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195U -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 Google Patents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195U
KR20110003195U KR2020090012513U KR20090012513U KR20110003195U KR 20110003195 U KR20110003195 U KR 20110003195U KR 2020090012513 U KR2020090012513 U KR 2020090012513U KR 20090012513 U KR20090012513 U KR 20090012513U KR 20110003195 U KR20110003195 U KR 201100031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plate
block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라이브텍(주)
최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브텍(주), 최경동 filed Critical 라이브텍(주)
Priority to KR2020090012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195U/ko
Publication of KR20110003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Abstract

본 고안은, 차례로 적층되어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배면 토사를 지지하는 견고한 옹벽을 구축하면서도, 각각의 옹벽 블록 상부와 이웃하는 옹벽 블록 사이의 공간을 통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옹벽이 구축될 수 있도록 구성한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정면판(11)과, 배면 토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수직판(12)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판(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수직판(12)의 상면에는, 지오그리드 부재(20)를 고정시키고 상,하 옹벽 블록(1) 간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핀(30)이 끼워지게 되는 복수개의 핀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홀(121) 형성 위치는 두께증가부(1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판(12)의 외면에는, 배면토사 지지판(40)이 끼워지게 될 지지판 끼움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13)의 저면에는, 옹벽 블록의 적층시 하층 옹벽 블록의 핀홀(121)에 끼워진 고정핀(30)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바닥판(13)의 상면이 위로 융기되어 있는 융기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Retaining Wall Block and Plantable Retaining Wall using Such Block}
본 고안은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성토부 또는 절토부에 구축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차례로 적층되어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배면 토사를 지지하는 견고한 옹벽을 구축하면서도, 각각의 옹벽 블록 상부와 이웃하는 옹벽 블록 사이의 공간을 통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옹벽이 구축될 수 있도록 구성한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옹벽의 전면에 식물이 식재되도록 녹화시키고자 하는 여러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가장 초보적인 단계로는 옹벽의 하단이나 상단에 수목이나 종자를 식재하거나 파종하여 녹화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는데, 이 경우 옹벽 전면부 전체를 녹화할 수 없다는 점이 큰 한계로 지적되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옹벽 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할 때, 옹벽 블록의 내부에 토사를 채우고 토사에 식물 종자를 파종하여 녹화하는 방법이 시도 되었는데, 이 경우 옹벽 블록의 내부 토사와, 배면부의 토사가 서로 차단되어 있어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하기에 매우 불리한 환경이 형성되었으며, 결국 옹벽 블록의 내부에 식재된 식물이 고사하게 되어 녹화를 제대로 이룰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옹벽을 계단식으로 시공하여 각 계단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이 경우에는 계단식으로 시공할 때 옹벽의 사면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옹벽의 시공을 위해 넓은 부지가 요구되었으며, 그에 따라 적용이 극히 제한되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록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옹벽을 구축하면서도, 옹벽의 전면부 전체를 녹화시킬 수 있으며, 식물의 고사하지 않고 활발하게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으며, 옹벽의 사면 경사를 과도하게 완만하게 만들지 않고서도 녹화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토사를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옹벽 블록을 구성하되 옹벽 블록과 배면 토사 사이를 격리하는 격벽을 형성하지 않고 옹벽 블록의 내부에 담기는 토사와 옹벽의 배면부에 존재하게 되는 배면 토사가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함으로써, 토사의 구분으로 인한 식물 식생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옹벽 블록을 적층하는 각 단에서 옹벽 블록의 측면으로 옹벽 블록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되, 옹벽 블록의 측면 사이에 배면토사 지지판을 설치하여 옹벽 블록의 측면 사이에서 배면 토사의 토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하여 옹벽의 전면부에 대한 녹화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옹벽 블록과 이에 의하여 구축되는 옹벽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옹벽 블록에 담기는 토사와 배면 토사 사이에 장애물이 없이 토사가 서로 연통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배면 토사로부터 옹벽 블록에 담긴 토사로 수분과 영양분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옹벽 블록 내의 토사에 식재된 식물에게 양호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옹벽 녹화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옹벽 블록의 측면으로 옹벽 블록 사이에 배면토사 지지판을 설치하여 옹벽 블록의 측면 사이에서 배면 토사의 