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480B1 -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480B1
KR101203480B1 KR1020120018342A KR20120018342A KR101203480B1 KR 101203480 B1 KR101203480 B1 KR 101203480B1 KR 1020120018342 A KR1020120018342 A KR 1020120018342A KR 20120018342 A KR20120018342 A KR 20120018342A KR 101203480 B1 KR101203480 B1 KR 10120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expansion joint
pair
detachable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한
Original Assignee
(주) 한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길산업 filed Critical (주) 한길산업
Priority to KR102012001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몸체 상에 상향 돌출된 고정구가 위치하는 핑거 블록과, 핑거 블록의 고정구에 끼워지는 고정공을 가지며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깍지 낀 형태로 배치되는 분리형 핑거와, 하방에 배치되는 루버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통행에 의한 국부적인 동하중이나 교량의 신축 운동 시의 미세 비틀림에 의한 일부 핑거의 손상이나 파손 또는 이물질 받이 또는 루버의 파손에 대한 유지 보수 시 교통을 통제하고 상판 구조물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등의 번거롭고 수고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핑거 블록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손상 또는 파손된 분리형 핑거만을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가 있으므로 높은 경제성 및 작업 효율성을 가짐과 아울러, 이물질 유입 방지판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루버 내로의 이물질의 침적 내지 퇴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오랜 기간에 걸쳐 침적되는 이물질 중량 증가에 의한 루버의 하방 탈락이나 개열(開裂)과 같은 파손 염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어 루버의 수명주기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having Separable Fingers}
본 발명은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핑거 조인트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차량 통행에 의한 국부적인 동하중이나 교량의 신축 운동 시의 미세한 비틀림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의 일부 핑거의 손상이나 파손 또는 이물질 받이 또는 루버의 파손에 대한 유지 보수 시 교통을 통제하고 상판 구조물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등의 번거롭고 수고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음과 아울러, 핑거 블록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손상 또는 파손된 분리형 핑거만을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가 있으므로 높은 경제성 및 작업 효율성을 가짐과 아울러, 이물질 유입 방지판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루버 내로의 이물질의 침적 내지 퇴적과, 이에 의한 우수 유입 중량에 의한 루버의 탈락 내지 개열(開裂) 가능성을 저감시킴으로써 루버의 수명 주기를 증대시킬 수가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은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creep) 등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며, 차량 통행에 따른 동하중, 지진 등에 따라 변위될 수 있으므로, 교량의 시공 시 인접한 두 상부구조물 사이에는 교량 상판의 소재나, 길이, 지지 구조 등의 다양한 파라메타를 고려하여 적정한 유간을 두게 되며, 이러한 유간 사이에는 상부 구조물의 손상 방지와 원활한 교통안전을 위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핑거 타입(finger type)과 레일 타입(rail type) 조인트로 대별될 수 있으나, 이 중 본원 발명과 관련된 핑거 타입 조인트는 신축방향이 불확실한 굽은 교량이나 단부가 경사지게 배치된 교량에는 사용 곤란하며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지진력 등이 작용하는 경우 핑거 조인트 설치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차량 통행에 따른 모멘트에 의해 핑거부재의 일단이 상방으로 일단 돌출되면 차량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며 차량 통과 시 소음을 유발하고 승차감이 열등해지며 핑거 조인트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은 있으나, 그 구조가 단순하여 경제적이고 상부에 작용되는 충격이 양호하게 분산되므로 내구성이 좋으며 정상 상태에서 차량 통행 시 정숙성이 높다는 점에서 교량 구조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핑거 타입 조인트로서의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1′)를 도 8에 나타내며, 그 주요 구성은 핑거(2a′)가 일체화된 핑거블록(2′)과, 상판 구조물(10′)의 단부에 매설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와, 철근 배근체(4′)와, 상기한 핑거블록(2′)을 고정하는 고정 볼트(5′)와, 고정구(7′)에 의해 고정되며 상판 구조물(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장 및 수축에 대응하여 수축 및 신장되는 탄성수지재로 된 루버(6′)로 이루어지며, 공간부(11′)에는 무수축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다.
