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395Y1 -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395Y1
KR200341395Y1 KR20-2003-0035570U KR20030035570U KR200341395Y1 KR 200341395 Y1 KR200341395 Y1 KR 200341395Y1 KR 20030035570 U KR20030035570 U KR 20030035570U KR 200341395 Y1 KR200341395 Y1 KR 200341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vegetation
plant
wall planting
planting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찬윤
Original Assignee
(주)레코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코기술 filed Critical (주)레코기술
Priority to KR20-2003-0035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에 관한 것, 본 고안은 다수의 블럭(100)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 고정되며 식물(20)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PLANT POT FOR REINFORCED RETAINAING WALL}
본 고안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며,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블록 쌓기: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②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③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며, 역T형식 ·부벽식(扶壁式:L자형) 등 여러 형식이 있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옹벽들은 콘크리트 등으로 축조 또는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가 주는 특성에 의하여 외관상 단조롭거나 부자연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무 또는 화초 등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을 제공함으로써 외관상 및 시각적으로 보다 개선된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화분이 축조된 옹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옹벽의 II-II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옹벽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블럭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블럭의 제 2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식생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식생화분 및 블록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식생화분의 변형례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1의 식생화분의 또다른 변형례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식생화분의 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옹벽 20 : 식물
100 : 블록 110 : 요홈부
121 : 종방향 결합부 122 : 횡방향 결합부
123 : 수직방향 결합부 130 : 전방날개부
133 : 관상용 무늬 140 : 연결부
141 : 돌출부 142 : 요홈부
150 : 후방날개부 200 : 식생화분
201 : 요홈부 210 : 식생공간
211 : 개구부 222 : 요홈부
230 : 전방날개부 231 : 배수공
240 : 고정부 241 : 요홈부
242 : 돌출부 243 : 돌출부
250 : 후방날개부 260 : 보강부
300 : 보강토 410 : 종방향 보강부재
420 : 횡방향 보강부재 430 : 수직방향 보강부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다수의 블럭(100)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 고정되며 식물(20)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옹벽 축조용 블럭(100) 및 식생화분(200)들이 적층되어 축조된다.
상기 옹벽 축조용 블럭(10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식물(20)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210)을 가지는 식생화분(200)이 이웃하는 블럭(100) 사이에 끼워져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식생화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은 도 1 내지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럭(100)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 고정되며 식물(20)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날개부(230)와, 상기 블럭(100)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고정되는 고정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공간(210)은 상기 전방날개부(230) 및 고정부(240)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아니하며, 바람직하게는 나무, 플라스틱, 금속 및 재생플라스틱, 콘크리트, 폴리머 콘크리트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전방날개부(230)의 상측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거나 이웃하는 블럭(100)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날개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날개부(230)의 좌·우 측면 또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방날개부(230)의 측면은 이웃하는 식생화분(200)의 전방날개부(230)의 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날개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공간(210) 내에 일정량 이상의 유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측면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전면에는 외관 상의 미감을 고려하여 다양한 무늬 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생공간(210)은 주변의 보강토(300)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240)의 후면 및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211a, 211b)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11)는 보강토(300) 내의 유수가 식생공간(2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식생공간(210)에서 서식하는 식물의 뿌리가 보강토(300) 내로 생장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식생화분(200)의 고정부(240)의 후면이 모두 개방될 수 있으며, 또한 저면의 일부도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0)의 후면 또는 저면이 개방되었을때에 주변의 보강토(300)를 통하여 물을 흡수하거나, 배수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식물이 뿌리를 보강토(300) 내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이 보다 튼튼하게 자랄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40)의 후면에는 인접하는 블럭(100)의 후면에 걸리도록 좌우로 연장 형성된 후방날개부(25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8 또는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블럭(100)의 후면에 걸리도록 돌출부(243)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날개부(250)의 저면에는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블럭(100)의 돌출부(141)에 대응되는 요홈부(2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날개부(250)의 상측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블럭(100)의요홈부(142)에 대응되는 돌출부(24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적어도 한 쪽 또는 모두에 블럭(100)들을 횡방향으로 보강하기 위한 횡방향 보강부재(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부(222)가 추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40)의 상면에는 인접하는 블럭(100)으로부터 유수가 상기 식생공간(2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요홈부(201)가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240)의 상면의 높이를 인접하는 블럭(1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생화분 고정수단은 상기 식생화분(200)를 고정 장착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설치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형성된 요홈부(1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100)의 요홈부(110)는 도 2 또는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블럭(100)의 요홈부(110)와 함께 상기 식생화분(200)을 고정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100)은 옹벽(10)의 형상, 설치 위치, 형상 등 설계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100)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날개부(130)와, 그 전방날개부(130)와 평행하게 배치된 후방날개부(150)와, 상기 전방날개부(130)와 상기 후방날개부(150)의 상호 대향측면들 각각의 심부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방날개부(130)와 상기 후방날개부(150) 사이에 상기 요홈부(110)를 형성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부(110)는 도 4 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날개부(130)와 상기 후방날개부(150) 및 연결부(140)에 의하여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날개부(130), 연결부(140) 및 후방날개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측면에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하측에 위치하는 블럭(100) 또는 식생화분(200)의 상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41, 242)가 삽입되는 요홈부(142)가 형성되어 옹벽(10)이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다.
