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03Y1 -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3003Y1 KR200323003Y1 KR20-2003-0013748U KR20030013748U KR200323003Y1 KR 200323003 Y1 KR200323003 Y1 KR 200323003Y1 KR 20030013748 U KR20030013748 U KR 20030013748U KR 200323003 Y1 KR200323003 Y1 KR 2003230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bridge
- drain
- concrete layer
- joi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신축이음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신축이음부에 드레인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교량의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배수시키고, 누적되는 이물질 또한 드레인 패널을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는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의 접합면을 따라 설치되어 빗물을 모으는 집수수단과, 상기 집수수단에서 공급된 빗물을 하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가이드로부터 이탈되면 누적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패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 신축이음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신축이음부에 드레인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교량의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배수시키고, 누적되는 이물질 또한 드레인 패널을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다수 개의 기둥을 세운 후에 그 상측에 철골 구조로 그 골격을 형성하고, 그 골격에 콘크리트가 공급되어 교량 상판의 형상을 이루며, 교량 상판의 상면에는 아스팔트가 도포되어 일반 도로와 같은 조건을 이룰도록 한다.
이러한, 교량 상판은 계절에 따라 발생되는 온도변화에 의해 일정량 그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다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 연결부위가 신축이음부이다.
상기 신축이음부는 다수 개의 상판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상판 단부에 핑거 조인트가 설치되어 서로 맞물려 연결되는 바, 상기 핑거 조인트는 고정앵커가 핑거 조인트의 배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교량 상판의 단부에 배치되고, 여기에 무수축 콘크리트가 공급된 후, 경화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핑거 조인트는 그 평면 형상이 규칙적인 산과 골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핑거 조인트와 맞물리게 배치되어 신축이음부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신축이음부는 그 저면에 배수처리장치가 설치되어 빗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배수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층과 아스팔트층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신축이음부의 하측으로 모으는 집수수단과, 상기 집수수단에 의해 모아진 빗물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가이드에서 연장된 배수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는 단순히 집수수단 및 가이드, 배수관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나, 빗물과 함께 배수처리장치로 유입되는 이물질들은 조금씩 배수처리장치 내부에 누적되므로 장기간 동안 방치되면 배수처리장치에 누적된 이물질에 의해 배수관이 막히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소요되는 교량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처리장치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레인 패널이 설치됨으로써, 장기간 동안 배수처리장치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배수처리장치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집수수단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가이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드레인 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콘크리트층 2a : 단차
4 : 아스팔트층 10 : 신축이음부
12 : 무수축 콘크리트층 14 : 고정앵커
16 : 핑거 조인트 20 : 집수수단
22 : 유공관 24 : 배수 유도관
26 : 홀부 30 : 가이드
32 : 걸림부 34 : 홈부
36 : 경사부 40 : 드레인 패널
42 : 체결홈부 44 : 배수관
50 : 배수처리장치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는 콘크리트층과 아스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교량 상판의 단부에 배치되어 교량 상판 각각의 단부가 맞물리도록 하는 핑거 조인트와, 상기 핑거 조인트의 배면에서 연장된 고정앵커와, 상기 고정앵커와 교량 상판 단부 사이에서 경화되어 고정앵커가 지지되도록 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교량 신축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판의 단부 중에서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의 접합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접합면과 대응되는 면에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된 한 쌍의 유공관 및 상기 유공관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배수 유도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수축 콘크리트층에 의해 지지되는 집수수단과;
