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72B1 -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72B1
KR101883972B1 KR1020170128036A KR20170128036A KR101883972B1 KR 101883972 B1 KR101883972 B1 KR 101883972B1 KR 1020170128036 A KR1020170128036 A KR 1020170128036A KR 20170128036 A KR20170128036 A KR 20170128036A KR 101883972 B1 KR101883972 B1 KR 10188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horizontal
finger
leakag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이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준 filed Critical 이현준
Priority to KR102017012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상면 일부분을 감싸고 일측 상부에 제1힌지결합부가 마련된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수직판; 상기 한 쌍의 교량상판 사이에 배치되는 누수방지판; 상기 수평판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틀;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상판에 설치된 철근에 고정되는 앵커; 및 상기 수평판에 마련된 제1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힌지결합부를 축으로 회전되는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핑거플레이트와 수평판이 힌지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누수방지판의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OF BRIDGE INCLUDING HINGE TYPE FINGER PLATE}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방지판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구조물은 교량상판의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간격(일반적으로 "유간"이라고 함)을 두고 그 사이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상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하게 한다.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교량상판에 매입되므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균열이나 파손 또는 누수방지판의 손상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신축이음장치를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깨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신축이음장치의 부자재들 중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부자재만의 시공이 불가능하여, 신축이음장치 전체를 보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9247호의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의 시공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누수방지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핑거플레이트를 상판으로부터 분리하여야 되었기 때문에, 누수방지판의 교체 작업이 힘들뿐더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방지판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상면 일부분을 감싸고 일측 상부에 제1힌지결합부가 마련된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수직판; 상기 한 쌍의 교량상판 사이에 배치되는 누수방지판; 상기 수평판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틀;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상판에 설치된 철근에 고정되는 앵커; 및 상기 수평판에 마련된 제1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힌지결합부를 축으로 회전되는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수방지판 양단부의 일측면에는 제1톱니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틀과 상기 누수방지판 단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톱니부분에 맞물려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를 상기 삽입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삽입틀과 상기 누수방지판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누수방지판 단부가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판과 상기 핑거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토션스프링은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수평상태로의 회전 운동방향에 반하는 힘을 부가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수평상태로의 회전 운동 시에는 회전력을 완충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수직상태로의 회전 운동 시에는 회전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핑거플레이트와 수평판이 힌지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시공이 용이해지므로, 핑거플레이트 시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누수방지판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는 핑거플레이트를 수평판의 제1힌지결합부를 축으로 회전시켜 누수방지판의 보수작업을 실시 할 수 있어, 누수방지판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고, 누수방지판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설치되며, 수평판(100), 수직판(200), 누수방지판(300), 삽입틀(400), 앵커(500) 및 핑거플레이트(60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평판(100)은 교량상판(20)에 고정되어 교량상판(20)의 상면 일부분을 감싼다.
그리고, 수평판(100)은 일측 상부에 핑거플레이트(600)와 결합되는 제1힌지결합부(110)가 마련되고, 상부에 안착되는 핑거플레이트(6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판(200)은 수평판(10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교량상판(2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싼다.
따라서, 수평판(100)과 수직판(200)은 교량상판(20)의 단부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교량상판(20)의 상면 일부분 및 측면 일부분을 감싼다.
누수방지판(300)은 한 쌍의 교량상판(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누수방지판(300)은 하부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누수방지판(300)은 양단부에 볼록한 돌출부분(310)이 각각 마련되어, 연접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각각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삽입틀(400)에 양단부에 마련된 돌출부분(310)이 걸릴 수 있다.
그리고, 누수방지판(300)은 고무재질 또는 방수기능 및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누수방지판(300)은 연접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각각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핑거플레이트(600) 사이의 틈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하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틀(400)은 수평판(10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누수방지판(3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상측이 개방된 삽입공간(400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에 누수방지판(300)의 단부가 삽입된 이후, 삽입틀(400)로부터 누수방지판(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410)가 마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삽입틀(400)은 한 쌍의 교량상판(20) 사이 측인 수직판(20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도 있다.
앵커(500)는 수직판(2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교량상판(20)에 설치된 철근(21)에 고정된다.
앵커(500)는 L형이나 I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교량상판(20) 내부의 철근(21)과 결합되어 교량상판(20)에 고정될 수 있고, 교량상판(20)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부재(G)에 결합되어 교량상판(20)에 고정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충진부재(G)는 에폭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모르타르로 마련될 수도 있고, 콘크리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충진부재(G)는 핑거플레이트(600)와 동일한 높이까지 충진된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핑거플레이트(600)는 단부에 마련된 제2힌지결합부(610)를 통해 수평판(100)에 마련된 제1힌지결합부(110)와 힌지 결합되어, 제1힌지결합부(110)를 축으로 회전된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핑거플레이트(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조절부재(620)를 포함한다.
