 좌우로 연속 성형되고, 상벽 및 하벽 그리고 제1측벽 및 제2측벽으로 구성되는 외벽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각 프레임(20)의 저면에는 다수의 레그가 성형되어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고;
    제1측벽과 제2측벽의 어느 일측에는 좌우결합홈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좌우결합홈에 결합되는 좌우결합돌기가 성형되고, 상기 상벽과 하벽의 어느 일측에는 상하결합홈이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상하결합홈에 결합되는 상하결합돌기가 성형되어, 인접하는 사각프레임과 연속하여 접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결합돌기 및 좌우결합홈, 그리고 상하결합돌기 및 상하결합홈은 억지끼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는, 사각프레임의 상벽, 하벽, 또는 양측벽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끼움부와, 상기 연장끼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은, 사각프레임의 상벽, 하벽 또는 양측벽에 성형되고 상기 연장끼움부가 결합되는 외측결합홈와,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결합홈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바닥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있어서,
    상기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연장끼움부와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의 외측결합홈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헤드와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의 헤드결합홈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바닥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결합돌기 및 상하결합돌기의 연장끼움부의 외측에는 끼움돌기가 성형되고, 좌우결합홈 및 상하결합홈의 외측결합홈의 내부에는 끼움홈이 성형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바닥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의 하단부에는 삽입시의 안내를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끼움돌기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분리를 위한 경사면이 성형되는 조립식 바닥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프레임의 내부의 유닛은 육각유닛으로 성형되고,
    상기 사각 프레임의 제1측벽 및 제2측벽은 사각 프레임의 최외측 육각 유닛의 외측면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에서 상하의 육각 유닛 사이에서 좌우결합홈이 형성되고 제2측벽에서 상하의 육각 유닛 사이에는 상기 좌우결합홈에 결합되는 좌우결합돌기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유닛의 내부에는, 외력을 분산 지지하기 위한 보강브릿지가 성형되는 조립식 바닥재.
KR1020170094105A 2017-07-25 2017-07-25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KR20190011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105A KR20190011490A (ko) 2017-07-25 2017-07-25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105A KR20190011490A (ko) 2017-07-25 2017-07-25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490A true KR20190011490A (ko) 2019-02-07

Family

ID=6536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105A KR20190011490A (ko) 2017-07-25 2017-07-25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4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59B1 (ko) * 2020-05-01 2021-03-15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퍼즐형 매트 및 퍼즐형 매트 조립체
KR20220067802A (ko) * 2020-11-18 2022-05-25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KR20230000181U (ko) *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건축용 줄눈의 성형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59B1 (ko) * 2020-05-01 2021-03-15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퍼즐형 매트 및 퍼즐형 매트 조립체
KR20220067802A (ko) * 2020-11-18 2022-05-25 이복술 조립용 개별 매트
KR20230000181U (ko) *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건축용 줄눈의 성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4304A1 (en) Interlocking modular mat with sponge insert
US7571573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lower cross rib
US5950378A (en) Composite modular floor tile
US8650827B2 (en) Assembly for securing two juxtaposed panels to a structure
CA2924162C (en) Tile for use in a modular flooring system
KR20190011490A (ko)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WO2003062557A1 (en) Modular plastic flooring
US9534399B2 (en) Method of using interlocking mat with integral ramp
WO2005081923A2 (en) Interlocking modular floor tile
US20200270877A1 (en) Tiles, floors, and methods and processes related thereto
US7846524B2 (en) Modular mat
US20150361675A1 (en) Synthetic Modular Flooring Apparatus
JP2019214929A (ja) 連結ブリック組立体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2360933A (en) Floor structure
KR20190011489A (ko) 조립식 바닥재
US20070163195A1 (en) Integrated edge and corner ramp for a floor tile
JP6689066B2 (ja) 基礎パッキン
KR20190011491A (ko)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KR102344024B1 (ko)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
KR101038704B1 (ko) 목재 데크 구조
KR102030249B1 (ko) 유로폼
KR20210106391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JP2531774Y2 (ja) 床パネル
JP2020105905A (ja) 基礎パッキン
CA1145784A (en) Surface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