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377B1 -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377B1
KR100586377B1 KR20040081780A KR20040081780A KR100586377B1 KR 100586377 B1 KR100586377 B1 KR 100586377B1 KR 20040081780 A KR20040081780 A KR 20040081780A KR 20040081780 A KR20040081780 A KR 20040081780A KR 100586377 B1 KR100586377 B1 KR 10058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upling
panel
coupling portion
downward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8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808A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이성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Priority to KR2004008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3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3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 중공단면을 가지고 있고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스냅-핏 형식의 기계적인 결합에 의하여 상호 병렬 연결되어 건축 구조물, 탱크 구조물, 플랫폼, 보도 바닥판, 교량 바닥판, 아치, 원형관, 원형 탱크 등과 같은 개단면 내지 폐단면의 토목,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상기 패널이 서로 소정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T자 형태로 연결되거나 또는 원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2), 하부판(3) 및 복부판(4)으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평면 또는 곡면형 다각형 중공 단면을 가지며, 그 일측면에는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a)는 상기 상부판(2)이 측면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연장부(5)의 단부에서 아랫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향돌기결합부(15b)는 외측 복부판(4)의 외측면에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1)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a, 15b)와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기계적인 결합을 하게 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b')가 형성되는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는 외측 복부판(4)의 외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2상향돌기결합부(15b')는 상기 하부판(3)이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연장부(5')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돌기결합부(15a, 15a', 15b, 15b')에는 서로 물려 기계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각각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15c, 15c')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바닥판 튜브(1')와 수직한 방향으로 기계적 착탈 방식에 의하여 결합되어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의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상기 패널들을 서로 직각으로 또는 T자형으로 또는 소정 각도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섬유강화, 복합소재, 다각형 중공단면, 패널, 연결, 커넥터, 스냅-핏

Description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Fiber Reinforced Composite Panel of Straight and Curved Tubular Profile Having Snap-Fit Connection and Connectors thereof}
도 1a는 종래의 패널 시스템에 의하여 2개의 평면 패널을 서로 나란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패널 시스템에서 2개의 평면 패널을 직각으로 연결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토글에 의하여 연결된 종래의 평면 패널에 대한 휨 하중 재하 실험에 의하여 파괴된 토글 및 토글결합부분의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평면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와, 상기 평면 패널이 조립되는 것을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 패널에 구비된 돌기결합부의 결합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 패널에 구비된 돌기결합부의 결합형태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 패널의 최외측에 설치되어 마감하는 마감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는 2개의 평면 패널을 직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직각연결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직각연결커넥터에 의하여 2개의 평면 패널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2개의 평면 패널을 소정 각도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비직각연결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비직각연결커넥터에 의하여 2개의 평면 패널이 서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7a에 도시된 직각연결커넥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정사각형 단면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7a에 도시된 직각연결커넥터와 도 10a에 도시된 T형연결커넥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격벽이 있는 구형(矩形) 단면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3개의 평면 패널이 T자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T형연결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T형연결커넥터에 의하여 3개의 평면 패널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T자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패널을 서로 연결, 조립하여 제작되는 원통형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패널을 서로 연결, 조립하여 제작되는 아치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패널 20 직각연결커넥터
30 T형연결커넥터
본 발명은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평면 및 곡면 패널과, 이를 위한 커넥터(connectors)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평면 또는 곡면형의 다각형 중공단면을 가지고 있고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스냅-핏 형식의 기계적인 결합에 의하여 상호 병렬 연결되어 건축 구조물, 탱크 구조물, 플랫폼, 보도 바닥판, 교량 바닥판 등의 구조물을 이루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평면 및 곡면 패널과, 상기 패널이 서로 소정 각도로 연결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의 벽체, 보도의 바닥판 등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이하, "패널"이라고 약칭한다)을 이용한 시스템으로서는, 이웃하는 패널의 측면을 서로 접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토글(toggle)이라는 커넥터를 삽입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1a에는 종래의 패널 시스템에 의하 여 2개의 패널을 서로 나란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b에는 2개의 패널을 직각으로 연결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패널 시스템에 있어서, 패널(100)은 다수개의 다각형 중공(101)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패널(1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오목하게 함몰된 토글결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100)은 토글(2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토글(200)은 중앙부가 함몰되어 양단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토글결합부(102)는 상기 토글(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패널(100)은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패널(100)은 양측면이 서로 마주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글(200)이 패널(100)의 횡방향으로 상기 토글결합부(102)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데, 상기 토글(200)의 돌출된 부분이 토글결합부(102)의 오목한 부분에 끼워진다.