조절부재(620)는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설치되는 각각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해서, 조절부재(620)는 교량상판(20)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를 설치하기 전에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설치되는 각각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간의 간격을 미리 조정하는 프리 세팅 기능을 하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설치 용이성과 시공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핑거플레이트(600)는 수평판(100)과 볼트(V) 및 너트(N)를 통해 결합되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상에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핑거플레이트(60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수평판(100)에는 회전방지부재(K)가 마련되고, 핑거플레이트(600)에는 회전방지부재 삽입홈(Ks)이 마련되어, 핑거플레이트(600)가 수평판(100)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들어 올려 진 경우, 수평판(100)에 마련된 회전방지부재(K)를 지지대로써 핑거플레이트(600)에 마련된 회전방지부재 삽입홈(Ks)에 삽입하여, 자중에 의해 핑거플레이트(600)가 수평판(10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핑거플레이트(600)에는 회전방지부재(K)가 마련되고, 수평판(100)에는 회전방지부재 삽입홈(Ks)이 마련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제1토션스프링(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션스프링(700)은 수평판(100)과 핑거플레이트(600) 사이에 배치되어, 핑거플레이트(600)의 수평상태로의 회전 운동방향에 반하는 힘을 부가하여, 핑거플레이트(600)의 수평상태로의 회전 운동 시에는 회전력을 완충하고, 핑거플레이트(600)의 수직상태로의 회전 운동 시에는 회전력을 보강한다.
따라서, 핑거플레이트(600)가 들어올려지는데 필요한 힘이 감소하여, 제1토션스프링(700)은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토션스프링(700)은 핑거플레이트(600)의 수평상태로의 회전 운동 시 핑거플레이트(600)와 수평판(100)의 부딪힘으로 인해 핑거플레이트(600)나 수평판(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연장 배치되는 각각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끼리의 연결을 위해, 수직판(200)의 측면에 연장결합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누수방지판(300) 양단부의 일측면에는 제1톱니부분(320)이 마련되고,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회전부(800) 및 이탈방지부(900)를 더 포함한다.
회전부(800)는 삽입틀(400)과 누수방지판(300) 단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1톱니부분(320)에 맞물리며, 회전방향에 따라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삽입공간(400s)으로 이동시키거나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부(800)는 브라켓(810), 베어링(820) 및 회전축(830)을 포함한다.
브라켓(810)은 수평판(10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베어링(820)은 베어링(820)에 연결되는 회전축(830)이 누수방지판(300)에 마련되는 제1톱니부분(320)과 맞물릴 수 있도록 브라켓(810)의 하측에 설치된다.
회전축(830)은 베어링(8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톱니부분(320)에 맞물리는 제2톱니부분(831)이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축(830)은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삽입공간(400s)으로 이동시키거나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부가적으로, 회전축(830)의 축단부에는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미도시)를 회전시켜 회전축(830)을 회전시킬 수 도 있고, 회전축(830)의 축단부에는 손잡이 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미도시)를 손잡이 결합부(미도시)에 결합시켜 손잡이(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830)을 회전시킬 수 도 있다.
이탈방지부(900)는 삽입틀(400)과 누수방지판(300)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누수방지판(300) 단부에 밀착되어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가 각각 설치된 경우, 누수방지판(300)은 이탈방지부(900)에 의해 고정되어 각각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사이의 틈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하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탈방지부(900)에는 제2토션스프링(미도시)이 내재되어있어, 누수방지판 단부가 삽입공간(400s)으로 이동되는 중에도 제1톱니부분(3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삽입공간(400s)으로 삽입된 누수방지판(300)의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토션스프링(미도시)은 누수방지판(300)의 자중으로 인해 이탈방지부(900)가 회전축(830) 측으로 꺾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누수방지판(300) 단부가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에 삽입되는 경우 및 누수방지판(300) 단부가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토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5를 참조하여, 누수방지판(300) 단부가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에 삽입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회전축(830)에 밀착시키고 회전축(830)을 회전시키면,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는 회전축(8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도5에서와 같이, 이탈방지부(900)는 누수방지판(300)에 밀착된 상태로 누수방지판(300)의 제2톱니부분(831)에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누수방지판(300)의 이동이 종료되면 도4에서와 같이, 이탈방지부(900)는 누수방지판(300) 단부가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6을 참조하여, 누수방지판(300) 단부가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토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누수방지판(300)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시, 작업자는 누수방지판(300)의 토출을 막는 이탈방지부(900)를 회전시켜 누수방지판(300)이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회전축(830)을 회전시켜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누수방지판(300)을 토출하거나, 누수방지판(300)을 잡아 당겨 삽입틀(400)의 삽입공간(400s)으로부터 누수방지판(300)을 토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탈방지부(900)의 단부에는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미도시)를 회전시켜 이탈방지부(900)를 회전시킬 수 도 있고, 이탈방지부(900)의 단부에는 손잡이 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미도시)를 손잡이 결합부(미도시)에 결합시켜 손잡이(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이탈방지부(900)를 회전시킬 수 도 있다.
