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476B1 -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476B1
KR102135476B1 KR1020190163169A KR20190163169A KR102135476B1 KR 102135476 B1 KR102135476 B1 KR 102135476B1 KR 1020190163169 A KR1020190163169 A KR 1020190163169A KR 20190163169 A KR20190163169 A KR 20190163169A KR 102135476 B1 KR102135476 B1 KR 10213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in
groove
wal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준
Original Assignee
강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준 filed Critical 강병준
Priority to KR102019016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은,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와; 전방 단부가 상기 전면부(10)의 양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 상면 일측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21)에는 다수 개의 핀체결홈(22)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는 상기 안착홈(21)의 직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끝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5a)이 구비된 스토퍼삽입홈(25)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벽체부(20)와; 상기 안착홈(21)에 끼워지되,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있는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체결핀(62)과, 상기 하부몸체(6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몸체(6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 형상은 상기 경사면(25a)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스토퍼경사부(63a)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63)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핀(62)은 상기 핀체결홈(22)의 간격과 동일 간격을 가져 상기 핀체결홈(22)에 끼워지고, 상기 체결핀(62)이 핀체결홈(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몸체부(63)는 상기 벽체부(20)의 상면 위로 돌출되는 스토퍼(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 옹벽 블록과 하부 옹벽 블록을 단순히 조립핀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핀의 상부에 몸체가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블록의 저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몸체가 끼워지는 적절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핀에 의한 체결 외에도 스토퍼가 삽입되는 홈 전후의 벽면에 의해 몸체 이동이 억제됨으로써 토압에 의해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거나 전도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옹벽 블록의 후방에 손쉽게 착탈되는 보강 블록이 구비되어 옹벽의 하부에는 옹벽 블록 후방에 보강 블록이 체결됨으로써 옹벽 하부의 옹벽 블록이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보강 블록에는 후방 양측에 돌출된 연장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연장돌출부 전방의 토사에 의해 보강 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retaining wall block with stopper}
본 발명은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탈이 가능하고 위치 조정이 가능한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 옹벽 블록의 결합이 용이하고, 토압에 의한 블록의 이탈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도로변 비탈면, 제방, 해안, 단지 조경벽면 등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여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물로, 지형적 요인과 시공 후 옹벽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게 된다.
종래 옹벽은 일반적으로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에 토사를 절토하고 철근 및 패널 등으로 거푸집을 철근과 함께 시공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다음 그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배면에 토사, 쇄석, 잡석 등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토사가 옹벽의 수직벽부를 전도시키려고 하는 전도모멘트 보다 옹벽의 자중에 의한 저항모멘트가 더 크게 하여 수평토압에 의해 전도되지 않도록 축조되는데,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그 옹벽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앵커수단을 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블록 옹벽이 널리 시공되고 있다.
블록 옹벽은 다수의 옹벽 블록으로 축조된 것으로 그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공기(工期)가 짧고 시공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옹벽 블록의 경우 토압을 이겨낼 수 있는 충분한 하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옹벽블록의 크기가 증가할 수밖에 없었으며, 옹벽블록의 크기를 단순히 증가시키는 것은 옹벽블록의 제작시 그 크기에만 치중하게 하여, 옹벽블록의 외관이 단조롭고 투박하게 되었다.
이에 토압을 이겨내기 위한 수단으로 하중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옹벽블록들 간의 상호 결속을 증대시키고 부차적인 지지수단을 개발하여, 옹벽블록의 외관이 획일적이지 않은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옹벽블록들이 다수 개발되었다.
관련 기술로, "시공이 용이한 식생 옹벽블록"(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1703호, 특허문헌 1)에는 옹벽블록의 상면에 다수 개의 핀 끼움 구멍을 형성하고, 연결핀을 선택적으로 특정 위치의 핀 끼움 구명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하 인접한 옹벽블록들이 연결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복수 개의 여러 구멍 중 특정 구멍에 핀을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거나, 충격 등에 의해 연결핀이 삽입되는 구멍이 파손되는 경우 핀을 통한 상하 연결 구조가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옹벽 블록들을 수직으로 축조하는 경우 아래쪽의 옹벽 블록에는 상대적으로 상측의 옹벽 블록에 비해 토압이 크게 발생하게 되어 옹벽 블록이 전면으로 밀려나려 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7523호, 특허문헌 2)에는 절개면에 네일을 설치하고, 이 네일과 옹벽 블록이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이 네일을 시공하는 기술이 경우 네일을 설치하기 위한 홀의 천공, 네일의 설치, 홀에 그라우트 주입 및 양생, 네일과 블록의 체결 등 복잡한 시공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옹벽의 배면층이 연약 지반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충분한 깊이까지 네일을 시공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다.
