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582A -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582A
KR20150105582A KR1020140027410A KR20140027410A KR20150105582A KR 20150105582 A KR20150105582 A KR 20150105582A KR 1020140027410 A KR1020140027410 A KR 1020140027410A KR 20140027410 A KR20140027410 A KR 20140027410A KR 20150105582 A KR20150105582 A KR 2015010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adjusting member
plate
expansion joint
pre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232B1 (ko
Inventor
이예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테크
Priority to KR102014002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23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격 고정 및 간격 조정이 용이한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설치되며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부 및제2 플레이트부와,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간격 고정 및 간격 조정이 용이한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지면과 인접하는 교대,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교각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와 슬래브, 거더(girder)로 이루어진 상부구조로 이루어진다. 교량의 상부구조에서 각 슬래브의 연결부분은 신축 이음 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신축 이음 장치란 교량 구조물의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이프 및 건조수축, 차량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교량의 변위를 적절히 수용하여 차량이 교량을 원활히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6022호에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6022호
본 발명은 간격 고정 및 간격 조정이 용이한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설치되며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부 및제2 플레이트부와,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과 동시에 고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용이성과 시공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향면에 직접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상판 평면 쪽과 대향면 쪽의 간격이 다르게 조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의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대향면에 나사 체결 또는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므로, 교량의 상판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제거되고, 조절 부재를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제2 플레이트부의 상판 평면에 착탈되는 예압부에 눈금선을 적용하여 현장 여건에 맞는 적정 유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장공부에 예압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조절 부재로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면 예압부의 제2 플레이트부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비례적으로 변한다. 예압부의 눈금을 읽음으로써,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와의 간격을 간편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밀림량 조절 부재의 기능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당김량 조절 부재의 기능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밀림량 조절 부재(110)의 기능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당김량 조절 부재(130)의 기능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압부(4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 및 설치 방법에 대한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설치된다. 신축 이음 장치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부(200) 및 제2 플레이트부(300)와,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가 콘크리트를 포함한 도로 포장 재료로 완전히 고정이 되기 전에 임시적으로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신축 이음 장치를 교량에 설치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수축량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변위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양생 시간 동안에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킬 수단이 필요하다. 조절 부재는 신축 이음 장치의 교량 설치 전에 신축 이음 장치의 간격을 미리 조정하는 프리 세팅 기능도 겸한다.
일 실시예로서,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가 마주보는 평면에 해당하는 대향면(180)에 나사 체결되거나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일 실시예로서, 조절 부재와 대향면(180)의 구멍이 나사 체결된 경우,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인력이 발생되면 제1 플레이트부(200) 및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이 감소되고,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척력이 발생되면 제1 플레이트부(200) 및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이 증가된다.
일 실시예로서, 조절 부재와 대향면(180)의 구멍이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경우, 조절 부재가 회전되더라도 공회전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는 당김력 또는 밀림력을 받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조절 부재의 일측이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고 조절 부재의 타측의 단부가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 지지되는 경우, 조절 부재의 단부와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의 접촉부는 제1 플레이트부(200) 및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수단이 된다.
설명의 편의상,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가 마주보는 방향을 교축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는 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180)에 조절 부재가 교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대비하기 위한 가상의 비교예로서, 신축 이음 장치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가 상판에 평행한 상편 평면(190)에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는,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대향면(180)이 아니라, 상기 대향면(180)에 수직한 상기 상편 평면(190)에 설치되는 경우이다.
만약, 조절 부재가 상편 평면(190)에 설치된다면, 조절 부재가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주행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를 고정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 재료가 완전히 굳은 뒤에 조절 부재를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에서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대향면(180)에 나사 체결 또는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므로, 교량의 상판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제거되고, 조절 부재를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신축 이음 장치는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대향면(180)에 홀부를 구비한다. 홀부는 탭 구멍부(510) 및 공회전 구멍부(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는 홀부에 삽입되어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조절한다. 조절 부재와 홀부의 결합 상태에 따라 제1 플레이트부(200) 및 제2 플레이트부(300) 사이에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한다.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넓게 하는 밀림량 조절 부재(110)와,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좁게 하는 당김량 조절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부재는 볼트(bolt)일 수 있다.
