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152B1 -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 Google Patents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2152B1 KR102302152B1 KR1020210083581A KR20210083581A KR102302152B1 KR 102302152 B1 KR102302152 B1 KR 102302152B1 KR 1020210083581 A KR1020210083581 A KR 1020210083581A KR 20210083581 A KR20210083581 A KR 20210083581A KR 102302152 B1 KR102302152 B1 KR 102302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tem
- protrusion
- retaining wall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 및 옹벽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유닛은, 평평한 판상 형태의 전면부(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1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되,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내향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제1단부돌기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향돌출부(40)와 제1단부돌기부(70) 사이에는 제1끼움공간(71)이 형성된 일측블록(A)와; 평평한 판상 형태의 배면부(8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부(8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되,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내향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지는 제2단부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단부돌기부(120)와 제2내향돌출부(110)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블록(A)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거나 길게 이루어져 타측블록(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줄기 일부분까지 형상이 동일한 형태의 두 블록을 준비하되, 두 블록의 후측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거나, 기본 블록과 형상이 전혀 다른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필요 없이 두 블록을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유닛은, 평평한 판상 형태의 전면부(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1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되,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내향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제1단부돌기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향돌출부(40)와 제1단부돌기부(70) 사이에는 제1끼움공간(71)이 형성된 일측블록(A)와; 평평한 판상 형태의 배면부(8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부(8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되,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내향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지는 제2단부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단부돌기부(120)와 제2내향돌출부(110)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블록(A)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거나 길게 이루어져 타측블록(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줄기 일부분까지 형상이 동일한 형태의 두 블록을 준비하되, 두 블록의 후측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거나, 기본 블록과 형상이 전혀 다른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필요 없이 두 블록을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블록유닛과 옹벽에 관한 것으로, 상호 간단히 체결되는 한 쌍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에 관한 것이다.
흙은 자연상태에서는 무너져서 사면을 이루는데 토사를 인위적으로 가로막아서 자연스러운 사면보다 급한 경사를 만들면 횡방향으로 토압이 발생한다.
옹벽은 이 횡방향 토압을 견디는 구조물로, 주로 단차가 있는 부지에서 실사용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이용된다.
과거 1990년대 이전에는 대게 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을 지어서 옹벽으로 활용했지만, 현재는 보강재를 이용해 토체의 일부를 안정화함으로써 흙으로 흙을 막는 보강토옹벽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보강토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질수록 다른 시공방법에 비해 경제성이 단연 뛰어나지만, 흙을 안정화시키는 보강재의 가격이 비싸고, 배면의 흙을 다지는 다짐공 때문에 공기와 비용이 소요되며,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토공량은 늘어나고 부지의 실사용 면적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보강토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5미터 미만일 경우 경제적 이득이 적을 수 있다.
이에 1미터에서 5미터 사이의 옹벽에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을 적용하는 대신 대형콘크리트블록을 차곡차곡 쌓아올려서 블록과 그 안에 갇힌 골재의 자중으로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는 중력식콘크리트축조옹벽이 고안되었다.
이는 보강토옹벽에서 보강재를 제외하고 대신 전면 블록의 크기를 키운 형태로써 시공의 간편함으로 인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옹벽 시공법이다.
철근콘트리트옹벽은 구조물 자체의 강성으로 토압을 견디는 구조인데 반해 보강토옹벽공법은 토체의 일부를 안정화하고 그 토체의 자중으로 나머지 토체의 토압을 지탱한다.