패널(100)을 직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2방향 또는 3방향 커넥터(300)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도 1b에는 3방향 커넥터(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3방향 커넥터(300)는 직각으로 배치되는 양측 패널(10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토글결합부(102)가 커넥터(300)의 3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3방향 커넥터(300)의 각 측면에 접한 패널(100) 사이에 토글(200)을 삽입하여 결합하게 된다. 만일 패널(100)을 T자 형태로 수직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1b에서 토글(100)이 삽입되어 있지 아니한 토글결합부(102) 옆으로 새로운 패널(100)을 배치하 고, 그 사이에 토글(100)을 삽입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패널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단점 내지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우선,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2개의 패널을 연결함에 있어서 반드시 토글이라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취급이 번거로우며 조립작업이 번거롭다. 특히, 토글을 삽입하는 방향이 패널의 횡방향이라는 점으로 인하여 패널을 활용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물이 패널의 횡방향으로 즉, 도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당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라면, 그에 맞추어 토글의 길이도 길어야 하는데, 이렇게 긴 토글을 패널의 일측에서 삽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된다. 토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토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좌굴 등에 의하여 토글이 부러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뿐만 아니라, 토글을 횡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패널의 횡방향 측면에 토글 삽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현장에서는 결국 종래의 패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도 위와 같은 종래의 패널 시스템에서는 토글이 전단연결재 역할밖에 하지 않기 때문에 휨하중을 받을 경우 연결부가 벌어질 수 있으며, 토글의 강도가 낮고, 휨, 전단 및 인장에 취약하기 때문에 패널의 연결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도 2에는 토글에 의하여 연결된 종래의 패널에 대한 휨 하중 재하 실험에 의하여 파괴된 토글 및 토글결합부분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짧은 길 이를 가지고 양단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토글의 경우, 양단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서만 전단응력을 지지하게 되므로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된 부분 어느 것이라도 파손되거나, 또는 돌출된 부분을 잡고 있는 토글결합부가 파손되면 더 이상 패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토글을 이용한 패널 시스템이 가지는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패널의 조립 방향에 따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패널의 연결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을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간편하고 견고한 기계적인 착탈방식으로 패널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구조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으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평면 또는 곡면형의 다각형 중공단면을 가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로서, 상기 바닥판 튜브의 일측면에서는 제1하향돌기결합부와 제2하향돌기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는 상기 상부판이 측면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연장부의 단부에서 아랫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향돌 기결합부는 외측 복부판의 외측면에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 튜브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와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스냅-핏 형태로 기계적인 결합을 하게 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와 제2상향돌기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제1상향돌기결합부는 외측 복부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2상향돌기결합부는 상기 하부판이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돌기결합부에는 서로 물려 기계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각각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바닥판 튜브와 수직한 방향으로 스냅-핏 형태의 기계적 착탈 방식에 의하여 결합되어 바닥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패널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연장부의 단부내측에는,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의 선단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지지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연장부의 단부내측에도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하향돌기결합부와 상기 제2상향돌기결합부가 결합될 때 상기 제2하향돌기결합부의 선단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지지부가 돌출된 형태로 성형되어 있어, 상기 돌기결합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저항을 증가시켜 돌기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하는 직각연결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상기 직각연결커넥터는 섬유보강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하측부 및 그에 수직하게 일체 형성된 중앙부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단면 을 가지고, 패널의 횡방향 길이에 맞추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직각연결커넥터의 T자형 단면에서 하측부의 일단에는 제2 패널의 제2하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가 하측부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부의 타단에는 제1 패널의 제2상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하향돌기결합부가 하측부의 내측에서 하측부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각연결커넥터의 T자형 단면에서 상기 하측부에 수직한 중앙부의 단부에는 제1하향돌기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는 제1 패널의 제1상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 