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629B1 -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 Google Patents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629B1
KR100654629B1 KR1020050112720A KR20050112720A KR100654629B1 KR 100654629 B1 KR100654629 B1 KR 100654629B1 KR 1020050112720 A KR1020050112720 A KR 1020050112720A KR 20050112720 A KR20050112720 A KR 20050112720A KR 100654629 B1 KR100654629 B1 KR 10065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ll
retaining wall
soi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11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함으로써 식물의 식재와 생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여 친환경적인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옹벽 설치면에서 지반에 근입되어 설치되는 지주(10)와, 배면 지반을 지지하여 배면 지반으로부터의 토압을 상기 지주(10)로 전달하도록 상기 지주(10)에 설치되는 후면 벽체(22)와, 상기 후면 벽체(22)와 간격을 두고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식물 식재를 위한 틈 또는 구멍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 벽체(21)와, 상기 전, 후면 벽체(21, 22) 사이의 공간에 토사가 채워져서 형성되므로써 식물의 뿌리가 생육하게 되는 식생토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옹벽, 친환경, 식생, 지반, 벽체

Description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Panel Assembly Type Breast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옹벽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구비된 가로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지주와 가로판만을 별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가로판이 설치된 실시예에 대하여 일부 전면 벽체의 적층 부재를 교체하는 모습을 보여주도록 도시된 도 3b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b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형상을 달리한 전면 벽체를 사용한 실시예들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20 : 전면 벽체
22 : 후면 벽체 30 : 식생토사부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함으로써 식물의 식재와 생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옹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블록이나 패널을 축조하여 옹벽의 전면 벽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여 왔다. 그런데 종래의 보강토 옹벽에서는 블록이나 패널이 치밀하게 조립되고, 배면 지반에 설치되는 보강재와 블록 또는 패널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 벽체에 식물을 식재 및 생육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녹화된 전경을 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는 부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산악 도로를 시공하는 경우와 같이 사면 절취 후에 설치되는 옹벽이나 사면 보호용 옹벽의 경우, 옹벽 배면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보강토 옹벽도 시공할 수 없어 삭막한 느낌의 콘크리트 옹벽을 주로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은 그 전면에 녹화 시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마치 성곽과 같은 느낌을 주게 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전면에 초본 식물뿐만 아니라 목본 식물들을 용이하게 식재하여 식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친환경적인 옹벽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옹벽 설치면에서 지반에 근입되어 설치되는 지주와, 배면 지반을 지지하여 배면 토사의 압력을 상기 지주에 전달하도록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후면 벽체와, 상기 후면 벽체와 간격을 두고 상기 지주의 전면에 설치되며 식물 식재를 위한 틈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벽체와, 상기 전, 후면 벽체 사이의 공간에 토사가 채워져서 형성되므로써 식물의 뿌리가 생육하게 되는 식생토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옹벽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식생토사부를 소정 간격으로 구획함으로써 전면 벽체의 부분 교체 또는 보수 시에 상부의 식생토사부 토사의 하방 유동을 방지하는 가로판이 상기 식생토사부의 내부에 상기 지주를 가로 질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옹벽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후면 벽체에는 식물 의 뿌리가 배면 지반으로 뻗어나가고 배면 지반으로부터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식생 보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옹벽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전면 벽체를 이루는 적층 부재에는 그 상단 또는 하단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 벽체를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경사부를 타고 식생토사부의 토사로 흘러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옹벽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전면 벽체를 이루는 판부재가 경사지게 부착되어, 바로 위 부재와의 사이에 식물 식재를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옹벽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식생토사부 내에는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유공 급수관이 옹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옹벽의 일실시예로서, 전면 벽체에는 더 확장된 식생토사부를 가지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이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옹벽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고정되는 전면 벽체(21)와 후면 벽체(22), 그리고 상기 전, 후면 벽체(21, 22) 사이에 토사가 채워져서 형성되는 식생토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배면의 사면 경계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10)가 지반에 근입되는 중앙 빔(11)과, 그 주위에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피복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1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 대한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중앙 빔(11)을 지반에 관입한 후 그 주변에 피복부(12)를 형성하여 지주(10)를 설치한다. 