탭 구멍부(5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은 조절 부재와 나사 결합하여 조임력을 발생한다. 공회전 구멍부(530)는 공회전 구멍부(530)에 삽입된 조절 부재가 조임력을 받지 않고 공회전되도록, 나사산을 구비하지 않거나 조절 부재의 외경보다 충분히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밀림량 조절 부재(110)는 제1 플레이트부(200)에 구비된 탭 구멍부(510)에 삽입된다. 밀림량 조절 부재(110)의 단부는 제2 플레이트부 접촉부(310)에 접촉된다. 밀림량 조절 부재(110)의 나사산은 탭 구멍부(510)의 나사산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산들 사이의 조임력에 따라 제2 플레이트부(300)가 제1 플레이트부(200)로부터 밀릴 수 있다. 조절 부재가 제1 플레이트부(200)로부터 제2 플레이트부(300)로 밀어냄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 방향의 힘으로 인해서 신축 이음 장치는 a1 상태에서 b1 상태로 변화하고,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은 L1 길이에서 L2 길이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L2의 길이는 L1보다 길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당김량 조절 부재(130)는 제1 플레이트부(200)에 구비된 공회전 구멍부(530)와 제2 플레이트부(300)에 구비된 탭 구멍부(510)에 삽입될 수 있다. 당김량 조절 부재(130)가 회전되면, 당김량 조절 부재(130)는 제1 플레이트부(200)의 공회전 구멍부(530)에서 공회전을 하고, 제2 플레이트부(300)의 탭 구멍부(510)에서 나사산의 조임력을 발생한다. 탭 구멍부(510)의 조임력에 따라 제2 플레이트부(300)가 제1 플레이트부(200)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조절 부재가 제2 플레이트부(300)를 제1 플레이트부(200) 측으로 당김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 방향의 힘으로 인해서 신축 이음 장치는 a2 상태에서 b2 상태로 변화하고,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은 L3 길이에서 L4 길이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L4의 길이는 L3보다 길 수 있다.
도 2의 밀림량 조절 부재(110)의 실시예와 도 3의 당김량 조절 부재(130)의 실시예에 대하여, 밀림량 조절 부재(110) 또는 당김량 조절 부재(130) 중 어느 하나가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밀림량 조절 부재(110) 및 당김량 조절 부재(130)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당김량 조절 부재(130)로 제2 플레이트부(300)를 제1 플레이트부(200) 측으로 당기는 과정은 밀림량 조절 부재(110)를 풀어서 밀림량 조절 부재(110)의 단부와 제2 플레이트부(300) 사이에 여유공간을 만든 후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대비하기 위한 가상의 비교예로서, 신축 이음 장치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가 상판에 평행한 상편 평면(190)에 배치되는 경우, 조절 부재는 단순히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를 고정하는 기능만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조절 부재는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과 동시에 고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용이성과 시공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대비하기 위한 가상의 비교예로서, 신축 이음 장치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가 상판에 평행한 상편 평면(190)에 배치되는 경우, 조절 부재가 설치되는 상편 평면(190)에 대하여는 설계자가 원하는 대로 간격 조절을 할 수 있지만, 조절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대향면(180) 쪽은 상편 평면(190) 쪽에 비하여 간격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간격 조절 및 고정 시공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향면(180)에 직접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상편 평면(190) 쪽과 대향면(180) 쪽의 간격이 다르게 조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조절 부재를 이용한 간격 조절시 간격 조절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측정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예압부(4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표시하는 예압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압부(400)는 예압부 볼트(450)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의 상편 평면(190)에 착탈된다. 예압부(400)는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의 운송시 이들을 결합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를 콘크리트로 상판에 고정시 조절 부재의 고정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의 상편 평면(190)에 착탈되는 예압부(400)에 눈금선을 적용하여 현장 여건에 맞는 적정 유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압부(400)는 조절 부재의 삽입 방향에 해당하는 교축 방향으로 예압부(400)를 제1 플레이트부(200) 또는 제2 플레이트부(300)에 고정시키는 예압부 볼트(450)와, 예압부 볼트(45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부(410)와, 예압부(400) 표면에 형성된 눈금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눈금부(430)를 읽으면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이동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예압부(40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부(2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장공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압부 볼트(450)는 장공부(410)에 삽입되고, 예압부 볼트(450)의 단부는 제2 플레이트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장공부(410)의 넓이는 예압부 볼트(450)가 장공부(410) 내에서 이동될 수 있게 예압부 볼트(45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200)에 대한 제2 플레이트부(300)의 상대적 위치를 눈금부(430)를 통하여 읽을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예압부(400)의 측부에 눈금부(430)가 위치한다. 제2 플레이트부(300)가 대응되는 눈금부(430)의 눈금을 읽으면,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와의 간격을 읽을 수 있다.
