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561B1 -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561B1
KR102181561B1 KR1020200073443A KR20200073443A KR102181561B1 KR 102181561 B1 KR102181561 B1 KR 102181561B1 KR 1020200073443 A KR1020200073443 A KR 1020200073443A KR 20200073443 A KR20200073443 A KR 20200073443A KR 102181561 B1 KR102181561 B1 KR 10218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plate
upper plate
expansion joint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일현
홍예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20007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이웃하는 두 개의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량 상판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되어 상기 교량 상판의 철근에 결속되는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 상기 신축 이음부재를 결속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받아내는 이물질 받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Noiseless expansion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구조물에 설치되어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시공 방식으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라고도 불리는 교량 구조물의 상부 거더(상판)는 하중,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싱 등의 요인에 의해 변형(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끼리는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이격 설치되는데, 이러한 이격된 공간에는 교량 신축 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교량 상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었으며, 최근하는 핑거 플레이트 방식의 교량 신축 이음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 플레이트 방식의 교량 신축 이음장치는 다수 개의 핑거 파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이음부재가 서로 맞물리도록 대향되게 설치되어 교량의 상판이 수평 방향으로 신축되어 교량 상판의 갭(gap)이 발생되더라도 차량이 원활하게 그 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 신축 이음장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소음이 발생되며, 기온 상승 등으로 인해 이음부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 벌어진 간격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배수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644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13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간편한 시공 방식으로 교량의 신축 이음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신축 이음장치를 통과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조 및 신축 이음장치의 틈새로 낙하하는 빗물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은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이웃하는 두 개의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량 상판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되어 상기 교량 상판의 철근에 결속되는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
상기 신축 이음부재를 결속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받아내는 이물질 받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부터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제1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교량 상판과 이웃하는 제2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끼움 체결되는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 및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 사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 형성된 철근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마다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된 신축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제2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간격 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플레티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날개부에 끼움 체결되기 위한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 형성된 철근에 체결되는 앵커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마다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된 신축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제2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간격 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날개부에 끼움 체결되기 위한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상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철근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볼트를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체결하여 복수의 상기 신축 이음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마다 형성된 체결 홈을 통해 신축 이음부재를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연속적으로 끼움 체결한 상태에서 체결 볼트를 통해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를 한 번에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충격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 받이부에 쌓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이물질 받이부로 낙하되는 빗물을 교량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에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가 교량 상판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1)는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이웃하는 두 개의 교량 상판(P1, P2)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P1, P2)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수축되거나 신장될 때 상판(P1, P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교량 상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량 상판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 체결되어 상기 교량 상판의 철근에 결속되는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200), 상기 신축 이음부재(200)를 결속하는 체결 볼트(300) 및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받아내는 이물질 받이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후술하는 신축 이음부재(200)를 교량의 상판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로부터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날개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 교량 상판(P1) 및 제1 교량 상판(P1)과 이웃하는 제2 교량 상판(P2) 각각에 설치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은, 제1 교량 상판(P1)에 형성된 제1 베이스 프레임(100a)과, 상기 제1 교량 상판(P1)과 이웃하는 제2 교량 상판(P2)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100b)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00a)의 날개부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100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축 이음부재(200)는 이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이 상판(P1, P2)을 따라 서로 이격되거나 서로 접근되는 방향을 따라 세워져 설치되는 플레이트(plate)형 부재이다.
신축 이음부재(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의 날개부(120)에 연속적으로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300)를 통해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200)가 한 번의 볼트 시공만으로 서로 결속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프레임(100a) 및 제2 베이스 프레임(100b)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 제1 베이스 프레임(100a)에 설치된 신축 이음부재와 제2 베이스 프레임(100b)에 설치된 신축 이음부재가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1 베이스 프레임(100a) 및 제2 베이스 프레임(100b)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신축 이음부재(200)는 끝단 일부 영역이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부재(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끼움 체결되는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와,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 사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 형성된 철근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고정시키는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는, 상부 플레이트(211);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부 플레이트(212)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212)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13) 및 간격 조절 플레이트(215)로 구성된다.