단부에서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상기 중앙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의 반대측에 제1상향돌기결합부가 상기 중앙부의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서로 직각으로 마주하게 되는 모서리에서 상기 직각연결커넥터의 제1하향돌기결합부와 제2하향돌기결합부가 각각 제1 패널의 제1상향돌기결합부와 제2상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직각연결커넥터의 제1상향돌기결합부와 제2상향돌기결합부는 각각 제2 패널의 제1하향돌기결합부와 제2하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복합소재 패널의 직각연결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로 이루어지고 수평하게 배치된 2개의 패널과 수직하게 배치된 1개의 패널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하여 T자를 이루게 하는 T형연결커넥터로서, 상기 T형연결커넥터는 섬유보강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하측부 및 그에 수직하게 일체 형성된 중앙부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패널의 횡방향 길이에 맞추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T형연결커넥터의 T자형 단면에서 하측부의 일단에는 제2 패널의 제2하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가 하측부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부의 타단에는 제1 패널의 제2상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하향돌기결합부가 하측부의 내측에서 하측부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T형연결커넥터의 T자형 단면에서 상기 하측부에 수직한 중앙부의 단부에는 제1하향돌기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는 제1 패널의 제1상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상기 중앙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의 반대측에 제1상향돌기결합부가 상기 중앙부의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부 외측 중간에는, 제3 패널의 제1하향돌기결합부와 결합하게 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부의 타단에는 제3 패널 방향으로 수평부가 더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는, 제3 패널의 제2하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3 패널과 제2 패널이 서로 직각으로 마주하게 되는 모서리에서 상기 T형연결커넥터의 제1하향돌기결합부와 제2하향돌기결합부가 각각 제1 패널의 제1상향돌기결합부와 제2상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T형연결커넥터의 제1상향돌기결합부와 제2상향돌기결합부는 각각 제2 패널의 제1하향돌기결합부와 제2하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3 패널 일측의 제1하향돌기결합부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는 각각 상기 T형연결커넥터의 하측부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상향돌기 결합부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와 결합되어, 2개의 제1 패널과 하나의 제2 패널(1b)이 T자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복합소재 패널의 T형연결커넥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로서,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패널(1)의 개략적인 사시도와, 상기 패널(1)이 이웃하는 패널(1')과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패널"이라는 용어는 평면을 이루는 패널과, 곡면을 이루는 패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곡면을 이루는 패널은 별도로 "곡면 패널"이라고 명시하였다. 그러나, 앞서 표기한 것처럼 필요한 경우, 평면을 이루는 패널을 "평면 패널"이라고 명시한 경우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다각형 중공(101)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형상과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1)은,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패놀 또는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강화섬유로 구성되며, 인발성형공법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강화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섬유를 강화섬유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예시한 섬유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1)은 이웃하는 패널(1')과 그 측면이 서로 일체 연결되도록 조립되는데, 이웃하는 패널(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접근하여 결합되며, 이웃하는 패널(1')과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기계적 착탈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패널(1)의 일측면에는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형성되며, 상기 패널(1)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a, 15b)와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기계적인 결합을 하게 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1, 1')의 일측에는 상부판(2)이 연장되어 있는 상부연장부(5)가 존재하고 타측에는 하부판(3)이 연장되어 있는 하부연장부(5')가 존재하는데, 그 상부연장부(5)의 단부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a)가 아랫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널(1, 1')의 일측에는 외측 복부판(4)의 외측면에 아랫방향으로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패널(1, 1')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체결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a')가 외측 복부판(4)의 외측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에서는 상기 하부연장부(5')의 단부에 상기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체결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15b')가 상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1상향돌기결합부(15a')가 결합된 형태의 일실시예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는데,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에는 각각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15c, 15c')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15c, 15c')가 서로 물려 견고한 기계적인 결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돌기결합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부연장부(5)의 단부내측에는,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의 단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지지부(5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구조는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b')의 