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088B1 -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 Google Patents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088B1
KR102294088B1 KR1020210083656A KR20210083656A KR102294088B1 KR 102294088 B1 KR102294088 B1 KR 102294088B1 KR 1020210083656 A KR1020210083656 A KR 1020210083656A KR 20210083656 A KR20210083656 A KR 20210083656A KR 102294088 B1 KR102294088 B1 KR 102294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stem portion
protrusion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준
Original Assignee
다성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성기업(주) filed Critical 다성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8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력식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력식옹벽블록은,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전면부(1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일측줄기부(20)와; 상기 전면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전면부(1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줄기부(20)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타측제1줄기부(30)와; 상기 타측제1줄기부(30)의 단부로부터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중앙 측으로 꺾인 채 전면부(10)의 1/2 지점으로부터 전면부(10)와 직교한 방향의 가상의 축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40)와; 상기 절곡부(40)의 단부로부터 타측제1줄기부(30)와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일측줄기부(20)의 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타측제2줄기부(50)와; 상기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각각 외곽측으로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면과 저면에 다수 개의 핀삽입공(61)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외향돌출부(60)와; 상기 일측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충진공간(11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110)과 마주한 내벽면(71)의 연장선이 상기 핀삽입공(6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는 일측내향돌출부(70)와;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이격되어 있는 타측내향돌출부(80)와; 상기 일측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의 사이로 일측끼움공간(91)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와의 사이로 타측제2줄기부(50)가 끼워질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일측단부돌출부(90)와;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의 단부로부터 외곽 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절곡부(40)와의 사이로 타측끼움공간(101)을 형성하는 타측단부돌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거나, 기본 블록과 형상이 다른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필요 없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블록 중 어느 하나를 높이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다른 하나의 블록과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져 단일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하단부에 길이가 긴 옹벽 블록 유닛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Gravity retaining wall block unit consists of prefab blocks which can be used separately or combined to adapt to site conditions}
본 발명은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유닛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새로운 형상의 보강 블록 없이 한 종류의 블록을 결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옹벽 블록이 토체에 묻히는 배면 방향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다.
흙은 자연상태에서는 무너져서 사면을 이루는데 토사를 인위적으로 가로막아서 자연스러운 사면보다 급한 경사를 만들면 횡방향으로 토압이 발생한다.
옹벽은 이 횡방향 토압을 견디는 구조물로, 주로 단차가 있는 부지에서 실사용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이용된다.
과거 1990년대 이전에는 대게 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어서 옹벽으로 활용했지만, 현재는 보강재를 이용해 토체의 일부를 안정화함으로써 흙으로 흙을 막는 보강토옹벽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보강토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질수록 다른 시공방법에 비해 경제성이 단연 뛰어나지만, 흙을 안정화시키는 보강재의 가격이 비싸고, 배면의 흙을 다지는 다짐공에 공기와 비용이 소요되며,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토공량은 늘어나고 부지의 실사용 면적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보강토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5미터 미만일 경우 경제적 이득이 적을 수 있다.
이에 1미터에서 5미터 사이의 옹벽에 기존의 철근콘크리트옹벽을 적용하는 대신 대형콘크리트블록을 차곡차곡 쌓아올려서 블록과 그 안에 갇힌 골재의 자중으로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는 중력식 콘크리트축조옹벽이 고안되었다.
이는 보강토옹벽에서 보강재를 제외하고 대신 전면블록의 크기를 키운 형태로써, 시공의 간편함으로 인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옹벽 시공법이다.
철근콘트리트옹벽은 구조물 자체의 강성으로 토압을 견디는 구조인데 반해 보강토옹벽공법은 토체의 일부를 안정화하고 그 토체의 자중으로 나머지 토체의 토압을 지탱한다.
