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919A - F·p 환경블록 - Google Patents

F·p 환경블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919A
KR20050018919A KR1020050008889A KR20050008889A KR20050018919A KR 20050018919 A KR20050018919 A KR 20050018919A KR 1020050008889 A KR1020050008889 A KR 1020050008889A KR 20050008889 A KR20050008889 A KR 20050008889A KR 20050018919 A KR20050018919 A KR 2005001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in body
construction
reinforc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919A/ko
Publication of KR2005001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9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내부에 토사를 채워 식물이 생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본체가 구비되며 그 전면에는 자연석 형상의 무늬모양이 형성되어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의 배면이 절개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벽체; 상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상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보강대; 및 상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전후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편;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다수개의 블록을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시 복토에 의한 지지력이 향상됨과 아울러 원활한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F·P(Flowerpot) 환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F·P 환경블록{FLOWERPOT ENVIRONMENT BLOCK}
본 발명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비탈면에 축조되는 옹벽 축조용 환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개의 블록을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시 복토에 의한 지지력이 향상됨과 아울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F·P(Flowerpot) 환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환경블록은 하천, 도로 또는 각종 토목공사의 법면(法面: 둑·절토·호안 등의 경사면)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옹벽은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 등에 널리 시공되고 있다.
이에 종래 옹벽의 축조는 상단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이와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블록을 이용하여 상하 연속 적층한 상태에서 그 상·하 블록 사이에 지오그리드(Geogrid)를 삽입하여 조적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블록의 구성에 의하면 단지 상기 성토지나 절개지에 대한 토사의 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만 적합하도록 형성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블록이 축조된 옹벽은 주위의 환경과 조화되지 않거나 오히려 주위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전면에 자연석 무늬가 형성되면서 그 상부에 화초나 초목을 심을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블록에 의하면 복토 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취약하여 쉽게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종래 블록은 후단에 가늘고 긴 고정발이 결합 형성됨으로서 이를 통해 블록 본체가 후방의 복토로부터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블록의 축조와 동시에 그 후방의 복토를 단단하게 다져서 시공하더라도 시공 후 상기 다져진 복토가 침하되면서 지지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토에 대한 고정발의 지지력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나와 붕괴되거나 고정발의 끝단이 눌려지면서 본체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복토에 의한 지지력이 저하되면서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불규칙한 변형이 발생됨으로서 축조된 옹벽의 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블록 본체의 후방으로 보강벽체를 연장 형성하되 하측에 적층된 블록이 상측에 적층된 블록을 넓은 면적으로 떠받치도록 형성함으로서, 블록 본체의 밀림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시공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 F·P(Flowerpot) 환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블록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벽체의 끝단이 복토에 걸려 전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블록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F·P 환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블록 본체 배면의 보강벽체와 바닥면의 일부를 터놓아 복토된 지반과 수분 및 토사생태연계성이 본체 내부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물고임이나 가뭄에 의한 식물의 고사를 방지하도록 하고 미생물의 생태성이 연계되도록 한 F·P 환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블록 본체의 전면에 자연석 무늬모양을 음양각 형성함으로서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F·P 환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직 또는 경사 법면을 갖는 옹벽을 축조시 작업자가 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변경하여 축조하도록 한 F·P 환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F·P(Flowerpot) 환경블록은 내부에 토사를 채워 식물이 생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본체가 구비되며 그 전면에는 자연석 형상의 무늬모양이 형성되어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이 절개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벽체; 상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상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보강대; 및 상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전후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편;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양측 보강벽체 상에는 그 내외측으로 수분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양측 상단에는 상하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상하위치결정돌기와 같은 선상에 수직위치결정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전방에는 경사위치결정홈이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위치결정수단; 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평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F·P(Flowerpot) 환경블록은 도 1 내지 도 3에 되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가 개구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강벽체(200)와 상기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을 연결하는 보조보강대(220) 및 보강벽체의 후단에 절곡 형성되는 날개편(24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본체(100)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그 양측의 절곡된 모서리에는 좌우위치결정돌기(120) 및 좌우위치결정홈(140)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는 그 내외측으로 수분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배수공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축조된 옹벽이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자연석 무늬모양이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체에 대하여 그 후방에는 복토에 의해 본체가 좌우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벽체(200)가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벽체(200)는 본체(100)의 