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226Y1 -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 Google Patents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226Y1
KR200389226Y1 KR20-2005-0009891U KR20050009891U KR200389226Y1 KR 200389226 Y1 KR200389226 Y1 KR 200389226Y1 KR 20050009891 U KR20050009891 U KR 20050009891U KR 200389226 Y1 KR200389226 Y1 KR 200389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block
wall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일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제일이엔에스
Priority to KR20-2005-0009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급수용용기를 가지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방벽에는 전방벽의 내외면을 관통하며 블록본체 내에 저축된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급수용 구멍이 전방벽의 폭 방향으로 적정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으며, 각 급수용 구멍에 의해 급수로가 구성되어 있다 급수로의 전방벽 외면에 입구가 열린 토수구는 전방벽의 상단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급수로의 전방벽 내면에 입구가 열린 취수구는 저벽의 내면(저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A breast wall with water supply container}
본 고안은 복수의 옹벽용 블록을 법면을 따라 겹쳐 쌓고, 각 옹벽용블록 내부에 객토를 충전하여 이루어진 옹벽에 적용되며, 상기 옹벽용 블록의 안쪽에 투입한 흙(객토)에서 생육하는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 대상의 법면을 따라 직사각형 통모양의 옹벽용 블록 복수를 각 옹벽용 블록 내에 중입재를 충전하면서 계단모양으로 겹쳐 쌓은 옹벽이 실용화 되어있다.
이러한 옹벽에 있어서는 중입재의 일부에 객토를 사용함으로써 각 옹벽용 블록의 객토충전부에 식물을 생육하게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식물을 순조롭게 생육하게 하려면 식물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 도10과 같은 급수용 블록(급수용 용기)이 알려져 있다.
도 10은 급수용 블록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며, 도면 중 (71)은 옹벽용 블록, (81)은 옹벽용 블록(71)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용 블록이다. 직사각형 통모양의 옹벽용 블록(71)의 후벽(74)은 전방벽(72)보다 낮으며, 옹벽용블록(71)의 양측벽 (73)(73)은 전방벽(72)에서 후벽(74)으로, 전방벽(72)과 같은 높이로 정해진 거리만큼 연장하여 설치한 후, 전방벽(74)과 같은 높이로 한 단차부를 지나 후벽(74)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전방벽(72)의 저부(바닥)에는 짧은 저벽(76)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급수용블록(81)은 전면이 바닥이 있는 점 이외에는 옹벽용 블록(71)과 거의 닮은 형태이며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의 높이는 옹벽용블록(71)의 전방벽(73)의 단차부에서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상단까지의 치수가 거의 같다. 또 급수용블록(81)의 저벽(86)의 전방벽(82) 근방의 위치에는 앞서 말한 옹벽용 블록(71)내에 충전된 객토를 받치는 띠모양 판형태의 객토받이용벽(87)이 저벽(86)의 전체 폭에 걸쳐 늘어뜨려져 있다.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의 저벽(86)에서 조금 높은 위치에는, 전방벽(82)를 관통하는 관통구(88)이 저벽(86)과 평행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 관통구(88)내에는 급수용 블록(81) 내의 물을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리는 끈 모양의 양수부재 (90)가 삽입, 통과되며, 양수부재(90)의 한 끝쪽은 급수용 블록(81)내의 저벽(86)까지 ,양수부재(90)의 다른 끝 쪽은 급수용 블록(81)의 바깥쪽으로 적정거리 만큼 각각 연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법면을 따라 배치한 옹벽용 블록(71) 내에 적절한 크기의 율석 및 쇄석 등의 중입재(F)를 옹벽용블록(71)의 전방벽(72)쪽은 얇고 ,후벽(74)쪽은 두껍게 깔아서 채운 후. 급수용 블록(81)을 옹벽용 블록(71)의 후벽 (74)쪽의 중입재(F) 위에 놓듯이 배치하여, 옹벽용블록(71) 내의 급수용블록(81)에서 후벽(74)쪽으로 중입재(F)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 높이의 위치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급수용블록(81) 내에 옹벽용블록(71) 내에 투입한 중입재(F)보다 큰 사이즈의 중입재를 옹벽용 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까지 투입한다. 이로 인해 빈틈의 비율을 높여 급수용 블록(81)내에 모을 수 있는 물의 양을 많게 함과 동시에 중입재(F)에서 양수부재(90)의 한단의 끝을 급수용 블록(81)의 저벽(86)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시공한 하단의 옹벽용 블록(71)위에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을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의 저벽(76)이 하단의 급수용 블록(81)의 전방벽(82)에 의해 지지되도록 놓은 후, 앞서와 같은 작업을 하여 상단의 옹벽용 블록(71) 및 상단의 급수용 블록(81)을 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 후 각 옹벽용 블록(71),(71)... 내의 급수용 블록 (81),(81)...에서 전방벽 (72),(72)...쪽에 각각 객토(G),(G)를 투입함으로써 복수단의 옹벽용 블록 (71),(71)...내에 각각 급수용 블록(81),(81)을 매설한 옹벽을 시공한다.