간격 조절 플레이트(2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마다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된 신축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제2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21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2)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212)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날개부에 끼움 체결되기 위한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체결 홈을 통해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끼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체결 홈의 형성 높이는 날개부(120)의 두께보다 크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는, 상술한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나, 연결 플레이트로부터 앵커 플레이트가 추가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는, 상부 플레이트(221); 상기 상부 플레이트(221)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부 플레이트(222);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23); 상기 연결 플레이트(223)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 형성된 철근에 체결되는 앵커 플레이트(224); 및 간격 조절 플레이트(225)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를 구성하는 앵커 플레이트(22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인 상부 플레이트(221), 하부 플레이트(222), 연결 플레이트(223) 및 간격 조절 플레이트(225)의 구성은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를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211), 하부 플레이트(212), 연결 플레이트(213) 및 간격 조절 플레이트(215)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2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21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221)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22)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날개부에 끼움 체결되기 위한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223)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227)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볼트(300)를 상기 체결공(227)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체결하여 복수의 상기 신축 이음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에만 구비된 상기 앵커 플레이트(224)는, 상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철근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앵커 플레이트(224)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통해 교량 상판에 형성된 철근(구체적으로는 주 철근(Rm)과 수직 교차하는 보강 철근(Rs))을 끼워 넣어 철근 체결 홈 내부로 보강 철근(Rs)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앵커 플레이트(224)와 보강 철근(Rs)을 연결시켜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를 철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축 이음부재(200) 및 베이스 프레임(100)이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단독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 및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에 돌출 형성된 간격 조절 플레이트(215, 225)에 의해 신축 이음부재(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교번적으로 설치되더라도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 외력에 의해 신축 이음부재(2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격 조절 플레이트(215, 225)에 의해 형성되는 벤트 홀(h)을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이물질 받이부(400)로 낙하될 수 있으며,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한 이 벤트 홀(h)을 통해 아래로 진행되도록 유도하여 소음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물질 받이부(400)는 교체형 부품이며, 고무 등과 같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 사이의 간격이 수축되거나 벌어질 때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베이스 프레임(100)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물질 받이부(400)는 기본적으로, 벤트 홀(h)을 통해 낙하되는 빗물을 수집하여 교량에 구비된 우수홈통(미도시)으로 전달한다.
또한, 이물질 받이부(400)는 벤트 홀(h)을 통해 교량 표면의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운행 과정에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는, 이물질받이부(400)에 설치되어 이물질 받이부(400)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5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500)는 본체(510), 상기 본체(510)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모터(520), 상기 회전 모터(520)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510)를 연결하는 회전축(530) 및 상기 회전 모터(520) 각각에 설치되는 연결부(540)로 구성된다.
즉, 이물질 제거부(500)는 양 단이 이물질 받이부(400)의 내측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모터(520)의 구동력에 의해 본체(5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체(510)의 외주면 둘레에는 송풍 블레이드(512)가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본체(51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이 과정에서 본체(510)의 외주면에는 형성된 복수의 흡입공(511)을 통해 외기를 본체(510) 내부로 흡입한다.
또한, 송풍 블레이드(512)의 표면에는 송풍 슬릿(513)이 형성되어, 본체(510)의 회전 과정에서 흡입공(511)을 통해 외기를 흡입한 후 송풍 슬릿(513)을 통해 외기를 배출함으로써 송풍 블레이드(512)에 의해 방출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소정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입공(511)과 송풍 슬릿(513)은 연통되는 구조로 서로 연결되며, 흡입공(511)과 송풍 슬릿(513)이 1:1, 1:N 또는 N:1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매칭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500)는 단순 회전만으로 외기를 교반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 과정에서 외기를 흡수 후 배출함으로써 송풍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송풍 슬릿(513)은 송풍 블레이드(512)의 표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출되는 외기를 이용하여 이물질 받이부(400) 내부에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물질 받이부(400)의 구석에 쌓여 있던 이물질도 효과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물질 받이부(400)의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에 연결부(540)가 설치되어 이물질 제거부(500)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물질 받이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소정 방향으로 모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웃하는 두 교량 상판(P1, P2)의 마주보는 양 끝단에서, 철근이 노출되도록 시공면을 형성하고, 시공면에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a, 100b)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a, 100b)을 임시로 고정하고,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a, 100b) 사이에 이물질 받이부(400)를 볼트 등을 고정 설치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500)도 이 과정에서 이물질 받이부(400)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후, 제1 교량 상판(P1)에 배치된 제1 베이스 프레임(100a)과, 제2 교량 상판(P2)에 배치된 제2 베이스 프레임(100b)에 교번적으로 신축 이음부재(200)를 끼움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 이음부재(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날개부(120)에 끼움 체결될 수 있는 체결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날개부(120)에 신축 이음부재(200)를 끼워서 배치시킨다.
이 과정에서,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210)을 소정 개수만큼 연속적으로 끼움 체결한 후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220)를 베이스 프레임(100) 각각에 하나씩 교번적으로 설치한다.
예컨대, 각각 10개씩의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를 교번적으로 끼움 체결한 후, 두 개의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를 제1 베이스 프레임(100a)과 제2 베이스 프레임(100b)에 각각 하나씩 교번적으로 끼움 체결한다.