결합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참고로, 도 4에는 점선으로 상기 돌기결합부(15a, 15a') 내부의 섬유 배열 형태의 예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결합부(15a, 15a', 15b, 15b') 내부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으로 섬유가 배열될 수 있으므로 패널(1, 1') 사이에서 상기 돌기결합부에 전단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한 섬유 배열을 통하여 충분한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패널(1)이 이웃하는 패널(1')과 연결될 때는,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패널(1)이 위쪽으로부터 놓여져 가압되므로써 이웃하는 패널(1')과 결합하게 되는데, 이웃하는 패널(1')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에는 위에서 내려와 위치하게 되는 패널(1)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가 끼워져 결합되며, 이웃하는 패널(1')의 제2상향돌기결합부(15b')는 패널(1)의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에 끼워져 결합되므로써, 양측 패널(1, 1')이 기계적인 맞물림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패널(1)을 일정 정도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돌기(15c, 15c')간에 슬립이 일어나면서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미세하게 뒤로 물러나게 되어 돌기간의 기계적인 결합이 용이하 게 이루어진다. 돌기(15c, 15c')가 서로 슬립된 후에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다시 되돌아오게 되어 돌기(15c, 15c')가 서로 견고하게 물려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의 단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지지부(51)가 구비되어 있어 수평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돌기결합부가 서로 결합된 후에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벌어지지 않게 되어 돌기결합부가 매우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위와 반대로 패널(1)을 일정 정도 이상의 힘으로 인발하게 되면, 위와 마찬가지로 상기 돌기(15c, 15c')간에 슬립이 일어나면서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미세하게 뒤로 물러나게 되어 돌기결합부간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을 자유롭게 조립, 해체할 수 있게 되고, 패널의 재활용도 가능하게 된다.
도 5에는 상기 돌기결합부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돌기결합부에 형성된 돌기는 2개 이상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패널(1, 1')을 해체하는 것을 전혀 의도하지 아니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결합하므로써 결합강도를 더욱 증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널(1)의 최외곽 측면에는 마감부재(10)를 설치하게 되는데, 마감부재(10)의 형상은 도 6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서는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2개의 패널 (1)을 소정 각도로 연결하는 구조와 그에 사용되는 연결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2개의 패널(1)이 직각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8a 및 도 8b는 2개의 패널(1)이 다른 각도로 연결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우선 아래에서는 직각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직각이라 함은 엄격한 90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90도를 전후로 하여 통상 직각이라고 부를 수 있는 범위의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7a는 2개의 패널(1a, 1b)을 직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직각연결커넥터(20)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에 의하여 2개의 패널(1a, 1b) 즉, 제1 패널(1a)과 제2 패널(1b)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직각연결커넥터(20)는 패널(1a, 1b)과 동일하게 섬유보강 복합소재로 제작되는데, 하측부(21) 및 그에 수직하게 일체 형성된 중앙부(22)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패널(1a, 1b)의 횡방향 길이에 맞추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T자형 단면에서 하측부(21)의 일단에는 제2 패널(1b)의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15tb')가 하측부(21)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부(21)의 타단에는 제1 패널(1a)의 제2상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하향돌기결합부(15tb)가 하측부(21)의 내측에서 하측부(21)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T자형 단면에서 상기 하측부(21)에 수직 한 중앙부(22)의 단부에는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는 제1 패널(1a)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22) 단부에서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부(22)의 단부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의 반대측에 제1상향돌기결합부(15ta')가 상기 중앙부(22)의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패널(1a)과 제2 패널(1b)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할 경우,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tb)가 각각 제1 패널(1a)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t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tb')는 각각 제2 패널(1b)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각각 결합된다. 제1 패널(1a)과 제2 패널(1b)이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직각연결커넥터(20)와 연결되므로써, 제1 패널(1a)과 제2 패널(1b)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직각연결커넥터(20)를 이용하게 되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폐쇄된 4각 단면의 구조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9a에 도시된 4각 단면의 구조물은, 예를 들어 박스 암거 구조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2개의 패널(1a, 1b)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연결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2개의 패널(1a, 1b)을 또다른 각도로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비직각연결커넥터(30)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상기 비직각연결커넥터(30)에 의하여 2개의 패널(1a, 1b) 즉, 제1 패널(1a)과 제2 패널(1b)이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진 형태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비직각연결커넥터(30)는 패널(1a, 1b)과 동일하게 섬유보강 복합소재로 제작되는데, 중앙의 웨브(31)와, 그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ca, 15cb)와 제1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15ca', 15cb')로 구성된다. 우선, 제1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15ca', 15cb')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평면 패널(1a, 1b)에 구비된 제1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15a', 15b')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패널(1b)의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a, 15b)와 각각 결합된다.