상기 전방날개부(130)의 전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용 무늬(13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100)에는 옹벽(10)의 종, 횡방향 및 수직방향(X, Y, Z)으로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410,420,430)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블록(100)에는 상기 보강부재(410,420,4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 횡 및 수직 방향은 옹벽(1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하여 옹벽(10)의 전면의 수평방향을 횡방향(Y)으로 하고, 옹벽(10)의 전면에 수직인 방향을 종방향(X)으로 하고, 옹벽(10)의 전면을 따라 횡방향(Y) 및 종방향(X)에 수직인 방향을 수직방향(Z)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0) 내측에 쌓인 보강토(300) 내에 형성된 지지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보강토(300)의 토압을 견디도록 하는 앵커부재(410), 블럭(100)의 종방향 보강을 위한 종방향 보강부재(4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옹벽(10)의 전면과 수직인 방향을 종방향으로 할 때, 종방향으로 형성된 종방향 결합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럭(100)의 종방향 보강을 위한 종방향 보강부재(410)를 삽입하기 위한 종방향 결합부(121)는 도 4 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날개부(130), 연결부(140) 및 후방날개부(150)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블럭(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300) 내에 위치하는 지지부(400)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종방향 결합부(1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날개부(130) 및 연결부(140)는 물론 후방날개부(150)에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방향 보강부재(410) 또한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종방향 마디를 가지는 매쉬 구조를 이루어 상기 종방향 결합부(12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옹벽(10)의 전면의 수평방향을 횡방향으로 할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블럭(100)들과 연결하여 보강토(300)의 토압을 견디도록 하는 횡방향 보강부재(420)와 결합되는 횡방향 결합부(122)가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럭(100)의 횡방향 보강을 위한 횡방향 보강부재(420)를 삽입하기 위한 횡방향 결합부(122)는 상기 전방날개부(130) 및 후방날개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결합부(122)는 블럭(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지면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할 때, 수직으로 인접하는 블럭(10)과 연결하여 보강토(300)의 토압을 견디도록 하는 수직방향 보강부재(430)와결합되는 수직방향 결합부(123)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블럭(100)의 수직방향 보강을 위한 수직방향 보강부재(430)를 삽입하기 위한 수직방향 결합부(123)는 상기 전방날개부(130), 연결부(140) 및 후방날개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결합부(123)는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123, 123b, 123c)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종, 횡 및 수직 방향 모두 또는 그 조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블록(100)의 표면에 그루브(groove) 또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블록(100)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웃하는 블록(100)에 형성된 그루브와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그루브 또는 관통공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는 보강토(300) 및 보강부재들에 삽입되는 동시에 보강토(300) 내에서 발생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공극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그루브 또는 관통공들은 상기 전방날개부(130), 연결부(140) 및 후방날개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인접하는 식생화분(200)의 식생공간(210) 내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물공급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물공급부는 식생화분(200)의 식생공간(210) 내의 식물이 자랄수 있는 수분을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옹벽(10)은 그 전면이 곡면을 이룰 수 있는데, 이때 식생화분(200)가 원활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화분(200)의 고정부(240)의 내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24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전방날개부(130)의 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식생화분(200)은 콘크리트 등에 의하여 제조되는 블럭(100)에 비하여 식생공간(210)을 가짐으로써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식생화분(200)은 도 6, 8,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6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 8,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60; 261, 262, 263)는 식생공간(210)의 내측면에 보강돌기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40)의 후면이 개방된 경우, 이웃하는 블럭 등에 의하여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재(2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61)는 옹벽 축조시 운반을 위한 손잡이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흙 등의 충진물이 충진된 식생공간(210)의 상측에 블럭(100)이 위치하게 되는데, 식생공간(210) 내에 존재하는 충진물로는 블럭(10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게 되어 블럭(100)이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은 식생공간(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블럭(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의 형태는 상기 식생공간(210)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ㅁ', 'ㅠ'자 형태 등 블럭(100)의 하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의 작용 및 그 효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10)이 설치되는 조건 및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100) 및 식생화분(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조합을 이루어 축조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옹벽(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 만으로 구성된 층과, 그 위에 식생화분(200) 및 블럭(100)이 교대로 구성된 층과, 다시 블록(100) 만으로 구성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옹벽(10)은 그 전면이 곡면 또는 일정한 각도로 굽어진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옹벽(10)의 전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이 수직이 아니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경사진 전면(사면)을 이룰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옹벽(10)의 후면에 있는 보강토 내에서 발생하는 유수를 식생공간(210) 내의 식물(20)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수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옹벽(10)을 축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은 식생공간(210)에서 생장하는 식물(20)들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등이 주는 시각적인 단조로움을 없애고 보다 환경친화적인 느낌을 제공하는 등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은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화분을가지는 옹벽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이 주는 단조로움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은 옹벽의 후면에 있는 보강토 내에서 발생하는 유수를 옹벽의 식생공간의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수분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옹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7)

