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771B1 - 고무 지승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지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6771B1 KR101256771B1 KR1020127014845A KR20127014845A KR101256771B1 KR 101256771 B1 KR101256771 B1 KR 101256771B1 KR 1020127014845 A KR1020127014845 A KR 1020127014845A KR 20127014845 A KR20127014845 A KR 20127014845A KR 101256771 B1 KR101256771 B1 KR 1012567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 cutout portion
- cover layer
- laminate
- side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7—Pot 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상양력 방지 기능을 가지면서, 두께 및 폭을 저감시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고무 지승장치를 제공한다.
고무 적층체 (2) 의 상단 표면에 배치한 상단 강판 (3a) 의 상단 모서리부에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 (4) 를 형성하고, 절결부 (4) 에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를 간극을 두고 대향시켜, 상양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를 맞닿게 하여 상양력 방지로서 기능시키고,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1) 을,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7) 내측면 (7c) 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2) 보다 작게 설정하여, 교축 직각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를 맞닿게 한다.
고무 적층체 (2) 의 상단 표면에 배치한 상단 강판 (3a) 의 상단 모서리부에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 (4) 를 형성하고, 절결부 (4) 에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를 간극을 두고 대향시켜, 상양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를 맞닿게 하여 상양력 방지로서 기능시키고,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1) 을,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7) 내측면 (7c) 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2) 보다 작게 설정하여, 교축 직각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를 맞닿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무 지승 (支承)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상양력 (上揚力) 방지 기능을 가지면서, 두께 및 폭을 저감시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고무 지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형 (橋桁:bridge girder) 등을 지지하는 고무 지승장치는 여러 타입이 있다. 도 8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교형 등의 상부공(上部工) (10) 에 교축 (橋軸) 직각 방향 (Y 방향) 의 수평력 (FH) 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교각 등의 하부공(下部工) (11) 위에 설치된 일방의 고무 지승장치 (8) 에는 상양력 (FU) 이 작용하고, 타방의 고무 지승장치 (8) 에는 하향의 힘 (FD) 이 작용한다. 그래서, 이 상양력 (FU) 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고무 지승장치가 여러 종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도 4∼도 6 참조).
종래의 상양력 방지 기능을 갖는 고무 지승장치 (8) 는 도 7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단을 상단 강판 (3a), 최하단을 하단 강판 (3b) 으로 하여 강판 (3) 과 고무층 (5) 을 교대로 적층해서 고무 적층체 (2) 를 형성하고, 상단 강판 (3a) 위에 상답 (上沓 : 9) 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고무 적층체 (2) 의 교축 직각 방향 (Y 방향) 의 양측에 배치한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를, 간극을 두고 상답 (9) 의 절결부 (9a) 에 대향시키고 있었다. 상양력 (FU) 이 작용했을 때에는, 대향하고 있는 상답 (9) 의 절결부 (9a) 와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가 맞닿음으로써 상양력 방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답 (9) 의 하방부를 교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시켜, 사이드블록 (7) 의 내측면 (7c) 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시키고 있었다. 상부공 (10) 에 교축 직각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상답 (9) 의 교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과 사이드블록 (7) 의 내측면 (7c) 이 맞닿음으로써 교축 직각 방향의 어긋남 이동이 규제된다.
