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639B1 -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639B1
KR102524639B1 KR1020220131100A KR20220131100A KR102524639B1 KR 102524639 B1 KR102524639 B1 KR 102524639B1 KR 1020220131100 A KR1020220131100 A KR 1020220131100A KR 20220131100 A KR20220131100 A KR 20220131100A KR 102524639 B1 KR102524639 B1 KR 102524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ng
fastening piece
support part
rubber pad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220131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639B1/ko
Priority to KR1020230050591A priority patent/KR102596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신축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어서 수명이 연장되며, 콘크리트의 신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지지부;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타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핑거부; 상기 제2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 핑거부와 교차되면서 배치되는 제2 핑거부; 및 상기 제1 핑거부와 상기 제2 핑거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Grooving type noiseless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신축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어서 수명이 연장되며, 콘크리트의 신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교 등과 같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사용한계상태 및 극한한계상태에서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피로한계상태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하여 충분한 내구성, 평탄성 및 수밀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교각을 가지며 비교적 길이가 긴 교량구조물은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각의 분할된 상판의 사이에는 신축 이음장치를 설치한다.
예컨대, 교량의 두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용 부속장치로서, 교량이 온도에 의한 신축 거동을 나타낼 시 그 거동을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핑거블록(finger block)을 슬라이딩 캔틸레버 방식의 이중구조로 설치하면서, 물 또는 이물질이 복수개의 핑거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이물질 또는 물이 상판 하부로 낙하되지 않게 하여 주변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블록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는 지진이 발생할 시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는 신축량만큼 거동할 수 있으나,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좌우 수평 방향으로는 전혀 거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3674호 (2010. 11. 10.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652769호 (2016. 09. 02.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콘크리트의 신축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어서 수명이 연장되며, 콘크리트의 신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지지부;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타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핑거부; 상기 제2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 핑거부와 교차되면서 배치되는 제2 핑거부; 및 상기 제1 핑거부와 상기 제2 핑거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측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측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따라 설치되는 철근을 삽입시킨 뒤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에 철근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체결편;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체결편; "U"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체결편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체결편에 안착되는 "U"형 고무 패드; 상기 제1 체결편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일측을 덮고서 상기 제1 체결편에 설치되어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일측을 상기 제1 체결편에 고정시켜 주는 제1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2 체결편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타측을 덮고서 상기 제2 체결편에 설치되어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타측을 상기 제2 체결편에 고정시켜 주는 제2 고정 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패드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 청소부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을 따라 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제1 슬라이더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제2 슬라이더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구동 모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구동 모터; "U" 형태로 절곡 되어 일측이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 모터와 상기 제2 구동 모터에 의해 "U"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회전 와이어; 및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와이어를 따라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청소용 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구동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권취 롤러;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권취 롤러; 및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체결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을 따라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 권취 롤러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권취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권취 롤러와 상기 제2 권취 롤러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권취 롤러와 상기 제2 권취 롤러로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주는 이동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 청소부는,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의 바닥면에 직립 안착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와이어의 하측 중단이 관통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전 와이어가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의 바닥면을 따라 안착된 상태로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와이어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교량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서 하부로 자연 중력에 의한 이물질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배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배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패드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유도 플레이트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제1 슬라이딩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10)는, 다수 개의 제1 지지부(100), 다수 개의 제2 지지부(200), 제1 핑거부(300), 제2 핑거부(400) 및 배수부(500)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제1 지지부(100)는,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일측면을 따라 제2 지지부(200)와 대향하면서 고정 설치된다.
다수 개의 제2 지지부(200)는,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타측면을 따라 제1 지지부(100)와 대향하면서 고정 설치된다.
제1 핑거부(300)는, 제1 지지부(100)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100)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되, 제2 핑거부(400)와 교차되면서 배치된다.
제2 핑거부(400)는, 제2 지지부(200)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지지부(200)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되, 제1 핑거부(300)와 교차되면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핑거부(300)와 제2 핑거부(400)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도 4의 "t")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우수 등이 하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 공간(L)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따라 설치되는 철근을 삽입시킨 뒤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에 철근 삽입(S)홀을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500)는, 제1 핑거부(300)와 제2 핑거부(40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 공간(L)을 통해 낙하되는 우수 등을 배수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10)는, 다수 개의 제1 고정부(600) 및 다수 개의 제2 고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제1 고정부(600)는, 제1 지지부(100)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100)의 외측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다수 개의 제2 고정부(700)는, 제2 지지부(200)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00)의 외측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10)는, 교량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서 하부로 자연 중력에 의한 이물질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배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500)는, 제1 체결편(510), 제2 체결편(520), "U"형 고무 패드(530), 제1 고정 플레이트(540),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50)를 포함한다.