여기서 토체의 일부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보강재인데, 중력식축조옹벽은 보강재의 설치를 생략하였으므로 토압을 버티는 힘은 온전히 옹벽블록과 블록 안에 갇힌 골재의 몫으로 보강토옹벽과는 달리 옹벽의 구조적 안정에 블록의 자중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력식축조옹벽의 옹벽블록은 블록을 대형화하거나 블록의 내부에 많은 양의 골재가 갇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더 많은 무게를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옹벽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옹벽블록과 갇힌 골재의 자중은 선형으로 증가하는데 반해 배후로부터의 토압은 높이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옹벽의 높이가 클 경우 옹벽의 하부에는 더 큰 블록을 사용해서 전체 옹벽의 안정에 필요한 자중을 우선 확보한 연후에 감당해야 하는 토압이 작은 상부의 블록들은 작은 것을 사용하여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블록 생산자의 압장에서는 블록을 길이별로 생산하고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시공자의 입장에서는 제작이 완료되어 현장에 운송이 된 블록들로는 다양한 현장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옹벽 저면의 일부구간에 바위가 있어서 길이가 긴 블록 설치가 어려운 경우, 긴 블록 설치를 위한 토공량 확보가 어려운 경우, 옹벽의 높이가 납품 이후에 변경되어 최하부에 들어가야 하는 블록의 크기가 바뀌어서 공사를 시작할 수 없는 경우와 같이 한번 생산된 블록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또한, 건식 프리캐스트 생산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의 최대 크기는 [W:1.5m]x[L:1.5m]x[H:0.5m] 정도에 불과하여 하부 블록의 대형화를 위해서는 생산성이 낮은 습식 프리캐스트 방식을 사용해야 하고, 이는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본 출원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5476호, 특허문헌 1)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핀에 의한 체결 외에 스토퍼가 삽입되는 홈 전후의 벽면에 의해 몸체 이동이 억제되도록 하여 토압에 의해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거나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보다 큰 배면 토압이 가해지는 옹벽 하부에서는 옹벽이 전방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허문헌 1에서는 옹벽 블록의 후방에 손쉽게 착탈되는 보강 블록이 구비되어 옹벽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하부의 옹벽 블록이 이탈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건식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블록을 조립하여 하부 블록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경우 기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과, 보강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으로부터 벽체 일부분까지 형상이 동일한 형태의 두 블록을 준비하되, 두 블록의 후측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거나, 기본 블록과 형상이 전혀 다른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필요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두 블록을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두 블록은 전·후방향 길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있어 옹벽 상측은 각각의 블록을 개별적으로 적층함으로써 간편하게 옹벽 상부측도 블록 길이가 점차 짧아지게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두 블록이 결합되어 옹벽유닛을 형성할 때 유닛 내의 토사가 갇힌 상태가 될 수 있게 하여 토압에 버티는 힘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블록의 기본 형상을 유지하면서 벽체 길이만 연장시킨 또 다른 블록을 더 준비하여 두 종류의 블록을 활용하여 길이가 각기 다른 5종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 유닛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평한 판상 형태의 전면부(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1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벽체가 형성되어 있되, 벽체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내향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고, 벽체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제1단부돌기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향돌출부(40)와 제1단부돌기부(70) 사이에는 제1끼움공간(71)이 형성된 일측블록(A)와; 평평한 판상 형태의 배면부(8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부(8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되,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내향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지는 제2단부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단부돌기부(120)와 제2내향돌출부(110)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블록(A)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거나 길게 이루어져 타측블록(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일측블록(A)은,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줄기부(20)와; 상기 제1줄기부(20)로부터 외곽측으로 꺽여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보조충진공간(32)을 형성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제1핀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외향돌출부(30)와; 상기 제1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여 돌출되고,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메인충진공간(41)을 형성하고, 제1메인충진공간(41)과 마주한 내벽면(42)의 연장선이 상기 제1핀삽입공(3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2보조충진공간(4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1내향돌출부(40)와; 상기 제1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꺾여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절곡부(50)와; 상기 절곡부(50)의 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조충진공간(43)의 폭보다 좁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2줄기부(60)와; 상기 제2줄기부(6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50)와의 사이로 제1끼움공간(71)을 형성하는 제1단부돌기부(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블록(B)은,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전면부(1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는 배면부(80)와; 상기 배면부(8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층으로 연장 형상되되, 상기 제1줄기부(2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줄기부(90)와; 상기 제3줄기부(9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배면부(8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3보조충진공간(102)을 형성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제2핀삽입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블록(A)의 제1외향돌출부(100)와의 사이로 제6보조충진공간(10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2외향돌출부(100)와; 상기 제3줄기부(9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여 돌출되고, 상기 배면부(80)와 