상부공 (10) 에 작용하는 교축 직각 방향의 수평력 (FH) 이 큰 경우나 설치되어 있는 고무 지승장치 (8) 끼리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격이 좁은 경우 등에는, 상양력 (FU) 이 커진다. 그 때문에, 큰 상양력 (FU) 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상양력 (FU) 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답 (9) 을 두껍게 할 필요가 있고, 이에 수반하여 장치 전체가 두껍게 되어 있었다. 또한, 상답 (9) 의 하방부를 교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교축 직각 방향의 폭이 커져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상양력 방지 기능을 갖는 고무 지승장치 (8) 에서는, 상답 (9) 이 장치의 컴팩트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고무 지승장치의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나 비용 삭감 등의 관점에서, 장치 전체를 보다 컴팩트화한 상양력 방지 기능을 갖는 고무 지승장치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양력 방지 기능을 가지면서, 두께 및 폭을 저감시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고무 지승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는 강판과 고무층을 교대로 적층하고 가황 (加硫) 접착되어 일체물로 된 고무 적층체와, 고무 적층체의 교축 직각 방향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블록을 갖고, 상기 사이드블록의 상단 돌출부를 고무 적층체의 상방으로 돌출시킨 고무 지승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 중 고무 적층체의 상단 표면에 배치된 상단 강판의 상단 모서리부에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를, 교축 직각 방향에서 상기 고무층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의 측면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하여, 이 절결부에 상기 사이드블록의 상단 돌출부를 간극을 두고 대향시키고, 이 절결부와 상단 돌출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을, 상기 고무층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의 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사이드블록 내측면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결부를 상기 상단 강판의 교축 방향 전장에 걸쳐서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단 강판의 최하면으로부터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최상면까지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 ∼ 150㎜ 이다. 상기 절결부가, 그 표면을 덮는 커버층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절결부가, 그 표면 중 적어도 저면 이외의 표면을 덮는 커버층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층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절결부가, 그 표면 중, 상기 커버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표면에 방청 도료층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에 의하면, 고무 적층체의 상단 표면에 가황 접착하여 배치한 상단 강판의 상단 모서리부에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에 사이드블록의 상단 돌출부를 간극을 두고 덮도록 대향시켰으므로, 상양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상단 돌출부와 절결부가 맞닿아 상양력 방지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종래에 설치되어 있던 상답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장치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와 상단 돌출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을, 고무층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의 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내측면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보다 작게 설정하였으므로, 교축 직각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절결부와 상단 돌출부가 맞닿는다. 그 때문에, 상답이 없어도 교축 직각 방향의 어긋남 이동이 규제되어, 종래와 같이 상답의 교축 직각 방향의 돌출부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교축 직각 방향의 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절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절결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절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오른쪽 절반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고무 지승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절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절결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절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오른쪽 절반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고무 지승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 (1) 는 교형 등의 상부공 (10) 과 교각 등의 하부공 (11) 사이에 설치된다. 고무 지승장치 (1) 는 강판 (3) 과 고무층 (5) 을 교대로 적층한 고무 적층체 (2) 와, 고무 적층체 (2) 의 교축 직각 방향 양측에 배치한 사이드블록 (7) 을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는 고무 적층체 (2), 강판 (3) 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교축 방향을 X 방향, 교축 직각 방향을 Y 방향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고무 적층체 (2) 의 강판 (3) 중, 고무 적층체 (2) 의 상단 표면에 배치된 상단 강판 (3a) 및 하단 표면에 배치된 하단 강판 (3b) 은 다른 강판 (3) 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이들 강판 (3), 상단 강판 (3a), 하단 강판 (3b) 과 인접하는 고무층 (5) 과는 가황 접착되어 일체물로 되어 있다.
상단 강판 (3a) 은 상부공 (10) 의 하면에 장착된 솔 플레이트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고무 지승장치 (1) 는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 (8) 가 구비하고 있던 상답 (9) 을 갖고 있지 않다. 하단 강판 (3b) 은 고정 볼트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6) 에 고정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6) 는 하부공 (11) 에 매설된 앵커에 고정 너트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하부공 (11) 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사이드블록 (7) 은 상단 강판 (3a) 의 일부분 (후술하는 절결부 (4)) 을 덮도록, 그 일부분의 상방까지 돌출시킨 상단 돌출부 (7a) 를 갖고 있다. 이 사이드블록 (7) 은 볼트 등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 (6) 에 고정되어 있다.
