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214A -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214A
KR20100128214A KR1020090100241A KR20090100241A KR20100128214A KR 20100128214 A KR20100128214 A KR 20100128214A KR 1020090100241 A KR1020090100241 A KR 1020090100241A KR 20090100241 A KR20090100241 A KR 20090100241A KR 20100128214 A KR20100128214 A KR 20100128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retaining wall
block
vegetation
vegetation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548B1 (ko
Inventor
송도희
Original Assignee
송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도희 filed Critical 송도희
Publication of KR2010012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어소공 또는 식생공이 관통형성되면서 상·하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록 몸체와, 옹벽 축조 시공시 상·하단에 적층되는 블록 몸체의 삽입홈에 삽입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핀과, 옹벽 축조 시공시 좌·우 양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블록 몸체의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블록 몸체는 전·후면으로 장식부를 형성하면서 상·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삽입홈보다 큰 고정핀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층열 간의 블록들이 다양한 경사각을 갖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하좌우 간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간단한 조립으로 시공성이 우수하여 축조시간의 단축 및 노동력 감소를 통해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블록 몸체, 어소공, 식생공, 삽입홈, 연결홈, 장식부, 고정핀 삽입홈, 개구부, 결합돌기, 단착부, 고정핀, 연결부재.

Description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A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a residences of fishes}
본 발명은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울기와 외관을 형성하면서 구조적인 안전성이 확보되는 옹벽을 구축하면서도 각종 어류 등이 서식하고 생장할 수 있는 어소 또는 식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배후토사의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경사지에 타 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대지의 조성, 용수로나 하천 부근에서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의 방지, 아파트 단지 조성, 사면의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시공된다.
이러한 옹벽은 그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등의 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시공되는 일체식과, 블록 등의 재료에 의해 축조방식으로 시공되는 조적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나, 최근에는 대량 생산으로 규격화된 블록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편 하게 시공할 수 있고, 노출되는 외관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옹벽블록을 이용한 조적식 시공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옹벽블록들은 통상적으로 상층열과 하층열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서로 엇갈리게 구축되며, 이때 구축되는 블록들 사이에는 그 후방에 성토된 흙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가 설치된다.
또한, 블록들을 일렬로 적층하는 수직축조뿐만 아니라 상단으로 갈수록 적층되는 블록들이 조금씩 후방으로 위치하여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후퇴축조도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옹벽 외에도, 하천 경사면의 하단부 또는 하천의 바닥 등이 장마철 호우나 급류에 의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천에서 살고 있는 물고기 등이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서식처를 제공해 하천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어소블록이 하천 경사면의 하단부 또는 하천의 바닥 등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옹벽블록과 어소블록은 그 사용목적 및 사용장소가 틀려 각기 따로 제작됨에 따라, 하천이나 해안 등의 경사부에 옹벽블록과 어소블록이 함께 시공되어야 할 경우, 상기 옹벽블록과 어소블록이 맞닿은 부분을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시공이 요구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며 시공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블록과 어소블록으로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겸용블록이 다수건 출원되었지만, 기존의 블록들은 후퇴 축조 하는 과정에서 상층열과 하층열에 적층되는 블록들 간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거나 구비되어 있더라도 하나의 경사각만 갖도록 되어 있고, 옹벽의 구축 과정에서 상기 경사각을 정밀하게 유지하거나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동일한 형태의 블록을 특별한 연결부재 없이 상하좌우로 인접하여 결속하고 적층함에 따라 상부로 개방되는 식생공이 상층열에 위치한 블록에 의해 극히 일부만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충분한 어소 또는 식생 공간을 제공할 수 없으며, 그 쓰임이 다양하지 못하고 제한적으로 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분한 어소 또는 식생 공간을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특성을 살리고, 특히 다양한 경사각을 갖는 후퇴축조에 있어서 미세한 경사각을 정밀하고 견고하게 구축하며 간편한 방법으로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어소공 또는 식생공이 관통형성되면서 상·하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록 몸체와, 옹벽 축조 시공시 상·하단에 적층되는 블록 몸체의 삽입홈에 삽입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핀과, 옹벽 축조 시공시 좌·우 양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블록 