이격되어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2메인충진공간(111)을 형성하고, 제2메인충진공간(111)과 마주한 내벽면(112)의 연장선이 상기 제2핀삽입공(10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4보조충진공간(11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2내향돌출부(110)와; 상기 제3줄기부(90)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의 사이로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단부돌기부(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타측블록(B)은, 제3줄기부(90)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줄기부(90)에는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제2단부돌기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끼움공간(121)은 상기 보조돌출부(13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보조돌출부(130) 사이에는 제5보조충진공간(131)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블록(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은 각각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의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은 외주면 일측이 각각 제1내향돌출부(40) 및 제2내향돌출부(110)의 내벽면(42, 112) 연장선과 일치되도록 구성되고, 양측의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들은 중앙의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으로부터 이격된 채 각각 단부측으로 경사진 지점에 형성되어 이탈방지핀(130)이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평면상 옹벽면이 오목한 구간 또는 볼록한 구간에서 상부 블록의 내벽면(42, 112)에 지지되어 상부 블록이 토사에 의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은 상기 일측블록(A), 타측블록(B), 보조블록(C)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부로부터 1단은 상기 일측블록(A)과 보조블록(C)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2단은 상기 일측블록(A)과 타측블록(B)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3단은 보조블록(C)으로 구성되고, 4단은 일측블록(A)으로 구성되며, 5단은 타측블록(B)으로 구성되어 각 단의 전후방향 길이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벽체 일부분까지 형상이 동일한 형태의 두 블록을 준비하되, 두 블록의 후측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거나, 기본 블록과 형상이 전혀 다른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필요 없이 두 블록을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옹벽용 블록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두 블록은 전후방향 길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있어 옹벽 상측은 각각의 블록을 개별적으로 적층함으로써 간편하게 옹벽 상부측도 블록 길이가 점차 짧아지게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두 블록이 결합되어 옹벽 유닛을 형성할 때 유닛 내의 토사가 갇힌 상태가 될 수 있게 하여 토압에 버티는 힘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블록의 기본 형상을 유지하면서 벽체 길이만 연장시킨 또 다른 블록을 더 준비하여 두 종류의 블록을 활용하여 길이가 각기 다른 5종의 옹벽용 블록 유닛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부의 블록 줄기가 하부의 블록 줄기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체 상부의 하중이 블록의 줄기를 따라 옹벽체 하부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옹벽의 건설 후에 옹벽의 상부에 적용하는 하중으로부터 옹벽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유닛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및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탈방지핀의 설치 상태 및 상하 블록의 줄기부분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타측블록이 보조블록으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및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옹벽 구간의 곡률 변화에 따른 이탈방지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블록 전면부의 형상이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유닛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및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현장 길이 조절형 옹벽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탈방지핀의 설치 상태 및 상하 블록의 줄기부분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타측블록이 보조블록으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및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옹벽 구간의 곡률 변화에 따른 이탈방지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블록 전면부의 형상이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옹벽유닛은 일측블록(A)과 타측블록(B)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본 발명의 옹벽은 일측블록(A), 타측블록(B)이 서로 결합된 유닛과, 각 블록들이 각각 층을 이루어 구축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두 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의 토사가 갇힌 상태가 될 수 있게 하여 토압에 대해 버티는 힘을 원활히 갖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옹벽 블록은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드라이캐스트(건식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생산되며,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최대 1.5m를 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일측블록(A), 타측블록(B)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타측블록(B)에 비해 길이가 긴 보조블록(C)이 타측블록(B)을 대체하거나 추가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길이의 옹벽유닛 군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일측블록(A)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전면부(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1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다.
두 줄기가 전면부(10)와 연결되는 지점은, 전면부(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전면부(1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옹벽 구축 후 옹벽 상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는 하중이 두 줄기를 타고 내려와 옹벽 저부 지반으로 전달되므로 옹벽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옹벽체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내향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제1단부돌기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향돌출부(40)와 제1단부돌기부(70) 사이에는 제1끼움공간(7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블록(A)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는 전면부(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제1줄기부(20)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전면부(10) 및 후술하는 배면부(80)는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도록 정면에서 봤을 때 장방형의 형태를 취한다.
