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195Y1 - 옹벽 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195Y1
KR200393195Y1 KR20-2005-0014688U KR20050014688U KR200393195Y1 KR 200393195 Y1 KR200393195 Y1 KR 200393195Y1 KR 20050014688 U KR20050014688 U KR 20050014688U KR 200393195 Y1 KR200393195 Y1 KR 200393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wing portion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주)동방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주)동방에스엔씨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20-2005-0014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선형은 물론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고, 직선형 및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상,하 엇쌓기식으로 축조되는 블록간의 인터록킹이 확실히 이루어져 블록의 밀림현상이 방지되며, 별도의 앵커 없이도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부를 블록에 직접 앵커링할 수 있고, 인양장비를 사용하여 신속 편리하게 인양하여 축조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20), 적층돌기(32)와 이 적층돌기(32)가 끼워져 인터록킹되는 결합구멍(34)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맞닿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층돌기(32)는 블록 상면(30)의 좌,우 양측과 후부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는 블록의 내측으로 인양홈(52,62)이 상면(30)에서부터 하면(40)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U자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인양홈(52,62)에 의해 블록의 후부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70)에는 파단홈(72)이 형성되어 필요시 이 파단홈(72)을 따라 날개부(70)를 떼어내어 곡선형 옹벽을 축조한다.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블록 {Block for reinforced earth wall}
본 고안은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선형은 물론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고, 직선형 및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상,하 엇쌓기식으로 축조되는 블록간의 인터록킹이 확실히 이루어져 블록의 밀림현상이 방지되며, 별도의 앵커 없이도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부를 블록에 직접 앵커링할 수 있고, 인양장비를 사용하여 신속 편리하게 인양하여 축조할 수 있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으로 축조되는 옹벽은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는 중력식 옹벽과 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옹벽식으로 대별되는데, 이러한 옹벽은 축조방식에 따라 블록의 형태가 상이하고 그 크기도 다양하므로 이러한 블록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 및 설비를 각기 달리하여 제작하여야 했었으므로 소요 비용에 많은 부담이 되어 왔으며, 중력식 옹벽에 있어서는 블록 자체가 너무 크고 중량이 무거워서 운반과 시공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야 했었고,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블록과 보강토체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와의 연결 및 상,하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앵커와 연결핀 등 다양한 부자재가 대량으로 소요되어 시공비의 부담은 물론 시공과정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직선형은 물론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고, 직선형 및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상,하 엇쌓기식으로 축조되는 블록간 별도의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터록킹이 확실히 이루어져 블록의 밀림현상이 방지되며, 별도의 앵커 없이도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부를 블록에 직접 앵커링할 수 있고, 인양장비를 사용하여 신속 편리하게 운반 및 인양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과 보강토체측에 맞닿는 배면, 적층돌기와 이 적층돌기가 끼워져 인터록킹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이 상면에 맞닿는 하면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층돌기는 블록 상면의 좌,우 양측과 후부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면의 후부에는 블록의 내측으로 인양홈이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는 배면 측으로 개방된 U자형의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양홈에 의해 블록의 후부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에는 파단홈이 형성되어 필요하면 파단홈을 따라 날개부를 떼어내어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옹벽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측에 맞닿는 배면(20), 적층돌기(32)와 이 적층돌기(32)가 끼워져 인터록킹되는 결합구멍(34)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맞닿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층돌기(32)는 블록 상면(30)의 좌,우 양측과 후부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는 