이러한 옹벽에서는 각 옹벽용 블록(71),(71)... 내의 객토(G),(G)에 식물 (P),(P)...을 각각 이식할 수 있다. 한 편 상단의 옹벽용 블록(71),(71)...내의 객토(G),(G)...위에 내린 비는 해당 객토(G),(G)내부로 침투하여 하단의 옹벽용 블록 (71),(71)...내에 매설한 급수용 블록(81).(81)의 내부에 저축된다. 그리고 급수용 블록(81),(81)...내에 저축된 우수는 양수부재(90)의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져 옹벽용블록(71),(71)의 객토(G),(G)...로 침투하며 해당 객토(G),(G)..를 거쳐 식물(P),(P)에 공급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급수용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급수용 블록(81)내에 저축된 우수는 양수부재(90) 내를 모관상승에 의해 객토(G)로 퍼 올려지지만 이러한 양수부재(90)이 모세상승에 의해 양수할 수 있는 높이는 고작 15cm정도이므로 급수용용기의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저수량수가 적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양수부재(90)에는 그 내부에 객토(G) 및 식물(P)의 뿌리 등이 침입하여 막힘이 발생하기 쉽고 이 때문에 양수능력이 저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양수부재(90)의 양끝부분을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적당한 연장상태로 시공 할 필요가 있으며 해당시공에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전례에 비추어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앞서 기술한 부재를 쓰지 않고서도 물을 공급 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급수용기 및 옹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물을 모을 수 있는 상자형 용기본체의 주위벽의 적정위치에 이 주위벽을 관통하며 용기본체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된 급수용 용기이며 전기 급수용 용기의 토수구(吐水口)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取水口)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급수로를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취수구의 하단 주위를 용기본체의 저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 블록 내에 흙이 투입되어 있으며 물을 모으는 상자형의 용기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이 주위벽을 관통하며 용기본체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기에서 흙에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있는 옹벽이므로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 높이보다 높게 되어있고 이 급수로 내에 모관상승에 의해 물을 퍼 올리는 입자모양의 매체가 충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고안은 입자모양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급수용 용기는 물을 모을 수 있는 상자형 용기본체의 주위벽의 적정위치에 이 주위벽을 관통하며 용기본체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된 급수용용기이며 이 급수용용기의 토수구(吐水口)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取水口)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용 구멍은 그 측단면 형태가 토수구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한 변과 취수구의 높이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한편을 갖는 사각형 모양을 이루며, 또한 한변의 치수는 다른 변의 치수보다 크게 하며 한 변의 하단위치는 다른 변의 하단위치보다 높게 한다. 또 급수용 구멍의 토수구 및 취수구의 형태는 원형이 바람직하나 다각형이어도 좋다 이 때 급수용 구멍의 측단면형태에 있어 사각형의 상하방향에 대를 이루는 양쪽은 직선형 또는 만곡선형태도 좋다.
