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652A -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652A
KR20210033652A KR1020190115199A KR20190115199A KR20210033652A KR 20210033652 A KR20210033652 A KR 20210033652A KR 1020190115199 A KR1020190115199 A KR 1020190115199A KR 20190115199 A KR20190115199 A KR 20190115199A KR 20210033652 A KR20210033652 A KR 20210033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crete
bridge
bridge top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로드
Priority to KR102019011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652A/ko
Publication of KR2021003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는 경우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상판의 수직절개면(20)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교량상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신축판(110)이 형성되는 전면판(100)과; 전면판(1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으로 후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 연장되는 앵커바(200)와; 앵커바(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철근(300)과;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콘크리트구조물(500)을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에 설치된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너트(50)로 체결되는 보호관(400)과; 전면판(100)이 밀착된 상태로 앵커바(200), 고정철근(300) 및 보호관(400)을 감싸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과 수직절개면(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생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s for bridge deck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using concrete in the field}
본 발명은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는 경우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부의 다수개의 교각과, 교각의 상부에 안착되어 도로를 형성하게 되는 다수개의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양쪽 상판의 동적거동을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유격 폭으로 이음틈새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음틈새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폐쇄함으로써 상부에서 주행하게 되는 차량이 원활히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빗물이나 각종 이물질이 해당 이음틈새를 통해 유입, 낙하하여 교량의 하부 시설물들을 오염시키거나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상판의 모서리에 신축가능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교량상판들(1)의 설치공간(2)으로 연장되어 교량상판의 주철근에 체결되는 앵커바(3)와; 두 개의 교량상판(1)의 끝면에 각각 위치하며 앵커바(3)과 연결되는 플레이트들(4)과; 플레이트들(4)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신축부(5)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들(4)의 하단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우수안내부(6)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량상판을 지나는 차량의 반복적인 하중 등에 의해서 손상되어 필수적으로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신축이음장치가 인접한 위치의 콘크리트부들 전체를 파쇄하고 다시 주철근에 용접된 앵커바들 제거하고 새로운 신축이음장치의 앵커바를 다시 주철근에 용접하여 고정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교체방법은 주철근에서 용접된 앵커바를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앵커바를 용접하기 때문에 주철근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결국 주철근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주철근의 피로도가 증가되거나 파손되면 새로운 신축이음장치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신축이음장치의 교체주기가 빨라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는 경우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상판의 수직절개면(20)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교량상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신축판(110)이 형성되는 전면판(100)과; 전면판(1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으로 후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 연장되는 앵커바(200)와; 앵커바(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철근(300)과;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콘크리트구조물(500)을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에 설치된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너트(50)로 체결되는 보호관(400)과; 전면판(100)이 밀착된 상태로 앵커바(200), 고정철근(300) 및 보호관(400)을 감싸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과 수직절개면(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생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500)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상판의 수직절개면(20)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교량상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신축판(1110)이 형성되는 전면판(1100)과; 전면판(11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으로 후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 연장되는 앵커바(1200)와; 앵커바(1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철근(1300)과;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콘크리트구조물(1500)을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일단이 바닥판(1600)의 관통홀(161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에 설치된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너트(50)로 체결되는 보호관(1400)과; 전면판(110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의 지지볼트(30)가 관통되면서 보호관(1400)의 끝단이 체결되는 관통홀(1610)이 형성된 바닥판(1600)과; 전면판(1100)과 바닥판(1600)이 밀착된 상태로 앵커바(1200), 고정철근(1300) 및 보호관(1400)을 감싸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과 수직절개면(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생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1500)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바닥판(1600)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전면판(1100)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후면판(1700)과; 바닥판(1600)의 양측면에서 전면판(1100)과 후면판(1700)에 밀착되면서 전면판(100)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측면판(1800)을 더 포함하며, 콘크리트구조물(500)은 전면판(1100), 바닥판(1600), 후면판(1700), 측면판(1800)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콘크리트가 주입되고 양생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상판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는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것으로 신속하게 분리하고 교체할 수 있어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아 용이하게 재설치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상판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가 사용되는 교량상판의 모서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콘크리트구조물이 타설된 결합상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신축이음장치가 교량상판에 설치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콘크리트구조물이 타설된 결합상태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의 결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도 2와 같이 교량상판의 모서리에서 'ㄴ'형상의 수평절개면(10)과 수직절개면(20)에 형성되며, 수평절개면(10)에는 지지볼트(30)가 돌출형성되고, 수평절개면(10)의 상부에는 지지볼트(30)가 관통되는 수평고정판(40)이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전면판(100), 앵커바(200), 고정철근(300), 보호관(400), 콘크리트구조물(500)을 포함한다.