몸체의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는 전·후면으로 장식부를 형성하면서 상·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삽입홈보다 큰 고정핀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층열 간의 블록들이 다양한 경사각을 갖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하좌우 간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간단 한 조립으로 시공성이 우수하여 축조시간의 단축 및 노동력 감소를 통해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분한 어소 또는 식생 공간을 제공하여 자연친화적이며 다양한 시공 현장에 적용 가능함에 따라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의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은 도시된 도 1 및 2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록 몸체(20)와, 옹벽 축조 시공시 적층되는 블록 몸체(20)를 지지하는 고정핀(30)과, 옹벽 축조 시공시 좌·우 양측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블록 몸체(20)를 끼움 결합시키는 연결부재(40) 등으로 구성된다.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록 몸체(20)는 내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이 관통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22)이 형성되면서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삽입홈(22)보다 큰 고정핀 삽입홈(25)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면에는 연결홈(23)이 함몰형성되면서 전방 하단에는 상기 어소공(21) 또는 식생공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26)가 형성되고, 전·후면에는 장식부(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 몸체(20)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개구부(26)는 제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블록 몸체(20)는 상기 개구부(26)가 있는 상태에서는 어소공(21)이라고 하고 개구부(26)가 없는 상태에서는 식생공(21)이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 몸체(20)와 어소공(21)의 형상은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 몸체(20)와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블록 몸체(20)는 충분한 어소 또는 식생 공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기울기의 후퇴축조가 용이할 수 있도록 평면상 전·후면과 좌·우 양측면이 구분되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면이 교차하는 각 모서리 부분은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 몸체(2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홈(22)은 옹벽의 시공시 상단으로 적층되는 블록 몸체(20)의 위치를 고정하고 결속을 강화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고정핀(30)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홈(22)은 상기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을 중심으로 상·하면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블록 몸체(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2)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20)의 상·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고정핀 삽입홈(25)은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삼각형 중 택일하여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 삽입홈(25)은 삽입홈(2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0)이 통과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 몸체(2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홈(25)은 타원형 형상으로 전면에 하나 후면에 두 개가 각각 형성되어, 옹벽 축조시 외부로 개방되는 전면과 복토층으로 입설되는 후면이 반복되는 굴곡의 형태를 이루어 자연스러운 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고정핀 삽입홈(25)은 옹벽의 시공시, 하단에 위치하는 블록 몸체(20)의 삽입홈(22)에 결속되어 있는 고정핀(30)이 상단으로 적층되는 블록 몸체(20)에 삽입되면서 관통할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핀(30)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고정핀(30)의 돌출부위가 상단에 적층되는 블록 몸체(20)의 고정핀 삽입홈(25)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하 적층되는 블록 몸체(20)간의 위치를 고정하고 결속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 몸체(2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홈(23)은 옹벽의 축조 시공시 블록 몸체(2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의 끼움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홈(23)은 동일선상 좌·우 양측에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되,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홈(23)은 'ㄷ'자 형상으로 후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록 몸체(20)의 전방 하단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개구부(26)는 상기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절개형성되되, 상기 개구부(26)는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역할 이외에도 어소 또는 식생 공간으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 몸체(2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장식부(24)는 자연친화적으로 형성되어 미려감을 향상시키되, 여기서 상기 장식부(24)는 곡면이 연속형성되거나 불규칙한 형상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2)과 고정핀 삽입홈(25)을 삽입 또는 관통하는 고정핀(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블록 몸체(20)와 블록 몸체(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26)가 없는 블록 몸체(20)의 식생공이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절개부(29a)가 형성되어 식생공간을 더욱더 크게 