한편, 상기 비직각연결커넥터(30)의 웨브(31) 타측면에는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ca, 15cb)가 각각 구비되는데, 비직각연결커넥터(30)의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ca, 15cb)는 웨브(31)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벌어져서 아래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비직각연결커넥터(30)의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ca, 15cb)는 제1 패널(1a)의 제1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15a', 15b')와 각각 결합된다. 이 때, 비직각연결커넥터(30)의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ca, 15cb)는 웨브(31)로부터 소정 각도로 벌어져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패널(1a, 1b)을 상기 비직각연결커넥터(30)로 연결하였을 경우,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 및 제2 패널(1a, 1b)이 소정 각도를 가지고 서로 경사진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비직각연결커넥터(30)의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ca, 15cb)가 웨브(31)로부터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다양한 각도로 제1 및 제2 패널(1a, 1b)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비직각연결커넥터(30)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패널을 연결하게 되면 다각형의 구조물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 즉, 3개의 패널이 T자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도 있는데, 다음에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패널의 T자 연결을 위한 T형연결커넥터(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3개의 패널(1a, 1b. 1c)이 T자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T형연결커넥터(40)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에 의하여 3개의 패널(1a, 1b, 1c) 즉, 제2 패널(1b)이 제1 패널(1a)과 제3 패널(1c)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되어 T자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1 패널(1a)과 제3 패널(1c)은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되고, 제2 패널(1b)은 그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상기 T형연결커넥터(40)는 패널(1a, 1b, 1c)과 동일하게 섬유보강 복합소재로 제작되는데,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그 기본 형상은 앞서 도 7a에 도시된 직각연결커넥터(20)와 유사하다. 즉, 상기 T형연결커넥터(40)는, 도 7a에 도시된 직각연결커넥터(20)의 구성에 더하여 제3 패널(1c)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각각 결합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pa')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15pb')가 더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T형연결커넥터(40)에서 추가적으로 더 구비되어 있는 돌기결합부에 대해서만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의 하측부(21) 외측 중간에는, 제 3 패널(1c)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결합하게 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pa')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측부(21)의 타단에는 제3 패널(1c) 방향으로 수평부(23)가 더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23)의 단부에는, 제3 패널(1c)의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15pb')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기타, 하측부(21)와 중앙부(22), 그리고 제1 패널(1a) 및 제2 패널(1b)과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하측부(21)와 중앙부(22)에 구비되는 돌기결합부는 앞서 설명한 직각연결커넥터(2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구성의 T형연결커넥터(40)를 이용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패널(1a, 1b, 1c)이 T자를 이루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제1 패널(1a) 및 제2 패널(1b)이 T형연결커넥터(40)와 연결되는 구성은 도 7b와 관련하여 설명한 직각연결커넥터(2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3 패널(1c)이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에 연결되는 구성을 살펴보면, 제3 패널(1c) 일측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는 각각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의 하측부(21)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pa')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15pb')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T형연결커넥터(40)에 의해서 2개의 제1 패널(1a, 1c)과 하나의 제2 패널(1b)이 T자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T형연결커넥터(40)에 의하여 3개의 패널을 T자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한 후, 또다른 T자 형상 패널들과 마주하여 결합하게 되면, H자 형상을 이 루는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앞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직각연결커넥터(20)를 추가로 이용하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 T형연결커넥터(40)과 관련하여, 2개의 제1 패널(1a, 1c)과 제2 패널(1b)이 직각으로 만나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서도 직각이라 함은 엄격한 90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90도를 전후로 하여 통상 직각이라고 부를 수 있는 범위의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제1 패널(1a, 1c)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곡면 