상단 강판 (3a) 의 교축 직각 방향 양측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 (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 (4) 는 교축 직각 방향에서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보다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절결부 (4) 는 상단 강판 (3a) 의 교축 방향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강판 (3a) 의 교축 방향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상단 강판 (3a) 의 상단 모서리부의 교축 방향 중앙부에 절결부 (4) 가 형성되고, 절결부 (4) 의 교축 방향 양측은 비절결부로 되어 있다.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는 절결부 (4) 에 대해, 교축 직각 방향, 교축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1) 은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7) 내측면 (7c) 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2)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간극 (g1) 은 예를 들어 2㎜ ∼ 30㎜ 정도이고, 간극 (g2) 은 예를 들어 5㎜ ∼ 50㎜ 정도이다.
도 8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지승장치 (1) 에 상양력 (FU) 이 작용하여, 상단 강판 (3a) 이 소정 길이 상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단 강판 (3a) 의 절결부 (4) 의 저면 (4c) 과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하면의 대향하고 있는 면끼리가 맞닿는다. 이에 의해, 상단 강판 (3a) 의 상방 이동이 규제되어, 상양력 방지 기능을 발휘한다.
상부공 (10) 에 교축 직각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단 강판 (3a) 이 소정 길이 교축 직각 방향으로 어긋남 이동했을 때에는,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7) 내측면 (7c) 이 맞닿기 전에, 상단 강판 (3a) 의 절결부 (4) 의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b) 와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의 돌출 단면 (7b) 이 맞닿는다. 이에 의해, 고무 적층체 (2) 및 상부공 (10) 의 교축 직각 방향의 어긋남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 강판 (3a) 과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를 이용하여, 상양력의 억제 및 교축 직각 방향의 어긋남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상양력 방지 기능을 가지면서 상답 (9) 이 불필요하게 되어, 고무 지승장치 (1) 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상단 강판 (3a) 의 최하면으로부터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최상면까지의 두께 (T) 는 예를 들어 100㎜ ∼ 150㎜ 정도이다.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 (1) 와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 (8) 를 같은 조건하에 설치하는 경우, 이 두께 (T) 는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 (8) 의 상단 강판 (3a) 과 상답 (9) 의 합계 두께의 50% ∼ 6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 (8) 와 같이 상답 (9) 의 하방부를 교축 직각 방향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고무 지승장치 (1) 의 교축 직각 방향의 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고무 지승장치 (1) 전체를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 (8) 에서는, 상단 강판 (3a) 의 상면에 상답 (9) 을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고무 지승장치 (1) 에서는, 이러한 설치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부공 (10) 에 교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단 강판 (3a) 이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 어긋났을 때에는,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의 교축 방향 단면과 절결부 (4) 의 교축 방향 단면 (4a) 이 맞닿는다. 이에 의해, 상부공 (10) 의 교축 방향의 어긋남 이동이 규제된다.
상단 강판 (3a) 에 형성하는 절결부 (4) 는 도 3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 강판 (3a) 의 교축 방향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고무 지승장치 (1) 에 있어서도, 절결부 (4) 와 상단 돌출부 (7a) 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1) 은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7) 내측면 (7c) 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2)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절결부 (4) 를 채용한 경우에는, 상부공 (10) 의 교축 방향의 어긋남 이동이 규제되지 않고서 자유롭게 된다.
그런데, 도 7 에 예시한 종래의 고무 지승장치 (8) 에서는, 상답 (9) 과 상단 강판 (3a) 이 분리 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답 (9) 의 절결부 (9a) 를 도금처리함으로써 방청 사양으로 함과 동시에 상단 돌출부 (7a) 가 맞닿더라도 그 방청 사양이 용이하게 열화되지 않는 사양이 된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절결부 (4) 가 고무 적층체 (2) 와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결부 (4) 를 도금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절결부 (4) 에 대하여, 종래와는 다른 방청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도 4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 (4) 의 표면 (교축 방향 단면 (4a),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b) 및 저면 (4c)) 에 방청 도료층 (12) 을 갖는 사양으로 함으로써,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청 도료층 (12) 은 예를 들어, 고농도 아연 분말 도장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절결부 (4) 의 녹 발생을 없앰으로써,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절결부 (4) 의 표면 중, 교축 방향 단면 (4a) 및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b) 은 사이드블록 (7) 의 상단 돌출부 (7a) 와 맞닿는 빈도가 높다. 그 때문에, 방청 도료층 (12) 에 상단 돌출부 (7a) 가 맞닿았을 때에 방청 도료층 (12) 이 박리되는 것이 우려된다. 한편, 고무 지승장치 (1) 에 상양력 (FU) 이 작용하지 않으면, 저면 (4c) 은 상단 돌출부 (7a) 와 맞닿지 않기 때문에, 그 맞닿는 빈도가 매우 낮다.