이러한 급수용기는 급수용 구멍 내에 적당한 정도의 입자인 토사등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를 충전해 둔다. 이 때 급수용 구멍의 측단면형태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경우 시공 작업 중에 입자형 매체가 급수용 구멍에 자연낙하에 의해 충전되므로 충전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한 변의 치수는 다른 쪽의 치수보다 크게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급수용용기의 주조(鑄造)시 급수용 구멍의 형틀을 쉽게 뺄 수 있다.
이러한 급수용기 내에는 토수구의 바닥의 높이까지 물을 모을 수 있다. 이 급구용기 내에 저축된 물은 토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저축수에 잠긴 취수구에서 토수구로 급수로 내의 입자형 매체 속을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릴 수 있어 토수구에서 급수용기 밖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급수로는 용기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에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용기의 구성을 비교적 단순히 할 수 있다.
또 급수로는 주위벽을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 및 용기본체의 주위벽의 내면에 설치된 볼록부를 관통하여 제1관통구멍에 연결된 제2관통구멍에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용기본체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 및 이 관통구멍에 연결되어 주위벽 내면에서 용기본체의 바닥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된 관모양으로 구성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위벽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급수로는 필요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고 내부에 충분한 입자형 매체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급수량이 확보된다.
이 급수로의 취수구는 용기본체의 저벽 내면인 바닥과 같은 높이로 설치한다. 이에 의해 급수용기 내에 저축된 모든 물이 외부로 공급된다.
또 본 고안에 관한 급수용기는 급수로의 취수구에서 용기본체 내로 흙의 유입을 방지하는 토유입방지부를 갖추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급수로 내에 충전된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인 흙이 급수로에서 용기본체내로 유출됨이 방지되므로, 모관상승을 저해하는 틈이 급수로 내에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내부에 유입된 흙에 의해 용기본체의 저수량이 감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용기본체의 취수구 주위에 판모양의 토유입방지부를 고정하기위한 고정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급수용기의 사공작업 중 판모양의 토유입방지부가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관한 옹벽은 법면을 확보하는 옹벽용 블록 내에 흙이 투입되어 있어 물을 모으는 상자형의 용기본체의 주위벽의 적정 위치에, 이 주위벽을 관통하고 용기본체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기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까지는 급수로의 취수구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으며 이 급수로 내에 모관상승에 의해 물을 퍼 올리는 입자형 매체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끈모양의 양수부재를 쓰지 않고도 급수용 용기에 저축한 물을 옹벽용 블록 내에 투입한 객토에 공급할 수 있어 급수용용기의 시공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용 용기를 시공할 때 옹벽용블록 내에 투입한 객토를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에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수용용기의 시공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1)
이하 본 고안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서 도3은 본 고안에 관한 급수용용기인 급수용블록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Ⅲ-Ⅲ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면 중 1은 물을 저축하는 상자형 블록본체이다. 용기본체인 콘크리트체의 블록본체1은 장방형의 저벽(6)의 주위부 위에 전방벽(주위벽)(2), 후벽(주위벽)(4) 및 양측벽(주위부)(3),(3)을 세워 설치하고 있으며, 후벽(4)의 높이는 전방벽(2)의 높이보다 낮게 한다.
양측벽(3),(3)은 전방벽(2)에서 후벽(4)를 향해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치수로 적정 거리(도3에서는 전방벽(2)의 내면에서 후벽(4)의 내면까지의 거리)만큼 연장한 후, 후벽(4)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단차부를 지나 단차부와 같은 높이로 후벽(4)의 외면까지 연장설치 되어있다. 이와같이 양측벽(3),(3)에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치수의 부분을 설치해 둠으로서 복수의 급수용블록을 세로로 겹쳐 쌓을 수 있어 좁은 공간에 복수의 급수용블록을 비축할 수 있다. 한편 양측벽(3),(3)의 전방벽(2)의 높이와 같은 부분 이외의 부분은 후벽(4)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되어있으므로 블록본체(1)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총량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음으로 이에 의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블록본체(1)내의 폭 방향의 중앙에는 후벽(4)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중벽(5)가 전방벽(3),(3)과 평행으로 블록본체1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간을 막은 상태로 세워 설치되어있다.