여기서 토체의 일부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보강재인데, 중력식축조옹벽은 보강재의 설치를 생략하였으므로 토압을 버티는 힘은 온전히 옹벽블록과 블록 안에 갇힌 골재의 몫으로 보강토옹벽과는 달리 옹벽의 구조적 안정에 블록의 자중이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중력식축조옹벽의 옹벽블록은 블록을 대형화하거나 블록의 내부에 많은 양의 골재가 갇히도록 하여 더 많은 무게를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옹벽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옹벽블록과 갇힌 골재의 자중은 선형으로 증가하는데 반해 배후로부터의 토압은 옹벽의 높이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옹벽의 높이가 클 경우 옹벽의 하부에는 더 큰 블록을 사용해서 전체 옹벽의 안정에 필요한 자중을 우선 확보한 연후에 감당해야 하는 토압이 작은 상부의 블록들은 작은 것을 사용하여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블록의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블록을 길이별로 생산하고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공자의 입장에서도 제작이 완료되어 현장에 운송된 블록들로는 다양한 현장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옹벽체의 저면 일부에 바위가 있어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 일부 구간에서 긴 블록의 설치를 위한 토공량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 옹벽의 높이가 블록의 납품 이후에 변경되어 최하부에 들어가는 블록의 크기가 바뀌어서 새로 제작한 블록이 도착할 때까지 착공이 지연되는 경우와 같이 한 번 생산된 블록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음으로 인한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현재 건식프리캐스트 생산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블록의 최대 크기는 [W:1.5m] x [L:1.5m] x [H:0.5m] 정도에 불과하여 하부블록의 대형화를 위해서는 생산성이 낮은 습식프리캐스트 생산방식을 사용해야 하고, 이는 제조단가 및 공사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본 출원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5476호, 특허문헌 1)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핀에 의한 체결 외에 스토퍼가 삽입되는 홈 전후의 벽면에 의해 몸체 이동이 억제되도록 하여 토압에 의해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거나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보다 큰 배면 토압이 가해지는 옹벽 하부에서는 옹벽이 전방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허문헌 1에서는 옹벽블록의 후방에 손쉽게 착탈되는 보강블록이 구비되어 옹벽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하부의 옹벽블록이 이탈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건식 제조된 블록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하부블록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경우 기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과, 보강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KR 10-2135476 (2020.07.1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거나, 기본 블록과 형상이 다른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필요 없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블록 중 어느 하나를 높이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다른 하나의 블록과 끼움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져 단일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하단부에 길이가 긴 옹벽 블록 유닛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두 블록이 결합되어 옹벽블록유닛을 형성할 때 유닛 내의 토사가 갇힌 상태가 될 수 있게 하여 토압에 버티는 힘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블록의 기본형상을 유지하면서 벽체의 길이만 연장시킨 또 다른 블록을 더 준비하여 두 종류의 블록을 활용하여 길이가 각기 다른 5종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전면부(1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일측줄기부(20)와; 상기 전면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전면부(1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줄기부(20)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타측제1줄기부(30)와; 상기 타측제1줄기부(30)의 단부로부터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중앙 측으로 꺾인 채 전면부(10)의 1/2 지점으로부터 전면부(10)와 직교한 방향의 가상의 축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40)와; 상기 절곡부(40)의 단부로부터 타측제1줄기부(30)와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일측줄기부(20)의 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타측제2줄기부(50)와; 상기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각각 외곽측으로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면과 저면에 다수 개의 핀삽입공(61)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외향돌출부(60)와; 상기 일측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충진공간(11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110)과 마주한 내벽면(71)의 연장선이 상기 핀삽입공(6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는 일측내향돌출부(70)와;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이격되어 있는 타측내향돌출부(80)와; 상기 일측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의 사이로 일측끼움공간(91)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와의 사이로 타측제2줄기부(50)가 끼워질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일측단부돌출부(90)와;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의 단부로부터 외곽 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절곡부(40)와의 사이로 타측끼움공간(101)을 형성하는 타측단부돌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줄기부(20)에는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과 일측단부돌출부(90) 사이에 일측단부돌출부(9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보조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끼움공간(91)은 상기 일측보조돌출부(120)와 일측단부돌출부(90)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보조돌출부(120)와 일측내향돌출부(70), 절곡부(40)와 타측내향돌출부(80) 사이에는 보조충진공간(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유닛은 상기 옹벽블록을 2개로 나누어 한 개의 블록을 높이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킨 다음 회전시킨 블록의 일측끼움공간(91)에 미회전한 블록의 타측단부돌출부(100)가 끼워지고, 회전시킨 블록의 타측끼움공간(101)에 미회전한 블록의 일측단부돌출부(90)가 끼워짐으로써 두 블록이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옹벽 하단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길이가 긴 블록을 설치하거나, 기본 블록과 형상이 다른 새로운 블록을 연결할 필요 없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블록 