그래서, 도 5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 (4) 는 그 표면 (교축 방향 단면 (4a),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b) 및 저면 (4c)) 중 적어도 저면 (4c) 이외의 표면 (교축 방향 단면 (4a),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b)) 을 덮는 커버층 (13) 을 갖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커버층 (13) 으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판, 고무판, 수지판 등을 사용한다. 커버층 (13) 의 두께는 예를 들어, 1㎜∼10㎜ 정도이다.
도 5 의 실시형태에서는, 커버층 (13) 에 관통구멍 (13a) 을 형성함과 동시에, 절결부 (4) 에 나사구멍 (4d) 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 (13a) 을 삽입 통과시킨 접시머리 나사 (14) 를 나사구멍 (4d) 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절결부 (4) 의 교축 방향 단면 (4a) 및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b) 을 덮도록 커버층 (13) 이 장착되어 있다.
커버층 (13) 은 상단 강판 (3a) 과 접착시키는 등에 의해서 일체화시킬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커버층 (13) 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고무 지승장치 (1) 의 설치 현장에서 요구되는 사양 (두께나 내구성 등) 에 신속하게 적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두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커버층 (13) 을 준비해 두면, 상이한 두께의 커버층 (13) 을 설치함으로써, 절결부 (4) (커버층 (13)) 과 상단 돌출부 (7a) 와의 간극을 용이하게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층 (13) (절결부 (4)) 과 상단 돌출부 (7a) 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1) 은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7) 내측면 (7c) 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2) 보다 작게 설정된다.
물론, 절결부 (4) 의 저면 (4c) 에도 커버층 (13) 을 형성하여, 절결부 (4) 의 전체 표면을 덮는 커버층 (13) 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 에 예시하는 커버층 (13) 으로 함으로써, 사이드블록 (7) 과의 맞닿음 빈도가 높은 면에만 방청 대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커버층 (13) 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절결부 (4) 의 저면 (4c) 은 방청 도료층 (12) 을 갖는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 (4c) 은 사이드블록 (7) 과의 맞닿음 빈도가 낮기 때문에 방청 도료층 (12) 으로도 충분히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청 도료층 (12) 은 절결부 (4) 의 표면 중 커버층 (13) 에 덮여 있지 않은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결부 (4) 의 표면 중 커버층 (13) 에 덮여 있지 않은 표면 (저면 (4c)) 에만 방청 도료층 (12) 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하는 방청 도료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절결부 (4) 의 전체 표면에 방청 도료층 (12) 을 갖는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방청 도료층 (12) 위에 커버층 (13) 을 갖는 사양으로 하면, 방청 도료층 (12) 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단 강판 (3a) 의 교축 방향 전장에 걸쳐서 형성한 절결부 (4) 의 경우에도, 도 6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 (4) 가, 그 표면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b) 및 저면 (4c)) 중 적어도 저면 (4c) 이외의 표면에 커버층 (13) 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에는, 절결부 (4) 의 표면 중 커버층 (13) 에 덮여 있지 않은 표면 (저면 (4c)) 에 방청 도료층 (12) 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절결부 (4) 의 저면 (4c) 에도 커버층 (13) 을 형성하여, 절결부 (4) 의 전체 표면을 덮는 커버층 (13) 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절결부 (4) 의 전체 표면에 대하여 방청 도료층 (12) 을 가짐과 함께, 방청 도료층 (12) 위에 커버층 (13) 을 갖는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커버층 (13) 은 접시머리 나사 (14) 등에 의해서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상단 강판 (3a) 과 접착시키는 등에 의해서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층 (13) (절결부 (4)) 과 상단 돌출부 (7a) 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1) 은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고무층 (5)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 (2) 의 측면) 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사이드블록 (7) 내측면 (7c) 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 (g2) 보다 작게 설정된다.