형성할 수 있음을 밝히며 (도시된 도 13참조) 상기 개구부(26)가 있는 블록 몸체(20)의 후방으로는 상기 어소공(21)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절개부(29a)가 형성되어 어소 공간 및 옹벽 공간을 더욱더 크게 형성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은 하기와 같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3 내지 6은 상기 블록 몸체(20)를 구성하는 연결홈(23)을 대신하여 일측 또는 양측으로 결합돌기(27)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27)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도 3 및 4는 상기 블록 몸체(20)를 구성하는 연결홈(23)의 일측으로 결합돌기(27)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5 및 6은 상기 블록 몸체(20)를 구성하는 연결홈(230의 양측으로 결합돌기(27)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 몸체(20)의 결합돌기(27)와 결합되는 연결부재(40)의 일측면은 상기 결합돌기(27)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도 7 내지 10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연결홈(23)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40)가 일체로 형성하여 옹벽의 축조시 시공시간을 줄이면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시된 도 7 및 8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연결홈(23) 일측에 연결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때는 상기 연결부재(40)가 일체로 형성된 블록 몸체(20)를 순차적으로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9 및 10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연결홈(23) 양측에 연결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때는 상기 연결부재(40)가 일체로 형성되는 블록 몸체(20) 사이에 블록 몸체(20)를 삽입하여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1 및 12는 상기 블록 몸체(20)과 블록 몸체(20) 사이에 연결부재(40)를 삽입한 후 일체로 형성하여 더블 블록 몸체(50)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통해서 옹벽의 축조시 시공시간을 줄이면서 작업효율도 상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는 폭과 길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와 목적에 따 라 기존의 연결부재(40)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도시된 도 14는 상기 블록 몸체(20)의 전방 상면으로 단차부(28)를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블록 몸체(20)의 전방 상면으로 단차부(28)를 형성하여 옹벽 후퇴 축조시 상기 블록 몸체(20)의 지지와 더불어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단차부(28)의 폭은 지지와 고정을 위해 상기 블록 몸체(20)의 연결홈(23)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5(a)는 상기 블록 몸체(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40)는 후방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돌기부(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부(41)는 전면 끝단(42)이 블록 몸체(20)의 개구부(26)를 넘지 않으면서 후면 끝단(43)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후면 끝단(29)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 끝단(42)의 전면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장식부(24)와 대응되게 불규칙한 형상이나 곡면 형상이 연속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도시된 도 15(b)는 상기 블록 몸체(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의 내부에 연결 어소공(44)이 형성하여 상기 어소공(21)과 별도로 어소 공간을 더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부(41)는 전면 끝단(42)이 블록 몸체(20)의 개구부(26)를 넘지 않으면서 후면 끝단(43)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후면 끝단(29)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 끝단(42)의 전면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장식부(24)와 대응되게 불규칙한 형상이나 곡면 형상이 연속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도시된 도 16은 상기 블록 몸체(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면 끝단(42)의 전면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장식부(24)와 대응되게 불규칙한 형상이나 곡면 형상이 연속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도시된 도 17는 상기 블록 몸체(20)의 끝단에 장착되는 연결부재(40)를 대신하여 마감 연결부재(40a)를 장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감 연결부재(40a)는 상기 블록 몸(2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수직부(41a)와 수평부(42a)가 절곡형성되고, 전면과 내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형상이나 무늬가 형성되는 장식부(44a)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41a)의 내부에는 고정핀 삽입공(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마감 연결부재(40a)는 도시된 도 18과 같이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은 마감 연결부재(40a)를 통해 미관을 미려함과 더불어 수직부(41a)를 통해서 강도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 내지 2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 블록을 구성하는 블록 몸체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먼저, 내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이 관통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22)이 형성되면서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삽입홈(22)보다 큰 고정핀 삽입홈(25)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면에는 연결홈(23)이 함몰형성되면서 전방 하단에는 상기 어소공(21) 또는 식생공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26)가 형성되고, 전·후면에는 