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487B1 - 옹벽 - Google Patents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487B1
KR102116487B1 KR1020190069398A KR20190069398A KR102116487B1 KR 102116487 B1 KR102116487 B1 KR 102116487B1 KR 1020190069398 A KR1020190069398 A KR 1020190069398A KR 20190069398 A KR20190069398 A KR 20190069398A KR 102116487 B1 KR102116487 B1 KR 10211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b
block layer
retaining wall
adjustmen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Priority to KR102019006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의 적층구조에 의해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양단에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보강재 결합부(220)가 형성된 메인블록(200); 양측에 설치된 상기 메인블록(200)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돌출부(210)에 의해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방 양단에 함몰부(110)가 형성된 서브블록(100); 전단이 상기 보강재 결합부(220)에 결합하고, 후단이 배후토사에 매설된 보강재(300);를 포함하고, 각각의 블록층(a)마다 다수의 상기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제시함으로써, 식생이 가능하면서도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옹벽{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후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인 옹벽의 전면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자연친화력 및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옹벽에 관한 것이다.
'식생'이란 나무가 심어진 상태를 말하고, '녹생'이란 잔디 등 풀이 심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하에서는 상기 '녹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식생'을 사용하고자 한다.
옹벽이란, 배후토사의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경사지에 타 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대지의 조성, 용수로나 하천 부근에서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의 방지, 아파트 단지 조성, 사면의 안정성 확보 등의 목적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옹벽은 콘크리트 등의 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일체식, 블럭 등의 재료에 의해 축조식으로 설치되는 조적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어떠한 구조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옹벽의 전면에 나타나는 외관이 달라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옹벽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옹벽의 배후토사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그 식물이 옹벽의 전방을 향하여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옹벽의 전후방을 관통하여 식생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식생공의 단면이 너무 크거나, 그 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배후토사가 그 식생공을 통해 밀려 나오게 되므로 옹벽의 안정을 저해하게 되고, 반대로 식생공의 단면이 너무 좁거나, 그 수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형성하는 경우에는 식생을 위한 공간이 협소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효율적이고도 안정적인 식생옹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식생공의 크기 및 수를 적절한 크기로 결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배후토사의 토질, 압밀의 정도, 식재되는 식물의 성질 기타 여러 변수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므로, 그 결정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즉, 안정적이고도 효율적인 식생옹벽을 얻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여러 변수를 모두 고려하여 그 설계변경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종래의 식생옹벽은 구조상 이와 같은 탄력적 운용이 불가능하였으므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식생이 가능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옹벽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의 적층구조에 의해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하는 옹벽에 있어서, 전방 양단에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보강재 결합부(220)가 형성된 메인블록(200); 양측에 설치된 상기 메인블록(200)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돌출부(210)에 의해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방 양단에 함몰부(110)가 형성된 서브블록(100); 전단이 상기 보강재 결합부(220)에 결합하고, 후단이 배후토사에 매설된 보강재(300);를 포함하고, 각각의 블록층(a)마다 다수의 상기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제시한다.
상기 돌출부(210)의 후면은 외측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0)의 후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함몰부(110)의 전면은 외측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300)는, 다수의 폭방향 철근(311) 및 길이방향 철근(312)이 격자형 구조로 결합하여, 심부에 다수의 결합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철근(312)의 외측으로 상기 폭방향 철근(311)의 양단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블록(200)은, 토사 또는 골재가 충전되도록 심부에 형성된 충전공(201); 상기 보강재(300)의 결합공(313)에 끼움결합하도록, 상기 충전공(201)의 후방에 돌출형성된 상기 보강재 결합부(220); 상기 보강재(300)의 연장부(314)가 끼움결합하도록, 상기 충전공(201)의 내면에 함몰형성된 연장부 결합부(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블록(200)은, 상기 옹벽의 경사도의 조절을 위한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전방 저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저면 조절핀 삽입홈(202); 상기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측벽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상기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후방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부 조절핀 삽입홈(20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블록(200)의 폭에 비해 상기 서브블록(100)의 폭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서브블록(100)은,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사 또는 골재가 충전되도록 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0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상기 블록층(a)은 상부 블록층(a1)과, 상기 상부 블록층(a1)의 하부에 축조된 하부 블록층(a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블록층(a1)의 상기 메인블록(200)의 하측 중앙부에, 상기 하부 블록층(a2)의 상기 서브블록(100)이 위치하도록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블록층(a1) 또는 상기 하부 블록층(a2)은, 다수의 상기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한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거나, 다수의 상기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함과 아울러, 동일한 구조로 적층된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의 경사도가 연직방향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서브블록(100)의 관통공(101)의 상측 트임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식생을 위한 노출부(b)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의 경사도가 크고, 상기 관통공(101)의 노출부(b)가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 블록층(a1) 및 하부 블록층(a2)은 상기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의 경사도가 작고, 상기 관통공(101)의 노출부(b)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 블록층(a1) 및 하부 블록층(a2)은 상기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식생이 가능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옹벽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메인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메인블록의 평면도.