여기서, 상기한 루버(6′)는 상기한 신축이음장치(1′)의 하방의 유간(12′)에 설치됨으로써, 상부 구조물 상의 표면수와, 분진이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이 교량의 상판 구조물(10′) 사이의 유간(12′)을 통하여 하부로 흘러 내려가 교대, 코핑(coping), 또는 교각에 대한 콘크리트 부식에 의한 열화 현상을 초래하거나, 또는 강재 거더(girder)나 교좌 장치의 발청을 초래하여 내구성 또는 기능 저하를 유발하지 않도록 기능하므로, 교량의 내구성 저하에 따른 수명단축을 방지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저감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종래의 다른 전형적인 핑거 타입 조인트로서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a′)를 도 9에 나타내며, 그 주요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8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면, 핑거(2a′)가 일체화된 역 L자형 핑거 블록(2′)이 고정구(8′)를 통하여 상판 구조물(10′)의 단부에 매설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 및 철근 배근체(4′)와 연결 고정되며, 상판 구조물(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장 및 수축에 대응하여 수축 및 신장되는 탄성수지재로 된 루버(6′)가 핑거 블록(2′)의 외측면에 직접 접착 또는 열융착하여 유간을 막고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이물질 퇴적량을 줄임과 아울러 청소작업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공간부(11′)에는 무수축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1a′)는 일부 핑거(2a′) 만의 파손이나 노후화로 인한 교체 시 또는 탄성수지재로 된 루버(6′)의 파손 또는 탈락 시와 같이 보수가 필요할 경우 차량 통제 하에 교량 상부 구조물(10′)의 유간(12′) 부분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블록아웃(block-out)시켜 놓고, 루버(6′) 및 핑거 블록(2′)을 포함한 신축이음장치(1′ 또는 1a′) 전체를 전부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훨씬 단수명이며 저가인 탄성수지재로 된 루버(6′)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1′ 또는 1a′) 전체의 내구성, 경제성 및, 보수성이 결정되어 버린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탄성 수지재 루버(6′)는 신축이 원활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재질 특성 상 자외선이나 기후 변화에 따른 온도 승강 리사이클링에 의한 열화(劣化)나 노화(老化)에 의한 자연 파손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우려는 오랜 기간에 걸친 차량 통행 및 바람 등에 따라 운반 퇴적되는 분진이나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의 축적량 증가, 또는 그에 더하여 우천에 따른 수 중량 증가가 더해질 경우 하부 지지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루버(6′)가 파손되어 개열(開裂)되거나 또는 전체가 하방 탈락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우려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 작업 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종래의 전형적인 또 다른 핑거 타입 조인트로서의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6825호(2006.05.12일 등록)에 제안된 신축이음장치(1b′)에 대한 사시도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조는 마찬가지로 일체화된 핑거(2a′)를 갖는 핑거블록(2′)과, 상기한 핑거(2a′) 및 핑거 블록(2′) 각각의 저면에 부착되는 완충부재(9′) 및 간극유지부재(9″)와, 다시 그 저면에 부착되는 역 L자형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한 L자형 베이스 플레이트(3′)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는 볼트 체결부(5a′) 및 철근 배근체(4′)와, 상기한 핑거 블록(2′)을 베이스 플레이트(3′)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 볼트(5′)와,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3′)의 유간(12′)에 노출되는 외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이부((3a′)에 끼워 고정되는 탄성수지재로 된 루버(6′)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3′)의 내측과 핑거 블록(2′)의 외측 및, 철근 배근체(4′)는 무수축 콘크리트(10′) 중에 매설된다.