장식부(24)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록 몸체(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고정핀(30)과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연결부재(40)를 각각 형성하면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의 준비를 마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블록 몸체(20)의 연결홈(23)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재(40)를 끼움 결합한 후 상기 연결부재(40)의 끝단에 블록 몸체(20)를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소정 구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 몸체(20)와 연결부재(40)를 통해서 하단 열이 구성되면 그 상부로 또다시 상기 블록 몸체(20)와 연결부재(4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적층하되, 상기 블록 몸체(20)와 연결부재(40)는 엇갈리게 적층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40)의 상부에는 블록 몸체(20)를 장착하고, 상기 블록 몸체(2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40)를 장착하여 적층되는 블록 몸체(20)와 연결부재(40)가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 몸체(20)의 삽입홈(22)에는 상기 삽입홈(22)의 깊이보다 길 게 형성되는 고정핀(30)을 삽입하여 블록 몸체(20)의 상부로 돌출시켜 그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 몸체(20)의 고정핀 삽입홈(25)에 삽입 체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시된 도 19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 개수로 구비되는 삽입홈(22)과 고정핀 삽입홈(25) 중에서 블록 몸체(20)의 전면에 위치하는 삽입홈(22)과 고정핀 삽입홈(25)에 상기 고정핀(30)이 결속되도록 하여 수직축조 방식으로 시공된 상태만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고정핀(30)을 다수 개의 삽입홈(22) 중 후면에 위치하는 삽입홈(22)에 삽입한 후 상기 블록 몸체(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 몸체(20)의 고정핀 삽입홈(22)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다양한 기울기를 갖는 후퇴축조 방식의 옹벽이 구축할 수 있음을 밝힌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을 통해 다양한 기울기를 갖는 옹벽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홈(23)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40)와, 삽입홈(22)에 삽입되는 고정핀(30)과, 상기 고정핀(30)에 대응하여 결속되는 고정핀 삽입홈(25)이 상호 유기적으로 체결됨으로써 후면에 토사층으로 입설되는 옹벽의 구조가 블록 몸체(20)의 이탈 없이 상, 하, 좌, 우 안정적으로 체결 적층되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은 상기 연결부재(40)가 상기 블록 몸체(20)의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의 상부에 엇갈리는 형태로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어소공(21)의 전면은 상·하부가 관통되고, 상기 블록 몸체(20)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는 개구부(26)로 상기 어소공(21)의 좌·우가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옹벽의 토사층과 일체화되고 배수가 유리할 뿐 만 아니라 충분한 어소 공간과 생태통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하는 친환경적인 구성이 된다.
그리고 도시된 도 20은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을 하천 경사면의 하단부에서부터 시공되는 옹벽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하단으로부터 적층된 4개의 단(A영역)은 수직축조 방식으로 시공하고 상기 단(A영역)의 상부로는 후퇴축조 방식으로 시공한 것이다.
즉, 수직축조 방식으로 구축된 하단의 A영역은 하천에 의해 잠기는 부분에 해당하여 블록 몸체(20)의 전면부위에서 상·하 관통되는 어소공(21)과, 상기 블록 몸체(20)의 좌우 양측면으로 상기 어소공(21)과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26)를 통해 충분한 어소 또는 식생 공간 및 생육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기존의 블록을 통해 시공되는 옹벽 구조에서는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동일한 블록을 직접 좌우로 결착해야 하고 후퇴축조 방식으로 시공할 경우, 상부로 개방되는 식생공이 상층열에 위치하는 블록에 의해 상당 부분이 차단되는 형태를 이루어 생육공간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은 블록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재(40)를 좌우로 결속하고 상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블록 몸체(20)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40)가 위치하여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이 최대한 개방되고 상기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의 전면 일부는 상·하부 관통되며 양측면은 어소 또는 식생 공간의 통로 역할을 하도록 개구부(26)를 구비함에 따라 충분한 어소 식생 공간과 배수층 및 생육통로를 동시에 제 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은 옹벽 축조시 도시된 도 25와 같은 장비시공 블록(60)을 이용해서 장착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장비시공 블록을 이용하여 장비 시공시 상기 블록 몸체를 구성하는 삽입공(62)보다 작은 크기의 봉을 장비시공 블록의 양측 삽입공(62)에 넣어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중심이 형성되어 시공할 장소에 놓을시 시공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의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 내지 2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을 구성하는 블록 몸체를 나타낸 사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에 사용되는 장비시공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20 : 블록 몸체,
21 : 어소공 또는 식생공, 22 : 삽입홈,
23 : 연결홈, 24 : 장식부,
25 : 고정핀 삽입홈, 26 : 개구부,
27 : 결합돌기, 28 : 단착부,