장공부(410)에 예압부(40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조절 부재로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간격을 조절하면 예압부(400)의 제2 플레이트부(30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비례적으로 변한다. 예압부(400)의 눈금을 읽음으로써,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와의 간격을 간편하게 알 수 있다.
이하에서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의 분리 또는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조절 부재가 결합되는 홀부가 나사산이 형성된 탭 구멍부(510)와 조절 부재에 조입력을 작용하지 않는 공회전 구멍부(530)를 포함할 때, 탭 구멍부(510)와 공회전 구멍부(530)를 구비한 제1 플레이트부(200)와 탭 구멍부(510)를 구비한 제2 플레이트부(300)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할 수 있다.
눈금부(430)가 형성된 예압부(400)의 일측을 제1 플레이트부(200)에 고정하고 예압부(400)의 타측에 장공부(410)를 형성할 수 있다.
밀림량 조절 부재(110)를 제1 플레이트부(200)의 탭 구멍부(510)에 삽입하고, 밀림량 조절 부재(110)의 조임력으로 제2 플레이트부(300)를 제1 플레이트부(200)로부터 밀어내면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와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증가된 간격은 예압부(400)에 형성된 눈금부(430)로 읽혀진다.
당김량 조절 부재(130)를 제1 플레이트부(200)의 공회전 구멍부(530)와 제2 플레이트부(300)의 탭 구멍부(510)에 삽입하고, 당김량 조절 부재(130)의 조임력으로 제2 플레이트부(300)를 제1 플레이트부(200)로 당기면,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와의 간격이 감소될 수 있다. 감소된 간격은 눈금부(430)로 읽혀진다.
예압부(400)에 표시된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와의 간격이 기준치라면 제1 플레이트부(200)와 제2 플레이트부(300)가 서로 마주하는 공간의 바깥쪽에 콘크리트를 채운 다음, 예압부(400)를 제거하고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밀림량 조절 부재 130...당김량 조절 부재
180...대향면 190...상판 평면
200...제1 플레이트부 300...제2 플레이트부
310...제2 플레이트부 접촉부 400...예압부
410...장공부 430...눈금부
450...예압부 볼트 510...탭 구멍부
530...공회전 구멍부 600...방수 부재

Claims (11)

  1. 교량의 상판 이음부에 설치되며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부 및제2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콘크리트를 포함한 도로 포장 재료로 완전히 고정이 되기 전에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를 고정하는 신축 이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마주보는 평면에 해당하는 대향면에 나사 체결되거나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신축 이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마주보는 평면에 해당하는 대향면과 상기 조절 부재가 나사 체결된 경우, 상기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인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이 감소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척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이 증가되는 신축 이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마주보는 평면에 해당하는 대향면과 상기 조절 부재가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경우, 상기 조절 부재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공회전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당김력 또는 밀림력을 받지 않는 신축 이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타측의 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 지지되는 경우, 상기 조절 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접촉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신축 이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마주보는 방향을 교축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교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홀부가 구비되는 신축 이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에 구비된 탭 구멍부에 삽입되는 밀림향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림량 조절 부재의 단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접촉부에 접촉되며, 상기 밀림량 조절 부재의 나사산은 상기 탭 구멍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산들 사이의 조임력에 따라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부로부터 밀리는 신축 이음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당김량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량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에 구비된 공회전 구멍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에 구비된 탭 구멍부에 삽입되며,
    상기 당김량 조절 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당김량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상기 공회전 구멍부에서 공회전을 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상기 탭 구멍부에서 나사산의 조임력을 발생하며, 상기 탭 구멍부의 조임력에 따라 상기 제2 플레이트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부 측으로 당겨지는 신축 이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간격을 표시하는 예압부가 구비되는 신축 이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부는 상기 조절 부재의 삽입 방향에 해당하는 교축 방향으로 상기 예압부를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에 고정시키는 예압부 볼트와, 상기 예압부 볼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기 장공부와, 상기 예압부 표면에 형성된 눈금부를 포함하는 신축 이음 장치.
