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836A -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836A
KR20230115836A KR1020220027934A KR20220027934A KR20230115836A KR 20230115836 A KR20230115836 A KR 20230115836A KR 1020220027934 A KR1020220027934 A KR 1020220027934A KR 20220027934 A KR20220027934 A KR 20220027934A KR 20230115836 A KR20230115836 A KR 20230115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taining wall
reinforced soil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011B1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포스
Publication of KR20230115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강토체(500)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330)가 형성된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가 후면(210)으로 노출된 패널(200)로; 상기 양측의 입구(310,320) 사이의 패널(200) 중간부 두께(T)는 상기 양측 입구(310) 외측의 패널(200) 외곽부 두께(t)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200)은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간의 요철 결합을 위하여 좌우 측면(220,230)에 요철결합부(222,232)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결합부(222,232)는 좌우 측면(220,230) 자체가 후면(210) 내측으로 테이퍼진 상태에서 형성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의 전면(240) 좌우측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직선형 옹벽과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Reinforced wall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널의 경량화 및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생산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신속하고도 견고한 엇쌓기식 옹벽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특허문헌 1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보강토체 내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매설하면서 다짐을 실시하는 방식의 보강토 옹벽에서 페이싱 부재인 패널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직접 연결하되 패널과 보강재 간의 연결강도를 극대화시켜 보강재의 연결개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재 소요량과 부설작업량을 줄여 자재비의 절감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패널 제작시 거푸집 내에 보강재 삽입구를 인서트하는 작업량도 줄여 패널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특허문헌 1에 의한 패널은 기존 패널과 마찬가지로 일직 축조 방식으로 축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패널의 두께가 두꺼워 무거우며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며, 대규모의 공장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멘트로 이루어진 패널의 생산과정에서 시멘트의 사용량이 많아져 이에 비례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많아진다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옹벽 축조를 위하여 패널이 최소 2종이 필요하였고,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으며, 시공 과정에서 패널 안쪽 보강재 삽입구에 보강재를 반폭으로 접어서 겹치도록 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도 있었고, 시공과정에서 패널을 세울 때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사이에 지지를 위하여 임시고정용 클램프 등 가설물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34144호(2019.10.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무게를 경량화하여 재료비 및 물류비의 절감은 물론 생산 및 운반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보강재와 패널 간의 연결강도 강화 및 인장강도가 높은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하여 구조가 견고한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고, 패널에 보강재를 연결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하여 투입되는 노동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일화된 1종의 패널만을 사용하여 엇쌓기 축조방식으로 직선형 및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되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간의 결합력 강화로 축조과정에서 패널의 전도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경량화된 보강토 옹벽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상술한 패널을 사용하여 별도의 부자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견고하게 직선형 및 곡선형의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토체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를 패널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가 형성된 보강재 삽입구의 좌우측 입구가 패널의 후면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로;