배면이 절개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로부터 본체(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보강벽체(200)의 후단에는 상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200)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복토에 의해 본체(100)가 상하로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보강대(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벽체(200)의 하부 끝단을 연결하되, 상기 보조보강대(220)의 높이는 보강벽체(200)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서 상하의 들뜸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후방으로부터 원활한 수분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벽체(200)의 후단에는 복토에 의해 본체(100)가 전후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편(2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벽체(200)의 후단으로부터 외측이나 내측 또는 그 내외측으로 절곡되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보강벽체(200)의 중앙에는 그 내외측으로 수분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배수공(260)이 관통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F·P 환경블록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면이 절개됨과 아울러, 그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200)의 하단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양측 보강벽체(200)를 지지 결합하기 위한 보강리브(220)가 보강벽체(200)의 절반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 보강벽체(20)의 중앙에 배수공(260)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환경블록 전체에 대하여 원활한 물의 순환 즉 입수 및 배수와 미생물의 생태적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단과 하단면에는 상하위치결정수단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하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본체(100)의 개구된 양측 상단에 형성된 상하위치결정돌기(300)에 대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하위치결정돌기(300)와 같은 선상에 형성되는 수직위치결정홈(320)과 그 전방에 형성되는 경사위치결정홈(34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100) 상단의 상하위치결정돌기(320)에 대하여 동일선상에 형성된 하단면의 수직위치결정홈(3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하층 본체(100)의 전면이 동일산상의 수직 법면으로 적층되며, 상기 본체(100) 상단의 상하위치결정돌기(300)에 대하여 상기 수직위치결정홈(320)의 전방에 형성된 경사위치결정홈(340)에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층 본체(100)에 대하여 상층이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가되므로 이를 연속하여 적층시 일정한 경사 법면의 옹벽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위치결정돌기(300)는 본체(100)의 상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지되, 상기 수직 및 경사위치결정홈(320, 340)은 본체(100)의 바닥 저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층의 상하위치결정돌기(300)에 대하여 상층의 수직 또는 경사위치결정홈(320, 340)의 좌우 편차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안의 F·P 환경블록의 적층 과정과 그 상태를 확인해 본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적층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다른 적층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적용상태도이다.
이와 같은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사용상태도로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F·P 환경블록의 주된 기술적 요지는 블록의 조적을 통해 수직 또는 경사 법면을 갖는 옹벽이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축조되도록 하는 한편, 조적된 각각의 블록 본체(100)에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생장과 본체(100) 전면의 자연석 무늬에 의해 자연환경과의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즉,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절개지 또는 비탈면의 최 하측 바닥을 다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좌우위치결정돌기(120) 및 좌우위치결정홈(140)이 상호 맞물리는 상태로 연속 연결함으로서 최하층의 옹벽이 축조된다. 이때, 상기 축조된 각 본체(100)의 내부 및 그 후방에 흙을 덮어 복토함으로서 상기 본체(100) 내부에 식물의 생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벽체(200)와 보조보강대(220) 및 날개편(240) 에 의해 본체(100)가 상하좌우 및 전후방으로 비틀리거나 밀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상층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개의 블록을 연속 연결함으로서, 상층의 옹벽이 축조된다. 이때, 상기 상측에 축조되는 각각의 블록은 하측에 축조된 각각의 블록에 대하여 지그재그와 같이 교호 교차하여 적층한다. 한편, 상기 블록을 상측에 적층시에는 전체적인 옹벽이 수직법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과 경사법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직법면이 형성되도록 할 경우에는 하측 블록 상단의 상하위치결정돌기(300)에 대하여 상측 블록 하단면의 수직위치결정홈(32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경사법면이 형성되도록 할 경우에는 하측 블록 상단의 상하위치결정돌기(300)에 대하여 상측 블록 하단면의 경사위치결정홈(34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축조되는 옹벽이 수직법면을 형성할 경우에도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그 상측에 교차교호로 축조된 각 본체(100) 사이로 일정한 공간이 노출됨으로서 식물생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축조되는 블록이 그 후방에 형성된 보강벽체(200)와 보조보강대(220) 및 날개편(240)에 의해 본체(100)가 보다 넓은 면적에 의해 상하좌우 및 전후방으로 지지됨으로서 토압이나 수압에 의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블록의 지지력은 상기 상하위치결정수단에 의해서도 상호 보완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F·P(Flowerpot) 환경블록에 의하면 블록 본체의 후방으로 보강벽체를 연장 형성하되 그 하측에 적층된 블록이 상측에 적층된 블록을 넓은 면적으로 떠받침에 따라 그 후방의 복토 압력에 의해 블록 본체가 상하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밀리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블록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벽체의 끝단에 내측, 외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된 날개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에 보조보강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날개편과 보조보강대가 복토에 걸려 전후 또는 상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록 본체가 전방으로 밀려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양측의 보강벽체와 그 주변의 구성들 사이로 수분의 통로가 형성됨에 따라 복토된 지반의 물이 블록 본체 내부로 원활하게 순환됨으로서 물고임이나 가뭄에 의한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블록 본체의 전면에 자연석 무늬모양을 음양각 형성함에 따라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가 이루어지는 매우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수직 또는 경사 법면을 갖는 옹벽을 축조시 작업자가 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변경하여 축조함에 따라 공사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공기의 단축이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평며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적층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다른 적층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F·P 환경블록이 도시된 적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20: 좌우위치결정돌기
140: 좌우위치결정홈 200: 보강벽체
220: 보강리브 240: 날개편
260: 배수공 300: 상하위치결정돌기
320: 수직위치결정홈 340: 경사위치결정홈