상기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1b′)는 완충부재(9′)와 간극유지부재(9″)를 적용함으로써 상판 구조물(10′)의 신축 정도에 무관하게 차량의 주행에 따른 하중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상판 구조물(10′)의 선단부 파손 우려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차량 통과시 발생 소음을 저감시키는 한편, 탄성수지재로 된 루버(6′)를 두 베이스 플레이트(3′)의 사이에 연결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걸이부(3a′)에 끼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핑거(2a′)와 핑거 블록(2′)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이므로 차량 통행 시 가해지는 국부적인 동하중에 의해 일부 핑거(2a′) 만이 손상된다 하더라도 핑거 블록(2′)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므로 상당히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맞물린 핑거(2a′) 사이의 공간부 면적도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청소 작업도 용이하지 않으며, 교량 상판으로부터 차량이나 바람, 우수 등에 의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루버(6′) 상에 그대로 침적 내지 퇴적되는 구조이므로 장기간에 걸친 실적용 시 이물질 퇴적 및/또는 이에 더한 우천시 수 중량 증가를 견디지 못하고 탄성수지재로 된 루버(6′) 전체가 하방 탈락되거나 파손 우려가 높아 수명이 길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극복한 핑거 타입 조인트로서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망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핑거 조인트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통행 차량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동하중이나 교량 경간의 미세 비틀림 신축 운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일부 핑거의 손상이나 파손에 따른 유지 보수 시, 교통을 통제하고 상판 구조물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등의 번거롭고 수고로운 작업으로 핑거 블록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전혀 없이, 손상된 핑거만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분리 제거 후 새로운 핑거로 교체할 수가 있어 높은 경제성 및 유지보수성을 가지는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조인트 내부의 청소가 보다 용이한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교량 상판으로부터 차량이나 바람, 우수 등에 의해 유입되는 이물질의 침적 내지 퇴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이물질의 퇴적 및/또는 이에 더한 우천시 수 중량 증가를 견디지 못하고 루버가 하방 탈락되거나 개열(開裂)될 우려를 현저히 저감시킨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 구조물의 선단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각각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과; 복수의 고정공을 가지는 다수의 분리형 핑거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의 통공과 분리형 핑거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구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하방에 배치되는 루버(louver)와; 수평부와, 상기한 수평부의 외측 및 내측 단부에 각각 이어지는 상향 제1 수직부 및 하향 제2 수직부를 가지며, 상기한 상향 제1 수직부는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하향 제2 수직부는 루버의 일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와; 선단에 경사부를 가지는 수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내측 플레이트 각각의 상향 제1 수직부의 내측에 상호 다른 높이로 상기한 수평판이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이물질 유입 방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 상에 각기 고정되는 다수의 분리형 핑거가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깍지 낀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구가 볼트 헤드를 가지는 고정 볼트로 형성되고 분리형 핑거의 고정공 내에서 너트 고정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분리형 핑거가 손톱부와 기단부로 형성되며, 상기한 기단부에 상기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분리형 핑거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내측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판의 경사부가 상호 이격 거리를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는, 차량 통행에 의한 국부적인 동하중이나 교량의 신축 운동 시의 미세 비틀림에 의한 일부 핑거의 손상이나 파손 또는 이물질 받이 또는 루버의 파손에 대한 유지 보수 시 교통을 통제하고 상판 구조물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등의 번거롭고 수고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핑거 블록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손상 또는 파손된 분리형 핑거만을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가 있으므로 높은 경제성 및 작업 효율성을 가짐과 아울러, 이물질 유입 방지판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루버 내로의 이물질의 침적 내지 퇴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오랜 기간에 걸쳐 침적되는 이물질 중량 증가에 의한 루버의 하방 탈락이나 개열(開裂)과 같은 파손 염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어 루버의 수명주기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형 핑거의 분해 또는 조립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핑거에 대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유간의 수축 시, 평시 및, 확장 시에 있어서의 핑거 및 핑거 블록과 루버의 위치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핑거 제거 상태 설명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다른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종래의 또 다른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사시도 및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2)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에 대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형 핑거(2)의 분해 또는 조립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 설명도이며, 도 4는 핑거(2)에 대한 다른 예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유간의 수축 시, 평시 및, 확장 시에 있어서의 분리형 핑거(2) 및 핑거 블록(3)과 루버(8)의 위치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분리형 핑거 (2)제거 상태 설명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의 기본 구조는 루프형 철근 배근체(9) 및 고정 플레이트(9a)가 용접 고정되는 수평부(4a)와 수직부(4b)를 가지는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4)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4) 각각의 수평부(4a) 상에 위치하며 몸체(3a) 상에 복수의 통공(도 2의 도면부호 3d 참조)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3)과; 복수의 고정공(2c)을 가지는 다수의 분리형 핑거(2)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3)의 통공(3d) 및 분리형 핑거(2)의 고정공(2c)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구(3b)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4) 사이의 하방에 배치되는 루버(louver)(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저면과 루프형 배근체(9) 및 고정 플레이트(9a)는 무수축 콘크리트(미도시) 타설에 의해 교량 상판 구조물(미도시)의 양측 선단의 상단부에 매립 고정된다.