중 어느 하나를 높이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다른 하나의 블록과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져 단일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하단부에 길이가 긴 옹벽 블록 유닛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두 블록이 결합되어 옹벽 블록 유닛을 형성할 때 유닛 내의 토사가 갇힌 상태가 될 수 있게 하여 토압에 버티는 힘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블록의 기본 형상을 유지하면서 벽체 길이만 연장시킨 또 다른 블록을 더 준비하여 두 종류의 블록을 활용하여 길이가 각기 다른 5종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력식 옹벽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블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블록을 상하로 연속하여 적층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에 따른 핀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도 1의 블록에 비해 벽체 길이가 연장된 형태의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블록 결합 상태를 나타내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과 도 5의 블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과 도 5의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가이드핀을 이용하여 평면 및 곡선 구간에서의 옹벽 구축 사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전면부에 요철이 형성된 블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력식 옹벽 블록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블록 중 어느 하나를 높이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다른 하나의 블록과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져 단일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하단부에 길이가 긴 옹벽블록유닛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두 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의 토사가 갇힌 상태가 될 수 있게 하여 토압에 대해 버티는 힘을 원활히 갖출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력식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블록유닛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옹벽블록은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 전면부(10)와 연결된 채 후방으로 연장되는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일측줄기부(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40), 절곡부(4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타측제2줄기부(50),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각각 외곽측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외향돌출부(60),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내향돌출부(70) 및 타측내향돌출부(80),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2줄기부(50)의 단부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일측단부돌출부(90) 및 타측단부돌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의 옹벽블록은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드라이캐스트(건식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생산되며,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최대 1.5m를 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캐스트(습식 프리캐스트) 방식과는 다르게 드라이캐스트 방식은 위아래가 뚫린 금속 몰드를 판재 위에 올리고 물·시멘트비가 아주 작은 몰탈을 채운 다음 위를 막고 몰드나 판재에 강한 진동을 가해 몰탈을 성형한 후 바로 탈형한다.
이 강한 진동 에너지를 버티기 위해 드라이캐스트 방식에 사용되는 몰드는 일체형의 금속으로 제작된다.
아울러, 상기한 크기를 넘어가는 양의 몰탈은 진동 및 압축할 수 있는 수단이 없거나 매우 비효율적이어서 드라이캐스트 방식은 ?캐스트 방식에 비해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크기에 제약이 많다.
본 발명은 블록과 블록을 결합하는 방법을 통해 드라이캐스트 방식 생산제품의 크기 제약을 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은 일측의 줄기는 전면부(10)로부터 일직선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타측의 줄기는 중간 부분이 일측의 줄기를 향해 1단 꺾인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전면부(10)는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도록 정면에서 봤을 때 장방형의 형태를 취한다.
이때, 전면부(10)의 양 측벽면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 모두 후면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11)로 이루어지고, 경사부(11)의 후방측에는 일측 벽면은 돌출된 돌기(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벽면은 돌기(12)가 삽입 가능하게 내측으로 패인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이 되도록 조립할 때 홈이 점차 돌기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블록 정렬을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면부(10)는 양측의 두 줄기 벽체를 고정하고, 상부 블록을 지지함과 더불어, 옹벽체의 전면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다른 블록과 결합하여 연장체로 사용할 경우 흙속에 묻힌 앵커로 작용하여 블록 이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면부(10)는 표면이 단순한 평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일측줄기부(20)는 상기한 전면부(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일측줄기부(20)가 전면부(10)와 연결되는 지점은, 전면부(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전면부(1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타측제1줄기부(30)는 상기 전면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타측제1줄기부(30)가 전면부(10)와 연결되는 지점 역시, 전면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전면부(10) 길이의 1/4 만큼 이격된 지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절곡부(4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제1줄기부(30)의 단부로부터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중앙 측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곡부(40)는 전면부(10)의 1/2 지점으로부터 전면부(10)와 직교한 방향의 가상의 축에 도달하거나, 이 축과 1 ~ 100mm 정도 이격된 지점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타측제2줄기부(50)는 상기 절곡부(40)의 단부로부터 타측제1줄기부(30)와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기본적으로 전면부(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란히 연장된 두 줄기는 기본적으로 블록 내부에 토체를 가두고, 상부의 블록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블록의 줄기와 하부 블록의 줄기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줄기는 전면부(10) 길이를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각각 1/4 지점에 형성된다.
