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32Y1 - 옹벽 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32Y1
KR200401232Y1 KR20-2005-0018274U KR20050018274U KR200401232Y1 KR 200401232 Y1 KR200401232 Y1 KR 200401232Y1 KR 20050018274 U KR20050018274 U KR 20050018274U KR 200401232 Y1 KR200401232 Y1 KR 200401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blocks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20-2005-0018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 축조시 블록을 절단하지 않고 사용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와 더불어 폐자재의 발생이 없으며, 블록의 좌우 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된 날개가 겹쳐지는 것에 의해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블록 상호간 인터록킹 작용에 의해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강재의 선단부는 각 블록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거나 인접하는 여러 개의 블록에 함께 연결되어 개별 블록의 위치이탈을 방지하거나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기타 배관 등이 매립될 때 보강재와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 상,하 블록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이 상면에 대응되는 하면 및 좌,우 측면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서, 좌,우 측면(50,60)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50,60)의 후부에는 날개(70,80)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70,80)의 앞이나 뒤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70,80)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고,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50,60)과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ㅛ"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블록 {Block for reinforced earth wall}
본 고안은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직선형 옹벽은 물론 지형에 따른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도 자유로이 축조 가능하고,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블록의 일부(날개)를 절단하는 일이 없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시공과 더불어 폐자재의 발생이 없으며, 특히 블록의 좌우 측에 비대칭 형태로 형성된 1쌍의 날개가 상호 유기적으로 겹쳐지는 것에 의해 블록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토체가 외부로 보이거나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호 인터록킹 작용에 의해 옹벽 면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보강재의 선단부가 인접하는 블록에 동시에 함께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보강재 설치작업의 편의도모와 개별 블록의 위치이탈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기타 배관 등이 매립될 때 보강재와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으로 축조되는 옹벽은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는 중력식 옹벽과 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옹벽식으로 대별되는데, 이러한 옹벽은 축조방식에 따라 블록의 형태가 상이하고 그 크기도 다양하므로 이러한 블록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 및 설비를 각기 달리하여 제작하여야 했었으므로 소요 비용에 많은 부담이 되어 왔으며, 중력식 옹벽에 있어서는 블록 자체가 너무 크고 중량이 무거워서 운반과 시공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야 했었고,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블록과 보강토체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와의 연결 및 상,하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앵커와 연결핀 등 다양한 부자재가 대량으로 소요되어 시공비의 부담은 물론 시공과정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05-0043727호(출원연월일; 2005.05.24)와 특허출원 제20050-0047569호(출원연월일; 2005.06. 03)로 단일 형태로 이루어져 직선형 및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고, 부자재의 소요가 적으며, 장비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안한 바 있는데,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들을 좀 더 개선하여 블록의 축조 및 보강재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보강재와 옹벽 후부의 매설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개량된 구조의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옹벽을 절단하지 않고도 직선형 옹벽은 물론 지형에 따른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을 자유로이 축조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하되, 블록 및 보강재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강재의 설치간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옹벽 후부에 배관이나 나무 등이 식재될 경우에는 보강재와 옹벽 후부의 매설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개량된 구조의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 상,하 블록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이 상면에 대응되는 하면 및 좌,우 측면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의 후부에는 날개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의 앞이나 뒤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과 배면 측으로 개방된 "ㅛ"형의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날개는 그 높이를 상면보다 5~10mm정도 낮게 형성하여 블록의 상,하 적층시 날개 상부의 틈을 통해 보강토체 내측에서 발생한 물이 블록의 앞쪽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블록 상면의 후부 중간 부분도 그 높이를 상면보다 5~10mm정도 낮게 형성하여 보강토체 내측에서 발생한 물이 블록 내측의 보강재 삽입홈을 통해 관통구멍 쪽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좌,우측의 날개 폭은 블록의 좌,우 폭보다 길게 형성하여 직선형 옹벽이나 돌출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는 물론 함몰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에도 인접하는 블록끼리 날개가 충분히 앞뒤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블록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34)와 이 걸림 돌기(34)가 끼워지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는 날개(70,80)가 형성되되 이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70,80)의 앞이나 뒤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70,80)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50,60)과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ㅛ"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도 2의 배면부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블록 몸체의 형태는 전면(10) 부분의 좌우 폭이 넓고 배면(20) 부분의 좌우 폭은 상대적으로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직선형이 