상기 양측 입구 사이의 패널 중간부 두께는 상기 양측 입구 외측의 패널 외곽부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은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간의 요철 결합을 위하여 좌우 측면에 요철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결합부는 후면 내측으로 테이퍼진 상태에서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직선형 옹벽과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된 보강토 옹벽용 패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의 하면 후측에는 패널의 뒷 물림 축조시 상부 패널의 밀림 방지를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패널을 사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으로, 상하 다단으로 축조되는 패널을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하고,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사이의 후면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구에 한 줄의 띠형 섬유보강재를 연속으로 삽입하여 보강토체 위에 펼쳐서 매립하며, 좌우 패널간 요철결합부의 이격된 틈새에는 패널간 임시 고정을 위한 쐐기 형태의 인서트를 끼운 상태로 보강토에 뒷채움 흙을 다진 후, 인서트를 분리하여 상측의 패널에 재사용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패널의 경량화로 인한 물류비 절감이 가능하고, 단일화된 1종의 패널만으로 별도의 부자재가 소요됨이 없이 견고한 구조의 직선 및 곡선형 옹벽을 신속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패널의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해 몰드에서의 성형 후 양생이 빨라 생산성이 우수함은 물론 야적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소규모 공간에서의 생산과 야적이 가능하며, 옹벽의 단위 면적당 패널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시멘트의 소요량을 적극적으로 줄임으로써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패널의 전면부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후면부 하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널의 후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패널의 전면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 B선 확대단면도,
도 7은 직선형 옹벽의 축조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후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보강재의 연속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는 도 10에서 패널 내부의 보강재 삽입구에 보강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직선형 옹벽의 축조상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곡선형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C부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D부 확대도,
도 17은 인서트를 만입형, 직선형, 돌출형 옹벽의 축조시 패널 사이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보강토체(500)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330)가 형성된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가 후면(210)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200)로;
상기 양측의 입구(310,320) 사이의 패널(200) 중간부 두께(T)는 상기 양측 입구(310) 외측의 패널(200) 외곽부 두께(t)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200)은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간의 요철 결합을 위하여 좌우 측면(220,230)에 요철결합부(222,232)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결합부(222,232)는 좌우 측면(220,230) 자체가 후면(210) 내측으로 테이퍼진 상태에서 형성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의 전면(240) 좌우 측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직선형 옹벽과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200)의 하면(260) 후측에는 패널의 뒷 물림 축조시 상부 패널의 밀림 방지를 위한 걸림돌기(262)가 형성되어 하부 패널의 상면 후측에 걸리면서 뒷물림 축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도 13에 도시됨)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돌기(26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310,320)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면 중 부호 250은 패널(200)의 상면이고, 부호 M은 패널의 중간부이고, 부호 S는 패널의 외곽부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200)은 폭과 높이가 각각 1000~1400mm, 50~75cm로 약 0.5~1㎡이고, 중간부(M) 두께는 140~180mm, 외곽부(S) 두께는 80~115mm로, 패널 1개의 중량은 약 200~250kg인바, 같은 규격의 기존 패널에 비해 약 2/3의 중량으로 경량화되어 물류비의 절감은 물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200)에 삽입되는 보강재 삽입구(300)는 패널의 폭을 4분할하는 위치의 대략 1/4지점과 3/4지점에 양측 입구(310,320)가 위치하게 되며, 양측 입구(310,320)의 좌우 폭은 10~20cm로 넓지만 패널(200)의 중간부(M)에 삽입된 부분의 내측 전후 폭은 약 8~14mm로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펼쳐진 상태로 삽입되어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는 곡률이 크게 형성되어 패널(200)의 중간부(M) 내측에 깊게 삽입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즉, 보강재 삽입구(300)의 중간 부분에서 패널(200)의 후면(210)까지의 두께가 패널(200)의 중간부(M) 두께의 약 1/2 ~ 2/3를 차지하고 있어 내부에 삽입된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지지력을 패널(200) 전체에 충분히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널(200)은 성형용 몰드에서 습식으로 성형되고 양생된 후 탈형되게 되는데, 후면(210)이 몰드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보강재 삽입구(100)가 인서트 된 상태에서 몰탈이 주입되어 성형되게 된다.