그런데, 앞서 말한 전방벽(2)에는 전방벽(2)의 내외면을 관통하며 블록본체(1)내에 저축된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도2에서는4개)의 급수용 구멍 (13),(13)...이 ,전방벽(2)의 폭방향으로 적정거리를 두고 개설되어있으며 각 급수용 구멍(13),(13)...에 의해 급수로(10).(10)...가 구성되어 있다. 급수로(10)의 전방벽(2)의 외면에 열린 토수구(11)은 전방벽(2)의 상단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급수로(10)의 전방벽(2) 내면에 개구한 취수로(12)는 저벽(5)의 내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토수구(11)의 높이는 취수구(12)의 높이보다 높다.
급수로(10)은 그 측단면 형태가 토수구(11)의 높이 부분에 대응하는 한 변과 취수구(12)의 높이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변을 갖는 사각형을 이루며, 토수구(11)의 높이는 취수구(12)의 높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사각형의 윗변의 입상각도(위로들어 올리는 각도)는 하변의 입상각도 보다 크게 되어있다. 따라서 급수용블록 주조(鑄造)시, 급수용 구멍(13)의 형틀을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로(10)은 안의 지름이 전방벽(2)의 외면측상부에서 내면측하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메가폰 형태를 이루고 있어, 시공 작업 중에 토사와 같이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가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로(10)내에 충전된다. 따라서 급수용블록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급수로(10)은 측단면의 하변의 입상각이 약 30도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술한 입자형 매체의 자연 낙하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급수로(10)의 토수구(11)은 그 일부가 전방벽(2)의 윗면에 걸쳐져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로(10)의 측단면형태가 사각형을 이루며, 이 사각형의 상하양변에 직선상태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만곡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블록본체(1)의 내부에는 각 급수용 구멍(13),(13)...에서 블록본체1내부로 객토가 유출됨을 방지해야 하고, 금속판 형태의 지부재(止部材)(21),(21)...가 각각 취수구(12),(12)...에 대항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저벽(5)의 취수구(12).(12)에서 조금 거리를 둔 위치에는 지부재(21),(21)...을 고정하기 위한 사각형 송곳 받침대 모양의 볼록부(15),(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볼록부(15).(15)와 전방벽(2)사이에 형성된 도랑 형태의 틈에 지부재(21),(21)...을 각각 끼워 맞추어 지부재(21),(21)...의 면내 방향을 고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벽(5)에 설치된 볼록부(15)에 의해 지부재(21)을 끼워 맞추도록 되어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저벽(5)에 지부재(21)을 안으로 끼워 넣는 도량부분을 설치하여, 해당 도랑부분에 지부재(21)을 안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해도 좋고, 전방벽(2)의 취수구(12) 주위에 지부재(21)을 고정지지하는 후크(hook)부를 설치하여 후크부에 의해 지부재(21)을 안으로 끼워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지부재(21)이 블록본체(1)내에 고정되므로 급수용블록의 시공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지부재(21)과 전방벽(2)의 내면 사이에는 봉하여 막는 처리를 하지 않았으므로, 지부재(21)이 전방벽(2)의 내면에 접속하는 경우라도 블록본체(1)내에 저축된 물은 지부재(21)과 전방벽(2) 내면과의 틈에서 급수로(10) 내로 쉽게 침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부재(21)이 더러움이 없는 판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지부재(21)의 취수구(12)에 대향하는 부분에 1 또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개설해 두어도 좋다. 이로 인해 급수로(10) 내로 침투하는 물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 시트형태의 지부재를 관통구멍에 대향하여 배치하여도 좋다. 이로 인해 급수로 (10)내의 객토가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급수로(10)에서 본체1내에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로(10)의 취수구(12)에 대향하여 지부재(21)을 배치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지부재(21)을 대신하여 적정크기의 복수의 작은 돌로 취수구(12)를 막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블록본체(1)내로 객토가 유입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은 돌의 틈에 의해 블록본체(1) 내의 물을 급수로(10) 내로 통과하여 내 보낼 수 있다.