상기 배수 유도관으로부터 배수된 빗물이 하측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걸림부가 콘크리트층에 형성된 단차에 안착되어 상기 무수축 콘크리트층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단에 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홈부에 슬라이드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측 상단에 체결홈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관이 연결되어 가이드로부터 흐르는 빗물이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도록 하며, 가이드로부터 이탈되면 누적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패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는 신축이음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교량 상판 단부 중에 아스팔트층(4)과 콘크리트층(2)의 접합면을 따라 설치되어 아스팔트층(4)과 콘크리트층(2) 사이로 스며든 빗물이 모아지도록 하는 집수수단(20)과, 상기 집수수단(20)에 의해 교량 상판의 단부와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모아진 빗물이 하측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각각의 교량 상판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30)와, 상기 가이드(30)의 하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가이드(30)로부터 이탈되면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패널(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집수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집수수단(20)은 좌우 방향으로 긴 관의 단면 모양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아스팔트층(4)과 콘크리트층(2)의 접합면과 대응되는 면에 다수 개의 홀부(26)가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공관(22)과, 상기 유공관(2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신축이음부(1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유공관(22)으로 모아진 빗물이 가이드(30)를 따라 드레인 패널(40)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수 유도관(24)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수단(20)은 콘크리트층(2)에 형성된 단차(2a)에 설치되는데, 이 단차(2a)에는 신축이음부(10)를 이루는 핑거 조인트(16) 및 핑거 조인트(16)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된 고정앵커(14)가 배치되고, 이 단차(2a)에 무수축 콘크리트층(12)이 형성되면서 신축이음부(10) 및 집수수단(20)이 교량 상판 단부에 고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가이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가이드(30)는 좌우 방향으로 긴 패널로 이루어져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차(2a)에 안착되는 걸림부(32)를 이루고, 하단은 외측으로 다수 차례 절곡되어 상기 드레인 패널(4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30)는 하부가 내측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절곡되는 경사면(36)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6)의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다수 차례 절곡되어 상기 홈부(34)를 이루므로 가이드(30)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빗물은홈부(34)에 접촉되지 않고 경사면(36)을 따라 드레인 패널(40)로 이동되기 때문에 가이드(30)와 드레인 패널(40) 사이의 체결부위에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드레인 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드레인 패널(40)은 좌우 방향으로 긴 패널의 양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상단이 내측으로 다수 차례 절곡되어 상기 홈부(3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홈부(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패널(40)은 저면에 홀부가 형성되어 빗물이 외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배수관(46)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46)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44)이 드레인 패널(40)의 양측면에 형성됨으로써, 드레인 패널(40)로 공급된 빗물이 내부에 잔류되지 않고, 배수관(46) 측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드레인 패널(40)을 가이드(30)의 홈부(34)에 삽입하면 핑거 조인트(16)의 틈새로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드레인 패널(40)로 모아지고, 상기 아스팔트(4)으로 스며들어 접합면을 따라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유공관(22)으로 모아져 배수 유도관(24)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흐르면서 가이드(30)이 경사면(36)을 지나 드레인 패널(40)로 모아진다. 이로써, 드레인 패널(40)로 모아진 빗물은 배수관(46)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드레인 패널(40)을 장기간 방치하여 내부에 이물질이 일정치이상 누적되면 상기 배수관(46)이 막혀 빗물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데, 이때는 상기 드레인 패널(40)을 홈부(24)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가이드(30)로부터 분리시키면 드레인 패널(40) 내부에 담겨진 이물질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가이드(30)의 홈부(34)에 드레인 패널(40)의 체결홈부(42)를 삽입하여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드레인 패널(40)의 장착을 이루어 원활한 배수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는 빗물이 모아지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에 배수관이 설치된 드레인 패널이 빗물을 하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의 하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장기간 동안 빗물이 배수되면서 드레인 패널에 이물질이 누적되면 드레인 패널을 가이드로부터 이탈시켜 누적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처리장치의 막힘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 콘크리트층(2)과 아스팔트층(4)으로 이루어지는 교량 상판의 단부에 배치되어 교량 상판 각각의 단부가 맞물리도록 하는 핑거 조인트(16)와, 상기 핑거 조인트(16)의 배면에서 연장된 고정앵커(14)와, 상기 고정앵커(14)와 교량 상판 단부 사이에서 경화되어 고정앵커(14)가 지지되도록 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12)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교량 신축이음부에 있어서;상기 교량 상판의 단부 중에서 아스팔트층(4)과 콘크리트층(2)의 접합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접합면과 대응되는 면에 다수 개의 홀부(26)가 형성된 한 쌍의 유공관(22) 및 상기 유공관(22)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배수 유도관(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수축 콘크리트층(12)에 의해 지지되는 집수수단(20)과;상기 배수 유도관(24)으로부터 배수된 빗물이 하측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걸림부(32)가 콘크리트층(2)에 형성된 단차(2a)에 안착되어 