전면판(100)은 교량상판의 수직절개면(20)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교량상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신축판(110)이 형성된다. 이때, 신축판(110)에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및 철거시에 용이하게 신축이음장치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관통홀(111)이 다수개 형성된다.
앵커바(200)는 전면판(1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으로 후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 연장된다. 이때, 앵커바(200)는 전면판(100)의 후면에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전면판(100)의 후면에 나사홈(120)을 형성하고 앵커바(200)의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철근(300)은 앵커바(200)의 상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ㅇ 고정된다. 이때, 고정철근(300)은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관(400)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콘크리트구조물(500)을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에 설치된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너트(50)로 체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관(400)에 의해서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의 바닥에 설치된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된 후에 고정너트(50)로 체결되어 신축이음장치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보호관(400)은 신축이음장치의 고정후에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등으로 몰딩된다.
콘크리트구조물(500)은 전면판(100)이 밀착된 상태로 앵커바(200), 고정철근(300) 및 보호관(400)을 감싸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과 수직절개면(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생성된다. 즉, 콘크리트구조물(500)은 전면판(100)이 밀착된 상태로 바닥거푸집, 후면거푸집, 측면거푸집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생성되면 바닥거푸집, 후면거푸집, 측면거푸집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전면판(100)의 후방으로 앵커바(200)를 설치하고, 앵커바(200)의 상면에 고정철근(300)을 고정시킨다. 이때, 전면판(100)의 후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앵커바(200)의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면 간단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전면판(100)의 하단 후방으로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바닥거푸집을 위치시키고, 수평절개면(10)의 지지볼트(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관(40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바닥거푸집의 후면에 후면거푸집을 위치시키고, 바닥거푸집의 양측면에 측면거푸집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생성되면 바닥거푸집, 후면거푸집, 측면거푸집을 제거하여 신축이음장치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교량상판의 모서리에서 'ㄴ'형상의 수평절개면에 설치된 수평고정판(4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수평고정판(4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볼트(30)에 콘크리트구조물(500)에서 상하로 관통된 보호관(400)을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보호관(400)에 위치하는 지지볼트(30)를 고정너트(50)로 체결하여 신축이음장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너트(50)의 상부에 보호커버 또는 실리콘으로 밀폐시켜 보호관(40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보호커버 또는 실리콘을 제거하고 지지볼트(30)에 체결된 고정너트(50)를 풀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전면판(1100), 앵커바(1200), 고정철근(1300), 보호관(1400), 콘크리트구조물(1500), 바닥판(1600)을 포함한다. 이때, 전면판(1100), 앵커바(1200), 고정철근(1300)은 제1실시예의 전면판(100), 앵커바(200), 고정철근(3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닥판(1600)은 전면판(110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바닥판(1600)에는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의 지지볼트(30)가 관통되면서 보호관(1400)의 끝단이 체결되는 관통홀(16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판(1600)은 교량상판의 모서리에서 절개된 수평절개면(10)에 위치한다.
보호관(1400)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바닥판(1600)의 관통홀(61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수평절개면(10)의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바닥판(1600)의 관통홀(1610)에는 나사홈이 형상되고, 보호관(400)의 하부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관(1400)에 의해서 바닥판(1600)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경우에 바닥판(1600)의 후면으로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콘크리트구조물(1500)은 전면판(1100)의 높이와 바닥판(1600)의 넓이를 갖는 크기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생성된다. 즉, 콘크리트구조물(1500)은 전면판(1100)과 바닥판(1600)을 위치시킨 상태로 후면거푸집, 측면거푸집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생성되면 후면거푸집, 측면거푸집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바닥판에 보호관을 정확한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교량상판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에 수평고정판 없이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제2실시예에서 후면판(1700), 측면판(1800)을 더 포함한다.
후면판(1700)은 바닥판(1600)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전면판(1100)의 높이까지 연장된다.
측면판(1800)은 바닥판(1600)의 양측면에서 전면판(100)과 후면판(1700)에 밀착되면서 전면판(100)의 높이까지 연장된다.
콘크리트구조물(500)은 전면판(1100), 바닥판(1600), 후면판(1700), 측면판(1800)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콘크리트가 전면판(1100)의 높이까지 주입되고 양생되어 생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는 전면판, 바닥판, 후면판, 측면판 사이에 콘크리트구조물이 위치하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구조물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주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수평절개면 20 : 수직절개면
30 : 지지볼트 40 : 수평고정판
50 : 고정너트 100 : 전면판
110 : 신축판 111 : 관통홀
120 : 나사홈 200 : 앵커바
300 : 고정철근 400 : 보호관
500 : 콘크리트구조물 1100 : 전면판
1110 : 신축판 1200 : 앵커바
1300 : 고정철근 1400 : 보호관
1500 : 콘크리트구조물 1600 : 바닥판
1610 : 관통홀 1700 : 후면판
1800 : 측면판