토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하여 식생면적이 극대화되므로, 옹벽의 전면부에 대한 녹화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어 외관이 미려한 녹화옹벽 을 구축 할 수 있으며, 핀 방식으로 지오그리드를 옹벽 블록과 일체화하여 배면토사에 설치하게 되므로, 지오그리드와 옹벽 블록이 일체화된 상태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옹벽 블록(1)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1)은, 옹벽의 정면을 이루게 되는 정면판(11)과, 상기 정면판(11)의 배면과 일체로 되어 배면 토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수직판(12)과, 상기 정면판(11)의 하면과 상기 수직판(12)의 하면과 일체로 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판(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면판(11)은 옹벽 블록(1)이 적층되어 옹벽을 구성하였을 때 옹벽의 정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정면판(11)의 높이는 상기 수직판(12)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수직판(12)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정면판(11)의 배면에 일체화되어 배면 토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데, 수직판(12)의 상 면에는 복수개의 핀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홀(121)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지오그리드 부재(20)를 고정시키고 상,하 옹벽 블록(1) 간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핀(30)이 끼워진다. 수직판(12)에서 상기 핀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판(12)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더 커져 있는 두께증가부(12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두께증가부(122)를 형성하게 되면, 핀홀(121)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핀홀(121) 형성 부분에서 수직판(12)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수직판(12)에 위와 같이 두께증가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면, 평면에서 볼 때 두께증가부(122)로 인하여 수직판(12)에 돌출부가 형성된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그에 따라 성토층이 형성되어 수직판(12) 사이에 토사가 채워졌을 때 수직판(12)과 배면 토사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배면 토압에 대한 옹벽 블록(1)의 저항성이 증가되는 유리한 효과도 발휘된다.
한편, 상기 수직판(12)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배면토사 지지판(40)이 끼워지게 되는 지지판 끼움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 끼움부(123)는 수직판(12)의 외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23a, 123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수직판(12)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돌기(123a, 123b) 사이의 간격에 의해 지지판 끼움부(12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 끼움부(123)는 배면 토사 방향으로 볼 때 정면판(11)과 상기 두께증가부(122) 사이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정면판(11) 가까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방측 끼움돌기(123a)는 그 횡방향 폭이 정면판(11)의 폭(옹벽 블록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전방측 끼움돌기(123a)가 정면판(11)의 배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배면토사 지지판(40)이 견고하게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 끼움부(123)는 수직판(12)의 높이 전체에 걸쳐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 끼움부(123)는 수직판(12)을 두껍게 한 상태에서 수직판(12)에 수직하게 오목한 슬롯을 형성하여 만들 수도 있다.
바닥판(13)은 정면판(11)의 하면과 상기 수직판(12)의 하면과 일체로 되어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옹벽 블록(1)을 평면도로 바라보았을 때 정면판(11)과 수직판(12)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바닥면이 상기 바닥판(13)에 해당하는 것이다. 옹벽 블록(1)이 적층되었을 때, 상기 바닥판(13)은 하층 옹벽 블록의 수직판(12) 상면에 놓이게 되는데, 하층 옹벽 블록의 핀홀(121)에 고정핀(30)이 끼워졌을 때 하층 옹벽 블록의 수직판(12) 상면 위로 돌출되는 고정핀(30)의 머리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판(13)의 저면에는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는 상기 오목부(131)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오목부(131)는 옹벽 블록(1)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바닥판(13)의 상면이 위로 융기되어 있는 융기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바닥판(13)의 저면에 오목부(131)가 형성되면, 오목부(131)의 형성 위치에서는 그만큼 바닥판(13)의 두께가 줄어들게 되어 바닥판(13)의 강성이 저하되는 취약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바닥판(13)에 융기부(132)를 형 성함으로써 오목부(131)의 형성으로 인한 바닥판(13)의 강성 감소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오목부(131)가 옹벽 블록(1)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융기부(132)도 이에 맞추어 옹벽 볼록(1)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31)의 위치에 따라 옹벽 블록(1)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의 사면 경사가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목부(131)의 위치가 핀홀(121)의 형성 위치와 가까울수록 옹벽의 경사는 점점 수직하게 되고, 오목부(131)의 위치가 핀홀(131)의 형성위치로부터 멀어져서 정면판(11)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옹벽의 경사는 점점 완만한 하게 된다. 물론 후술하는 것처럼 오목부(131)의 형성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핀홀(121) 중 어디에 고정핀(30)이 끼워져 있는지에 따라 옹벽의 경사가 변하게 되기도 한다.