KR 10-0991703 (2010.10.28) KR 10-1707523 (2017.02.10)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옹벽 블록과 하부 옹벽 블록을 단순히 조립핀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핀의 상부에 몸체가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블록의 저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몸체가 끼워지는 적절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핀에 의한 체결 외에도 스토퍼가 삽입되는 홈 전후의 벽면에 의해 몸체 이동이 억제됨으로써 토압에 의해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거나 전도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즉, 연결핀을 통한 연결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삽입 구멍을 크게 하거나, 삽입 구멍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멍 깊이 및 핀 길이를 길게 해야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옹벽 제조상의 문제로 실질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운 바, 본 발명에서는 핀의 개수를 늘리고 핀과 스토퍼를 일체화함으로써 구조가 보다 안정적이 될 수 있게 개선하려는 것이다.
또,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배면 토압이 가해지는 옹벽 하부에서는 옹벽이 전방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옹벽 블록의 후방에 손쉽게 착탈되는 보강 블록이 구비되어 옹벽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하부의 옹벽 블록이 이탈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보강 블록에는 후방 양측에 돌출된 연장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연장돌출부 전방의 토사에 의해 보강 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와; 전방 단부가 상기 전면부(10)의 양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 상면 일측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21)에는 다수 개의 핀체결홈(22)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는 상기 안착홈(21)의 직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끝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5a)이 구비된 스토퍼삽입홈(25)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벽체부(20)와; 상기 안착홈(21)에 끼워지되,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있는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체결핀(62)과, 상기 하부몸체(6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몸체(6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 형상은 상기 경사면(25a)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스토퍼경사부(63a)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63)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핀(62)은 상기 핀체결홈(22)의 간격과 동일 간격을 가져 상기 핀체결홈(22)에 끼워지고, 상기 체결핀(62)이 핀체결홈(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몸체부(63)는 상기 벽체부(20)의 상면 위로 돌출되는 스토퍼(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20)의 후단에는 일정 위치에 단턱진 단턱부(2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부(26)에는 상광하협의 결합홈(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26a)의 바닥면에는 핀하부삽입공(26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26)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26a)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합홈(26a)에 끼워지는 끼움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수직으로 관통되어 끼움부(71)가 결합홈(26a)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핀하부삽입공(26b)과 일직선을 이루는 핀상부삽입공(72)이 구비되어 조립핀(73)이 핀하부삽입공(26b)과 핀상부삽입공(72)을 관통함으로써 벽체부(20)에 연결되는 안착부(70)와; 상기 안착부(70)의 후면에 안착부(70)와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어 있고, 상면에는 집게체결홀(81)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벽체부(80)와; 상기 연장벽체부(80)의 후단 외주면에 연결된 채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장돌출부(90);로 구성된 보강 블록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벽체부(20)의 외주면은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23)와, 상기 수직부(23)의 하부로부터 하단까지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는 벽체경사부(2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보강 블록의 연장벽체부(80)는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의 양측 외주면에는 외곽측으로 하향 형사진 경사벽체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경사부(24)와 경사벽체부(82)는 동일한 높이에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돌출부(90)의 전면부는 외곽으로 갈수록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진 수평경사부(9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옹벽 블록의 시공 방법은, 상기 옹벽 블록을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옹벽이 시공되기 위한 절토면(B)의 일정 지점을 수직으로 절개하거나 굴토하여 보강블록설치공간(C)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단계와; 상기 보강블록설치공간(C)에는 보강 블록이 위치되도록 절토면(B) 전방 공간에 보강 블록이 체결된 준비된 옹벽 블록을 시공하여 옹벽 하단을 시공하는 옹벽하단시공단계와; 상기 옹벽 하단을 구성하는 옹벽 블록의 상부에 옹벽 블록을 시공하되, 하부 옹벽 블록 스토퍼(60)가 상부 옹벽 블록의 스토퍼삽입홈(25)에 위치하도록 시공하여 옹벽 상부를 형성하는 옹벽상부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 옹벽 블록과 하부 옹벽 블록을 단순히 조립핀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핀의 상부에 몸체가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블록의 저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몸체가 끼워지는 적절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핀에 의한 체결 외에도 스토퍼가 삽입되는 홈 전후의 벽면에 의해 몸체 이동이 억제됨으로써 토압에 의해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거나 전도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핀을 통한 연결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삽입 구멍을 크게 하거나, 삽입 구멍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멍 깊이 및 핀 길이를 길게 해야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옹벽 제조상의 문제로 실질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운 바, 본 발명에서는 핀의 개수를 늘리고 핀과 스토퍼를 일체화함으로써 구조가 보다 안정적이 될 수 있게 개선된다.