도면 중에서는 상기 패널 내부에 철근 등의 골조가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패널 자체의 구조적인 강도 향상을 위해서는 골조를 종횡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200)의 좌우 측면(220,230)은 도 4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면(210)의 내측으로 소정 각도(θ)만큼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결합부(222,232)는 상기 테이퍼진 측면(220,230)에서 내측 및 외측을 향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뻗어 있으므로 직선형 옹벽 축조시는 물론 곡선형 옹벽 축조시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의 전면(240) 좌우 측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축조되게 되므로 뒷채움 흙(500; 보강토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만 상호 이격된 좌우 요철결합부(222,232)는 축조과정에서 좌우 패널(200) 간의 결합력(지지력) 향상을 도모하여 패널의 밀림이나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쐐기 형태의 임시 고정용 인서트(400)를 삽입한 상태에서 뒷채움 흙을 채우고 다짐으로써 시공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테이퍼진 각도는 패널의 좌우 폭 및 두께와 시공현장에서 직선형 옹벽의 곡률 등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널(2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패널과 동일하며, 다만 패널(200)의 중간부(M) 전면(240)의 형태가 상이한바, 본 실시 예에서는 중간부(M) 구조적인 강도는 약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만입홈(2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만입홈(242)은 상기 중간부(M)의 내측에 삽입되어 후면(210)의 좌우 양측으로 입구(310,320)가 노출된 보강재 삽입구(30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강재 삽입구(300)의 상측과 하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만입홈(242)은 그 깊이가 외곽부(S)의 전면(前面)에 해당하는 깊이까지 약 50~70mm의 깊이로 형성하고, 상하 폭을 13~25cm로 형성하며, 중간부(M)의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연속으로 형성하게 될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패널에 비해 중량을 25~30kg정도 줄일 수 있는바,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무게를 가능한 경량화하여 재료비와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양생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십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널(200)은 중간부(M)의 전면(240)에 형성되는 만입홈(242)이 외부로 노출되는 패널(200)의 전면(前面)을 밋밋하지 않게 하는 외관디자인의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패널 전면의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기능 등을 겸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입홈(242) 내측의 상,하,좌,우면을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성형용 몰드에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옹벽 축조시 중간부(M)의 상하로 작용하는 압축하중 및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압력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만입홈(242)은 중간부(M)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2개가 길게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부(M)의 구조적인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보강재 삽입구(300)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패널 외관을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패널(200)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200)을 사용하여 직선형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기초(Z) 위에 상하 다단으로 패널(200)을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하되,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의 후면(210)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구(310,320)에 한 줄의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연속으로 삽입하여 보강토체 위에 펼쳐서 매립하며, 좌우 패널(200)간 요철결합부(222,232)의 이격된 틈새(g)에는 인서트(400)를 끼운 상태로 뒷채움 흙을 다진 후, 인서트(400)를 분리하여 상측의 패널에 재사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Z; 도 13의 a참조) 위에 1단씩 패널(200)을 축조하면서(도 13의 b 참조)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간의 요철결합부(222,232) 사이의 틈새(g)에 인서트(400)를 끼워 좌우의 패널(200)이 서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밀착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1차로 뒷채움 흙(500)을 패널(200)의 절반 높이 즉, 보강재 삽입구(300) 높이까지 채우고 다진다(도 13의 c 참조).
다음으로, 패널(200)의 절반 높이까지 채우고 다져진 보강토체 위에서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의 후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에 한 줄의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연속으로 삽입하여 보강토체 위에 펼친 후(도 13의 d 및 e 참조), 다시 2차로 뒷채움 흙(500)을 패널(200)의 상단까지 채워서 다져서 띠형 섬유보강재(100)을 보강토체 내에 매립한다(도 13의 f참조).
마지막으로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 사이의 요철결합부(222,232) 사이에 끼웠던 인서트(400)를 해체하여 도 13의 g에서와 같이 다음 단의 패널 축조시 재사용하여 설계된 높이까지 축조(도 13의 h 참조)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뒷채움 흙(500)은 결과적으로 보강토체를 의미하는데, 패널과 인접한 위치에는 배수를 위한 자갈을 소정 폭으로 채운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설계된 높이의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보강토 옹벽 축조과정에서 별도의 클램프나 보조 지지대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블록식 옹벽 축조와 마찬가지로 패널식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 시공방법에서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좌우로 인접한 패널에 연속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연결하고 이를 후방으로 인출하여 보강토체 위에 펼치고 후단부는 수동저항부를 형성하도록 전폭으로 세워서 매설하게 되는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의 보강재 삽입구(300)에 삽입하고 보강토체 위에서 후방으로 인출하여 펼쳐 눕히고 후단부에 수동저항부를 형성하는 과정에 단 1인의 작업자 만으로도 신속하면서도 