지주(10)에는 배면 지반을 지지하게 되는 후면 벽체(22)가 설치된다. 상기 후면 벽체(22)는 소정 높이의 블록 또는 패널과 같은 판부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판부재를 지주(10)의 후면에서 차례로 적층하여 설치함으로써 소정 높이로 후면 벽체(22)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면 벽체(22)에는 식생 보조구멍(23)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후면 벽체(22)에 식생 보조구멍(23)을 형성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식생토사부 (30)에 심겨진 식물의 뿌리가 상기 식생 보조구멍(23)을 통하여 후면 벽체(22) 배면의 지반으로 계속 성장할 수 있으므로 뿌리가 긴 식물들도 심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배면 지반으로부터 식생에 필요한 수분이 자연스럽게 식생토사부(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소정 높이로 후면 벽체(22)를 설치한 후에는, 그에 맞추어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전면 벽체(21)를 설치하게 된다. 전면 벽체(21) 역시 후면 벽체(22)처럼 소정 높이의 블록 또는 패널과 같은 판부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판부재를 지주(10)의 전면 방향에서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소정 높이로 전면 벽체(21)를 형성하였다. 상기 전면 벽체(21)를 이루는 판부재로는 석재나 목재, 패널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면 벽체(21)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별도의 식재공(24)을 미리 형성해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식재공(24) 이외에도 부재를 적층하여 전면 벽체(21)를 형성할 때 각 적층 부재의 사이에 상하 간격 또는 측면 간격을 형성하여 식물 식재용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정 높이로 전, 후면 벽체(21, 22)가 설치되면 그 사이의 공간에는 토사를 채워서 식생토사부(30)를 형성하고 조경용 식물을 식재한다. 식물은 상기 전면 벽체(21)에 형성된 식재공(24)을 통하여 심거나 또는 적층 부재 사이의 간격에 심을 수도 있다. 후속하여 후면 벽체(22)의 설치, 전면 벽체(21)의 설치, 토사의 충진 작업, 식생 작업을 반복하여 필요한 높이만큼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만일 사면고가 높아 옹벽의 높이가 커지는 경우에는, 옹벽의 전도 방지를 위하여 앵커공과 같은 통상의 지보공을 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 벽체(21)를 이루는 적층 부재를 돌출부(27)를 가지도록 제작함으로써 식생토사부(30)를 더 넓게 확보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돌출부(27)가 전면 벽체(21)의 중간에 소정 개소에 형성되도록 하게 되면 식물을 수직으로 성장하도록 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부재번호 31은 상기 식생토사부(30) 내에 옹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유공 급수관(31)인데, 상기 유공 급수관(31)을 통하여 물을 공급하여 상기 식생토사부(30) 내에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위와 같이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식생토사부(30)의 내부 중간에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가로 지르는 가로판(32)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a는 가로판(32)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지주(10)와 가로판(32)만을 별도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b는 상기한 가로판(32)이 설치된 실시예에 대한 도 3b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일부 전면 벽체(21)의 판부재를 교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만일 전면 벽체(21)의 적층 부재가 파손되거나 또는 식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본 발명에 서는 후면 벽체(22)가 배면 지반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해당 부분의 전면 벽체(21)의 일부 부재만을 제거하여 보수 또는 교체하기가 매우 용이한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판(32)을 설치하게 되면 이러한 전면 벽체(21)의 부분 보수, 교체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즉,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식생토사부(30)가 가로판(32)에 의하여 소정 높이로 구 획되므로, 해체부위에서 식생토사부(30)의 상부 토사가 하부로 유동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전면 벽체(21)의 해당 부분에 대해서만 용이하게 일부 적층 부재를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옹벽의 유지, 관리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한편, 상기 가로판(32)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판(32)에 관통공(33)을 형성하여 두면 식생토사부(30) 내의 수분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식생토사부(30)에 식재된 식물 뿌리가 용이하게 뻗어나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b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형상을 달리한 전면 벽체(21)를 사용한 실시예들에 대한 것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 벽체(21)를 이루는 적층 부재에는 그 상단 및 하단에 경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면, 전면 벽체(21)를 타고 흐르는 빗물 등이 상기 경사부(25)를 타고 식생토사부(30)의 토사로 흘러들어가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경사부(25)는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벽체(21)를 이루는 적층 부재가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부재가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 바로 위 판부재와의 사이에 개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방부(26)가 형성되도록 전면 