다음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옹벽 블록(1)을 적층하여 녹화 옹벽을 구축하는 상세한 구조와 그 방법 단계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하층의 옹벽 블록 위에 상층의 옹벽 블록을 적층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하층 옹벽 블록을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하층 옹벽 블록에는 해칭을 하였다. 도 6에는 하층의 옹벽 블록(1) 위에 상층의 옹벽 블록(1)을 적층하였지만 아직 상층 옹벽 블록(1)의 배면으로 배면토사를 성토하지 아니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횡방향(옹벽 블록의 폭 방향)으로 상층 옹벽 블록(1) 사이에 배면토사 지지판(4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후속하여 상층 옹벽 블록(1)의 배면으로 토사를 성토하고, 성토되어 형성된 성토층 상면으로 지오그리드 부재(20)를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층의 옹벽 블록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층의 옹벽 블록이 엇갈리도록 배치되는데, 하층의 옹벽 블록은 횡방향으로 수직판(12)의 간격만큼의 사이를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옹벽이 직선의 정면을 가지도록 구축되는 경우, 상층의 옹벽 블록은 두 개의 하층 옹벽 블록에 걸쳐져서 설치되는데, 상층 옹벽 블록의 수직판(12)은 이웃하는 2개의 하층 옹벽 블록의 각각의 수직판(12) 위에 놓이게 된다.
하층 옹벽 블록의 수직판(12)에 형성된 복수개의 핀홀(121) 중 고정핀(30)이 끼워져 있는 위치에 따라 상층 옹벽 블록이 적층되면서 옹벽의 경사도가 달라진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층 옹벽 블록에서 고정핀(30)이 정면판(11)과 가까운 위치의 핀홀(121)에 끼워지게 되면, 상층 옹벽 블록(1)의 오목부(131) 내에 상기 하층 옹벽 블록(1)의 고정핀(30)의 머리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층 옹벽 블록과 상층 옹벽 블록 간의 배면 방향으로의 위치 차이가 적기 때문에 옹벽 블록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이 수직에 가까운 급한 경사도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층 옹벽 블록에서 고정핀(30)이 정면판(11)으로 먼 위치의 핀홀(121)에 끼워지게 되면 상층 옹벽 블록(1)의 오목부(131) 내에 상기 하층 옹벽 블록(1)의 고정핀(30)의 머리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층 옹벽 블록과 상층 옹벽 블록 간의 배면 방향으로의 위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옹벽 블록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은 경사가 완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복수개의 핀홀(121)을 형성 하고 고정핀(30)의 끼움 위치를 바꿈으로써 용이하게 옹벽의 경사도를 상황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하층 옹벽 블록 위에 상층 옹벽 블록을 엇갈리게 배치한 후,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는 상층 옹벽 블록 사이에 배면토사 지지판(40)을 설치한다. 즉,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고 있는 옹벽 블록의 수직판(12)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끼움부(123)에 배면토사 지지판(40)을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어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배면토사 지지판(40)은 망눈을 가지는 메쉬 형태의 판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면토사 지지판(40)은 횡방향으로 이웃하고 있는 옹벽 블록(1)의 사이에서 배면 토사에 의한 토압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의 판부재를 상기 배면토사 지지판(40)로 사용할 수 있다.