패널도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패널로서 평면 패널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다음에서는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곡면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는 본 발명의 곡면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원통형 탱크 구조물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b에는 본 발명의 곡면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아치 구조물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곡면 패널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평면 패널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그 형상이 평면이 아닌 소정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 외에 패널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결합부 등의 구성은 앞서 살펴본 평면 패널과 동일한 바,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곡면 패널의 조립 역시 평면 패널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11a와 같은 원통형 폐단면 구조물의 제작시에, 마지막 패널을 도면에서 볼 때 수직한 방향으로 밀어넣으므 로써 전체 평면 패널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 패널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다수개의 곡면 패널을 연결하게 되면, 도 11a와 같은 원통형의 폐단면을 가지는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곡면 패널의 곡률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원통형 구조물의 단면을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면 패널을 이용하에 제작되는 폐단면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물은 탱크 구조물, 교각, 기둥, 말뚝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수도관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개단면 구조물의 예로서, 도 11b와 같은 아치 구조물에도 상기한 본 발명의 곡면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원통형 또는 아치형 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평면 패널 및 커넥터들과 유사한 곡면패널 및 커넥터들을 조합하여, 격벽 등을 가진 원통형 또는 아치형 구조물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널의 중공(101)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필러, 잡석, 고형폐기물 혼합체, 모르타르, 폴리머 모르타르, 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채움재로 채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을 채우게 되면 보온 효과, 소음 방지 효과 등이 발휘되며, 어느 정도 이상의 중량이 필요한 구조물의 경우에는 구조물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발휘된다. 특히, 채움재에 의하여 패널이 샌드위치 구조물을 이루게 되어 강성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중공(101)이 반 드시 채움재로 채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돌기결합부는 기계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실제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돌기결합부를 영구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토글 이용 패널 시스템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우수한 상승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우선, 본 발명은 종래의 토글 이용 패널 시스템에 비하여, 패널의 조립에 사용되는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즉, 토글이라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종래의 패널 시스템과는 달리, 양측 패널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연결이 완료되므로 취급이 용이하며 조립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토글 이용 패널 시스템에서는 토글을 삽입하는 방향이 패널의 횡방향이라는 점으로 인하여 패널을 활용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양측 패널을 수직하게 가압하여 결합하면 충분하므로, 토글 삽입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다양한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종래의 경우처럼 토글 삽입 과정에서 토글이 부러지는 위험성이 전혀 없으며, 단순히 가압하는 것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패널과 2곳에서 완전결합되므로, 종래의 토글 을 이용한 결합이 가지는 문제점인 연결부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패널간에 견고한 일체 구조를 이루도록 패널의 상호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결합부분 즉, 돌기결합부 내에 섬유가 보강될 수 있으므로, 결합 강도가 매우 높아져 패널의 연결강도가 종래의 토글 이용 패널 시스템보다 월등히 향상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커넥터, 직각연결커넥터 또는 T형연결커넥터를 이용하면 패널을 소정 각도의 경사 상태, 직각 상태 또는 직교 상태로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건물 벽체, 바닥판, 플랫폼, 박스 암거, 탱크 구조물, 관 구조물 등과 같은 개단면 및 폐단면 구조를 가지는 구조물 등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더욱 배가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곡면을 가지는 곡면 패널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곡면 패널을 연결하면, 원통형의 폐단면 구조물 또는 아치형 개단면 구조물을 쉽게 제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곡선형 구조물로는 탱크 구조물, 교각, 기둥, 말뚝, 파이프, 아치 구조물 등을 이룰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1. 상부판(2), 하부판(3) 및 복부판(4)으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평면 또는 곡면형의 다각형 중공 단면을 가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1)로서,