아닌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70,8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2,62)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은 그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 외측을 향하여 날개(70,80)가 연장형성되어 있어 이 날개(70,80)를 감안한다면 도 3의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직사각형을 이루어 인접하는 블록끼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날개(70,80)를 상호 앞뒤로 겹치도록 축조하여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날개(70,80)를 겹치지 않게 하여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도 7에 도시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에도 좌,우측의 날개(70,80)에 의해 블록의 후부에 위치한 토체가 블록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의 배면 양측에 좌우로 연장형성된 날개(70,80)는 블록의 배면(20) 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옹벽 축조시 블록의 후부에 배치하는 배수필터를 거의 직선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날개의 겹쳐진 부위에는 보강토체의 다짐시 및 옹벽 축조완료 후 옹벽 면이 받게 되는 토압을 흡수하는 완충공간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시공도중 옹벽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시공완료 후 옹벽 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좌,우측의 날개(70,80) 폭은 블록(B)의 좌,우 폭보다 길게, 바람직하기에는 양측 날개(70,80)의 선단부가 블록의 좌,우측보다 약 1cm정도 더 돌출되는 정도로 형성함으로써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하더라도 양측 날개(70,80)가 어느 정도 겹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70,80)는 상면(30)보다 낮게(약 5~10mm정도) 단차(h)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보강토체에서 발생한 물이 이 단차(h)부분을 통해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블록의 후부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수시 보강토체의 흙이 함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섬유 부직포 등으로 된 배수 필터(F)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단차(h) 부분은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블록의 날개(70,80)가 상,하로 축조되는 블록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블록의 운반 및 양중시 그리고 옹벽 축조 후 받게 되는 전단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준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배수필터(F)는 블록(B)이 직선형으로 축조되든 곡선형으로 축조되든 간에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B)의 후면이 서로 밀착되므로 배수필터(F)가 부분적으로 앞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배수필터(F) 뒤에 별도의 파쇄석과 같은 고가의 골재를 일정 폭으로 매설하지 않고 보강토체(D)를 곧바로 포설하더라도 이 배수필터(F)를 통해 보강토체(D) 측에서 발생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면(30)에서 하면(40)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구멍(32)의 후부에는 보강재 삽입홈(36)의 중간부분이 접하도록 되어 있어서 띠형 섬유 보강재(E)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록(B)에 앵커링 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블록(B)을 동시에 앵커링 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측면(50,60)을 향하여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을 통해서 인접하는 여러 개(3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B)을 동시에 하나의 보강재(E)로 연결하여 앵커링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은 띠형 섬유 보강재(E)의 선단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의 폭으로 접은 상태에서 보강재 삽입홈(36)에 끼워 넣은 상태로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블록에서 띠형 섬유 보강재를 블록이나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앵커 및 앵커 핀이 필요 없음은 물론, 앵커 부분에서의 보강재의 느즈러짐으로 인한 제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블록에서는 상면(30)의 후부 중간 부분도 블록의 배면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을 경계로 하여 그 높이가 상면(30)보다 5~10mm정도 낮게 반원형의 후부 홈(38)이 형성되어 이 후부 홈(38)을 통해 보강토체 내측에서 발생한 물이 블록 내측의 보강재 삽입홈(36)을 통해 관통구멍(32) 쪽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부 홈(38)은 또, 블록(B)을 앞으로 밀거나 좌우측으로 위치이동을 하여야 할 경우 지렛대 등을 삽입시키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10)은 그 좌우측 외곽이 모따기면(12)으로 형성되어 있어 옹벽의 운반 및 축조시 그리고 축조 후에도 외력에 의해 그 우각부(모서리부)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축조완성된 옹벽의 전면부가 각각의 블록 사이에 줄 눈이 형성된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벽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10)은 2개의 블록을 하나의 금형 내에서 전면(10)끼리 맞닿은 상태로 일체 성형한 후 맞닿은 부분을 쪼개는 것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 질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은 대체로 좌우측으로 길게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관통구멍(32)은 블록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상,하 블록의 엇쌓기시 하부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34)가 끼워짐으로써 상,하 블록을 상호 인터록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경우는 물론, 도 12의 돌출된 곡선형 옹벽 및 도 13의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도 하부 블록(B1)의 걸림 돌기(34)가 상부 블록(B2)의 관통구멍(32) 뒷면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블록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고 옹벽면이 균일한 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보강재가 연결되거나, 인접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을 동시에 보강재로 앵커링시킬 수 있게 되므로, 블록이 개별적으로 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이른바 "배부름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보강재의 설치간격을 옹벽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돌출형 곡선옹벽의 축조시 블록의 벌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은 여러 개를 동시에 하나의 보강재에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기타 상,하수도 배관 등을 할 경우에 보강재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위치에는 보강재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접하는 블록과 연계하여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블록의 지지력은 그대로 유지한 채 보강재의 매설로 인한 간섭현상은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직선형 옹벽의 축조상태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기초(C) 위에 1차로 블록(B1)을 일직선상으로 축조하고, 그 위에 다시 엇쌓기 식으로 2차로 블록(B2)을 축조한다.