배면토사 지지판(40)이 설치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층 옹벽 블록과 배면토사 지지판(40)의 배면 방향으로 토사를 채워서 성토층(100)을 형성한다. 성토층(100)은 수직판(12)의 높이에 맞추어 성토되는데, 성토층(100)이 형성되면, 성토층(100) 보강을 위한 지오그리드 부재(20)를 포설한다. 옹벽 블록(1)의 수직판(12)에 끼워진 고정핀(30)에 상기 지오그리드 부재(20)가 걸리게 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지오그리드 부재(20)는 성토층(100) 사이에 위치하여 성토층(100)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 즉, 옹벽 블록의 적층, 배면토사 지지판(40)의 설치, 성토층 형성, 지오그리드 부재의 설치를 반복하여 필요한 높이로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과 구조로 축조된 본 고안의 녹화 옹벽에서는, 배면토사 지지판(40)이 옹벽 블록(1)의 정면판(11) 전면으로부터 배면 토사 방향으로 정면판(11)의 두께와 전방측 끼움돌기(123a)의 두께만큼 배면 방향으로 들어간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배면토사 지지판(40)이 설치된 위치에서 하층 옹벽 블록의 성토층 즉, 하층의 성토층 상면이 상층 옹벽 블록 사이로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하층 성토층 상면을 이용하여 식물(60)을 식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옹벽의 녹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친환경적인 옹벽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옹벽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옹벽에서, 하층의 옹벽 블록 위에 상층의 옹벽 블록을 적층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옹벽에서 하층의 옹벽 블록 위에 상층의 옹벽 블록을 적층하였지만 아직 상층 옹벽 블록의 배면으로 배면토사를 성토하지 아니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횡방향으로 상층 옹벽 블록 사이에 배면토사 지지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 후속하여 상층 옹벽 블록의 배면으로 토사를 성토하고, 성토되어 형성된 성토층 상면으로 지오그리드 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옹벽 블록
11 : 정면판
12 : 수직판
13 : 바닥판

Claims (2)

  1. 복수개가 상,하층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옹벽 블록(1)으로서,
    옹벽의 정면을 이루게 되는 정면판(11)과, 상기 정면판(11)의 배면과 일체로 되어 배면 토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수직판(12)과, 상기 정면판(11)의 하면과 상기 수직판(12)의 하면과 일체로 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판(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수직판(12)의 상면에는, 지오그리드 부재(20)를 고정시키고 상,하 옹벽 블록(1) 간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핀(30)이 끼워지게 되는 복수개의 핀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홀(121) 형성 위치는 수직판(12)의 두께가 증가되어 있는 두께증가부(1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판(12)의 외면에는, 횡방향으로 이웃하게 되는 옹벽 블록(1) 사이를 가로 막는 배면토사 지지판(40)이 끼워지게 될 지지판 끼움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13)의 저면에는, 옹벽 블록의 적층시 하층 옹벽 블록의 핀홀(121)에 끼워진 고정핀(30)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바닥판(13)의 상면이 위로 융기되어 있는 융기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2. 복수개의 옹벽 블록(1)이 상,하층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배면 방향에 축조되는 배면 토사를 지지하게 되는 녹화 옹벽으로서,
    상기 옹벽 블록(1)은, 옹벽의 정면을 이루게 되는 정면판(11)과, 상기 정면판(11)의 배면과 일체로 되어 배면 토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수직판(12)과, 상기 정면판(11)의 하면과 상기 수직판(12)의 하면과 일체로 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판(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수직판(12)의 상면에는, 지오그리드 부재(20)를 고정시키고 상,하 옹벽 블록(1) 간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핀(30)이 끼워지게 되는 복수개의 핀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홀(121) 형성 위치는 수직판(12)의 두께가 증가되어 있는 두께증가부(1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판(12)의 외면에는, 횡방향으로 이웃하게 되는 옹벽 블록(1) 사이를 가로 막는 배면토사 지지판(40)이 끼워지게 될 지지판 끼움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13)의 저면에는, 옹벽 블록의 적층시 하층 옹벽 블록의 핀홀(121)에 끼워진 고정핀(30)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바닥판(13)의 상면이 위로 융기되어 있는 융기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하층의 옹벽 블록 위로 상층의 옹벽 블록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적층되는데, 하층 옹벽 블록의 핀홀(121)에 고정핀(30)이 끼워져 있으며 하층의 옹벽 블록의 배면 방향으로 성토층(100)이 형성되고 성토층(100)의 상면에 지오그리드 부재(20)가 상기 고정핀(3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층 옹 벽 블록의 오목부(131) 내에 상기 고정핀(30)의 머리부가 위치하도록 상층의 옹벽 블록이 2개의 하층 옹벽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적층되며;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는 상층 옹벽 블록 사이에 배면토사 지지판(40)이 설치되고;
    상층 옹벽 블록과 배면토사 지지판(40)의 배면 방향으로 토사가 채워져 성토층(100)이 형성되고;
    상기 성토층(100)의 보강을 위한 지오그리드 부재(20)가 고정핀(30)에 걸려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배면 성토 방향으로 연장되어 성토층(100) 위에 포설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옹벽.