1 … 고무 지승장치
2 … 고무 적층체
3 … 강판
3a … 상단 강판
3b … 하단 강판
4 … 절결부
4a … 교축 방향 단면
4b …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c … 상면
4d … 나사구멍
5 … 고무층
6 … 베이스 플레이트
7 … 사이드블록
7a … 상단 돌출부
7b … 돌출 단면
7c … 내측면
9 … 상답
9a … 절결부
12 … 방청 도료층
13 … 커버층
2 … 고무 적층체
3 … 강판
3a … 상단 강판
3b … 하단 강판
4 … 절결부
4a … 교축 방향 단면
4b … 교축 직각 방향 측면
4c … 상면
4d … 나사구멍
5 … 고무층
6 … 베이스 플레이트
7 … 사이드블록
7a … 상단 돌출부
7b … 돌출 단면
7c … 내측면
9 … 상답
9a … 절결부
12 … 방청 도료층
13 … 커버층
Claims (7)
- 강판과 고무층을 교대로 적층하고 가황 접착되어 일체물로 된 고무 적층체와, 고무 적층체의 교축 직각 방향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블록을 가지며, 상기 사이드블록의 상단 돌출부를 고무 적층체의 상방으로 돌출시킨 고무 지승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 중 고무 적층체의 상단 표면에 배치된 상단 강판의 상단 모서리부에 교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를 교축 직각 방향에서 상기 고무층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의 측면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하여, 이 절결부에 상기 사이드블록의 상단 돌출부를 간극을 두고 대향시키고, 이 절결부와 상단 돌출부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을, 상기 고무층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의 고무 적층체의 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사이드블록 내측면과의 교축 직각 방향의 간극보다도 작게 설정한 고무 지승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상기 상단 강판의 교축 방향 전장에 걸쳐서 연장 형성한 고무 지승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강판의 최하면으로부터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최상면까지의 두께가 100㎜ ∼ 150㎜ 인 고무 지승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그 표면을 덮는 커버층을 갖는 구성으로 한 고무 지승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그 표면 중 적어도 저면 이외의 표면을 덮는 커버층을 갖는 구성으로 한 고무 지승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한 고무 지승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그 표면 중 상기 커버층에 덮여 있지 않은 표면에 방청 도료층을 갖는 구성으로 한 고무 지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94500 | 2009-12-25 | ||
JP2009294500A JP4784688B2 (ja) | 2009-05-26 | 2009-12-25 | ゴム支承装置 |
PCT/JP2010/070877 WO2011077884A1 (ja) | 2009-12-25 | 2010-11-24 | ゴム支承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2388A KR20120072388A (ko) | 2012-07-03 |
KR101256771B1 true KR101256771B1 (ko) | 2013-04-25 |
Family
ID=4420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4845A KR101256771B1 (ko) | 2009-12-25 | 2010-11-24 | 고무 지승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6771B1 (ko) |
CN (1) | CN102666994B (ko) |
MY (1) | MY152660A (ko) |
WO (1) | WO201107788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40134B2 (ja) * | 2015-03-20 | 2019-07-10 |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 免震支持装置 |
CN105256712B (zh) * | 2015-11-02 | 2017-04-26 |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桥梁的缓冲型抗剪装置 |
CN110745671A (zh) * | 2019-11-20 | 2020-02-04 | 四川工商学院 | 一种用于电梯轿厢的减震机构 |
CN115231278B (zh) * | 2022-09-22 | 2022-12-20 | 中南大学 | 一种紧固件输送机构及支座高度调节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9844A (ko) * | 2002-10-02 | 2004-04-08 | (주)디에스엘 | 교량연결구조 |