정리하면, 이탈방지부(900)를 통해 누수방지판(300)을 삽입틀(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830)을 통해 누수방지판(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각각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사이의 틈에 대응되는 길이로 누수방지판(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900)를 회전시킴으로써, 누수방지판(300)을 간편하게 토출할 수 있어, 누수방지판(300) 교체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핑거플레이트(600)와 수평판(100)이 힌지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시공이 용이해지므로, 핑거플레이트(600) 시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누수방지판(300)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는 핑거플레이트(600)를 수평판(100)의 제1힌지결합부(110)를 축으로 회전시켜 누수방지판(300)의 보수작업을 실시 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00 : 수평판 110 : 제1힌지결합부
200 : 수직판 300 : 누수방지판
400 : 삽입틀 500 : 앵커
600 : 핑거플레이트 610 : 제2힌지결합부
620 : 조절부재 700 : 제1토션스프링
800 : 회전부 900 : 이탈방지부
20 : 교량상판 21 : 철근

Claims (4)

  1.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상면 일부분을 감싸고 일측 상부에 제1힌지결합부가 마련된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수직판;
    상기 한 쌍의 교량상판 사이에 배치되는 누수방지판;
    상기 수평판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틀;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고 상기 교량상판에 설치된 철근에 고정되는 앵커; 및
    상기 수평판에 마련된 제1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힌지결합부를 축으로 회전되는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에는 회전방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회전방지부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수평판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들어 올려 진 경우,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회전방지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가 상기 수평판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판 양단부의 일측면에는 제1톱니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틀과 상기 누수방지판 단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톱니부분에 맞물려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를 상기 삽입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삽입틀과 상기 누수방지판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누수방지판 단부가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과 상기 핑거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토션스프링은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수평상태로의 회전 운동방향에 반하는 힘을 부가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수평상태로의 회전 운동 시에는 회전력을 완충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수직상태로의 회전 운동 시에는 회전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170128036A 2017-09-29 2017-09-29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8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036A KR101883972B1 (ko) 2017-09-29 2017-09-29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036A KR101883972B1 (ko) 2017-09-29 2017-09-29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972B1 true KR101883972B1 (ko) 2018-07-31

Family

ID=6307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036A KR101883972B1 (ko) 2017-09-29 2017-09-29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04B1 (ko) * 2020-04-17 2020-12-04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10009047A (ko)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신축 이음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214B1 (en) * 2001-03-27 2002-10-08 Ming-Huang Chang Vibration resistive instant responding roadway or bridg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US7389555B2 (en) * 2004-01-08 2008-06-24 Bin Xu Large resisting distortion comb-type bridge expansion joint
KR101203480B1 (ko) * 2012-02-23 2012-11-21 (주) 한길산업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KR20150105582A (ko) * 2014-03-07 2015-09-17 주식회사 삼일테크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KR101728861B1 (ko) * 2016-12-12 2017-04-20 (주)삼광건설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214B1 (en) * 2001-03-27 2002-10-08 Ming-Huang Chang Vibration resistive instant responding roadway or bridg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US7389555B2 (en) * 2004-01-08 2008-06-24 Bin Xu Large resisting distortion comb-type bridge expansion joint
KR101203480B1 (ko) * 2012-02-23 2012-11-21 (주) 한길산업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KR20150105582A (ko) * 2014-03-07 2015-09-17 주식회사 삼일테크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KR101728861B1 (ko) * 2016-12-12 2017-04-20 (주)삼광건설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047A (ko)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신축 이음 방법
KR102232527B1 (ko) * 2019-07-16 2021-03-26 손찬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신축 이음 방법
KR102187004B1 (ko) * 2020-04-17 2020-12-04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972B1 (ko)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8951963A (zh) 装配式墙体的施工方法
KR102020600B1 (ko)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603871A (zh) 桥梁伸缩单元构件及桥梁伸缩装置
KR20190041131A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1287489B1 (ko)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WO2023246518A1 (zh) 一种桥梁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170261B1 (ko)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KR102037988B1 (ko) 일괄 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10387813B (zh) 一种桥梁的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284062A (zh) 桥梁伸缩单元构件及桥梁伸缩装置
KR100982659B1 (ko) 교량의 교좌장치 및 핑거 조인트의 고정력 증강장치
BR112017011525B1 (pt) Unidade de bloco de dormente para sistemas de trilhos ferroviários
KR200352048Y1 (ko)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장치
KR20170044085A (ko) 물 조절 게이트 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337479B1 (ko)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KR101064193B1 (ko) 관절형 신축이음장치
KR101841479B1 (ko) 교좌장치를 구비하는 교량 및 이의 보수방법
KR101407990B1 (ko) 신축이음장치 후타콘크리트 교체공법 및 신축이음장치 후타부 구조체
KR100868930B1 (ko) 수로교의 신축 이음 장치
KR20210033652A (ko)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KR100637849B1 (ko)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
KR102169114B1 (ko) 신축이음장치 설치 공법
JP3069303B2 (ja) 落橋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