제1 체결편(510)은,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2 지지부(20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1 지지부(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2 체결편(520)은,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제1 지지부(10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2 지지부(2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U"형 고무 패드(530)는, "U"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일측이 제1 체결편(510)에 안착되고 타측이 제2 체결편(520)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교량의 상부에서 유입된 유수를 배수하는 것으로서, 수분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는 내수성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플레이트(540)는, 제1 체결편(510)에 안착되어 있는 "U"형 고무 패드(530)의 일측을 덮고서 제1 체결편(510)에 설치되어 "U"형 고무 패드(530)의 일측을 제1 체결편(510)에 고정시켜 준다.
제2 고정 플레이트(550)는, 제2 체결편(520)에 안착되어 있는 "U"형 고무 패드(530)의 타측을 덮고서 제2 체결편(520)에 설치되어 "U"형 고무 패드(530)의 타측을 제2 체결편(520)에 고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500)는, 교량의 상부에서 유입된 유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배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500a)는, 제1 체결편(510), 제2 체결편(520), "U"형 고무 패드(530), 제1 고정 플레이트(540), 제2 고정 플레이트(550) 및 패드 청소부(5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편(510), 제2 체결편(520), "U"형 고무 패드(530), 제1 고정 플레이트(540),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5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패드 청소부(560)는, 일측이 제1 고정 플레이트(540a)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제2 고정 플레이트(550ㅁ)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U"형 고무 패드(530)의 내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U"형 고무 패드(530)의 내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500a)는, "U"형 고무 패드(530)의 내향면을 따라 흐르는 유수 등의 먼지 등의 미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물질의 장기 방치에 따른 "U"형 고무 패드(530)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패드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패드 청소부(560)는, 제1 슬라이더(561), 제2 슬라이더(562), 제1 슬라이딩 구동부(563), 제2 슬라이딩 구동부(564), 제1 구동 모터(565), 제2 구동 모터(566), 회전 와이어(567) 및 청소용 솔(568)을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561)는, 제1 고정 플레이트(540a)의 하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제1 슬라이딩홈(S1)을 따라 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한다.
제2 슬라이더(562)는, 제2 고정 플레이트(550a)의 하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제2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한다.
제1 슬라이딩 구동부(563)는, 제1 슬라이딩홈(S1)에 안착되어 있는 제1 슬라이더(561)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켜 준다.
제2 슬라이딩 구동부(564)는,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제2 슬라이더(562)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켜 준다.
제1 구동 모터(565)는, 제1 슬라이딩홈(S1)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제1 슬라이더(561)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2 구동 모터(566)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 구동되어 회전 와이어(567)의 일측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제2 구동 모터(566)는, 제2 슬라이딩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제2 슬라이더(562)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2 구동 모터(566)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 구동되어 회전 와이어(567)의 타측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회전 와이어(567)는, "U" 형태로 절곡 되어 일측이 제1 구동 모터(565)의 구동축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제2 구동 모터(566)의 구동축에 축결합되며, 제1 구동 모터(565)와 제2 구동 모터(566)에 의해 "U"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1 슬라이더(561)와 제2 슬라이더(562)가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한다.
청소용 솔(568)은, "U"형 고무 패드(530)의 내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회전 와이어(567)를 따라 반복적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드 청소부(560)는, 유도 플레이트(5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플레이트(569)는, "U"형 고무 패드(530)의 내향면의 바닥면에 직립 안착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 와이어(567)의 하측 중단이 관통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전 와이어(567)가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함에 따라 "U"형 고무 패드(530)의 내향면의 바닥면을 따라 안착된 상태로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회전 와이어(567)의 이동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드 청소부(560)는, "U"형 고무 패드(530)의 내향면을 따라 흐르는 유수 등의 먼지 등의 미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물질의 장기 방치에 따른 "U"형 고무 패드(530)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제1 슬라이딩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 구동부(563)는, 제1 권취 롤러(5631), 제2 권취 롤러(5632), 이동 벨트(56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딩 구동부(564)는, 후술하는 제1 슬라이딩 구동부(563)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슬라이딩 구동부(563)의 제1 권취 롤러(5631), 제2 권취 롤러(5632), 이동 벨트(56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권취 롤러(5631)는, 제1 슬라이딩홈(S1)의 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동 벨트(5633)의 일측을 권취 또는 권출시켜 준다.
제2 권취 롤러(5632)는, 제1 슬라이딩홈(S1)의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동 벨트(5633)의 타측을 권취 또는 권출시켜 준다.
