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813A - 슬래브 폼 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813A
KR20090076813A KR1020090000770A KR20090000770A KR20090076813A KR 20090076813 A KR20090076813 A KR 20090076813A KR 1020090000770 A KR1020090000770 A KR 1020090000770A KR 20090000770 A KR20090000770 A KR 20090000770A KR 20090076813 A KR20090076813 A KR 20090076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oam
pillar
slab
head
middl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환
손명원
Original Assignee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정공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7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폼(100)은 복수의 종지지빔(102)과, 상기 종지지빔(102)의 하단에 결합되어 인접된 상기 종지지빔(102)들 사이를 이어주는 횡지지빔(104) 및 상기 종지지빔(102)의 상방에 위치되는 수평플레이트(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 폼, 미들빔, 기둥, 테이퍼, 외측헤드

Description

슬래브 폼 장치{Slab Form Device}
본 발명은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는 바둑판처럼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과, 상기 슬래브 폼(10)의 하단에 마련되어 슬래브 폼(10)을 지지하는 미들빔(20)과, 상기 미들빔(20)의 하단에 위치되어 미들빔(20)을 지지하는 기둥(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래브 폼(10)은 알루미늄 재질이며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10) 사이는 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서로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래브 폼(10)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상기 기둥(30)과 기둥(30) 사이에 미들빔(20)을 올려놓고, 상기 미들빔(20)과 미들빔(20) 사이에 슬래브 폼(10)을 올려놓은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되면 상기 슬래브 폼(10), 미들빔(20) 그리고 기둥(30)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기둥(30)을 제거하고, 미들빔(20)을 제거한 후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슬래브 폼(10)을 한꺼번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는 슬래브 폼(10)을 한꺼번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큰 소음을 발생시켜 공사현장 주변에 피해를 주게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 폼(10)이 미들빔(20) 및 기둥(30)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어 미들빔(20)이나 기둥(30)의 상단면이 슬래브 폼(10)의 상단면의 높이와 일치되어 슬래브 폼(10)의 상단면과 나란히 놓인 상태에서 슬래브 폼(10)을 지지하는 구조에 비하여 슬래브 폼(10)이 많이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래브 폼(10)이 알루미늄으로 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량이 크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 시에 어려움이 발생되어 슬래브 폼(10)을 크게 만들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슬래브 폼의 형상이 알루미늄으로 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슬래브 폼 장치와, 슬래브 폼의 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래브 폼 장치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폼(100)은 복수의 종지지빔(102)과, 상기 종지지빔(102)의 하단에 결합되어 인접된 상기 종지지빔(102)들 사이를 이어주는 횡지지빔(104) 및 상기 종지지빔(102)의 상방에 위치되는 수평플레이트(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0)의 일면에는 수평단면 상에서 오목하게 만곡진 기둥만곡면(43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둥(300)은 둘레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내측헤드(3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300)에는 상기 기둥만곡면(432) 따라 상하 이동되는 드롭헤드(440)가 마련되고, 상기 드롭헤드(440)에는 상기 미들빔(202)과 결합되는 날개부분(444)의 경사면(447) 하방에 경사돌기(449)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헤드(344)의 일측면에는 경사면(388)이 형성된 제 1 안착부재(348)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빔(202)에는 상기 날개부분(444)의 오목부(445)에 안착되는 상측핀(208)과 상기 경사돌기(449)에 걸리는 하측핀(209)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외측헤드(344)의 타측면에는 경사면(362)이 형성된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의 각각 상단면(101, 201) 높이가 동일하거나 상기 미들빔(200)과 기둥(300)의 각각 상단면(201, 301)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지지빔(102)과 횡지지빔(104)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격자형상이 될 수 있고, 상기 종지지빔(102)의 끝단에는 꺽임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체작업시에 미들빔과 슬래브 폼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된다.
그리고 미들빔이나 기둥의 상단면이 슬래브 폼의 상단면 높이와 일치되어 슬래브 폼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래브 폼을 이루는 부분 중 플레이트 형상 부분은 목재 중 특히 합판으로 이루어져 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에 비하여 중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큰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일부 작동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드롭헤드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중 쐐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는 도 3의 미들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는 복수개의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미들빔(200)과, 상기 기둥(300)의 일측면과 수직으로 위치된 타측면에 연결되는 슬래브 폼(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둥(300), 미들빔(200) 그리고 슬래브 폼(100) 각각의 상단면은 높이가 동일하다.
즉,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 그룹이 여러 개 마련되고, 인접된 상기 슬래브 폼(100) 그룹들 사이가 연결되도록 미들빔(200)과 기둥(3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0)은 인접된 상기 미들빔(200)들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기둥(3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는 기둥(30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기둥(300)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a)는 도 3의 (a) 중에 헤드부(320) 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b) 중에 헤드부(32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기둥(300)은 하단이 바닥에 접하는 하부기둥(310)과 상기 하부기둥(310)의 상부에 마련된 헤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헤드부(320)는 하부기둥(310) 상단에 마련된 스톱퍼(322)와, 상기 스톱퍼(322)의 상단에 마련된 중간기둥(330)과, 상기 중간기둥(330)의 상부에 마련된 드롭헤드(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드롭헤드(340)의 수평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드롭헤드(340)의 측면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이다.