상기한 핑거 블록(3)과 베이스 플레이트(4)의 고정은 용접 또는 앵커 볼트 등과 같은 다양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양측 교량 상판 구조물(미도시)의 신축 이동에 의해 함께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 상기한 각각의 핑거 블록(3)의 상면에는 다수의 분리형 핑거(2)가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깍지 낀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한 양측 교량 상판 구조물(미도시)의 신축 이동시 상기한 핑거 블록(3) 및 베이스 플레이트(4)와 동시에 신축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핑거 블록(3)에 고정되는 분리형 핑거(2)는 상호 대향하는 반대쪽 핑거 블록(3)의 상면을 교량의 신축 운동에 따라 활주하게는 되는 손톱부(2a)와 복수의 고정공(2c)이 형성되어 있는 기단부(2b)로 구성되며, 상기한 분리형 핑거(2)는 핑거 블록(3)에 형성된 통공(3d)과 상기한 분리형 핑거(2)에 형성된 고정공(2c)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구(3b)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한 고정구(3b)는 상단부 또는 전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볼트 헤드(3c)를 가지는 고정 볼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방으로부터 너트(2d)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 분리 및 체결 작업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방으로부터 너트(2d)를 고정시키는 형태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핑거 블록(3)의 통공(3d)의 내주면에는 나사부(미도시)를 형성하거나 민자형 원형 내주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있어 임의 선택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각각의 분리형 핑거(2)는 핑거 블록(3) 상에 고정구(3b)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다.
여기서, 각각의 분리형 핑거(2)의 손톱부(2a)는 연장된 외측 단부를 향하여 직선상 또는 곡선상 경사 구배(gradient)를 가지도록 경사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차량이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 부분을 통과할 때 충격 및 소음이 감소된 상태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톱부(2a)와 복수의 고정공(2c)이 형성되어 있는 기단부(2b)로 구성되는 각각의 분리형 핑거(2)의 상면에는 복수의 차량 미끄럼 방지용 오목 패턴(2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미끄럼 방지용 오목 패턴(2e)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선상 또는 곡선상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형성된 패턴, 또는 망상(網狀)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로 형성되거나 그 외의 다양한 다른 양각 또는 음각의 미끄럼 방지 패턴(non-slip pattern)(2e)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분리형 핑거(2) 각각의 기단부(2b)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공(2c)의 개수는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1 내지 5개 등 임의 선택적 사항에 불과하나, 도시된 예에서는 체결의 견고성 및 분리의 용이성 등을 위하여 2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한 고정구(3b)의 개수는 핑거 블록(3)의 통공(3d) 및 분리형 핑거(2)의 고정공(2c)의 수효에 의존적이다.