또,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배면 토압이 가해지는 옹벽 하부에서는 옹벽이 전방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옹벽 블록의 후방에 손쉽게 착탈되는 보강 블록이 구비되어 옹벽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하부의 옹벽 블록이 이탈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보강 블록에는 후방 양측에 돌출된 연장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연장돌출부 전방의 토사에 의해 보강 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의 전면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보강 블록이 더 구비된 예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보강 블록의 배면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옹벽 블록의 벽체부 배면 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의 시공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은 전면부(10), 두 개의 벽체부(20) 및 두 개의 스토퍼(60)로 구성되며, 스토퍼(6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체가 일체를 이루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된다.
스토퍼(60)는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이나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부(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옹벽의 전면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전면 형상은 평평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라운드형으로 곡률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그 모양은 민무늬일 수도 있고, 도면과 같이 여러 굴곡이 형성된 형태, 자연석 형태의 요철 등 다양한 모양을 이룰수 있다.
두 벽체부(20)는 도 1, 2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단부가 상기 전면부(10)의 양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지점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두 벽체부(20)가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벽체부(20)는 상면 일측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착홈(21)은 대략 후방측에 위치한다.
상기 안착홈(21)에는 다수 개의 핀체결홈(22)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벽체부(20)의 저부에는 상기 안착홈(21)의 직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삽입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삽입홈(25)은 상기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6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스토퍼삽입홈(25)의 후면 내주면은 면 끝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5a)을 이룬다.
한편, 벽체부(20)의 외주면은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23)와, 상기 수직부(23)의 하부로부터 하단까지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는 벽체경사부(24)로 이루어진다.
벽체부(20)의 외주면 하부에 벽체경사부(24)가 형성됨으로 인해 수평으로 인접한 옹벽 블록들 사이는 전면부(10), 벽체경사부(24)로 이루어진 좁은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토사가 충진되고 토사 이탈이 억제된다.
또, 상부 하중이 보다 더 많이 벽체경사부(24)에 전달됨으로써 벽체경사부(24)의 이탈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도면기호 27은 벽체부(20)를 횡으로 관통하는 홀로, 이 홀에 견인 고리를 관통시켜 크레인이나 굴삭기의 붐에 연결하여 견인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6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몸체(61), 체결핀(62) 및 상부몸체(63)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몸체(61)는 상기 안착홈(21)에 끼워지는 형상을 취하되,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안착홈(21)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체결핀(62)은 상기 하부몸체(61)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고, 2개로 구성된다.
이때, 체결핀(62)이 2개를 초과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핀체결홈(22)의 숫자는 최소 4개 이상이어야 하므로, 체결핀(62)의 수는 2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63)는 상기 하부몸체(6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몸체(6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 형상은 상기 경사면(25a)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스토퍼경사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체결홈(22)의 간격과 동일 간격을 가져 상기 핀체결홈(22)에 끼워지고, 상기 체결핀(62)이 핀체결홈(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몸체부(63)는 상기 벽체부(20)의 상면 위로 돌출된다.
상기한 구성은 설치시 체결핀(62)이 삽입되는 핀체결홈(2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하부의 옹벽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옹벽 블록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2와 달리 경사면(25a)과 스토퍼경사부(63a)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토압에 의해 상부의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힘이 커져 체결핀(62)이 파손된 경우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하부몸체(61)가 안착홈(21)의 범위 내에서만 유동하게 되며, 더 나아가 경사면(25a)과 스토퍼경사부(63a)가 서로 접하는 정도까지만 유동이 발생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하로 다층 적층된 옹벽 블록들 중에 전방으로 이탈되려는 힘은 하부의 옹벽 블록에 크게 작용하게 되는데, 하부 옹벽 블록의 스토퍼경사부(63a)이 상부 옹벽 블록의 경사면(25a)과 면 접촉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힘을 분산하면서 이탈이 억제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옹벽 블록은 시공시 하부의 옹벽 블록은 상부에 비해 많은 토사 압력을 받아 전방으로 이탈하기 쉽다.