그런데 후벽(4)의 높이는 전방벽(2)에 설치한 급수로(10)의 토수구(11)의 저부의 높이와 거의 같게 되어있다. 만약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저부 높이보다 높게 한 경우, 블록본체(1)내의 토수구(11)의 저부보다 높이 부분에 일시적으로 머무는 물은 이부분의 수압에 의해 단시간에 토수구(11)의 저부 높이까지 이르러, 급수로(10)에서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저부 높이보다 높게 하여도 급수용블록의 실질적인 저수량은 늘어나지 않는다. 한편 본실시예와 같이 후벽(4)의 높이를 토수구(11)의 저부 높이와 같이 한 경우 블록본체(1)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원료를 절감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낮다.
도5는 본 고안에 관한 옹벽의 일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면 중(71)은 옹벽용 블록이다. 도5와 같이 저벽(5)의 전방벽(2) 근방의 위치에 옹벽용블록(71) 내에 충전된 객토(G)를 띠모양의 객토 받이벽(7)을 저벽(5)의 모든 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법면을 따라 배치된 옹벽용블록(71) 내에, 적정크기(예를 들어 직경이20mm∼40mm)의 쇄석 등의 중입재(F)를 옹벽용블록(71)의 전방벽(72)에는 얇게, 후벽(74)에는 두껍게 깐 후, 급수용블록의 블록본체1을 옹벽용블록(71)의 후벽(74)쪽에 중입재(F) 위에 놓듯이 배치하며, 옹벽용블록(71)의 급수용블록에서 후벽(74)에 중입재(F)를, 옹벽용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 가까이 까지 투입함과 동시에 급수용블록의 블록본체(1)내에 옹벽용블록(71)내에 투입한 중입재(F)와 같은 크기의 중입재(F)를 옹벽용블록(71)의 전방벽(72)의 높이까지 투입한다.
급수용블록에 투입하는 중입재(F)의 사이즈는 옹벽용블록(71)에 투입한 중입재(F)의 사이즈보다 크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중입재(F) 내의 틈이 크므로 급수용블록 내에 저수량이 많다. 한편 급수용블록의 블록본체(1)에 투입하는 중입재(F)의 사이즈와 옹벽용블록(71)에 투입한 중입재(F)의 사이즈를 같게 한 경우 시공 작업 중 중입재(F)의 종류를 변경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한 하단의 옹벽용블록(71)위에 상단의 옹벽용 블록(71)을 상단의 옹벽용블록(71)의 저벽(76)이 하단의 급수용블록의 블록본체(1)의 전방벽(2)에 의해 지지되도록 놓은 후, 같은 식의 작업을 하여 상단의 옹벽용블록(71) 및 상단의 급수용블록을 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 후 각 옹벽용블록(71),(71)..내의 급수용블록의 블록본체(1),(1)..에서 전방벽(72),(72)...측에 각각 객토(G),(G)를 투입함으로써 복수단의 옹벽용블록(71),(71)내에 각각 급수용블록을 매설한 옹벽을 시공한다.
이때 옹벽용블록(71)내에 투입한 객토(G)는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용블록의 급수로(10)내로 진입하여, 거기에 충전된다. 급수로(10)에 충전된 객토(G) 속에는 적정한 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틈에 의해 모관상승이 일어난다. 따라서 급수로(10)에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다른 부재를 삽입하지 않고 블록본체(1)내에 저축된 물을 모관상승에 의해 급수로(10)에서 밖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또 옹벽용블록(71)내로 투입된 객토(G)가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로(10)에 충전되므로 급수용블록의 시공 작업이 용이하다.