아울러, 옹벽 구축 후 옹벽 상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는 하중이 두 줄기의 벽체를 통하여 옹벽 저부 지반으로 전달되므로 옹벽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옹벽체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옹벽체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외향돌출부(6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각각 외곽측으로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때, 외향돌출부(60)에는 다수 개의 핀삽입공(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핀삽입공(61)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앙의 핀삽입공(61)은 외주면 일측이 두 일측내향돌출부(70)의 내벽면(71) 연장선과 일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블록을 교차하여 축조할 때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의 일측내향돌출부(70) 내벽면(71)이 하부 블록의 핀삽입공(61)에 결합된 이탈방지핀(130)에 의해 지지되어 토압에 의해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곽의 핀삽입공(61)은 중앙 핀삽입공(61)으로부터 이격된 채 단부측으로부터 경사진 지점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옹벽의 벽면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게 될 때는 바깥쪽에 위치한 핀삽입공(61)에 이탈방지핀(130)이 결합되고, 반대로 옹벽의 벽면이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될 때는 안쪽에 위치한 핀삽입공(61)에 이탈방지핀(130)이 결합됨으로써 블록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곡선 구간의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일측내향돌출부(7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일측내향돌출부(70)는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있어 타측내향돌출부(80)와 함께 전면부(10)와의 사이로 토사가 충진되는 충진공간(110)을 형성한다.
이때, 충진공간(110)과 마주한 내벽면(71)의 연장선은 상기 핀삽입공(6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측의 핀삽입공(61)의 외주면 일측과 일직선을 이룬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타측내향돌출부(8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이격되어 있다.
일측내향돌출부(70)와 타측내향돌출부(80)의 마주보는 면에는 경사면(71, 81)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옹벽 시공시 토압이 발생할 때 경사면(71,81)을 통해 점차 폭이 좁아져 채움공간(110)에 채워진 토사는 배면 토압의 영향을 덜 받은 채 자체 자중을 통해 하부 블록을 눌러 하부 블록이 배면 토압에 대해 보다 잘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아울러, 시공에 있어서, 하부 블록에 설치된 이탈방지핀(130)에 상부 블록의 일측내향돌출부(70) 및 타측내향돌출부(80)가 지지되도록 상부 블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을 상하로 적층 시공시 도움이 된다.
블록의 중량이 400kg 정도로 매우 무겁고 현장에서는 개별 블록을 크레인으로 일일이 들어서 설치 위치에 내려 안착하게 되는 바, 상기한 구성은 블록 정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일측단부돌출부(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의 사이로 일측끼움공간(9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와의 사이로 타측제2줄기부(50)가 끼워질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대략 타측제2줄기부(50)의 폭에 대응되거나 그 폭보다 살짝 긴 크기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타측단부돌출부(100)는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의 단부로부터 외곽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절곡부(40)와의 사이로 타측끼움공간(101)을 형성한다.
이 타측끼움공간(101)에는 블록들간 상호 조립이 이루어질 때 일측단부돌출부(90)가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
아울러, 타측단부돌출부(100)의 돌출된 거리는 일측단부돌출부(90)의 단부로부터 일측끼움공간(91)의 내벽면 사이의 거리 정도가 적합하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력식옹벽블록을 조립하여 옹벽블록유닛을 제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유닛은 도 1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두 블록 중 어느 하나를 높이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킨 제2블록(B)과, 회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제1블록(A)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블록(B)의 타측단부돌출부(100)가 제1블록(A)의 일측끼움공간(91)에 끼워지고, 일측단부돌출부(90)가 제1블록(A)의 타측끼움공간(101)에 끼움 결합되어 제2블록(B)의 전면부(10)가 제1블록(A)과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옹벽블록유닛에는 두 블록(A, B) 각각의 충진공간(110)이 독립되게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도 3에는 도 2와 같은 형태의 옹벽블록유닛 상부에 제1블록(A)을 적층시켜 배치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옹벽의 전면은 하부 옹벽유닛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제1블록(A)의 마주보는 부분의 상부 핀삽입공(61)에 이탈방지핀(130)이 체결되고, 상부의 제1블록(A)에 구비된 채움공간(110)의 벽면이 이탈방지핀(13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부의 제1블록(A)에 배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를 길이를 따라 보다 연장되게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블록은 상기 일측줄기부(20)에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과 일측단부돌출부(90) 사이에 일측단부돌출부(9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보조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일측끼움공간(91)은 상기 일측보조돌출부(120)와 일측단부돌출부(90) 사이에 형성된다.