도 3은 메인블록의 측면도.
도 4는 보강재의 평면도.
도 5는 서브블록의 사시도.
도 6은 서브블록의 평면도.
도 7은 서브블록의 측면도.
도 8은 서브블록 축조부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서브블록 축조부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서브블록 축조부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서브블록 축조부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서브블록 축조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메인블록과 서브블록의 조합에 의한 블록층의 평면도.
도 14 내지 20은 메인블록과 서브블록의 조합에 의한 옹벽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블록의 적층구조에 의해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하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전방 양단에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보강재 결합부(220)가 형성된 메인블록(200); 양측에 설치된 메인블록(200) 사이에 결합하고, 돌출부(210)에 의해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방 양단에 함몰부(110)가 형성된 서브블록(100); 전단이 보강재 결합부(220)에 결합하고, 후단이 배후토사에 매설된 보강재(300);를 포함하고, 각각의 블록층(a)마다 다수의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옹벽의 전방구조를 이루는 블록이 하나의 종류에 의해 구성되고, 이 블록이 구조체와 식생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식생옹벽의 탄력적 운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경우, 보강재(300)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블록(200)을 구조체로 이용하고, 이와 별개로 그 메인블록(200)에 의해 지지되는 서브블록(100)을 식생부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옹벽의 탄력적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메인블록(200)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블록(200)은 서브블록(100)을 지지하도록 전방 양단에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보강재(300)와의 결합을 위하여 후방에 보강재 결합부(220)가 형성된다(도 1).
메인블록(200)의 돌출부(210)의 후면은 외측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돌출부(210)의 후면에 대응하도록 서브블록(100)의 함몰부(110)의 전면은 외측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응력집중에 의한 돌출부(2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보강재(300)는, 다수의 폭방향 철근(311) 및 길이방향 철근(312)이 격자형 구조로 결합하여, 심부에 다수의 결합공(313)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철근(312)의 외측으로 폭방향 철근(311)의 양단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314)가 형성된 구조를 취한다(도 4).
메인블록(200)은 구체적으로, 토사 또는 골재가 충전되도록 심부에 형성된 충전공(201); 보강재(300)의 결합공(313)에 끼움결합하도록, 충전공(201)의 후방에 돌출형성된 보강재 결합부(220); 보강재(300)의 연장부(314)가 끼움결합하도록, 충전공(201)의 내면에 함몰형성된 연장부 결합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이는 보강재(300)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메인블록(200)은, 옹벽의 경사도의 조절을 위한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전방 저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저면 조절핀 삽입홈(202);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측벽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상기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후방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부 조절핀 삽입홈(2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중 전방에 위치한 상면 조절핀 삽입홈(저면 조절핀 삽입홈(202)의 연직상방에 위치한 삽입홈)에 대하여 조절핀(10)을 설치하는 경우, 옹벽은 연직방향에 가까운 큰 경사도를 갖게 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에 조절핀(10)을 설치하는 경우, 옹벽은 작은 경사도를 갖게 된다.
이하, 서브블록(100)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블록(100)은 기본적으로, 양측에 설치된 메인블록(200) 사이에 결합하고, 메인블록(200)의 돌출부(210)에 의해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방 양단에 함몰부(110)가 형성된다(도 5 내지 7).