상기 무수축 콘크리트층(12)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단에 홈부(34)가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30)와;상기 가이드(30)의 홈부(32)에 슬라이드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측 상단에 체결홈부(42)가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관(46)이 연결되어 가이드(30)로부터 흐르는 빗물이 배수관(46)을 따라 배출되도록 하며, 가이드로(30)부터 이탈되면 누적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패널(4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30)는 하부에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36)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6)의 하단이 외측으로 다수 차례 절곡되어 상기 홈부(34)를 이루며, 상기 체결홈부(42)는 드레인 패널(40)의 상단이 내측 방향으로 다수 차례 절곡되어 이루어지므로 빗물이 결합부위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3748U KR200323003Y1 (ko) | 2003-05-02 | 2003-05-02 |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3748U KR200323003Y1 (ko) | 2003-05-02 | 2003-05-02 |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3003Y1 true KR200323003Y1 (ko) | 2003-08-14 |
Family
ID=4941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3748U KR200323003Y1 (ko) | 2003-05-02 | 2003-05-02 |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3003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551B1 (ko) | 2008-08-26 | 2008-12-02 | 김종길 |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
KR101036277B1 (ko) | 2011-02-18 | 2011-05-23 | 오환원 |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
KR101203480B1 (ko) * | 2012-02-23 | 2012-11-21 | (주) 한길산업 |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
KR101216310B1 (ko) * | 2010-09-28 | 2012-12-28 | 김재환 | 도로구조물의 무소음 신축이음구조 |
KR101229001B1 (ko) * | 2012-01-19 | 2013-02-04 | 하나더이앤씨(주)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KR101776152B1 (ko) * | 2015-07-07 | 2017-09-08 | 유한회사 케이에이치건설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
KR20200009635A (ko) | 2018-07-19 | 2020-01-30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배수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
2003
- 2003-05-02 KR KR20-2003-0013748U patent/KR20032300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551B1 (ko) | 2008-08-26 | 2008-12-02 | 김종길 |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
KR101216310B1 (ko) * | 2010-09-28 | 2012-12-28 | 김재환 | 도로구조물의 무소음 신축이음구조 |
KR101036277B1 (ko) | 2011-02-18 | 2011-05-23 | 오환원 |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
KR101229001B1 (ko) * | 2012-01-19 | 2013-02-04 | 하나더이앤씨(주)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KR101203480B1 (ko) * | 2012-02-23 | 2012-11-21 | (주) 한길산업 |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
KR101776152B1 (ko) * | 2015-07-07 | 2017-09-08 | 유한회사 케이에이치건설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
KR20200009635A (ko) | 2018-07-19 | 2020-01-30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배수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2599B1 (ko) |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 |
KR101960303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US7506844B2 (en) | Drainage channel installation device | |
KR200323003Y1 (ko) |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 |
JP4484287B2 (ja) | 建築物の床 | |
KR101229001B1 (ko)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 |
RU2435910C2 (ru) | Дренажный элемент с выемками для очистки | |
KR200453460Y1 (ko) |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 |
KR100869551B1 (ko) |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 |
KR100861480B1 (ko) | 신축이음장치용 탈착이 용이한 배수시트 교체장치 및 이의시공방법 | |
KR20120003355U (ko) |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
RU197810U1 (ru) | Лоток бетонного водоотвода | |
KR102261661B1 (ko) | 폴리우레아 유도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유도배수 시공 방법 | |
KR100949478B1 (ko) |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443254Y1 (ko) | 중앙 배수장치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CN105113806B (zh) | 混凝土楼板置换木楼板施工方法和防水布固定结构 | |
KR200324571Y1 (ko) | 배수조가 부설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0542732B1 (ko) | 배수조가 부설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0231559Y1 (ko) | 옥상용 드레인 유닛 | |
KR200323996Y1 (ko) | 교량슬래브 바닥구간의 종방향 배수드레인 체결구조 | |
JP7016981B1 (ja) | 橋台、橋脚の橋座面の排水システム | |
CN218374791U (zh) | 一种光伏建筑一体化走道板结构 | |
KR200369559Y1 (ko) |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의 필터구조 | |
KR200476485Y1 (ko) | 배수장치 | |
KR20120066206A (ko) |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