또한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4) 각각은, 수평부(7b)와, 상기한 수평부(7b)의 외측 단부에 이어지는 상향 제1 수직부(7a) 및, 상기한 수평부(7b)의 내측 단부에 이어지는 하향 제2 수직부(7c)를 가지는 내측 플레이트(7)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상향 제1 수직부(7a)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저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한 하향 제2 수직부(7c)에는 우수 배수용 루버(8)의 일단이 접착 또는 볼트 고정 또는 강제 끼워 맞춤 등과 같은 공지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통상적으로 상기한 루버(8)의 재질은 인조 또는 천연 고무나 라텍스와 같은 탄성수지체로 제작되나 필요하다면 열가소성 압출 성형 수지재 시트로 형성하거나, 또는 자외선과 같은 유해한 외부 환경에 의한 열화(劣化)나 노화(老化) 방지를 통한 수명 연장을 위하여 스테인리스 강판, 아연도 강판, 함석판과 같은 금속재 박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7,7) 각각의 상향 제1 수직부(7a)의 내측에는 수평판(5a,6a)과 그 선단에 경사부(5b,6b)를 가지는 좌우 한 쌍의 이물질 유입 방지판(5,6)이 상호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이물질 유입 방지판(5,6)의 경사부(5b,6b)는 상호 이격 거리를 좁히는 방향, 즉 상호 간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우수(雨水) 중에 혼입된 흙과 같은 이물질이 루버(8) 내로 유입되지 않고 우수만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채택에 의해 루버(8) 내로의 이물질의 침적 내지 퇴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오랜 기간에 걸쳐 침적되는 이물질 중량 증가에 의한 루버(8)의 하방 탈락이나 개열(開裂)과 같은 파손 염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어 루버(8)의 수명주기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일측의 이물질 유입 방지판(6)의 저면이 내측 플레이트(7)의 수평부(7b) 상면에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상호 접촉 상태로 함께 고정되는 반면, 타측의 이물질 유입 방지판(5)의 저면은 내측 플레이트(7)의 수평부(7b)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상방에 배치 고정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를 이용한 효과적이고도 경제적인 유지보수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파손 또는 손상된 분리형 핑거(2) 만의 교체)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A) 단계: - 파손 또는 손상된 분리형 핑거(2)의 분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2)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가 설치된 교량에서, 통행 차량의 국부적인 동하중이나 교량 상판의 미세 비틀림 거동이 수반된 신축 운동에 의한 일부 분리형 핑거(2)의 파손 또는 손상 시, 교통을 통제하고 상판 구조물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등의 번거롭고 수고로운 작업으로 핑거 블록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전혀 없이, 손상된 분리형 핑거(2)만을 나사 체결 해제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분리 제거한다.
(B) 단계 - 새로운 분리형 핑거(2)로의 교체
파손 또는 손상된 분리형 핑거(2)의 분리 제거에 이어, 새로운 분리형 핑거(2)로 교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2)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내부의 이물질 제거 청소)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도 수행될 수도 있다. (A) 단계: - 분리형 핑거(2)의 분리
삭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2)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가 설치된 교량에서, 상기한 신축이음장치(1) 내부의 청소를 위하여, 교통을 통제하고 상판 구조물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등의 번거롭고 수고로운 작업의 필요성 없이, 핑거 블록(3)으로부터 필요한 개소 또는 전체의 분리형 핑거(2)를 나사 결합 해제에 의해 분리한다.