전면부(10) 및 배면부(80)의 양 측벽면은 도 2,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 모두 후면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11, 81)로 이루어지고, 경사부(11, 81)의 후방측에는 일측 벽면은 돌출된 돌기(12, 8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벽면은 돌기(12, 82)가 삽입 가능하게 내측으로 패인 홈(13, 8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이 되도록 조립할 때 홈(13, 83)이 점차 돌기(12, 82)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블록 정렬을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면부(10) 및 배면부(80)는 양측의 두 줄기 벽체를 고정하고, 상부 블록을 지지함과 더불어, 옹벽면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다른 블록과 결합하여 연장체로 사용할 경우 흙속에 묻힌 앵커로 작용하여 블록 이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면부(10) 및 배면부(80)는 상호간을 구분하고 이해의 편의를 위해 붙인 명칭으로써 옹벽을 기준으로 할 때 선택적으로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전면부(10) 및 배면부(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체 전면부의 미관을 위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제1줄기부(20)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두 개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줄기부(2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인 제1외향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외향돌출부(30)는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보조충진공간(32)을 형성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제1핀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핀삽입공(31) 및 후술하는 제2핀삽입공(101)은 각각 외주면 일측이 제1내향돌출부(40) 및 제2내향돌출부(110)의 내벽면(42, 112) 연장선과 일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블록을 교차하여 축조할 때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의 제1내향돌출부(40) 및 제2내향돌출부(110)의 내벽면(42, 112)이 하부 블록의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에 결합된 이탈방지핀(140)에 의해 지지되어 토압에 의해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곽의 핀삽입공(31,101)은 중앙 핀삽입공(31, 101)으로부터 이격된 채 단부측으로부터 경사진 지점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옹벽의 벽면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게 될 때는 바깥쪽에 위치한 핀삽입공(31,101)에 이탈방지핀(140)이 결합되고, 반대로 옹벽의 벽면이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될 때는 안쪽에 위치한 핀삽입공(31,101)에 이탈방지핀(140)이 결합됨으로써 블록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곡선 구간의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
여 돌출된 제1내향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내향돌출부(40)는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메인충진공간(41)을 형성하고, 제1메인충진공간(41)과 마주한 내벽면(42)의 연장선이 상기 제1핀삽입공(3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측의 제1핀삽입공(31)의 외주면 일측과 일직선을 이룬다.
이러한 제1내향돌출부(40)는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2보조충진공간(43)을 형성한다.
제1메인충진공간(41)과 제2보조충진공간(43)에는 토체가 충진된다.
더하여, 상기 제1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꺾인 절곡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절곡부(50)의 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제2줄기부(60)가 연장되어 있다.
이때, 두 제2줄기부(60)는 상기 제2보조충진공간(43)의 폭보다 좁게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줄기부(6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인 제1단부돌기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단부돌기부(70)는 상기 절곡부(50)와의 사이로 제1끼움공간(7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타측블록(B)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배면부(8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부(8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다.
두 줄기가 배면부(80)와 연결되는 지점은, 전면부(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배면부(8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이 바람직하다.
이때,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내향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지는 제2단부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단부돌기부(120)와 제2내향돌출부(110)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타측블록(B)은 상기 일측블록(A)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거나 길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타측블록(B)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면부(80)는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전면부(1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배면부(80)가 전면부(1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배면부(80)와 전면부(10)는 선택적으로 옹벽의 전면측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면부(8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3줄기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제3줄기부(90)는 일측블록(A)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줄기부(2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3줄기부(9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배면부(80)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2외향돌출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제2외향돌출부(100)는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3보조충진공간(102)을 형성한다.
더불어, 제2외향돌출부(100)는 상면에 다수 개의 제2핀삽입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블록(A)의 제1외향돌출부(100)와의 사이로 제6보조충진공간(10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3줄기부(9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여 돌출된 제2내향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제2내향돌출부(110)는 상기 배면부(80)와 이격되어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2메인충진공간(111)을 형성한다.
아울러, 옹벽체의 곡률에 따라 제2메인충진공간(111)과 마주한 내벽면(112)의 연장선이 상기 제2핀삽입공(10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4보조충진공간(113)을 형성한다.
제2내향돌출부(110)의 벽면 및 제1내향돌출부(40)의 벽면은 각각 경사면(114, 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A, B, C)들을 시공 상태에 따라 유닛 형성 외에 옹벽의 전면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전체적으로 토사가 충진되는 공간에 규칙성을 부여하여 배면 토압에 대한 저항성이 고르게 발휘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경사면(44, 114)의 형성은 옹벽 시공시 토압이 발생할 때 점차 폭이 좁아져 제1메인충진공간(41) 및 제2메인충진공간(111)에 채워진 토사는 배면 토압의 영향을 덜 받은 채 자체 자중을 통해 하부 블록을 눌러 하부 블록이 배면 토압에 대해 보다 잘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아울러, 시공에 있어서, 하부 블록에 설치된 이탈방지핀(140)에 상부 블록의 제1내향돌출부(40), 제2내향돌출부(110)가 지지되도록 상부 블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을 상하로 적층 시공시 도움이 된다.