이러한 옹벽에서는 각 옹벽용블록(71),(71)... 내의 객토(G),(G)에 식물(P)를 각각 이식할 수 있다. 한편 상단의 옹벽용블록(71),(71)...내의 객토(G),(G)..에 내린 우수는 해당 객토(G),(G)내로 침투되며, 각각 하단의 옹벽용블록(7).(71)..내에 매설한 급수용블록의 블록본체(1),(1)...내에 저축된다. 그리고 급수용블록 내에 저축된 빗물은 급수로(10),(10)...에 충전된 객토(G).(10)...의 모세상승에 의해 퍼 올려져 옹벽용블록(71),(71)...의 객토(G),(G);;;에 침투하여 해당 객토(G),(G)..를 거쳐 식물(P)에 공급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용 옹벽의 급수로(10) 내에 객토(G)를 충전한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급수로(10) 내에 끈모양의 양수부재를 삽입,통과시켜도 좋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 경우 경사진 급수로(10)내에 양수부재가 삽입,통과하고 있으므로 양수부재에 의한 양수작용이 중입재(F)의 압박에 의해 제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2)
도6은 실시에2에 관한 급수용블록의 측단면도이며 도3에 나타난 평평한 판모양의 지부재(21)을 대신하여 L자 모양의 지부재(22)를 사용한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도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블록본체(1)의 전방벽(2)의 내면에는 저벽(5)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어있고, 저벽(5)의 취수구12(12..)에 이어진 부분에는 각각 직사각형의 오목부16(1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판을 L자형으로 구부려서 만들어진 지부재22(22...)가 각각 지부재22(22...)의 세로부분을 취수구12(12...)에 대향하게 하여, 취수구12(12...)에 면한 주위부분을 전방벽(2)의 내면에 접하게 하는 상태로 배치하였으며, 지부재22(22...)의 저부분을 저벽(5)에 설치된 오목부16(16...)에 각각 끼워 맞추어 지부재22(22...)를 오목부16(16...)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수로10(10...)에서 블록본체(1) 내로 토사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지부재(22)가 블록본체1내에 고정되기 때문에 급수용블록의 시공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3)
도7은 실시예3에 관한 급수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경사도 이며, 도면 중 (60)은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폭 방향의 치수가 긴 긴상자형의 플랜터(Planter)이고, 30은 플랜터(60)내에 장치된 급수용 용기이다. 합성수지제의 급수용기(30)의 용기본체(31)는 플랜터(60)과 같은 모양의 긴 상자모양을 이루며 그 높이 방향의 치수 및 폭 방향의 치수는 플랜터(60)의 높이 방향 치수 및 폭 방향의 치수와 같으며, 그 깊이 방향의 치수는 플랜터 (60)의 깊이 방향 치수의 1∼3할 정도로 되어있다. 또 용기본체(31)는 앞에서 말한 치수에 국한되지 않고, 플랜터(60)내에 내장 될 수 있는 치수이면 좋다.
용기본체(31)의 전방벽(32)의 상단근방의 위치에는 복수(도7에서는 2개)의 급수로(40).(40)을 구성하며 전방벽(32)를 관통하는 제1관통구(41).(41)이, 전방벽(32)의 폭 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으며, 전방벽(32)의 외면에는 급수로(40).(40)의 토수구(43).(43)이 각각 개설되어 있다. 용기본체(31)의 전방벽(32)의 내면이면서 제1관통구(41),(4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저벽(36)에서 전방벽(32)의 상면 높이에 이르는 사각기둥형의 볼록부(38),(38)이 설치되어 있다. 양볼록부(38),(38)의 후벽(34)에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급수로 (40),(40),의 취수구(44),(44)가 용기본체(31)의 바닥 면과 거의 같은 높이가 되도록 개설되어 있으며, 양볼록부(38),(38)에는 취수구(44),(44)와 대응하는 제1관통구(41),(41)을 이어 통과시키는 제2관통구(42),(42)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양취수구(44),(44)는 지부재(45),(45)에서 막혀져 있다. 이 지부재(45)에는 판재이외에 매쉬(mesh:그믈망)또는 구멍이 많은 매트(mat)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급수용용기(30)에 있어서는 용기본체(31)을 플랜터(60)내에, 용기본체31의 후벽(34)가 플랜터(60)의 긴 변의 주위벽면 내에 마주보도록 넣은 후, 플랜터(60)내에 객토를 투입한다. 이때 플랜터(60)내에 투입된 객토의 일부가 급수용기30의 토수구(43),(43)에서 급수로(40),(40)내에 충전된다.. 그리고 용기본체(31)내에 물을 토수구(43),(43)의 밑바닥까지 주입한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31)내에 저축된 물은 급수로(40),(40) 내에 충전된 입자형 매체인 객토의 모관상승에 의해 취수구(44),(44)에서 토수구(43),(43)으로 퍼 올려져, 토수구(43),(43)에서 플랜터(60)내의 객토에 공급된다. 이때 플랜터(60) 내의 바닥에 필요 이상의 물이 머무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플랜터(60)의 저부에 배수용 구멍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급수로(40),(40)은 볼록부 (38),(38)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방벽(32)의 두께가 얇은 용기 본체31이더라도 급수로(40),(40)내에 객토등의 입자형 매체를 충분히 충전할 수 있어 필요한 모관상승 작용을 유지 시킬 수 있다. 한편 플랜터(60)내의 객토에는 급수용 용기(30)에서 물이 서서히 공급되므로 플랜터(60) 내의 객토에 매일 물을 주지 않아도 객토내의 식물은 순조롭게 자란다.