KR2020090012513U 2009-09-23 2009-09-23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KR201100031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13U KR20110003195U (ko) 2009-09-23 2009-09-23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13U KR20110003195U (ko) 2009-09-23 2009-09-23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95U true KR20110003195U (ko) 2011-03-30

Family

ID=4420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513U KR20110003195U (ko) 2009-09-23 2009-09-23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195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662A (zh) * 2016-06-03 2016-10-12 福建农林大学 一种组合式可拼接垂直绿化槽具及其制作方法
CN108487264A (zh) * 2018-05-17 2018-09-04 安徽国基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护坡砖及挡土墙垒砌方法
CN108867554A (zh) * 2018-09-20 2018-11-23 连云港东浦建筑工业化发展有限公司 护坡砖和护坡结构
CN108978706A (zh) * 2018-09-30 2018-12-11 铜陵陵阳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嵌式景观挡土墙砌块
KR102107751B1 (ko) * 2019-07-22 2020-05-07 박공영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39448B1 (ko) * 2020-05-19 2020-07-29 김형중 블록식 옹벽 구조물
KR102294088B1 (ko) * 2021-06-28 2021-08-27 다성기업(주)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WO2023164757A1 (en) * 2022-03-01 2023-09-07 Cornerstone Wall Solutions Inc.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s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662A (zh) * 2016-06-03 2016-10-12 福建农林大学 一种组合式可拼接垂直绿化槽具及其制作方法
CN108487264A (zh) * 2018-05-17 2018-09-04 安徽国基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护坡砖及挡土墙垒砌方法
CN108487264B (zh) * 2018-05-17 2023-12-05 安徽国基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护坡砖及挡土墙垒砌方法
CN108867554A (zh) * 2018-09-20 2018-11-23 连云港东浦建筑工业化发展有限公司 护坡砖和护坡结构
CN108978706A (zh) * 2018-09-30 2018-12-11 铜陵陵阳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嵌式景观挡土墙砌块
KR102107751B1 (ko) * 2019-07-22 2020-05-07 박공영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39448B1 (ko) * 2020-05-19 2020-07-29 김형중 블록식 옹벽 구조물
KR102294088B1 (ko) * 2021-06-28 2021-08-27 다성기업(주)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WO2023164757A1 (en) * 2022-03-01 2023-09-07 Cornerstone Wall Solutions Inc.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3195U (ko)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 옹벽
KR200429313Y1 (ko) 계단 적층식 식생 옹벽블록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0631379B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0765341B1 (ko) 녹화가 가능한 벽구조물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JP4606980B2 (ja) 緑化擁壁ブロック
KR100681501B1 (ko) 식생 조적블록 및 그 식생 조적블록의 시공방법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JPH08120693A (ja) 擁 壁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KR200358575Y1 (ko) 옹벽체의 강도 보강용 식생블록
KR200358576Y1 (ko) 식물의 성장 촉진용 식생블록
KR101232238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JP2000170184A (ja) 擁壁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及び擁壁
JP3132557U (ja) 環境保全型ブロック
KR200275387Y1 (ko) 식생옹벽 구조체
KR200341395Y1 (ko)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KR20100095293A (ko) 식생 가능한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90462Y1 (ko) 식생 조적블록
KR100476836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