이동 벨트(5633)는, 제1 슬라이더(561)를 체결한 상태로 제1 슬라이딩홈(S1)을 따라 배치되며, 일측이 제1 권취 롤러(5631)에 설치되고 타측이 제2 권취 롤러(5632)에 설치되어 제1 권취 롤러(5631)와 제2 권취 롤러(5632)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제1 권취 롤러(5631)와 제2 권취 롤러(5632)로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제1 슬라이딩홈(S1)을 따라 제1 슬라이더(561)를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슬라이딩 구동부(563)는, 제2 슬라이딩 구동부(564)와 연동되어 동일하게 구동되어 제1 슬라이더(561)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100: 제1 지지부
200: 제2 지지부
300: 제1 핑거부
400: 제2 핑거부
500: 배수부
600: 제1 고정부
700: 제2 고정부

Claims (3)

  1.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일측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1 지지부;
    서로 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의 타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핑거부;
    상기 제2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각 상부를 따라 직립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 핑거부와 교차되면서 배치되는 제2 핑거부; 및
    상기 제1 핑거부와 상기 제2 핑거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체결편;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체결편;
    "U"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체결편에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체결편에 안착되는 "U"형 고무 패드;
    상기 제1 체결편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일측을 덮고서 상기 제1 체결편에 설치되어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일측을 상기 제1 체결편에 고정시켜 주는 제1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2 체결편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타측을 덮고서 상기 제2 체결편에 설치되어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타측을 상기 제2 체결편에 고정시켜 주는 제2 고정 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패드 청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청소부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을 따라 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제1 슬라이더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제2 슬라이더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구동 모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구동 모터;
    "U" 형태로 절곡 되어 일측이 상기 제1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 모터와 상기 제2 구동 모터에 의해 "U"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회전 와이어; 및
    상기 "U"형 고무 패드의 내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와이어를 따라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청소용 솔;을 포함하는,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측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측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따라 설치되는 철근을 삽입시킨 뒤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에 철근 삽입홀을 형성하는,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3. 삭제
KR1020220131100A 2022-10-13 2022-10-13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2524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100A KR102524639B1 (ko) 2022-10-13 2022-10-13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20230050591A KR102596857B1 (ko) 2022-10-13 2023-04-18 이물질 침투 방지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100A KR102524639B1 (ko) 2022-10-13 2022-10-13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591A Division KR102596857B1 (ko) 2022-10-13 2023-04-18 이물질 침투 방지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639B1 true KR102524639B1 (ko) 2023-04-21

Family

ID=860989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100A KR102524639B1 (ko) 2022-10-13 2022-10-13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20230050591A KR102596857B1 (ko) 2022-10-13 2023-04-18 이물질 침투 방지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591A KR102596857B1 (ko) 2022-10-13 2023-04-18 이물질 침투 방지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46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74B1 (ko) 2009-02-20 2010-11-10 이환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1652769B1 (ko) 2014-06-19 2016-09-02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KR102119545B1 (ko) * 2019-01-10 2020-06-05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81561B1 (ko) * 2020-06-17 2020-11-23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KR20210009047A (ko)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신축 이음 방법
KR20210033652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지엠로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74B1 (ko) 2009-02-20 2010-11-10 이환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1652769B1 (ko) 2014-06-19 2016-09-02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KR102119545B1 (ko) * 2019-01-10 2020-06-05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9047A (ko)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신축 이음 방법
KR20210033652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지엠로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KR102181561B1 (ko) * 2020-06-17 2020-11-23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857B1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6439B2 (ja) 耐震伸縮継手
KR102524639B1 (ko)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RU2456397C2 (ru) Опора с направляющим или ходовым рельсом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акой опоры
JP2022173268A (ja) 汚泥かき寄せ装置
KR10067694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US20090014369A1 (en) Friction profile for the top of pool grate bars
JP4902524B2 (ja) 騒音低減線路カバーシステム
JP6476399B2 (ja) 汚泥かき寄せ装置
KR101345712B1 (ko) 하수악취 유출방지 가림막
JP2005314893A (ja) 縁石排水溝
CN211228091U (zh) 三维抗震多向位移模数伸缩缝
KR200334262Y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JP5388733B2 (ja) 簡易排水部材、簡易排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6956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520638B1 (ko)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KR101865828B1 (ko) 슬라이딩구조체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RU2659912C1 (ru) Водоотводное сооружение на склоне
CN219260713U (zh) 一种伸缩缝结构
CN210975518U (zh) 一种桥梁伸缩缝
JP3509588B2 (ja) 車止め
JPS6033912A (ja) 橋梁における伸縮継手部の防塵止水装置
KR102551273B1 (ko) 회전형 데크
JPH0230483Y2 (ko)
KR102475135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JPH0633507A (ja) 排水溝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