(실시예4)
도8은 실시예4에 관한 급수용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7에 나타난 볼록부(38)을 대신하여 급수용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붙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8에서와 같이 용기본체(31)의 전방벽(32)의 상단 근방에는 취수구53(53)에 연결되어 통하며, 전방벽(32)를 관통하는 관통구51(51)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방벽(32) 내면의 관통구51(51)의 주위에서 용기본체(31)의 저면으로 적정 경사로, 용기본체31 내에 저축된 물을 용기본체(31)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용관부52(52)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용관부52(52)의 하단에 취수구54(54)가 용기본체(31)의 아랫면과 거의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급수용관부52(52) 및 관통구(51),(51)에 의해 급수로55(55)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급수용용기에 있어서는 급수로(55)가 급수용관(52)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방벽(32)의 두께가 얇은 용기본체(31)이더라도 급수로(55),(55) 내에 객토등의 입자형 매체를 충분히 충전할 수 있다. 한편 급수용관부(52)의 용적은 도7에 나타난 볼록부(38)의 용량보다 적으므로, 도7에 나타난 용기본체(31)와 같은 내부치수의 용기(31)를 사용한 경우 내부에 저축할 수 있는 물의 용량이 많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부재(45)에 의해 급수용관부(52)에서 용기본체(31)의 내부에 객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본 고안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도9와 같이 급수용관부(52)의 취수구(54)를 막아 이 색지부(막은 부분)(56)의 적정위치를 관통하는 1또는 복수(도9에서는2개)의 가는 취수구(57),(57)을 개설 해 두어도 좋다. 이 색지부(56)에 의해 지부재(45)를 사용하지 않고 급수용관부(52)에서 용기본체(31) 내부에 객토가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취구구(57),(57)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다시 지부재(45)를 병행하여 이용하여 용기본체(31)의 내부에 객토가 유입됨을 방지한다. 이 경우 미리 지부재(45)에 그것을 관통하는 가는 구멍을 개설하여 둠으로써, 모관상승에 의한 양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급수용관부(52)의 취수구(54)의 주의에 도랑 혹은 오목,볼록부를 설치하여 지부재(45)와 취수구(54)사이에 틈을 만들어 이 틈에서 취수구(54)안으로 물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부재(45)에 가는 구멍을 개설하지 않고 양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물을 모을 수 있는 상자형 용기본체의 주위 벽의 적정위치에 이 주위벽을 관통하며 용기본체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 높이보다 높으므로 급수용기 내에는 토수구의 밑부분 높이까지 물을 모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급수로 내에 적당한 정도의입자인 토사등 모관상승을 일으키는 입자형 매체를 둠으로써, 급수용용기 내에 저축된 물은 토수구보다 낮은 위치의 저축수에 스며든 취수구에서 토수구로 급수로 내(속)를 모관상승에 의해 퍼 올려, 토수구에서 급수용용기 밖으로 공급된다. 이 토사 등의 입자형 매체는 통상 급수용용기를 시공할 때 주위의 토사가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에 충전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끈형태의 양수부재를 쓰지 않고도 저축된 물을 밖으로 공급할 수 있어 급수용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 편 토사 등의 입자형 매체에 의한 모관상승작용은 종래의 양수부재의 모관상승작용보다 크므로, 토수구와 취수구의 높이차를 크게 할 수 있어 이에 따라 급수용용기의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저수량을 종래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급수로가 용기본체의 주위 벽을 관통하는 관통구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급수용기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며, 따라서 급수용용기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하단주위는 용기본체의 저벽 내면과 같은 높이 이므로, 급수용용기내에 저축된 거의 모든 물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법면을 보호하는 옹벽용블록 내에 흙이 투입되어 있어 물을 모으는 상자형의 용기 본체의 주위 벽의 적정위치에 이 주위 벽을 관통하고 용기본체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가 설치된 급수용기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급수로의 토수구의 높이는 급수로의 취수구의 높이보다 높으며, 이 급수로 내에 모관상승에 의해 물을 퍼 올리는 입자형 매체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끈모양의 양수부를 쓰지 않고도 급수용용기 내에 저축된 물을 옹벽용블록 내에 투입한 객토에 