블록의 중량이 400kg 정도로 매우 무겁고 현장에서는 개별 블록을 크레인으로 일일이 들어서 설치 위치에 내려 안착하게 되는 바, 상기한 구성은 블록 정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상기 제3줄기부(90)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단부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제2단부돌기부(120)는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의 사이로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옹벽 유닛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로 결합된 일측블록(A) 및 타측블록(B)에는 제1메인충진공간(41), 제2메인충진공간(111), 제2보조충진공간(43), 제4보조충진공간(113)을 형성하며, 이들 충진공간에는 토체가 채워져 토체의 자중에 의해 하부 블록을 누르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로 인접한 유닛들 상호간에는 제1보조충진공간(32), 제3보조충진공간(102), 제6보조충진공간(103)이 제1외향돌출부(30) 및 제2외향돌출부(100)에 의해 경계를 이룬 채 가두워지며, 하부 일측블록(A)의 벽체 일부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블록(B)은 도 1 내지 4와 같은 구성에서 벽체 길이가 길게 연장되고, 보조돌출부(130)가 더 구비된 보조블록(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살펴보면 보조블록(C)은 전체적으로 타측블록(B)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되, 상기 제3줄기부(90)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줄기부(90)에는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제2단부돌기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끼움공간(121)은 상기 보조돌출부(13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보조돌출부(130) 사이에는 제5보조충진공간(131)이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돌출부(130)는 제2단부돌기부(120)와 함께 블록의 결합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분담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면기호 'D'는 보조돌출부(130)와 제2단부돌기부(120)가 블록 결합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분담하는 부위를 표시한 것이다.
도 3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옹벽 유닛을 구비한 옹벽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옹벽은 일측블록(A)과 타측블록(B)이 결합된 옹벽 유닛이 옹벽의 최하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상부로는 옹벽 유닛보다는 길이가 짧고 타측블록(B)보다는 길이가 긴 일측블록(A)이 두번째 단을 형성하고, 그 위로 길이가 가장 짧은 타측블록(B)이 세번째 단을 이루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각 단에 위치한 블록들은 하부측 블록 핀삽입공(31)에 이탈방지핀(140)이 삽입되고, 이탈방지핀(140)은 상부 블록의 제1내향돌출부(40)의 내벽면(42)에 의해 지지되어 전방으로 밀리지 않고, 시공시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에는 일측블록(A), 타측블록(B) 및 보조블록(C)이 하나의 옹벽을 이룬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하부로부터 1단은 상기 일측블록(A)과 보조블록(C)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2단은 상기 일측블록(A)과 타측블록(B)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3단은 보조블록(C)으로 구성되고, 4단은 일측블록(A)으로 구성되며, 5단은 타측블록(B)으로 구성되어 각 단의 전후방향 길이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총 5단에 걸쳐 각기 배면으로 연장된 길이가 달라지는 계단식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10 : 전면부 11 : 경사부
12 : 돌기 13 : 홈
20 : 제1줄기부 30 : 제1외향돌출부
31 : 제1핀삽입공 32 : 제1보조충진공간
40 : 제1내향돌출부 41 : 제1메인충진공간
42 : 내벽면 43 : 제2보조충진공간
44 : 경사면 50 : 절곡부
60 : 제2줄기부 70 : 제1단부돌기부
71 : 제1끼움공간 80 : 배면부
81 : 경사부 82 : 돌기
83 : 홈 90 : 제3줄기부
100 : 제2외향돌출부 101 : 제2핀삽입공
102 : 제3보조충진공간 103 : 제6보조충진공간
110 : 제2내향돌출부 111 : 제2메인충진공간
112 : 내벽면 113 : 제4보조충진공간
114 : 경사면 120 : 제2단부돌기부
121 : 제2끼움공간 130 : 보조돌출부
131 : 제5보조충진공간 140 : 이탈방지핀
A : 일측블록 B : 타측블록
C : 보조블록
12 : 돌기 13 : 홈
20 : 제1줄기부 30 : 제1외향돌출부
31 : 제1핀삽입공 32 : 제1보조충진공간
40 : 제1내향돌출부 41 : 제1메인충진공간
42 : 내벽면 43 : 제2보조충진공간
44 : 경사면 50 : 절곡부
60 : 제2줄기부 70 : 제1단부돌기부
71 : 제1끼움공간 80 : 배면부
81 : 경사부 82 : 돌기
83 : 홈 90 : 제3줄기부
100 : 제2외향돌출부 101 : 제2핀삽입공
102 : 제3보조충진공간 103 : 제6보조충진공간
110 : 제2내향돌출부 111 : 제2메인충진공간
112 : 내벽면 113 : 제4보조충진공간
114 : 경사면 120 : 제2단부돌기부
121 : 제2끼움공간 130 : 보조돌출부
131 : 제5보조충진공간 140 : 이탈방지핀
A : 일측블록 B : 타측블록
C : 보조블록
Claims (5)
- 삭제
- 옹벽유닛에 있어서,
평평한 판상 형태의 전면부(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1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되,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내향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제1단부돌기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향돌출부(40)와 제1단부돌기부(70) 사이에는 제1끼움공간(71)이 형성된 일측블록(A)와;
평평한 판상 형태의 배면부(8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부(80)로부터 후방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개의 줄기가 형성되어 있되, 줄기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내향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줄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지는 제2단부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단부돌기부(120)와 제2내향돌출부(110)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블록(A)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짧거나 길게 이루어져 타측블록(B);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일측블록(A)은,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줄기부(20)와;
상기 제1줄기부(2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보조충진공간(32)을 형성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제1핀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외향돌출부(30)와;