힘들이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속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에서는 패널(200)의 보강재 삽입구(300)에 삽입된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보강재 삽입구(300)의 내부에서 전폭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곡률로 이루어진 보강재 삽입구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느슨함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전폭으로 연결된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접촉면적이 넓어 패널과 보강재 간의 연결강도가 강화됨은 물론 응력집중방지 및 국부변위도 방지할 수 있고, 패널(200)의 후면(210) 즉,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에서는 후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인출되어 보강토체 위에 유연하게 점진적으로 눕혀지게 되고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후단부는 다시 C형태로 세워져 수동저항부를 형성하게 되어 눕혀진 부분에서의 흙과 보강재간의 마찰저항력에 부가하여 후단부에서 수동저항력이 발휘되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널(200)은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옹벽과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형 옹벽을 모두 자유자재로 축조할 수 있으며,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연속 옹벽도 축조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는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이 연속된 옹벽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곡선구간에서의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 사이의 요철결합상태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고, 직선구간에서의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 사이의 요철결합상태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곡선구간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은 좌우 측면(220,230)이 후면(210)의 내측으로 테이퍼진 상태이고 이 테이퍼진 측면(220,230)에 요철결합부(222,2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 곡선부 시공시 패널 전면(前面)에서의 벌어짐 현상이 없이 좌우 패널 사이가 밀착될 수 있고, 요철결합부(222,232)가 틈새의 발생이 거의 없는 상태로 밀착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옹벽 축조과정은 물론, 옹벽 축조 후 패널의 밀림이나 전도현상 및 벌어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직선구간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은 좌우 측면(220,230)이 후면(210)의 내측으로 테이퍼진 상태이고, 이 테이퍼진 측면(220,230)에 요철결합부(222,2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220,230)의 선단부 즉, 패널(200)의 전면(240) 좌우 측단은 밀착된 상태를 이루지만 패널(200)의 후면(210) 좌우 측단은 벌어지게 되므로 요철결합부(222,232) 사이에 틈새(g)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틈새(g)의 발생으로 인해 좌우의 패널(200) 사이의 결합상태 및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일종의 쐐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인서트(400)를 끼워주게 되면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 끼리의 결합 및 지지력이 강화되는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 뒷채움 흙(500)을 채우고 다진 후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포설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부 패널의 전방 밀림이나 전도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클램프나 보조 지지대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패널을 다단으로 축조할 수 있으며, 좌우 패널의 요철결합부 사이에 끼웠던 인서트(400)는 이를 해체하여 다음 단의 패널 시공시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부자재의 낭비 없이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 간 임시 고정을 위한 인서트(400)는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간편한 삽입과 해체 및 취급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연결고리 또는 끈을 부착해 놓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에는 상술한 인서트(400)를 각각 만입형(도 17의 a 참조), 직선형(도 17의 b 참조), 돌출형(도 17의 c 참조) 옹벽의 축조시 패널 사이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만입형 옹벽의 경우에는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 사이의 틈새(g)가 넓으므로 쐐기 형태의 인서트(400)가 깊게 삽입된 상태이고, 직선형 옹벽의 경우에는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 사이의 틈새(g)가 만입형 옹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진 상태이므로 인서트(400)가 덜 깊게 삽입된 상태이며, 돌출형 옹벽의 경우에는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 사이의 틈새(g)가 거의 없거나 약간만 벌어져 있으므로 인서트(400)의 삽입 깊이가 깊지 않거나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좌우의 패널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부 패널의 전방 밀림이나 전도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패널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재료비 및 제조 코스트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 및 물류비의 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생산 및 운반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단일 형태의 패널만으로 별도의 부자재가 소요됨이 없이 견고한 구조의 직선 및 곡선형 옹벽을 신속하게 축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띠형 섬유보강재
200 : 패널
210 : 후면
220,230 : 측면
222,232 : 요철결합부
240 : 전면
242 : 만입홈
250 : 상면
260 : 하면
262 : 걸림돌기
300 : 보강재 삽입구
310,320 : 입구
330 : 관통로
400 : 인서트
500 : 뒷채움 흙(보강토체)
g : 틈새
M : 중간부
S : 외곽부
Z : 기초

Claims (9)

  1. 보강토체(500)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330)가 형성된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가 후면(210)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200)로;