    상기 패널(1)의 일측면에서는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b)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a)는 상기 상부판(2)이 측면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연장부(5)의 단부에서 아랫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향돌기결합부(15b)는 외측 복부판(4)의 외측면에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1)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a, 15b)와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스냅-핏 형태로 기계적인 결합을 하게 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b')가 형성되는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는 외측 복부판(4)의 외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2상향돌기결합부(15b')는 상기 하부판(3)이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연장부(5')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돌기결합부(15a, 15a', 15b, 15b')에는 서로 물려 기계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각각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15c, 15c')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바닥판 튜브(1')와 수직한 방향으로 스냅-핏 형태의 기계적 착탈 방식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돌기결합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저항을 증가시켜 돌기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도록 상기 상부연장부(5)의 단부내측에는, 상기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의 선단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지지부(5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연장부(5')의 단부내측에도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상기 제2상향돌기결합부(15b')가 결합될 때 상기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의 선단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돌출지지부(5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공(101)이 채움재로 채워져, 샌드위치 패널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
  3. 2개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1a, 1b)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하는 직각연결커넥터(20)로서,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는 섬유보강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하측부(21) 및 그에 수직하게 일체 형성된 중앙부(22)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패널(1a, 1b)의 횡방향 길이에 맞추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T자형 단면에서 하측부(21)의 일단에는 제2 패널 (1b)의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15tb')가 하측부(21)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부(21)의 타단에는 제1 패널(1a)의 제2상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하향돌기결합부(15tb)가 하측부(21)의 내측에서 하측부(21)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T자형 단면에서 상기 하측부(21)에 수직한 중앙부(22)의 단부에는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는 제1 패널(1a)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22)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22)의 단부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의 반대측에 제1상향돌기결합부(15ta')가 상기 중앙부(22)의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패널(1a)과 제2 패널(1b)이 서로 직각으로 마주하게 되는 모서리에서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tb)가 각각 제1 패널(1a)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고, 상기 직각연결커넥터(20)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t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tb')는 각각 제2 패널(1b)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널(1a)과 제2 패널(1b)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복합소재 패널의 직각연결커넥터.
  4. 수평하게 배치된 2개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1a, 1c)과 수직하게 배치된 1개의 제1항 또는 제2항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1b)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하여 T자를 이루게 하는 T형연결커넥터(40)로서,
    상기 T형연결커넥터(40)는 섬유보강 복합소재로 제작되며, 하측부(21) 및 그에 수직하게 일체 형성된 중앙부(22)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패널(1a, 1b, 1c)의 횡방향 길이에 맞추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의 T자형 단면에서 하측부(21)의 일단에는 제2 패널(1b)의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15tb')가 하측부(21)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부(21)의 타단에는 제1 패널(1a)의 제2상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하향돌기결합부(15tb)가 하측부(21)의 내측에서 하측부(21)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의 T자형 단면에서 상기 하측부(21)에 수직한 중앙부(22)의 단부에는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는 제1 패널(1a)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22)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22)의 단부에는 상기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의 반대측에 제1상향돌기결합부(15ta')가 상기 중앙부(22)의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부(21) 외측 중간에는, 제3 패널(1c)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결합하게 되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pa')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부(21)의 타단에는 제3 패널(1c) 방향으로 수평부(23)가 더 연장되 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23)의 단부에는, 제3 패널(1c)의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는 제2상향돌기결합부(15pb')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3 패널(1a, 1c)과 제2 패널(1b)이 서로 직각으로 마주하게 되는 모서리에서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t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tb)가 각각 제1 패널(1a)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고,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의 제1상향돌기결합부(15ta')와 제2상향돌기결합부(15tb')는 각각 제2 패널(1b)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와 제2하향돌기결합부(15b)와 결합되며, 상기 제3 패널(1c) 일측의 제1하향돌기결합부(15a) 및 제2하향돌기결합부(15b)는 각각 상기 T형연결커넥터(40)의 하측부(21)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상향돌기결합부(15pa') 및 제2상향돌기결합부(15pb')와 결합되어, 2개의 제1 패널(1a, 1c)과 하나의 제2 패널(1b)이 T자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복합소재 패널의 T형연결커넥터.