메인블록(200)의 폭에 비해 서브블록(100)의 폭이 작게 형성되고, 서브블록(100)에는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사 또는 골재가 충전되도록 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블록(100)은 구체적으로, 관통공(101)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전방벽(150) 및 후방벽(160); 전방벽(150)과 후방벽(160) 사이 양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면이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측벽(170); 옹벽의 경사도의 조절을 위한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측벽(170)의 후방 저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저면 조절핀 삽입홈(180);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측벽(170)의 상면에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에 위치한 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1)과, 후방에 위치한 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2)을 구비한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기본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블록(200)과 서브블록(100)의 조합구조에 의해 형성되지만, 옹벽의 일부 구간에서는 서브블록(100)만의 엇갈림 쌓기에 의한 축조구조(서브블록 축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면 조절핀 삽입홈(190)이 상술한 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1)과, 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2)의 2종류로 구성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의 경사구조의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첫째, 옹벽의 경사도가 대단히 큰 경우(연직방향 또는 연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이다(도 8).
이는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의 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2)에,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부 블록층(a1)의 서브블록(100)의 저면 조절핀 삽입홈(180)에,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된 구조를 취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190) 중 후방에 위치한 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2)은 저면 조절핀 삽입홈(180)의 연직방향 상부(또는 약간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옹벽의 경사도가 위 실시예 다음으로 큰 경우이다(도 9,10).
이는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의 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1)에,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부 블록층(a1)의 서브블록(100)의 측벽(170)의 내면에, 조절핀(10)의 상단이 접촉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즉, 측벽(170)의 내면이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서브블록(100)의 관통공(101)의 후방은 전방을 향하여 벌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벽(170)의 내면의 폭이 좁은 부분(후술하는 셋째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에 대하여,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의 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1)에 삽입된 조절핀(10)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므로, 상부 블록층(a1)에 비해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옹벽의 경사도가 가장 작은 경우이다(도 11,12).
이는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의 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2)에,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부 블록층(a1)의 서브블록(100)의 측벽(170)의 내면에, 조절핀(10)의 상단이 접촉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즉, 측벽(170)의 내면의 폭이 넓은 부분(상술한 둘째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에 대하여,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의 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192)에 삽입된 조절핀(10)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므로, 상부 블록층(a1)에 비해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이 전방으로 많이 돌출되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한다.
첫째, 2종류의 조절핀 삽입홈에 의해 3종류의 경사도를 얻을 수 있어, 삽입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블록의 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위 실시예는 2종류의 조절핀 삽입홈에 의해 3종류의 경사도를 얻는 경우에 관한 것이나, 3종류의 조절핀 삽입홈에 의해 4종류의 경사도를 얻을 수도 있고, 그 이상도 가능하다.
둘째, 상술한 제2,3 실시예의 경우, 조절핀의 상단이 폭 넓은 관통공(101)의 내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방식이므로, 상부블록의 하부삽입공에 핀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해야 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시공성이 우수하다.
전방벽(150)의 양측방 및 양측벽(170)의 전방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10)가 형성되는 경우, 상부 블록층(a1)의 서브블록(100)과 서브블록(100)의 사이영역의 하부에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의 관통공(101)의 노출부(b)가 형성되므로, 이를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도 8,9,11).
함몰부(110)의 전면이 외측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위 노출부(b)가 더욱 크게 형성된다.
상술한 제2,3 실시예와 같이, 상부 블록층(a1)에 비해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경우, 위 노출부(b)가 더 크게 형성되므로, 식생영역이 확대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부 블록층(a1) 또는 하부 블록층(a2)은,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도 10), 동일한 구조로 적층된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도 12).
제2 실시예(도 9,10)에 비해, 제3 실시예(도 11,12)의 경우, 노출부(b)가 더 크게 형성되는데, 식생영역이 확대되면 더 큰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식물의 뿌리가 생장할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3 실시예(도 11)의 경우, 상부 블록층(a1) 또는 하부 블록층(a2)을 동일한 구조로 적층된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위 뿌리 생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도 12).
상술한 옹벽의 경사도 조절구조는, 측벽(170)의 내면이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구성과,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190)이 측벽(170)의 상면에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만족하는 한 측벽(170)의 구체적 구조는 어떠한 구성을 취하더라도 관계없다.
다만, 측벽(170) 자체가 전방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190)이 측벽(170)의 중앙부에 측벽(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소요재료 및 자중을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메인블록(200)과 서브블록(100)의 조합구조에 의한 옹벽의 적층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블록층(a)마다 다수의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한 구조를 취한다(도 13 내지 20).