이렇게 일측보조돌출부(120)가 형성되는 경우 일측보조돌출부(120)와 일측내향돌출부(70), 절곡부(40)와 타측내향돌출부(80) 사이에 보조채움공간(150)이 형성되어 토사가 더 많이 충진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이처럼 일측보조돌출부(120) 및 보조채움공간(150)이 형성된 블록들이 상호 결합되어 옹벽 블록 유닛을 형성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의 블록들은 도 2와 구분짓기 위해 전면측은 제1블록(A1), 배면측은 제2블록(B1)으로 표기하였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제1블록(A1)의 일측보조돌출부(120)와 일측단부돌출부(90) 사이의 일측끼움공간(91)에 제2블록(B1)의 타측단부돌출부(100)가 끼워지고, 제1블록(A1)의 절곡부(40)와 타측단부돌출부(100) 사이의 타측끼움공간(101)에 제2블록(B1)의 일측단부돌출부(9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일측내향돌출부(70)와 타측내향돌출부(80)를 기준으로 안쪽과 바깥쪽에는 일측내향돌출부(70)와 타측내향돌출부(80) 사이의 폭보다 넓은 충진공간(110) 및 보조충진공간(150)이 형성되며, 각각의 공간은 유닛 전체로 봤을 때 각각 앞뒤로 2개소에 총 4개소의 충진 공간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7에는 도 1에 도시된 길이가 짧은 블록과, 도 5에 도시된 길이가 연장된 블록이 상호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길이가 짧은 블록은 옹벽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제1블록(A)으로 구성되고, 길이가 긴 블록은 옹벽의 배면부를 구성하는 제2블록(B1)으로 구성된다.
이 둘의 결합 역시 제1블록(A)의 일측끼움공간(91)에 제2블록(B1)의 타측단부돌출부(100)가 끼워지고, 제1블록(A)의 타측끼움공간(101)에 제2블록(B1)의 일측단부돌출부(90)가 끼워져 결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블록과 도 5에 도시된 블록이 상호간에도 원활하게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두 블록들이 전후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블록들의 전방부의 형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탈방지핀(130)을 이용하여 제1블록(A)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부에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상기한 구성에 의한 옹벽을 구축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옹벽은 최하단부는 가장 길이가 도 5에 도시된 타입의 제1블록(A)과 제2블록(B1)이 전후로 서로 결합되어 가장 길이가 길게 연장되고, 그 상부에는 제1블록(A)과 제2블록(B)이 결합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제1블록(A)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1단의 구성을 제1블록(A1)과 제2블록(B1)을 결합하고, 2단은 제1블록(A)과 제2블록(B1)으로 구성하고, 3단의 구성은 제1블록(A)와 제2블록(B)로 구성하는 한편, 4단의 구성은 제1블록(A1)으로 구성하고, 5단은 제1블록(A)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총 5단에 걸쳐 각기 배면으로 연장된 길이가 달라지는 계단식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10 : 전면부 11 : 경사부
12 : 돌기 13 : 홈
20 : 일측줄기부 30 : 타측제1줄기부
40 : 절곡부 50 : 타측제2줄기부
60 : 외향돌출부 61 : 핀삽입공
70 : 일측내향돌출부 71 : 내벽면
80 : 타측내향돌출부 90 : 일측단부돌출부
91 : 일측끼움공간 100 : 타측단부돌출부
101 : 타측끼움공간 110 : 충진공간
120 : 일측보조돌출부 130 : 이탈방지핀
A, A1 : 제1블록
B, B1 : 제2블록

Claims (3)

  1. 옹벽 블록에 있어서,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일측줄기부(20)와;
    상기 전면부(10)의 타측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줄기부(20)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타측제1줄기부(30)와;
    상기 타측제1줄기부(30)의 단부로부터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중앙 측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40)와;
    상기 절곡부(40)의 단부로부터 타측제1줄기부(30)와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일측줄기부(20)의 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타측제2줄기부(50)와;
    상기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각각 외곽측으로 전면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면과 저면에 다수 개의 핀삽입공(61)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외향돌출부(60)와;
    상기 일측줄기부(20) 중간 지점에서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전면부(10)와 이격되어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충진공간(110)을 형성하고, 충진공간(110)과 마주한 내벽면(71)의 연장선이 상기 핀삽입공(61)들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을 이루는 일측내향돌출부(70)와;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타측제1줄기부(30)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 이격되어 있는 타측내향돌출부(80)와;
    상기 일측줄기부(20)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와의 사이로 일측끼움공간(91)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와의 사이로 타측제2줄기부(50)가 끼워질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일측단부돌출부(90)와;
    상기 타측제2줄기부(50)의 단부로부터 외곽 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절곡부(40)와의 사이로 타측끼움공간(101)을 형성하는 타측단부돌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줄기부(20) 및 타측제1줄기부(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줄기부(20)에는 상기 일측내향돌출부(70)과 일측단부돌출부(90) 사이에 일측단부돌출부(9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보조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끼움공간(91)은 상기 일측보조돌출부(120)와 일측단부돌출부(90)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보조돌출부(120)와 일측내향돌출부(70), 절곡부(40)와 타측내향돌출부(80) 사이에는 보조충진공간(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3. 옹벽블록유닛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옹벽 블록을 2개로 나누어 한 개의 블록을 높이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킨 다음 회전시킨 블록의 일측끼움공간(91)에 미회전한 블록의 타측단부돌출부(100)가 끼워지고, 회전시킨 블록의 타측끼움공간(101)에 미회전한 블록의 일측단부돌출부(90)가 끼워짐으로써 두 블록이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들로 이루어진 중력식옹벽블록유닛.