상기 제1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여 돌출되고,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메인충진공간(41)을 형성하고, 제1메인충진공간(41)과 마주한 내벽면(42)의 연장선이 상기 제1핀삽입공(3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2보조충진공간(4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1내향돌출부(40)와;
상기 제1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꺾여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절곡부(50)와;
상기 절곡부(50)의 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조충진공간(43)의 폭보다 좁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2줄기부(60)와;
상기 제2줄기부(6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50)와의 사이로 제1끼움공간(71)을 형성하는 제1단부돌기부(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블록(B)은,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전면부(1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는 배면부(80)와;
상기 배면부(8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층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줄기부(2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줄기부(90)와;
상기 제3줄기부(9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배면부(8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3보조충진공간(102)을 형성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제2핀삽입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블록(A)의 제1외향돌출부(30)와의 사이로 제6보조충진공간(10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2외향돌출부(100)와;
상기 제3줄기부(9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여 돌출되고, 상기 배면부(80)와 이격되어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2메인충진공간(111)을 형성하고, 제2메인충진공간(111)과 마주한 내벽면(112)의 연장선이 상기 제2핀삽입공(10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4보조충진공간(11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2내향돌출부(110)와;
상기 제3줄기부(90)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의 사이로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단부돌기부(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블록(B)은,
상기 제3줄기부(90)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줄기부(90)에는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제2단부돌기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끼움공간(121)은 상기 보조돌출부(13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보조돌출부(130) 사이에는 제5보조충진공간(131)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블록(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은 각각 최소 3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의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은 외주면 일측이 각각 제1내향돌출부(40) 및 제2내향돌출부(110)의 내벽면(42, 112) 연장선과 일치되도록 구성되고,
양측의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들은 중앙의 제1핀삽입공(31) 및 제2핀삽입공(101)으로부터 이격된 채 각각 단부측으로 경사진 지점에 형성되어 이탈방지핀(140)이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평면상 옹벽면이 오목한 구간 또는 볼록한 구간에서 상부 블록의 내벽면(42, 112)에 지지되어 상부 블록이 토사에 의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
- 옹벽에 있어서,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줄기부(20)와;
상기 제1줄기부(2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보조충진공간(32)을 형성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제1핀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외향돌출부(30)와;
상기 제1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여 돌출되고,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제1메인충진공간(41)을 형성하고, 제1메인충진공간(41)과 마주한 내벽면(42)의 연장선이 상기 제1핀삽입공(3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2보조충진공간(4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1내향돌출부(40)와;
상기 제1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꺾여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절곡부(50)와;
상기 절곡부(50)의 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조충진공간(43)의 폭보다 좁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2줄기부(60)와;
상기 제2줄기부(6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50)와의 사이로 제1끼움공간(71)을 형성하는 제1단부돌기부(70);로 구성된 일측블록(A)과;
평평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전면부(1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는 배면부(80)와;
상기 배면부(80)의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층으로 연장 형상되되, 상기 제1줄기부(2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줄기부(90)와;
상기 제3줄기부(90)로부터 외곽측으로 꺾여 배면부(8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3보조충진공간(102)을 형성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제2핀삽입공(101)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2외향돌출부(100)와;
상기 제3줄기부(9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꺾여 돌출되고, 상기 배면부(80)와 이격되어 배면부(80)와의 사이로 제2메인충진공간(111)을 형성하고, 제2메인충진공간(111)과 마주한 내벽면(112)의 연장선이 상기 제2핀삽입공(10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며,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제4보조충진공간(113)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2내향돌출부(110)와;