이에 별도의 네일 시공 없이 보강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상기한 토사 압력에 대해 저항하는 방안이 도 3,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옹벽 블록은 보강 블록과 연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부(20)의 후단에는 일정 위치에 단턱진 단턱부(2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부(26)에는 상광하협 형상의 결합홈(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26a)의 바닥면에는 핀하부삽입공(26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옹벽 블록과 결합되기 위한 보강 블록은 안착부(70), 연장벽체부(80) 및 연장돌출부(90)로 구성되고, 상기 파트들은 일체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안착부(70)는 도 3,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26)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26a)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합홈(26a)에 끼워지는 끼움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수직으로 관통되어 끼움부(71)가 결합홈(26a)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핀하부삽입공(26b)과 일직선을 이루는 핀상부삽입공(72)이 구비되어 조립핀(73)이 핀하부삽입공(26b)과 핀상부삽입공(72)을 관통함으로써 벽체부(20)에 연결된다.
연장벽체부(80)는 상기 안착부(70)의 후면에 안착부(70)와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어 있고, 상면에는 집게체결홀(8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장벽체부(80)의 상면에는 집게체결홀(81)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시 굴삭기 등에 집게를 통해 인양되어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블록의 연장벽체부(80)는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의 양측 외주면에는 외곽측으로 하향 형사진 경사벽체부(8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보다 많은 토압을 받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옹벽 블록의 벽체부(20)에 벽체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벽체경사부(24)와 경사벽체부(82)는 동일한 높이에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겠다.
연장돌출부(90)는 상기 연장벽체부(80)의 후단 외주면에 연결된 채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하중에 의해 전면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일종의 앙카 역할을 해주게 된다.
이때, 연장돌출부(90)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부는 외곽으로 갈수록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진 수평경사부(91)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경사진 수평경사부(91)가 마치 낚시 바늘의 미늘과 같은 역할을 하여 연장돌출부(90)와 연장벽체부(80) 사이의 토사에 의한 저항을 키워져 옹벽 블록의 뒤채움재를 견고히 붙들고 있어 하나의 거대한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탈을 가일층 방지시켜주게 된다.
이처럼 보강 블록이 더 구비된 옹벽 블록의 시공은 도 7과 같은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해당 시공 방법은 준비단계, 공간형성단계, 옹벽하단시공단계, 옹벽상부시공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준비단계는 전술한 기본 옹벽 블록과, 보강 블록이 체결된 옹벽 블록을 각각 준비해놓는다.
공간형성단계는, 옹벽이 시공되기 위한 절토면(B)의 일정 지점을 수직으로 절개하거나 굴토하여 보강블록설치공간(C)을 형성한다.
도면상에는 보강블록설치공간(C)이 하나의 공간으로 굴토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개의 분할된 구간으로 굴착 형성될 수도 있다.
옹벽하단시공단계는 상기 보강블록설치공간(C)에 보강 블록이 위치되도록 절토면(B) 전방 공간에 보강 블록이 체결된 옹벽 블록을 시공하여 옹벽 하단을 시공한다.
보강 블록이 구비된 옹벽 블록의 시공은 1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러 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옹벽상부시공단계는 하부 옹벽 블록의 상부 스토퍼(60)에 상부 옹벽 블록 하부의 스토퍼삽입홈(25)이 위치하도록 시공하여 옹벽 상부를 형성한다.
옹벽의 설치가 끝나면 보강블록설치공간(C)을 포함한 옹벽 블록의 배면 공간에 토사를 채운다.
토사의 충진은 블록 1단 시공마다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고, 블록 시공이 모두 완료된 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옹벽 시공은 소형 옹벽 블록들을 시공함에 있어서 옹벽 블록의 이탈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스토퍼(60) 위치 조절을 통해 옹벽들의 시공 위치의 가감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또, 옹벽 블록과 보강 블록의 체결이 확고하게 되어 일체형으로 됨으로써 배면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고, 뒷물림이 쉬워져 시공이 용이해지게 된다.