KR1020210083656A 2021-06-28 2021-06-28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KR102294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56A KR102294088B1 (ko) 2021-06-28 2021-06-28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56A KR102294088B1 (ko) 2021-06-28 2021-06-28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88B1 true KR102294088B1 (ko) 2021-08-27

Family

ID=7750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656A KR102294088B1 (ko) 2021-06-28 2021-06-28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08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331U (ko) * 1989-11-28 1991-07-31
KR20050114166A (ko) * 2004-05-31 2005-12-05 (주)그라스본 인공토를 이용한 성토부 및 절토부의 보강토 옹벽 전면녹화 방법 및 그 축조 방법
KR100752688B1 (ko) * 2007-03-16 2007-08-29 (주)한국바이오콘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100957705B1 (ko) * 2010-01-22 2010-05-12 주식회사 중앙씨앤씨 옹벽 블록의 조립 적층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03195U (ko) * 2009-09-23 2011-03-30 라이브텍(주)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KR20190057208A (ko) * 2019-04-11 2019-05-28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2135476B1 (ko) 2019-12-09 2020-07-17 강병준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331U (ko) * 1989-11-28 1991-07-31
KR20050114166A (ko) * 2004-05-31 2005-12-05 (주)그라스본 인공토를 이용한 성토부 및 절토부의 보강토 옹벽 전면녹화 방법 및 그 축조 방법
KR100752688B1 (ko) * 2007-03-16 2007-08-29 (주)한국바이오콘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20110003195U (ko) * 2009-09-23 2011-03-30 라이브텍(주)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KR100957705B1 (ko) * 2010-01-22 2010-05-12 주식회사 중앙씨앤씨 옹벽 블록의 조립 적층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57208A (ko) * 2019-04-11 2019-05-28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2135476B1 (ko) 2019-12-09 2020-07-17 강병준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6331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8069B1 (en) Retaining wall block
JP2706216B2 (ja)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の構築構造
CN105201011B (zh) 一种复合锚定板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101842474B1 (ko) 현장 타설 팽이말뚝용 보강재, 이를 이용한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 및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의 시공방법
CN207194006U (zh)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挡土墙
CN109356173A (zh) 一种拼装式锚杆框架梁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US20220081868A1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20090069749A (ko) 현장조립형 의지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302152B1 (ko)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KR101531238B1 (ko) 부벽이 구비된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94088B1 (ko)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KR100998502B1 (ko) 전단키와 강관을 구비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KR101088477B1 (ko)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CN107761759B (zh) 一种l型混凝土挡墙
KR20180040095A (ko) 캡 슬래브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그 시공방법
KR101110208B1 (ko) 가변 지지대가 구비된 옹벽블록과 연결블록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CN215165795U (zh) 一种新型钢筋混凝土挡土墙结构
KR100346947B1 (ko)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KR100991664B1 (ko)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KR20220154538A (ko) 전단저항력이 강화된 지하 연속벽체 철근 겹이음을 위한 프로텍터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200167837Y1 (ko) 석축 보강 구조 및 신설 옹벽구조
KR20230021234A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