KR20040081780A 2004-10-13 2004-10-13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KR10058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1780A KR100586377B1 (ko) 2004-10-13 2004-10-13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1780A KR100586377B1 (ko) 2004-10-13 2004-10-13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986U Division KR200373629Y1 (ko) 2004-10-13 2004-10-13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08A KR20060032808A (ko) 2006-04-18
KR100586377B1 true KR100586377B1 (ko) 2006-06-09

Family

ID=3714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81780A KR100586377B1 (ko) 2004-10-13 2004-10-13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16B1 (ko) * 2007-05-30 2008-07-1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연결부재를 이용한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데크의 곡선부 연결구조 및 이를 위한 스냅-핏 연결부재
KR100981348B1 (ko) 2008-03-19 2010-09-1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95B1 (ko) * 2007-02-27 2008-02-21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착탈결구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관부재와데크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축도
KR101433597B1 (ko) * 2012-06-07 2014-08-26 김성근 조립식 건축물의 각도 조절 패널 및 그 시공방법
CN102926467A (zh) * 2012-10-31 2013-02-13 宁波红杉高新板业有限公司 一种铝塑板
KR101450581B1 (ko) * 2014-07-24 2014-10-15 (주)아름다운강산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KR102281243B1 (ko) * 2019-04-17 2021-07-23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크레인 받침대
CN115727049A (zh) * 2022-12-09 2023-03-03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复材连接结构、复材结构及连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16B1 (ko) * 2007-05-30 2008-07-1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연결부재를 이용한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데크의 곡선부 연결구조 및 이를 위한 스냅-핏 연결부재
KR100981348B1 (ko) 2008-03-19 2010-09-1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데크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08A (ko) 200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0498C2 (ru) Арматура для усиления панел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панель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комплект панеле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бетонная форма,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бетонная форма для колонн,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бетонная форма для т-образной стены и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панел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бетонной формы
CN105908871A (zh) 轻质隔墙结构及其安装方法
CA2756268C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KR100586377B1 (ko)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KR100899779B1 (ko) 조적식 벽돌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2159180B1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73629Y1 (ko)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KR101081042B1 (ko) 합성 콘크리트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620363B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KR101039876B1 (ko)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CN211622247U (zh) 一种钢筋混凝土抗裂板
KR101978748B1 (ko) 충전강성 록킹 압축체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200377456Y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100743163B1 (ko) 내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벽체 그리고 시공방법
JP2008121236A (ja) 基礎の補強構造
JPH11502911A (ja) ガラスブロックを使用した垂直壁及び/又は床の構築の為の方法及びこの方法において使用される補強モジュラー要素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CN216949626U (zh) 一种旧房加固改造用组合墙板
CN214738731U (zh) 装配式波纹钢棚洞及棚洞建筑
KR10216771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00352B1 (ko) 전단연결재
KR102558353B1 (ko) 보-기둥 구조물에 적용되는 합성기둥구조
KR100975649B1 (ko)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