이때 상,하 블록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블록의 걸림 돌기(34)가 상부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구멍(32)에 걸림으로써 상,하 블록이 상호 인터록킹 되는 것이다.
그 후, 축조된 블록(B1,B2)의 후부에 보강토체(D)를 포설하여 견고하게 다지고, 다져진 보강토체(D) 위에 띠형 섬유보강재(E)를 설치하는데, 이때 섬유보강재(E)의 선단부는 절반의 폭이 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블록(B2)의 상면(30)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36)에 끼우되, 섬유보강재(E)는 인접하는 블록에 연속되게 지그재그식으로 연결한다.
섬유보강재(E)의 연결이 완료되면 다시 2차로 축조된 블록(B2) 위에 3차 및 4차로 블록(B3,B4)을 엇쌓기식으로 축조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블록의 축조와 보강토체의 다짐 및 섬유보강재의 연결작업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에 다다를 때까지 반복하면 된다.
도 16의 평면도에서는 섬유보강재(E)를 모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지 않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상,하수도 관을 매립하거나 기타 매설물(X) 등을 설치할 경우 기 설치된 보강재와의 간섭현상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미리 일정 구간에는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에도 옹벽을 이루는 블록은 모두 보강재의 선단부가 좌우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개별 블록이 토압에 의해 밀리거나 하는 등의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블록을 사용하여 직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블록과 보강재 외에 다른 부자재가 사용되지 않아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곡선형의 옹벽 축조과정 또한 상기한 직선형 옹벽 축조시와 동일하나, 다만,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곡률반경에 맞게 인접하는 블록(B)의 날개(70,8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52,62)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대응되는 날개(70,80)가 전후로 겹쳐지도록 하면 양측 블록(B)의 측면(50,60)이 서로 밀착되면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직각 돌출 옹벽은 물론 설계된 곡률반경에 맞는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도 20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이 동시에 보강재(E)에 의해 앵커링 되므로 옹벽 축조과정에서 또는 축조 완료 후 블록이 보강토체의 토압을 받아 전방으로 개별적으로 돌출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날개(70,80)가 완전히 겹쳐지므로 블록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강토체가 블록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으며, 옹벽의 전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더라도 블록 내측의 토체가 보이지 않는다.