다수의 블록층(a)은 상부 블록층(a1)과, 상부 블록층(a1)의 하부에 축조된 하부 블록층(a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부 블록층(a1)의 메인블록(200)의 하측 중앙부에, 하부 블록층(a2)의 서브블록(100)이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엇갈림 쌓기 방식에 의해 옹벽을 축조한다.
상부 블록층(a1) 또는 하부 블록층(a2)은, 다수의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한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거나(도 14), 다수의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함과 아울러, 동일한 구조로 적층된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15,16).
이하, 메인블록(200)과 서브블록(100)의 조합구조에 의한 옹벽의 경사구조에 관한 3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옹벽의 경사도가 대단히 큰 경우(연직방향 또는 연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이다(도 13 내지 17).
이는 하부 블록층(a2)의 메인블록(200)의 일측벽의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중 최전방에 위치한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에,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부 블록층(a1)의 메인블록(200)의 타측벽의 저면 조절핀 삽입홈(202)에,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된 구조를 취한다(도 13).
이를 위하여,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중 최전방에 위치한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은 저면 조절핀 삽입홈(202)의 연직방향 상부(또는 약간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블록층(a2)의 메인블록(200)의 중앙부 조절핀 삽입홈(204)에,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부 블록층(a1)의 서브블록(100)의 관통공(101)의 후면에, 조절핀(10)의 상단이 접촉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도 13).
둘째, 옹벽의 경사도가 위 실시예 다음으로 큰 경우이다(도 18).
이는 하부 블록층(a2)의 메인블록(200)의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중 가운데에 위치한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에,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부 블록층(a1)의 메인블록(200)의 저면 조절핀 삽입홈(202)에,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된 구조를 취한다.
이 경우, 옹벽의 경사도가 연직방향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서브블록(100)의 관통공(101)의 상측 트임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식생을 위한 노출부(b)가 형성된다.
셋째, 옹벽의 경사도가 가장 작은 경우이다(도 19).
이는 하부 블록층(a2)의 메인블록(200)의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중 최후방에 위치한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에,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부 블록층(a1)의 메인블록(200)의 저면 조절핀 삽입홈(202)에,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된 구조를 취한다.
이 경우, 옹벽의 경사도가 위 제2 실시예보다 더 작게 형성됨에 따라, 서브블록(100)의 관통공(101)의 상측 트임부의 일부가 더욱 크게 노출되어 식생을 위한 노출부(b)가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블록층(a1) 또는 하부 블록층(a2)은,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도 18), 동일한 구조로 적층된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도 19).
제2 실시예(도 18)에 비해, 제3 실시예(도 19)의 경우, 노출부(b)가 더 크게 형성되는데, 식생영역이 확대되면 더 큰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식물의 뿌리가 생장할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도 18)와 같이, 옹벽의 경사도가 크고, 관통공(101)의 노출부(b)가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제3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 뿌리 생장 공간이 크게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부 블록층(a1) 및 하부 블록층(a2)은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제3 실시예(도 19)와 같이, 옹벽의 경사도가 작고, 관통공(101)의 노출부(b)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제2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 뿌리 생장 공간이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으므로, 상부 블록층(a1) 및 하부 블록층(a2)은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의 눈높이 영역에만 식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눈높이 영역만을 제2,3 실시예와 같이 경사도가 작은 구조의 옹벽을 시공하고, 나머지 영역은 제1 실시예와 같이 경사도가 큰 구조의 옹벽을 시공하면 된다(도 2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 블록층 a1 : 상부 블록층
a2 : 하부 블록층 b : 노출부
10 : 조절핀 100 : 블록
101 : 관통공 150 : 전방벽
160 : 후방벽 170 : 측벽
180 : 조절핀 삽입홈 190 : 상면 조절핀 삽입홈
191 : 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 192 : 후방 상면 조절핀 삽입홈
200 : 메인블록 201 : 충전공
202 : 저면 조절핀 삽입홈 203 : 상면 조절핀 삽입홈
204 : 중앙부 조절핀 삽입홈 210 : 돌출부
220 : 보강재 결합부 230 : 연장부 결합부
300 : 보강재 311 : 폭방향 철근
312 : 길이방향 철근 313 : 결합공
314 : 연장부

Claims (10)

  1. 다수의 블록의 적층구조에 의해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하는 옹벽에 있어서,
    전방 양단에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보강재 결합부(220)가 형성된 메인블록(200);
    양측에 설치된 상기 메인블록(200)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돌출부(210)에 의해 전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방 양단에 함몰부(110)가 형성된 서브블록(100);
    전단이 상기 보강재 결합부(220)에 결합하고, 후단이 배후토사에 매설된 보강재(300);를 포함하고,
    각각의 블록층(a)마다 다수의 상기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하고,
    상기 돌출부(210)의 후면은 외측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0)의 후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함몰부(110)의 전면은 외측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블록(200)은,