이때,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에 형성된 앵커 프레임에 교량 상판에 형성된 보강 철근을 끼워넣은 후 앵커 프레임과 보강 철근을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교량 상판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를 끼움 체결한 후, 신축 이음부재마다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체결 볼트(300)를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하여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를 하나의 체결 볼트(300)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마다 형성된 체결 홈을 통해 신축 이음부재를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연속적으로 끼움 체결한 상태에서 체결 볼트를 통해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를 한 번에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충격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 받이부에 쌓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이물질 받이부로 낙하되는 빗물을 교량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100: 베이스 프레임
200: 신축 이음부재
210: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
220: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
300: 체결 볼트
400: 이물질 받이부
500: 이물질 제거부

Claims (2)

  1.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이웃하는 두 개의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량 상판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되어 상기 교량 상판의 철근에 결속되는 복수의 신축 이음부재;
    상기 신축 이음부재를 결속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받아내는 이물질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부터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제1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교량 상판과 이웃하는 제2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끼움 체결되는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 및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 사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 형성된 철근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마다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된 신축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제2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간격 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날개부에 끼움 체결되기 위한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앵커형 신축 이음부재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 형성된 철근에 체결되는 앵커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신축 이음부재 사이마다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된 신축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제2 교량 상판에 형성된 제2 베이스 프레임의 날개부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간격 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리스 신축 이음부재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날개부에 끼움 체결되기 위한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상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철근 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볼트를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체결하여 복수의 상기 신축 이음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2. 삭제
KR1020200073443A 2020-06-17 2020-06-17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KR10218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43A KR102181561B1 (ko) 2020-06-17 2020-06-17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43A KR102181561B1 (ko) 2020-06-17 2020-06-17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561B1 true KR102181561B1 (ko) 2020-11-23

Family

ID=7368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43A KR102181561B1 (ko) 2020-06-17 2020-06-17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39B1 (ko) * 2022-10-13 2023-04-21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2605198B1 (ko) 2023-04-05 2023-11-23 (주)우신건설산업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847A (ko) * 2002-10-02 2004-04-08 (주)디에스엘 교량연결용 핑거블록
KR200407130Y1 (ko) 2005-09-07 2006-01-25 지산공업 (주) 진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
JP5662540B1 (ja) * 2013-10-16 2015-01-28 山内 重一 道路橋の荷重支持型伸縮装置とその製造法
CN108660920A (zh) * 2018-07-09 2018-10-16 衡水中铁建工程橡胶有限责任公司 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
KR20200006446A (ko) 2018-07-10 2020-01-20 남상권 내구성과 체결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조립형 교량신축이음장치
KR102119545B1 (ko) * 2019-01-10 2020-06-05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847A (ko) * 2002-10-02 2004-04-08 (주)디에스엘 교량연결용 핑거블록
KR200407130Y1 (ko) 2005-09-07 2006-01-25 지산공업 (주) 진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
JP5662540B1 (ja) * 2013-10-16 2015-01-28 山内 重一 道路橋の荷重支持型伸縮装置とその製造法
CN108660920A (zh) * 2018-07-09 2018-10-16 衡水中铁建工程橡胶有限责任公司 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
KR20200006446A (ko) 2018-07-10 2020-01-20 남상권 내구성과 체결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조립형 교량신축이음장치
KR102119545B1 (ko) * 2019-01-10 2020-06-05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39B1 (ko) * 2022-10-13 2023-04-21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그루빙형 무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2605198B1 (ko) 2023-04-05 2023-11-23 (주)우신건설산업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561B1 (ko)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KR102119545B1 (ko) 무소음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RU2656646C1 (ru) Бет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одульного исполнения
JP3789035B2 (ja) 開閉式分岐型遮音壁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3708074B2 (ja) 道路用幅員拡張材とその設置方法
US8528268B1 (en) Trilateral brac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a building frame structure
JP4123058B2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
KR100893876B1 (ko)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세그먼트 거더 및 이의시공방법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9990001957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KR20050118111A (ko) 가설 교량
KR10071499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A1152794A (en) Road joint element
KR100950091B1 (ko) 조립성과 탄력성이 개량된 tfs
KR101539413B1 (ko) 과선교 해체공법
CN213013871U (zh) 一种混凝土结构桥梁护栏处伸缩缝止水带细部安装结构
JP441633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鋼桁橋の補強構造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2012654B1 (ko) 기본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333073B1 (ko) 텐던으로 보강된 루프형 방음벽
KR100402030B1 (ko) 층고저감을위한철골콘크리트조의거푸집장착구조
KR102559951B1 (ko) 강합성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ITTO980920A1 (it) Barriera stradale semirigida ad elevata capacita' di contenimento edassorbimento di energia d'urto, in particolare per ponti e simili
KR101618200B1 (ko) 가설지주와 인장재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