상기 제3줄기부(90)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의 사이로 상기 제1단부돌기부(70)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간(121)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공간(7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단부돌기부(120);로 구성되고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일측블록(A)보다 짧게 이루어져 있는 타측블록(B)과;
상기 타측블록(B)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되, 상기 제3줄기부(90)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줄기부(90)에는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제2단부돌기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끼움공간(121)은 상기 보조돌출부(130)와 제2단부돌기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내향돌출부(110)와 보조돌출부(130) 사이에는 제5보조충진공간(131)이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일측블록(A)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는 보조블록(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로부터 1단은 상기 일측블록(A)과 보조블록(C)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2단은 상기 일측블록(A)과 타측블록(B)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3단은 보조블록(C)으로 구성되고,
4단은 일측블록(A)으로 구성되며,
5단은 타측블록(B)으로 구성되어 각 단의 전후방향 길이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 유닛을 이용한 중력식 축조옹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581A KR102302152B1 (ko) | 2021-06-28 | 2021-06-28 |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581A KR102302152B1 (ko) | 2021-06-28 | 2021-06-28 |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2152B1 true KR102302152B1 (ko) | 2021-09-15 |
Family
ID=7779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3581A KR102302152B1 (ko) | 2021-06-28 | 2021-06-28 |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215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5627A (ko) | 2021-11-23 | 2023-05-31 | 주식회사 네오콘크리트 | 보강토 옹벽블록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7195Y1 (ko) * | 2002-12-09 | 2003-03-12 |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
KR20030064555A (ko) * | 2002-01-28 | 2003-08-02 | 한승호 |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
KR20110136416A (ko) * | 2010-06-15 | 2011-12-21 | 주식회사 환경그룹 | 식생(植生) 옹벽 축조용 블록 |
KR102135476B1 (ko) | 2019-12-09 | 2020-07-17 | 강병준 |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
-
2021
- 2021-06-28 KR KR1020210083581A patent/KR1023021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4555A (ko) * | 2002-01-28 | 2003-08-02 | 한승호 |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
KR200307195Y1 (ko) * | 2002-12-09 | 2003-03-12 |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
KR20110136416A (ko) * | 2010-06-15 | 2011-12-21 | 주식회사 환경그룹 | 식생(植生) 옹벽 축조용 블록 |
KR102135476B1 (ko) | 2019-12-09 | 2020-07-17 | 강병준 |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5627A (ko) | 2021-11-23 | 2023-05-31 | 주식회사 네오콘크리트 | 보강토 옹벽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4010B1 (ko) | 옹벽 블록 | |
US7503729B2 (en) |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JP2706216B2 (ja) |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の構築構造 | |
AU2013249333B2 (en) | Wall block and wall block system | |
KR102171825B1 (ko) |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54145B1 (ko) | 전단키와 연결철근을 활용한 중력식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러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설치 공법 | |
KR102681281B1 (ko) | 조적 블록 | |
KR100764135B1 (ko) |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
AU1738699A (en) |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2302152B1 (ko) |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 |
CN206707055U (zh) | 装配式填充墙、内墙体结构和外墙体结构 | |
KR100998502B1 (ko) | 전단키와 강관을 구비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 |
KR102294088B1 (ko) |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 |
KR100991664B1 (ko) |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 |
CN215165795U (zh) | 一种新型钢筋混凝土挡土墙结构 | |
KR102558157B1 (ko) |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 |
WO2024038938A1 (ko) | 입체결합 옹벽 블록시스템 | |
AU2005203188B2 (en) | Building element and wall | |
KR102016974B1 (ko) | 소일 네일 정착 및 횡결속 구성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옹벽 | |
KR100998501B1 (ko) | 붕괴방지망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사면 밀착이 가능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 |
KR100752688B1 (ko) |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 |
KR100346947B1 (ko) |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 |
KR200205731Y1 (ko) | 중력식 보강토 옹벽구축용 및 법면 보호용 블록 | |
CN116856459A (zh) | 一种装配式空箱水工挡土墙 | |
CA2250992A1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ilding blo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