공급할 수 있어 급수용용기의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입자형 매체로서 흙이 충전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급수용기를 사공 할 때에는 옹벽용블록 내에 투입된 객토를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로 내에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수용용기의 실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급수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급수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급수용기인 급수용 블록의 Ⅲ-Ⅲ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급수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관한 옹벽의 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2에 관한 급수블록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3에 관한 급수용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경사면에서본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4에 관한 급수용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급수용 관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자가 개시한 종래의 급수용블록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블록본체 2 : 전방벽
3 : 양측면 4 : 후벽
10 : 급수로 11 : 토수구
12 : 취수구 13 : 급수용 구멍
16 : 오목부 G : 객토
30 : 급수용 용기 31 : 용기 본체

Claims (1)

  1. 블록본체(1) 내의 물을 밖으로 공급하기위한 급수로(10)가 설치된 급수용 용기(30)의 급수로(10)의 토수구(11) 높이를 급수로(10)의 취수구(12)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KR20-2005-0009891U 2005-04-11 2005-04-11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KR200389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91U KR200389226Y1 (ko) 2005-04-11 2005-04-11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91U KR200389226Y1 (ko) 2005-04-11 2005-04-11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226Y1 true KR200389226Y1 (ko) 2005-07-08

Family

ID=4369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891U KR200389226Y1 (ko) 2005-04-11 2005-04-11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2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37B1 (ko) 2006-08-07 2007-03-20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0915536B1 (ko) * 2008-04-16 2009-09-04 (주)제일이엔에스 일체형 식생 호안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37B1 (ko) 2006-08-07 2007-03-20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0915536B1 (ko) * 2008-04-16 2009-09-04 (주)제일이엔에스 일체형 식생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9659A (en) Building blocks
US201603483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JP2003201722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200389226Y1 (ko)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JP5190287B2 (ja) 地盤浸透機能を備えた雨水貯留構造物
KR100947845B1 (ko) 지반 고정력이 우수한 식생호안블럭
WO2011152495A1 (ja) 擁壁構造及び植栽可能な擁壁構築法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JP5816420B2 (ja) 擁壁構築用貯水ブロック
KR100822068B1 (ko) 급수용 용기 및 옹벽
KR100998674B1 (ko) 물저장공간이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JP3118346U (ja) 護岸ブロック
KR100543799B1 (ko) 도로 비탈면 보강토 옹벽 구조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376814Y1 (ko)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20090004294U (ko) 식생형 호안블록
CN110714478A (zh) 一种透水格栅型重力生态挡土墙结构
WO2006021987A1 (ja) 植生用擁壁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KR101685153B1 (ko) 생태통로가 구비된 역방향 하천 기초
JP2006169860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212388592U (zh) 一种防沉降挡土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