    상기 옹벽의 경사도의 조절을 위한 조절핀(1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전방 저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저면 조절핀 삽입홈(202);
    상기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측벽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상면 조절핀 삽입홈(203);
    상기 조절핀(1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후방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부 조절핀 삽입홈(204);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블록(200)의 폭에 비해 상기 서브블록(100)의 폭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서브블록(100)은, 식물의 식재를 위한 토사 또는 골재가 충전되도록 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01);을 더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블록층(a)은 상부 블록층(a1)과, 상기 상부 블록층(a1)의 하부에 축조된 하부 블록층(a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블록층(a1)의 상기 메인블록(200)의 하측 중앙부에, 상기 하부 블록층(a2)의 상기 서브블록(100)이 위치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상부 블록층(a1) 또는 상기 하부 블록층(a2)은,
    다수의 상기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한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거나,
    다수의 상기 메인블록(200) 및 서브블록(100)이 하나씩 번갈아 결합함과 아울러, 동일한 구조로 적층된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옹벽의 경사도가 연직방향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서브블록(100)의 관통공(101)의 상측 트임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식생을 위한 노출부(b)가 형성되고,
    상기 옹벽의 경사도가 크고, 상기 관통공(101)의 노출부(b)가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 블록층(a1) 및 하부 블록층(a2)은 상기 하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옹벽의 경사도가 작고, 상기 관통공(101)의 노출부(b)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 블록층(a1) 및 하부 블록층(a2)은 상기 복수의 블록층(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0)는,
    다수의 폭방향 철근(311) 및 길이방향 철근(312)이 격자형 구조로 결합하여, 심부에 다수의 결합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철근(312)의 외측으로 상기 폭방향 철근(311)의 양단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블록(200)은,
    토사 또는 골재가 충전되도록 심부에 형성된 충전공(201);
    상기 보강재(300)의 결합공(313)에 끼움결합하도록, 상기 충전공(201)의 후방에 돌출형성된 상기 보강재 결합부(220);
    상기 보강재(300)의 연장부(314)가 끼움결합하도록, 상기 충전공(201)의 내면에 함몰형성된 연장부 결합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9398A 2019-06-12 2019-06-12 옹벽 KR10211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98A KR102116487B1 (ko) 2019-06-12 2019-06-12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98A KR102116487B1 (ko) 2019-06-12 2019-06-12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487B1 true KR102116487B1 (ko) 2020-05-28

Family

ID=7092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398A KR102116487B1 (ko) 2019-06-12 2019-06-12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975B1 (ko) * 2020-12-14 2021-04-12 최성영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60A (ko) * 2004-11-25 2006-05-30 최진희 보강토 블록
KR100991703B1 (ko) * 2010-07-09 2010-11-03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시공이 용이한 식생 옹벽블록
KR101980373B1 (ko) * 2018-11-05 2019-05-20 산천조경주식회사 적층식 옹벽블록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60A (ko) * 2004-11-25 2006-05-30 최진희 보강토 블록
KR100991703B1 (ko) * 2010-07-09 2010-11-03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시공이 용이한 식생 옹벽블록
KR101980373B1 (ko) * 2018-11-05 2019-05-20 산천조경주식회사 적층식 옹벽블록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975B1 (ko) * 2020-12-14 2021-04-12 최성영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040161307A1 (en) Hybrid retaining wall system
KR102116487B1 (ko) 옹벽
KR20110006585A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200495163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401232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321123B1 (ko) 우각부 블록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KR102267291B1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0397490Y1 (ko) 소하천 식생블럭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999185B1 (ko)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KR101058881B1 (ko) 옹벽블럭
KR200446445Y1 (ko)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럭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1232238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48433B1 (ko) 전면이 층을 이루고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22654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101129494B1 (ko) 식생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시공방법
KR200364567Y1 (ko) 옹벽 블록
KR200357963Y1 (ko) 옹벽 블록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101095991B1 (ko) 식생옹벽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