Claims (7)

  1. 교량상판의 수직절개면(20)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교량상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신축판(110)이 형성되는 전면판(100)과;
    전면판(1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으로 후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 연장되는 앵커바(200)와;
    앵커바(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철근(300)과;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콘크리트구조물(500)을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에 설치된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너트(50)로 체결되는 보호관(400)과;
    전면판(100)이 밀착된 상태로 앵커바(200), 고정철근(300) 및 보호관(400)을 감싸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과 수직절개면(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생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500)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신축판(110)에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및 철거시에 용이하게 신축이음장치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관통홀(111)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판(100)의 후면에 나사홈(120)을 형성하고 앵커바(200)의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관(400)은 신축이음장치의 고정후에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등으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5. 교량상판의 수직절개면(20)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교량상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신축판(1110)이 형성되는 전면판(1100)과;
    전면판(11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으로 후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 연장되는 앵커바(1200)와;
    앵커바(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철근(1300)과;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콘크리트구조물(500)을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일단이 바닥판(1600)의 관통홀(161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에 설치된 지지볼트(30)가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너트(50)로 체결되는 보호관(1400)과;
    전면판(110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의 지지볼트(30)가 관통되면서 보호관(1400)의 끝단이 체결되는 관통홀(1610)이 형성된 바닥판(1600)과;
    전면판(1100)과 바닥판(1600)이 밀착된 상태로 앵커바(1200), 고정철근(1300) 및 보호관(1400)을 감싸고 교량상판의 수평절개면(10)과 수직절개면(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생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1500)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바닥판(1600)의 관통홀(1610)에는 나사홈이 형상되고, 보호관(1400)의 하부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바닥판(1600)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전면판(1100)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후면판(1700)과;
    바닥판(1600)의 양측면에서 전면판(1100)과 후면판(1700)에 밀착되면서 전면판(1100)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측면판(1800)을 더 포함하며,
    콘크리트구조물(500)은 전면판(1100), 바닥판(1600), 후면판(1700), 측면판(1800)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콘크리트가 주입되고 양생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KR1020190115199A 2019-09-19 2019-09-19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KR20210033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99A KR20210033652A (ko) 2019-09-19 2019-09-19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99A KR20210033652A (ko) 2019-09-19 2019-09-19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52A true KR20210033652A (ko) 2021-03-29

Family

ID=7524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199A KR20210033652A (ko) 2019-09-19 2019-09-19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6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39B1 (ko) * 2022-10-13 2023-04-21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39B1 (ko) * 2022-10-13 2023-04-21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334B1 (ko) 교량상판의 교체용 신축이음장치
KR101912363B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방법 및 신축이음장치 교체용 어셈블리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46412A (ko) 매립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93777B1 (ko)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039092B1 (ko) 후타콘크리트 보강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361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KR20170119869A (ko) 신축조절장치를 구비한 교량의 보수방법
KR20210033652A (ko)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KR100427909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보수를 위한 교량의 신축이음 교체 공법
KR20200085573A (ko) 신축 이음 프리캐스트의 중력식 레벨링 공법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287489B1 (ko)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9990014533A (ko) 철골콘크리트구조물의 상판 거푸집 지지구조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19510904A (ja) 建造物の継ぎ目に架橋するための移行部構造体
KR100868930B1 (ko) 수로교의 신축 이음 장치
KR102405028B1 (ko) 강합성 연속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209681B1 (ko) 신축이음장치
KR102304230B1 (ko) 탈착식 전단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교량 구조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 방법
KR100593728B1 (ko) 비파괴식 신축이음장치 교체공법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KR101881075B1 (ko)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KR101194220B1 (ko) 사방댐용 지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3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23

Effective date: 2021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