더욱이,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종래의 블록에서는 곡선부에 사용되는 별도의 블록을 제작하거나 일반 블록을 쪼개어 사용하거나 하는 등의 비용부담이나 번거로움이 없이, 동일한 한 종류의 블록만을 사용하되, 단지 날개(70,80)의 겹침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설계조건을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재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어 재료비와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곡선형 옹벽에서도 블록의 적층 및 보강재와 보강토체의 다짐 작업은 직선형 옹벽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고안의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내측으로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 축조과정 또한 상기한 직선형 옹벽 및 돌출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와 동일하나, 다만,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곡률반경에 맞게 인접하는 블록(B)의 측면(50,60)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도록 축조하면 되는데, 이때에도 양측 블록(B)의 측면 후부에 연장 형성된 날개(70,80)에 의해 블록(B)의 배면(20)이 측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배수필터(F)를 대고 보강토체(D)를 부어 다질 경우에도 보강토체(D)가 블록(B)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과정도 직선형 및 돌출된 곡선형 옹벽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록은 직선형 옹벽은 물론 지형에 따른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을 자유로이 축조할 수 있고,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에도 블록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떼어내는 일이 없이 원래의 블록 그대로를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시공과 더불어 폐자재의 발생이 없으며, 인접하는 블록간의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블록 후부에 형성된 날개가 상호 겹쳐지는 효과에 의해 블록 후부의 보강토체가 외부에서 보이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날개에 의해 인접하는 블록이 상호 인터록킹되어 특히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옹벽 면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인접하는 블록이 동시에 하나의 보강재에 의해 앵커링 되어 개별 블록이 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보강재의 수평 설치간격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보강재의 선단부는 각 블록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거나 인접하는 여러 개의 블록에 함께 연결되어 개별 블록의 위치이탈을 방지하거나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기타 배관 등이 매립될 때 보강재와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좌우 설치간격을 균일하게 하거나 기타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한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이 직선상태로 축조될 때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이 곡선상태(돌출형 및 만입형)로 축조될 때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에 보강재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인접한 2개의 블록에 동시에 보강재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인접한 여러 개의 블록에 동시에 보강재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직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 상,하 블록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 상,하 블록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 상,하 블록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직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전면부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서 옹벽 후부에 매설물이 있을 때 보강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상,하 블록간의 적층상태 및 보강재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 완성된 직선형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20은 도 17의 평면도,
도 2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12 : 모따기 면
20 : 배면 30 : 상면
32 : 관통구멍 34 : 걸림 돌기
36 : 보강재 삽입홈 38 : 후부 홈
40 : 하면 50,60 : 측면
52,62 : 수용홈 70,80 : 날개
B,B1,B2,B3,B4 : 블록 C : 콘크리트 기초
D : 보강토체 E : 섬유보강재
F : 배수필터 X : 매설물

Claims (5)

  1.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34)와 이 걸림 돌기(34)가 끼워지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는 날개(70,80)가 형성되되 이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70,80)의 앞이나 뒤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70,80)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50,60)과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ㅛ"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계단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70,80)는 상면(30)보다 낮게 단차(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30)의 후부 중간 부분에는 블록의 배면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을 경계로 그 높이가 상면(30)보다 5~10mm정도 낮게 반원형의 후부 홈(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32)의 후부에는 보강재 삽입홈(36)의 중간부분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20-2005-0018274U 2005-06-24 2005-06-24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01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74U KR200401232Y1 (ko) 2005-06-24 2005-06-24 옹벽 축조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74U KR200401232Y1 (ko) 2005-06-24 2005-06-24 옹벽 축조용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09 Division 2005-06-03 2005-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32Y1 true KR200401232Y1 (ko) 2005-11-15

Family

ID=4370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74U KR200401232Y1 (ko) 2005-06-24 2005-06-24 옹벽 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8B1 (ko) 2005-06-03 2008-02-15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998982B1 (ko) * 2009-10-23 2010-12-13 (주) 에코월드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1037904B1 (ko) * 2008-08-21 2011-05-30 박석민 보강토 옹벽 구축용 대리석 옹벽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139974B1 (ko) * 2011-01-14 2012-05-02 이정수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 및 옹벽의 코너부 축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8B1 (ko) 2005-06-03 2008-02-15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037904B1 (ko) * 2008-08-21 2011-05-30 박석민 보강토 옹벽 구축용 대리석 옹벽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982B1 (ko) * 2009-10-23 2010-12-13 (주) 에코월드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1139974B1 (ko) * 2011-01-14 2012-05-02 이정수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 및 옹벽의 코너부 축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366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BRPI0708683B1 (pt) Estrutura de solo estabilizada; elemento de revestimento para uma estrutura de solo estabilizada e estojo protetor para um elemento de revestimento de uma estrutura de solo estabilizada
KR100632966B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20140134150A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0803788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01232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997727B1 (ko) 절토부 옹벽 시공구조 및 설치방법
KR200394203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0660574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93195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839019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354766Y1 (ko) 옹벽블럭
KR102116487B1 (ko) 옹벽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92562Y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100719281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