블록의 내측으로 인양홈(52,62)이 상면(30)에서부터 하면(40)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U자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인양홈(52,62)에 의해 블록의 후부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70)에는 파단홈(72)이 형성되어 필요하면 이 파단홈(72)을 따라 날개부(70)를 떼어내어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홈(72)은 상기 경사진 좌,우 측면(50,60)의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한 형태의 블록만을 사용하여 직선형 및 곡선형의 옹벽을 모두 축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은 도 2의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을 이루어 인접하는 블록끼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블록 후부의 날개부(70; 일측 또는 양측 모두)를 제거하면 블록의 전면부는 폭이 넓고 후면부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어 인접하는 블록끼리 좌,우 측면(50,60)을 밀착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곡률반경(R) 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단홈(72)은 날개부(70)의 하면(40)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모두 형성되어 현장에서 정과 망치 등을 사용하여 타격하는 것에 의해 날개부(70)를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70)는 상면(30)보다 낮게(약 6~10mm정도) 단차(h)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보강토체에서 발생한 물이 이 단차(h)부분을 통해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블록의 후부에는 배수시 보강토체의 흙이 함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섬유 부직포 등으로 된 배수 필터(F)가 설치된다.(도 5참조)
또한, 상기 단차(h) 부분은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블록(B)의 날개부가 상,하로 축조되는 블록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옹벽 축조후 받게 되는 전단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배수필터(F)는 블록(B)이 직선형으로 축조되든 곡선형으로 축조되든 간에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B)의 후면이 서로 밀착되므로 배수필터(F)가 부분적으로 앞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배수필터(F) 뒤에 별도의 파쇄석과 같은 고가의 골재를 일정폭으로 매설하지 않고 보강토체(D)를 곧바로 포설하더라도 이 배수필터(F)를 통해 보강토체(D) 측에서 발생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전면(10)은 그 외곽이 모따기면(12)으로 형성되어 있어 옹벽의 운반 및 축조시 그리고 축조 후에도 외력에 의해 그 우각부(모서리부)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축조완성된 옹벽의 전면부가 각각의 블록 사이에 줄 눈이 형성된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벽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전면(10)은 2개의 블록을 하나의 금형 내에서 전면(10)끼리 맞닿은 상태로 일체 성형한 후 맞닿은 부분을 쪼개는 것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 질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30)의 후부 중앙부에 형성된 적층돌기(32)의 후부는 상면(30)보다 낮게 단차가 형성되어 여기에 옹벽 축조시 지렛대 등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벽 축조시 블록이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상면(3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적층돌기(32)는 결합구멍(34)의 후부 내면과 뒷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직선형 옹벽의 축조시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블록(B1)의 적층돌기(32)가 상부에 위치한 블록(B2)의 결합구멍(34)에 끼워지면서 상부 블록(B2)의 결합구멍(34) 후부 내면이 하부 블록(B1)의 적층돌기(32)에 밀착되어 인터록킹됨으로써 토압을 받게 되더라도 상부 블록(B2)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 참조)
또한, 곡선형의 옹벽 축조시에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블록(B1)의 적층돌기(32)가 상부에 위치한 블록(B2)의 결합구멍(34)에 끼워지면서 상부 블록(B2)의 결합구멍(34) 후부 내면이 하부 블록(B1)의 적층돌기(32)에 밀착되어 인터록킹되는 것이며, 이는 결합구멍(34)의 전후 폭과 좌우 폭이 직선형 옹벽 및 곡선형 옹벽 축조시에 모두 상기 적층돌기(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직선형 옹벽의 축조상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기초(C) 위에 1차로 블록(B1)을 일직선상으로 축조하고, 그 위에 다시 엇쌓기 식으로 2차로 블록(B2)을 축조한다.
그 후, 축조된 블록(B1,B2)의 후부에 보강토체(D)를 포설하여 견고하게 다지고, 다져진 보강토체(D) 위에 띠형 섬유보강재(E)를 설치하는데, 이때 섬유보강재(E)의 선단부는 절반의 폭이 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블록(B2)의 상면(30)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36)에 끼우되, 섬유보강재(E)는 인접하는 블록(B2) 사이에 연속되게 지그재그식으로 연결한다.
섬유보강재(E)의 연결이 완료되면 다시 2차로 축조된 블록(B2) 위에 3차 및 4차로 블록(B3,B4)을 엇쌓기식으로 축조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블록의 축조와 보강토체의 다짐 및 섬유보강재의 연결작업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에 다다를 때까지 반복하면 된다.