KR20070050895A (ko) * | 2007-04-26 | 2007-05-16 | (주) 국제이엔씨 | 일체형 탄성받침 |
KR20080071874A (ko) * | 2007-01-31 | 2008-08-05 | 가와구찌긴조꾸고우교유가부시키가이샤 | 교량의 신축 장치용 지수고무 유닛 및 지수고무 장치 |
KR100893352B1 (ko) | 2007-09-04 | 2009-04-14 |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 일체형 교좌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329Y2 (ko) * | 1988-03-16 | 1993-03-30 | ||
JPH07116687B2 (ja) * | 1989-01-20 | 1995-12-13 | 裕一 合田 | 構造物用中段せん断ストッパ付きゴム支承装置 |
JP3623006B2 (ja) * | 1995-03-07 | 2005-02-23 | 川口金属工業株式会社 | 構造物の弾性支承装置 |
CN2485336Y (zh) * | 2001-05-17 | 2002-04-10 | 衡水宝力工程橡胶有限公司 | 拉压橡胶支座 |
CN101487229B (zh) * | 2008-01-18 | 2013-05-29 | 柳州东方工程橡胶制品有限公司 | 带有摩擦副的铅芯橡胶支座组件的安装使用方法 |
-
2010
- 2010-11-24 CN CN2010800579264A patent/CN10266699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1-24 MY MYPI2012002757 patent/MY152660A/en unknown
- 2010-11-24 WO PCT/JP2010/070877 patent/WO201107788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1-24 KR KR1020127014845A patent/KR1012567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9844A (ko) * | 2002-10-02 | 2004-04-08 | (주)디에스엘 | 교량연결구조 |
KR20080071874A (ko) * | 2007-01-31 | 2008-08-05 | 가와구찌긴조꾸고우교유가부시키가이샤 | 교량의 신축 장치용 지수고무 유닛 및 지수고무 장치 |
KR20070050895A (ko) * | 2007-04-26 | 2007-05-16 | (주) 국제이엔씨 | 일체형 탄성받침 |
KR100893352B1 (ko) | 2007-09-04 | 2009-04-14 |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 일체형 교좌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2388A (ko) | 2012-07-03 |
MY152660A (en) | 2014-10-31 |
CN102666994A (zh) | 2012-09-12 |
CN102666994B (zh) | 2013-09-04 |
WO2011077884A1 (ja) | 2011-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6771B1 (ko) | 고무 지승장치 | |
DE10304886A1 (de) | Elektronikleiterplattengehäuse | |
JP5128192B2 (ja) | レール位置決め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タイプレート並びに軌間調整コマ | |
KR102552162B1 (ko) | 간격 조절 기능이 개선된 교량 내진 보강용 전단키 | |
DE19712811A1 (de) | Metalldichtung | |
US20180335142A1 (en) | Metal gasket | |
JP4784688B2 (ja) | ゴム支承装置 | |
JP2008025830A (ja) | 免震装置 | |
US20100225068A1 (en) | Metal laminate gasket | |
JP4680877B2 (ja) | 水平支承装置 | |
EP2108584B1 (de) | Befestigungsschiene für Flugzeugsitze | |
JP2006274753A (ja) | 橋梁用弾性支承 | |
KR20200080316A (ko) | 개스킷 | |
KR102212014B1 (ko) |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 |
KR102652789B1 (ko) | 케이블 코밍 커버 | |
EP3420253A1 (de) | Dichtung für eine motorkomponente und motorkomponente mit dieser dichtung | |
WO2015141587A1 (ja) | メタルガスケット | |
JP6813893B2 (ja) | ガスケット | |
JP2010276185A (ja) | 構造物の滑り支承構造 | |
JP2020159191A5 (ko) | ||
JP2005127404A (ja) |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 |
DE60315320T2 (de) | Zylinderkopfdichtung | |
JP6557558B2 (ja) | ねじ式ショルダー付きレール締結装置 | |
KR101646184B1 (ko) | 중장비의 이동을 위한 폰툰 및 이를 위한 폰툰용 데크 | |
JP5169746B2 (ja) | リニアガイ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