Claims (3)

  1. 내부에 토사를 채워 식물이 생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본체가 구비되며 그 전면에는 자연석 형상의 무늬모양이 형성되어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이 절개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벽체;
    상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상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보강대; 및
    상기 연장된 양측 보강벽체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복토된 지반에 대하여 블록 본체의 전후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편; 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Flowerpot) 환경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보강벽체 상에는 그 내외측으로 물의 흐름과 미생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블록 본체의 배면과 바닥면에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Flowerpot) 환경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양측 상단에는 상하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상하위치결정돌기와 같은 선상에 수직위치결정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전방에는 경사위치결정홈이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Flowerpot) 환경블록.
KR1020050008889A 2005-02-01 2005-02-01 F·p 환경블록 KR20050018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89A KR20050018919A (ko) 2005-02-01 2005-02-01 F·p 환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89A KR20050018919A (ko) 2005-02-01 2005-02-01 F·p 환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919A true KR20050018919A (ko) 2005-02-28

Family

ID=3722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889A KR20050018919A (ko) 2005-02-01 2005-02-01 F·p 환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9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4B1 (ko) * 2006-10-23 2007-05-23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환경블록
CN109403269A (zh) * 2018-12-21 2019-03-01 湖南电气职业技术学院 一种鱼巢式生态护坡砌块及预制模具
CN112554229A (zh) * 2020-12-31 2021-03-26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水位变幅带的新型重力式生态挡墙及植物保护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4B1 (ko) * 2006-10-23 2007-05-23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환경블록
CN109403269A (zh) * 2018-12-21 2019-03-01 湖南电气职业技术学院 一种鱼巢式生态护坡砌块及预制模具
CN109403269B (zh) * 2018-12-21 2024-01-02 湖南电气职业技术学院 一种鱼巢式生态护坡砌块及预制模具
CN112554229A (zh) * 2020-12-31 2021-03-26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水位变幅带的新型重力式生态挡墙及植物保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20050018919A (ko) F·p 환경블록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KR200404262Y1 (ko) 식생 보강토 옹벽블록
KR200397490Y1 (ko) 소하천 식생블럭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20060060639A (ko) 친환경 수로블록
KR20090000538A (ko) 식생용 옹벽블럭
KR200378431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2116487B1 (ko) 옹벽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324520Y1 (ko) 옹벽블럭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414970Y1 (ko) 환경식생블록
KR200341395Y1 (ko)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KR200364567Y1 (ko) 옹벽 블록
KR200353007Y1 (ko) 식생호안블록
KR200358575Y1 (ko) 옹벽체의 강도 보강용 식생블록
KR200409960Y1 (ko) 옹벽용 블록
KR100646323B1 (ko) 옹벽블록
KR200295220Y1 (ko) 식재용 호안 블록
KR200420352Y1 (ko) 식생형 옹벽블록
KR200388791Y1 (ko) 식생블럭의 시공구조
KR200419586Y1 (ko) 식생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