KR1020140027410A 2014-03-07 2014-03-07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KR10169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10A KR101697232B1 (ko) 2014-03-07 2014-03-07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10A KR101697232B1 (ko) 2014-03-07 2014-03-07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582A true KR20150105582A (ko) 2015-09-17
KR101697232B1 KR101697232B1 (ko) 2017-01-17

Family

ID=5424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10A KR101697232B1 (ko) 2014-03-07 2014-03-07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18A (ko) * 2016-12-05 2018-06-14 (주)올바른이엔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83972B1 (ko) * 2017-09-29 2018-07-31 이현준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WO2018182090A1 (ko) * 2017-03-28 2018-10-04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13B1 (ko) 2021-01-18 2021-09-06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러버실 조립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2343405B1 (ko) 2021-08-20 2021-12-27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가능한 러버씰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37Y1 (ko) * 2000-01-19 2000-07-15 조태준 도기 입구 성형장치
KR100856022B1 (ko) 2007-07-05 2008-09-02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27781B1 (ko) * 2012-02-24 2013-11-11 손승오 앵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37Y1 (ko) * 2000-01-19 2000-07-15 조태준 도기 입구 성형장치
KR100856022B1 (ko) 2007-07-05 2008-09-02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27781B1 (ko) * 2012-02-24 2013-11-11 손승오 앵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18A (ko) * 2016-12-05 2018-06-14 (주)올바른이엔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WO2018182090A1 (ko) * 2017-03-28 2018-10-04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883972B1 (ko) * 2017-09-29 2018-07-31 이현준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232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232B1 (ko) 조절 부재를 구비한 신축 이음 장치
TW358147B (en) Tightening screw
DE59706039D1 (de) Schraubeinheit
AU2011247280A1 (en) Mounting rail
ATE547578T1 (de) Abstandshalter zur befestigung eines halteelementes in einer wandung
CN209703330U (zh) 一种有导向功能的可调高桥梁滑移装置
CN107178197B (zh) 工业厂房混凝土地面结构
BR112018077409A2 (pt) parafuso para mineração,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 parafuso para mineração e método para a instalação de um parafuso para mineração
NO115467B (ko)
ATE477173T1 (de) Zurrvorrichtung mit einer schnappsicherungsvorrichtung
KR101661421B1 (ko) 바닥패널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주차장 바닥 배수 시스템
GB2093519A (en) Clamp
KR20090006961A (ko) 일체형 탄성받침 거동량 보정장치
DE102005003799A1 (de)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sowie Führungsplatte
US7500398B2 (en) Prestressing element for sensors
FR2982516B1 (fr) Systeme de serrage d'une tole pour le controle de la conformite de la tole
KR200322457Y1 (ko) 침목시스템
AU2008101118A4 (en) Adjustable Formwork Bracket
CN103979410A (zh) 一种轨道固定装置
JP3118379U (ja) 床用スリーブ装置
KR100808444B1 (ko) 교량 상판 신축 이음장치 및 방법
US20120117892A1 (en) All metal leave N place armor joint form with joint fill retention
CN214362936U (zh) 一种用于桥面铺装预埋筋的定位装置
Qian et al. Effects of parameters of asphalt concrete surfacing on mechanical property of paving layer.
JP4092449B2 (ja) 足場板受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