본 고안의 블록을 사용하여 직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블록과 보강재 외에 다른 부자재가 사용되지 않아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곡선형의 옹벽 축조과정 또한 상기한 직선형 옹벽 축조시와 동일하나, 다만,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곡률반경(R)에 맞게 블록(B)의 날개부(70)를 미리 떼어낸 후 축조하면 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인양기구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블록을 동시에 인양하여 블록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은 좌,우 측면(50,60)에 인양홈(52,6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인양홈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양용 지그(J; Jig)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여러 장의 블록을 동시에 인양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인양홈(52,62)은 측부의 블록에 간섭되지 않고 인양용 지그(J)을 끼우거나 빼낼 수 있으므로 블록의 축조를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장비를 사용하여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직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블록 후부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를 떼어 내지 않고 축조하면 되고,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이 날개부를 떼어내면 인접하는 블록끼리를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맞대어 줄 수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직선형 및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상,하 엇쌓기식으로 축조되는 블록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핀 없이도 적층돌기와 결합구멍이 상호 인터록킹됨으로써 블록의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보강재 삽입홈에 직접 보강재의 선단을 끼워줌으로써 옹벽 축조시 블록과 보강재만을 사용하므로 부자재의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블록의 측면에 인양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양장비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여러 장의 블록을 동시에 인양하여 축조중인 옹벽 위에 올려 줄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축조시 작업인부의 육체적인 피로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장비에 의한 축조가 가능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직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면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전면부 사시도,
도 8은 완성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9는 인양기구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블록을 동시에 인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인양된 블록을 축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직선형 옹벽의 축조시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12 : 모따기면
20 : 배면 30 : 상면
32 : 적층돌기 34 : 결합구멍
36 : 보강재 삽입홈 40 : 하면
50 : 좌측면 60 : 우측면
52,62 : 인양홈 70 : 날개부
72 : 파단홈 B,B1,B2,B3,B4 : 블록
C : 콘크리트 기초 D : 보강토체
E : 섬유보강재 F : 배수필터
h : 단차 J : 인양용 지그
R : 곡률반경

Claims (6)

  1.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측에 맞닿는 배면(20), 적층돌기(32)와 이 적층돌기(32)가 끼워져 인터록킹되는 결합구멍(34)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맞닿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적층돌기(32)는 블록 상면(30)의 좌,우 양측과 후부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는 블록의 내측으로 인양홈(52,62)이 상면(30)에서부터 하면(40)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U자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인양홈(52,62)에 의해 블록의 후부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70)에는 파단홈(72)이 형성되어 필요하면 이 파단홈(72)을 따라 날개부(70)를 떼어내어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단홈(72)은 상기 경사진 좌,우 측면(50,60)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10)은 그 외곽이 모따기면(1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70)는 상면(30)보다 낮게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면(30)의 후부 중앙부에 형성된 적층돌기(32)의 후부는 상면(30)보다 낮게 단차가 형성되어 여기에 옹벽 축조시 지렛대 등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단홈(72)은 날개부(70)의 하면(40)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모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20-2005-0014688U 2005-05-24 2005-05-24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93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88U KR200393195Y1 (ko) 2005-05-24 2005-05-24 옹벽 축조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88U KR200393195Y1 (ko) 2005-05-24 2005-05-24 옹벽 축조용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727A Division KR100660574B1 (ko) 2005-05-24 2005-05-24 옹벽 축조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195Y1 true KR200393195Y1 (ko) 2005-08-18

Family

ID=4369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688U KR200393195Y1 (ko) 2005-05-24 2005-05-24 옹벽 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1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95B1 (ko) * 2005-08-17 2007-04-18 주식회사 하은산업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23902B1 (ko) * 2005-11-18 2007-05-31 (주)동방에스엔씨 옹벽용 블록
KR100803788B1 (ko) 2005-06-03 2008-02-15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CN115748740A (zh) * 2022-12-21 2023-03-07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沟谷大跨内凹拱式加筋土挡墙支护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8B1 (ko) 2005-06-03 2008-02-15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708895B1 (ko) * 2005-08-17 2007-04-18 주식회사 하은산업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23902B1 (ko) * 2005-11-18 2007-05-31 (주)동방에스엔씨 옹벽용 블록
CN115748740A (zh) * 2022-12-21 2023-03-07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沟谷大跨内凹拱式加筋土挡墙支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366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93195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32966B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100660574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824833B1 (ko) 연결고리에 강재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암거.
KR200397873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CN109138210A (zh) 装配式建筑结构体系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0803788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94203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01232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EP1255899B1 (en) Stackable construction panel
KR101143498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CN218292294U (zh) 一种具有连接机构的剪力墙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KR200444261Y1 (ko)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200354766Y1 (ko) 옹벽블럭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200412264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92562Y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100671027B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