10 : 전면부 20 : 벽체부
21 : 안착홈 22 : 핀체결홈
23 : 수직부 24 : 벽체경사부
25 : 스토퍼삽입홈 25a : 경사면
26 : 단턱부 26a : 결합홈
26b : 핀하부삽입공 27 : 홀
60 : 스토퍼 61 : 하부몸체
62 : 체결핀 63 : 상부몸체
63a : 스토퍼경사부 70 : 안착부
71 : 끼움부 72 : 핀상부삽입공
73 : 조립핀 80 : 연장벽체부
81 : 집게체결홀 82 : 경사벽체부
90 : 연장돌출부 91 : 수평경사부

Claims (5)

  1. 삭제
  2. 대형 옹벽 블록에 있어서,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와;
    전방 단부가 상기 전면부(10)의 양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 상면 일측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21)에는 다수 개의 핀체결홈(22)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는 상기 안착홈(21)의 직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끝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5a)이 구비된 스토퍼삽입홈(25)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벽체부(20)와;
    상기 안착홈(21)에 끼워지되, 안착홈(21)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있는 하부몸체(61)와, 상기 하부몸체(61)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체결핀(62)과, 상기 하부몸체(6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몸체(6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으며, 후면 형상은 상기 경사면(25a)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스토퍼경사부(63a)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63)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핀(62)은 상기 핀체결홈(22)의 간격과 동일 간격을 가져 상기 핀체결홈(22)에 끼워지고, 상기 체결핀(62)이 핀체결홈(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몸체부(63)는 상기 벽체부(20)의 상면 위로 돌출되는 스토퍼(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벽체부(20)의 후단에는 일정 위치에 단턱진 단턱부(2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턱부(26)에는 상광하협의 결합홈(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26a)의 바닥면에는 핀하부삽입공(26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26)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26a)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합홈(26a)에 끼워지는 끼움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수직으로 관통되어 끼움부(71)가 결합홈(26a)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핀하부삽입공(26b)과 일직선을 이루는 핀상부삽입공(72)이 구비되어 조립핀(73)이 핀하부삽입공(26b)과 핀상부삽입공(72)을 관통함으로써 벽체부(20)에 연결되는 안착부(70)와;
    상기 안착부(70)의 후면에 안착부(70)와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어 있고, 상면에는 집게체결홀(81)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벽체부(80)와;
    상기 연장벽체부(80)의 후단 외주면에 연결된 채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장돌출부(90);로 구성된 보강 블록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20)의 외주면은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하게 이루어진 수직부(23)와, 상기 수직부(23)의 하부로부터 하단까지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는 벽체경사부(2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보강 블록의 연장벽체부(80)는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의 양측 외주면에는 외곽측으로 하향 형사진 경사벽체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경사부(24)와 경사벽체부(82)는 동일한 높이에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돌출부(90)의 전면부는 외곽으로 갈수록 점차 전방측으로 경사진 수평경사부(9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5. 삭제
KR1020190163169A 2019-12-09 2019-12-09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KR10213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169A KR102135476B1 (ko) 2019-12-09 2019-12-09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169A KR102135476B1 (ko) 2019-12-09 2019-12-09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476B1 true KR102135476B1 (ko) 2020-07-17

Family

ID=7183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169A KR102135476B1 (ko) 2019-12-09 2019-12-09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088B1 (ko) 2021-06-28 2021-08-27 다성기업(주)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KR102302152B1 (ko) 2021-06-28 2021-09-15 다성기업(주)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KR102438060B1 (ko) * 2022-02-09 2022-08-31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옹벽블록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571Y1 (ko) * 2002-09-16 2002-12-11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30056648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20050035408A (ko) * 2003-10-13 2005-04-18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JP2005105739A (ja) * 2003-10-01 2005-04-21 Bonan Kogyo Kenzai Kk 構築用ブロック
KR20100002491A (ko) * 2008-06-30 2010-01-07 덕산콘크리트(주) 구배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100991703B1 (ko) 2010-07-09 2010-11-03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시공이 용이한 식생 옹벽블록
KR101707523B1 (ko) 2016-12-06 2017-02-16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648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200297571Y1 (ko) * 2002-09-16 2002-12-11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식생 옹벽 구조체
JP2005105739A (ja) * 2003-10-01 2005-04-21 Bonan Kogyo Kenzai Kk 構築用ブロック
KR20050035408A (ko) * 2003-10-13 2005-04-18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20100002491A (ko) * 2008-06-30 2010-01-07 덕산콘크리트(주) 구배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100991703B1 (ko) 2010-07-09 2010-11-03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시공이 용이한 식생 옹벽블록
KR101707523B1 (ko) 2016-12-06 2017-02-16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088B1 (ko) 2021-06-28 2021-08-27 다성기업(주)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KR102302152B1 (ko) 2021-06-28 2021-09-15 다성기업(주)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KR102438060B1 (ko) * 2022-02-09 2022-08-31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옹벽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47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US6615561B2 (en) Retaining wall block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7168892B1 (en) Retaining wall block
US4728225A (en) Method of rehabilitating a waterfront bulkhead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KR20130023852A (ko) 패널식 자연석 옹벽 및 그 패널식 자연석 옹벽 시공방법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2135475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CN115627781A (zh) 一种用于既有边坡滑塌快速处治的边坡加固结构及施工方法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CN210857186U (zh) 一种预应力u型板桩
KR102191389B1 (ko)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101527703B1 (ko)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옹벽블록조립체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200369484Y1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102285192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200358082Y1 (ko) 조적식 옹벽블록
KR102676634B1 (ko) 네일 커넥터를 이용한 대형 판넬 블록 절토면 시공장치
KR20040097078A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