    상기 양측의 입구(310,320) 사이의 패널(200) 중간부 두께(T)는 상기 양측 입구(310) 외측의 패널(200) 외곽부 두께(t)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200)은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간의 요철 결합을 위하여 좌우 측면(220,230)에 요철결합부(222,232)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결합부(222,232)는 좌우 측면(220,230) 자체가 후면(210) 내측으로 테이퍼진 상태에서 형성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의 전면(240) 좌우측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직선형 옹벽과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부(222,232)는 상기 테이퍼진 측면(220,230)에서 내측 및 외측을 향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200)의 하면(260) 후측에는 패널의 뒷 물림 축조시 상부 패널의 밀림 방지를 위한 걸림돌기(2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262)는 상기 입구(310,320)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200)의 중간부 전면(240)에는 만입홈(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만입홈(242)은 보강재 삽입구(30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강재 삽입구(30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만입홈(242)은 그 깊이가 외곽부(S)의 전면(前面)에 해당하는 깊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만입홈(242) 내측의 상,하,좌,우면은 소정 각도로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
  8. 청구항 1 내지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패널을 사용하는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으로,
    상하 다단으로 축조되는 패널을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하고,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 후면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구에 한 줄의 띠형 섬유보강재를 연속으로 삽입하여 보강토체 위에 펼쳐서 매립하며, 좌우 패널간 요철결합부의 이격된 틈새에는 인서트를 끼운 상태로 뒷채움 흙을 다진 후, 이를 분리하여 상측의 패널에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널(200)은 기초(Z) 위에 1단씩 축조하되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간의 요철결합부(222,232) 사이의 틈새(g)에 인서트(400)를 끼워 좌우의 패널(200)이 서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밀착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1차로 뒷채움 흙(500)을 패널(200)의 보강재 삽입구(300) 높이까지 채우고 다지고,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의 후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에 한 줄의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연속으로 삽입하여 보강토체 위에 펼친 후, 2차로 뒷채움 흙(500)을 패널(200)의 상단까지 채워서 다져서 띠형 섬유보강재(100)을 보강토체 내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패널의 시공방법.
KR1020220027934A 2022-01-27 2022-03-04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6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08 2022-01-27
KR20220012008 2022-01-27
KR1020220026865 2022-03-02
KR20220026865 2022-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836A true KR20230115836A (ko) 2023-08-03
KR102616011B1 KR102616011B1 (ko) 2023-12-20

Family

ID=8756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34A KR102616011B1 (ko) 2022-01-27 2022-03-04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492B1 (ko) * 2023-08-11 2023-11-06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패널식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945Y1 (ko) * 2006-07-24 2006-10-04 대명콘텍 주식회사 투수용 식생블록
KR101397432B1 (ko) * 2014-02-17 2014-05-20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패널
KR102034144B1 (ko) 2019-07-30 2019-11-08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KR20210065624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형 패널
KR102320582B1 (ko) * 2021-04-29 2021-11-03 최윤하 각도조절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945Y1 (ko) * 2006-07-24 2006-10-04 대명콘텍 주식회사 투수용 식생블록
KR101397432B1 (ko) * 2014-02-17 2014-05-20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패널
KR102034144B1 (ko) 2019-07-30 2019-11-08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KR20210065624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형 패널
KR102320582B1 (ko) * 2021-04-29 2021-11-03 최윤하 각도조절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492B1 (ko) * 2023-08-11 2023-11-06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패널식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011B1 (ko)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615561B2 (en) Retaining wall block
KR100495782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US20080184648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0632966B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20230115836A (ko)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22240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284122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84615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85495B1 (ko) 흙막이용 패널
KR100586377B1 (ko)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02152B1 (ko)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KR20100065824A (ko) 옹벽 공사용 섬유보강 스트립
KR100647071B1 (ko)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JP2003003474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581999B1 (ko)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KR20070077024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및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830310B1 (ko) 토류판용 중공 판넬
KR102632477B1 (ko) 보강토옹벽
JPH02190517A (ja) 擁壁構造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