벽체(2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방부(26)를 통하여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에서는, 지주(10)의 전면 벽체(21)와 후면 벽체(22)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채워 식생토사부(30)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풀과 같은 초본 식물뿐만 아니라 관목 등과 같은 목본 식물들도 충분히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 옹벽 전면의 녹화 작업이 수월하며 그에 따라 옹벽의 미관을 더욱 친환경적이 되도록 바꿀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공 급수관(31)의 설치, 후면 벽체(22)의 식생 보조구멍(23), 전면 벽체(21)의 판부재 형상 변형 등을 통하여 식생토사부(30)에 식물 식생에 필요한 수분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식물의 식생에 매우 유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옹벽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옹벽에 있어서,
    옹벽 설치면에서 지반에 근입되어 설치되는 지주(10)와,
    배면 지반을 지지하여 배면 지반으로부터의 토압을 상기 지주(10)로 전달하도록 상기 지주(10)에 설치되는 후면 벽체(22)와,
    상기 후면 벽체(22)와 간격을 두고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식물 식재를 위한 틈 또는 구멍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 벽체(21)와,
    상기 전, 후면 벽체(21, 22) 사이의 공간에 토사가 채워져서 형성되므로써 식물의 뿌리가 생육하게 되는 식생토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사부(30)를 소정 간격으로 구획함으로써 전면 벽체(21)의 부분 교체 또는 보수 시에 상부의 식생토사부(30) 토사의 하방 유동을 방지하는 가로판(32)이 상기 식생토사부(30)의 내부에 상기 지주(10)를 가로 질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벽체(22)에는 식물의 뿌리가 배면 지반으로 뻗어나가고 배면 지반으로부터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식생 보조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체(21)의 적층 부재에는 그 상단 또는 하단에 경사부(25)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 벽체(21)를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경사부(25)를 타고 식생토사부(30)의 토사로 흘러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체(21)를 이루는 판부재가 경사지게 부착되어, 바로 위 판부재와의 사이에 식물 식재를 위한 개방부(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사부(30) 내에는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유공 급수관(31)이 옹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면 벽체(21)에는 더 확장된 식생토사부(30)를 가지도록 돌출부(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KR1020050112720A 2005-11-24 2005-11-24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KR10065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20A KR100654629B1 (ko) 2005-11-24 2005-11-24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20A KR100654629B1 (ko) 2005-11-24 2005-11-24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629B1 true KR100654629B1 (ko) 2006-12-08

Family

ID=3773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720A KR100654629B1 (ko) 2005-11-24 2005-11-24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8419A (ja) * 2017-04-05 2018-11-15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壁面構造体および壁面構築方法
CN109930594A (zh) * 2018-07-20 2019-06-25 嘉兴五丰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桩及其组成的集成挡墙
KR102050376B1 (ko) 2019-07-26 2019-12-0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친환경적 외관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8419A (ja) * 2017-04-05 2018-11-15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壁面構造体および壁面構築方法
CN109930594A (zh) * 2018-07-20 2019-06-25 嘉兴五丰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桩及其组成的集成挡墙
KR102050376B1 (ko) 2019-07-26 2019-12-0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친환경적 외관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0580A (zh) 一种墙面挡土块
CN117926849A (zh) 一种高强度重力式挡土墙的施工方法及应用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KR101018664B1 (ko)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US6817811B1 (en) Constru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respect of water source and earth
CN212612526U (zh) 一种用于陡边坡网格梁内植草支护结构
CN205908109U (zh) 一种垂直绿化围墙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837800B1 (ko) 조립식 생태조형물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H08120693A (ja) 擁 壁
KR200275161Y1 (ko) 녹화용 옹벽블럭
KR101259053B1 (ko) 사면 보강용 식생옹벽
KR20020090781A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89226Y1 (ko)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KR100827783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20360Y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05431200U (zh) 植物培植单元及其所形成的培植系统
CN112359863A (zh) 一种生态挡土板构造及其施工方法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CN215421854U (zh) 一种用于高架桥侧壁绿化种植花箱
KR200271993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200393182Y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2050376B1 (ko) 친환경적 외관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