  1. 다수의 블럭(100)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 고정되며 식물(20)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 제 1항에 있어서,
    옹벽(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날개부(230)와,
    상기 블럭(100)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고정되는 고정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210)은
    상기 전방날개부(230) 및 고정부(24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날개부(230)는
    상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날개부(230)는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날개부(230)는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날개부(230)는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날개부(230)는
    그 측면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210)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의 후면 및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1.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는
    인접하는 블럭(100)의 후면에 걸리도록 돌출부(243)가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는
    후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210)의 내면에는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는
    하면의 일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의 후면에는
    인접하는 블럭(100)의 후면에 걸리도록 좌우로 연장 형성된 후방날개부(2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날개부(250)의 저면에는
    하측에 위치하는 블럭(100)의 돌출부(141)에 대응되는 요홈부(2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날개부(250)의 상측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블럭(100)의 요홈부(142)에 대응되는 돌출부(2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8.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는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적어도 한 쪽에 블럭(100)들을 횡방향으로 보강하기 위한 횡방향 보강부재(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부(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1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10)은
    후면에 보강토(300)가 충진되는 보강토 옹벽(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의 측면은
    인접하는 블럭(100)의 측면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10)의 전면은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의 상면의 높이는 인접하는 블럭(100)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0)의 상면에는 인접하는 블럭(100)으로부터 유수가 상기 식생공간(2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요홈부(2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화분(200)의 재질은 나무, 플라스틱, 금속, 재생플라스틱, 콘크리트 및 폴리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화분(200)은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60)는
    내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돌기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2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블럭(2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200).
KR20-2003-0035570U 2003-11-13 2003-11-13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KR200341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70U KR200341395Y1 (ko) 2003-11-13 2003-11-13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570U KR200341395Y1 (ko) 2003-11-13 2003-11-13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395Y1 true KR200341395Y1 (ko) 2004-02-14

Family

ID=4934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570U KR200341395Y1 (ko) 2003-11-13 2003-11-13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3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930B1 (ko) * 2014-07-08 2015-03-13 주식회사 에코탑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930B1 (ko) * 2014-07-08 2015-03-13 주식회사 에코탑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WO2016006748A1 (ko) * 2014-07-08 2016-01-14 주식회사 에코탑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105899733A (zh) * 2014-07-08 2016-08-24 生态顶级株式会社 挡土墙砌块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3047A (ko) 식물 재배 매트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JP3813934B2 (ja) 緑化体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200341395Y1 (ko)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680516B1 (ko) 환경친화형 식생 옹벽블럭
KR200275161Y1 (ko) 녹화용 옹벽블럭
KR200341396Y1 (ko) 옹벽 축조용 블럭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20050018919A (ko) F·p 환경블록
JPH08199531A (ja) 魚巣と植生に共用し得る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壁
KR200324520Y1 (ko) 옹벽블럭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JPH08120693A (ja) 擁 壁
KR20100128214A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1058881B1 (ko) 옹벽블럭
KR200382628Y1 (ko) 옹벽용 블록
KR200424156Y1 (ko) 사면축조용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