30 : 고정핀, 40 : 연결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어소공(21) 또는 식생공이 관통형성되면서 상·하면에 다수개의 삽입홈(22)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연결홈(23)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블록 몸체(20)와, 옹벽 축조 시공시 상·하단에 적층되는 블록 몸체(20)의 삽입홈(22)에 삽입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핀(30)과, 옹벽 축조 시공시 좌·우 양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블록 몸체(20)의 연결홈(23)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10)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는 전·후면으로 다양한 형태의 장식부(24)를 형성하면서 상·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삽입홈(22)보다 큰 고정핀 삽입홈(2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의 좌·우 양측면 하단 또는 상단에 상기 어소공(21)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2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를 구성하는 연결홈(23)을 대신하여 일측 또는 양측으로 결합돌기(27)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27)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와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과 블록 몸체(20) 사이에 연결부재(40)를 삽입한 후 일체로 형성하여 더블 블록 몸체(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후방 또는 전, 후방을 돌출형성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돌기부(41)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돌기부(42)는 전면 끝단(42)은 블록 몸 체(20)의 개구부(26)를 넘지 않으며 후면 끝단(43)은 상기 블록 몸체(20)의 후면 끝단(29)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내부에 연결 어소공(4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의 전방 상면으로 단차부(28)를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하여 옹벽 후퇴 축조시 상기 블록 몸체(20)의 지지와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9.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의 후방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29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20)의 끝단에 장착되는 연결부재(40)을 대신하여 수직부(41a)와 수평부(42a)가 절곡형성되고 전면과 내면으로 다양한 형태의 형상이나 무늬가 형성되는 장식부(44a)가 형성되는 마감 연결부재(40a)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20090100241A 2009-05-27 2009-10-21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1134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6521 2009-05-27
KR1020090046521 2009-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214A true KR20100128214A (ko) 2010-12-07
KR101134548B1 KR101134548B1 (ko) 2012-04-16

Family

ID=4350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241A KR101134548B1 (ko) 2009-05-27 2009-10-21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5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63B1 (ko) * 2011-10-10 2013-09-30 송도희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20160003468A (ko) * 2014-07-01 2016-01-11 기인서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CN112343066A (zh) * 2020-09-30 2021-02-09 中冶成都勘察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红层泥岩用装配式加筋肋板的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207B2 (ja) * 1993-01-28 1995-12-06 技研興業株式会社 魚巣ブロック
KR100584248B1 (ko) * 2004-02-02 2006-05-29 (주)장성산업 식생 다공성 축조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식생다공성 축조블록
KR100721453B1 (ko) * 2005-10-13 2007-05-23 (주)대양그린텍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914394B1 (ko) * 2009-03-27 2009-08-28 송도희 식생 옹벽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63B1 (ko) * 2011-10-10 2013-09-30 송도희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20160003468A (ko) * 2014-07-01 2016-01-11 기인서 도피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CN112343066A (zh) * 2020-09-30 2021-02-09 中冶成都勘察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红层泥岩用装配式加筋肋板的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548B1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2673A (zh) 一种蜂巢砌块及其应用
KR101134548B1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200445890Y1 (ko) 어소형 식생 옹벽블록
KR100626572B1 (ko) 축조 블록
CN105839592A (zh) 一种连体式蜂巢砌块及其应用
KR102144053B1 (ko)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CN201261879Y (zh) 一种节约型生态驳岸
KR100645294B1 (ko) 사면용 축조블록
KR100914394B1 (ko) 식생 옹벽블록
CN106320266A (zh) 空箱挡墙结构
KR101313863B1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JPH08199531A (ja) 魚巣と植生に共用し得る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壁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392506B1 (ko) 생태블록
KR100753203B1 (ko) 축조 어소형 블록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200433132Y1 (ko) 조립식 호안 블럭
KR200364567Y1 (ko) 옹벽 블록
KR200228745Y1 (ko) 기초어상블럭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KR200363528Y1 (ko) 옹벽식생호안블록
CN211498738U (zh) 一种具有鱼巢功能的自稳型生态砌块
US20010029709A1 (en) Concrete structure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