(B) 단계: - 청소
분리된 분리형 핑거(2)가 위치하는 개소를 통하여 신축이음장치(1)의 내부 공간에 침적 내지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C) 단계: - 분리형 핑거(2)의 재결합
청소 후 분리된 분리형 핑거(2)를 다시 나사 결합에 의해 핑거 블록(3)에 다시 재결합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2)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1)가 설치된 교량의 핑거 조인트에 대한 유지보수방법을 사용하면, 차선을 통제하고 상판 구조물의 무수축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등의 번거롭고 수고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손상 또는 파손된 분리형 핑거(2) 만을 교량 상판으로부터 간단히 분리 교체하거나, 또는 분리형 핑거(2) 분리 후 청소하거나, 또는 교각이나 교각 코핑에 형성된 점검로를 통하여 유간의 조인트 하방으로부터 접근하여 루버(8)를 간단히 체결 해제하고 청소 후 다시 체결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높은 작업 효율성 및 경제성을 가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2: 분리형 핑거
2a: 손톱부 2b: 기단부
2c: 고정공 2d: 너트
3: 핑거 블록
3a: 몸체 3b: 고정구(고정볼트)
3c: 볼트 헤드 3d: 통공
4: 베이스 플레이트
4a: 수평부 4b: 수직부
5,6: 이물질 유입 방지판
5a,6a: 수평판 5b,6b: 경사부
7: 내측 플레이트
7a: 상향 제1 수직부 7b: 수평부
7c: 하향 제2 수직부
8: 루버
9: (루프형 철근) 배근체 9a: 고정 플레이트

Claims (8)

  1.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 구조물의 선단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각각 위치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과;
    복수의 고정공을 가지는 다수의 분리형 핑거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의 통공과 분리형 핑거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구와;
    상기한 좌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하방에 배치되는 루버(louver)와;
    수평부와, 상기한 수평부의 외측 및 내측 단부에 각각 이어지는 상향 제1 수직부 및 하향 제2 수직부를 가지며, 상기한 상향 제1 수직부는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하향 제2 수직부는 루버의 일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플레이트와;
    선단에 경사부를 가지는 수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내측 플레이트 각각의 상향 제1 수직부의 내측에 상호 다른 높이로 상기한 수평판이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이물질 유입 방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좌우 한 쌍의 핑거 블록 상에 각기 고정되는 다수의 분리형 핑거가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깍지 낀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구가 볼트 헤드를 가지는 고정 볼트로 형성되고 분리형 핑거의 고정공 내에서 너트 고정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분리형 핑거가 손톱부와 기단부로 형성되며, 상기한 기단부에 상기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분리형 핑거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내측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판의 경사부가 상호 이격 거리를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20018342A 2012-02-23 2012-02-23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KR10120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342A KR101203480B1 (ko) 2012-02-23 2012-02-23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342A KR101203480B1 (ko) 2012-02-23 2012-02-23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480B1 true KR101203480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342A KR101203480B1 (ko) 2012-02-23 2012-02-23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4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972B1 (ko) * 2017-09-29 2018-07-31 이현준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03574B1 (ko) * 2019-07-03 2020-04-22 주식회사 큐디앤 핑거조인트, 핑거조인트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핑거지지판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28Y1 (ko) * 1999-02-02 2002-01-19 김기중 핑거 조인트
KR200323003Y1 (ko) * 2003-05-02 2003-08-14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KR100466413B1 (ko) * 2002-10-02 2005-01-13 (주)디에스엘 교량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028Y1 (ko) * 1999-02-02 2002-01-19 김기중 핑거 조인트
KR100466413B1 (ko) * 2002-10-02 2005-01-13 (주)디에스엘 교량연결구조
KR200323003Y1 (ko) * 2003-05-02 2003-08-14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972B1 (ko) * 2017-09-29 2018-07-31 이현준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03574B1 (ko) * 2019-07-03 2020-04-22 주식회사 큐디앤 핑거조인트, 핑거조인트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핑거지지판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062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4886B1 (ko) 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2375815B1 (ko)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80108705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볼트풀림 방지구조
KR101375825B1 (ko) 도로 교량의 조인트
KR101203480B1 (ko)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KR100812102B1 (ko) 핑거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668368B (zh) 一种塑性铰区扩大截面装配式摇摆桥墩及其施工方法
KR10067694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229001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KR102484097B1 (ko) 후타 보존 부분교체형 핑거조인트와 핑거조인트의 조립방법 및 교체방법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KR100658535B1 (ko) 신축이음장치
KR20070000971A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KR1012290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WO2006065041A1 (en)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1862998B1 (ko) 이탈방지용 핑거 조인트
KR10071499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04673B1 (ko) 신축이음장치
KR20200006446A (ko) 내구성과 체결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조립형 교량신축이음장치
KR20190012428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KR102321972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1002423B1 (ko)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