또한, 상기 드롭헤드(340)는 상기 중간기둥(330)과 일체로 연결된 내측헤드(342)와,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헤드(3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헤드(342)의 둘레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인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둘레를 이루는 4개의 측면 중 마주보는 2개의 측면만 테이퍼지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틸 재질의 상기 외측헤드(344)의 좌우측면에는 제 1 돌출부(346)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돌출부(346)의 상단에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재질을 가진 제 1 안착부재(348)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에는 상방으로 넓어지게 경사진 경사면(388)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와 제 1 돌출부(346) 사이의 결합은 제 1 돌출부(346)에 결합홈(347)이 형성되고 제 1 안착부재(348)에 상기 결합홈(347)에 결합 되는 제 1 돌기(349)가 마련되어 결합되는 방식 또는 볼트(351)에 의한 나사결합 방식 등으로 결합된다.
한편, 도 3의 (b) 및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상기 외측헤드(344)의 전후측면에는 상기 제 1 돌출부(346)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돌출부(360)의 상단에는 경사면(362)이 마련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돌출부(360)에도 상기 제 1 돌출부(346)와 같이 제 1 안착부재(348)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헤드(344)는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중간기둥(330)에는 제 2 돌기(332)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돌기(332)는 중간기둥(330)의 4개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이상에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좌우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외측헤드(344) 하방에는 쐐기(370)가 마련되는데,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쐐기(370)에는 상기 제 2 돌기(332)를 포함하는 중간기둥(330)이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공간부(372)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공간부(372)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잘라진 경사부(374)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헤드(344)가 내측헤드(342)의 둘레에 위치되고, 상기 쐐기(370)가 외측헤드(344)와 상기 제 2 돌기(33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쐐기(370)의 일측이 타격되면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쐐기(370)의 경사부(374)가 외측헤드(344) 와 제 2 돌기(332) 사이에 끼이게 되어 외측헤드(344)는 내측헤드(342)의 둘레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370)의 타측이 타격되면 도 5의 (a)와 같이 쐐기(370)의 경사부(374)가 외측헤드(344)와 제 2 돌기(332) 사이에 낀 상태가 해제되고, 쐐기(370)와 외측헤드(344)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미들빔(20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3의 (b) 및 도 6과 같이 상기 미들빔(200)에는 상기 제 2 돌출부(360)에 걸쳐져 결합되는 핀(210) 또는 수직플레이트(211)가 양단의 내측으로 형성되고, 제 1 돌출부(346)와 같은 형상인 제 3 돌출부(220)가 장축방향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와 같은 형상의 제 2 안착부재(222)가 마련된 상기 제 3 돌출부(220)는 제 1 돌출부(346)와 같은 높이에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슬래브 폼(100)과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 중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은 인접된 기둥(300)들 사이 또는 인접된 미들빔(200)들 사이를 이어주는 복수의 종지지빔(102)과, 상기 종지지빔(102)의 하단에 결합되어 인접된 상기 종지지빔(102)들 사이를 이어주는 복수의 횡지지빔(104) 및 상기 종지지빔(102)의 상방에 위치되는 수평플레이트(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플레이트(106)는 목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는 합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래브 폼(100)의 부분 중에 알루미늄, 스틸 또는 목재로 이루어진 상기 종지지빔(102)과 횡지지빔(104)으로 형성된 부분은 격자형상이다.
또한, 상기 종지지빔(102)의 끝단에는 꺽임부(110)가 마련되어 제 1 돌출부(346)에 걸쳐지며 결합되고, 이러한 구조는 상기 꺽임부(110)가 제 3 돌출부(220)와 결합되는 경우에도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100) 장치의 전체 작동 상태도이다.
아파트 등의 건물을 구성하는 상부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미 형성된 하부 바닥면 위에 기둥(300)을 세우고,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쐐기(370)의 경사부(374)가 외측헤드(344)의 하단과 중간기둥(330)의 제 2 돌기(332)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워 상기 외측헤드(344)가 내측헤드(342)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제 2 돌출부(360)에 미들빔(200)의 핀(210) 을 올려놓으면 상기 핀(210)이 상기 제 2 돌출부(360)의 경사면(362)을 따라서 내려가면서 제 2 돌출부(360)에 정확하게 안착되고, 미들빔(200)의 반대편에 위치된 핀(210)은 인접된 다른 제 2 돌출부(360)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도 9의 (a)와 같이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드롭헤드(340)의 상단면(301)의 높이가 일치된 상태로 미들빔(200)이 드롭헤드(340)의 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 2 돌출부(360)의 경사면(362)은 핀(210)이 제 2 돌출부(360)의 정확한 위치에 걸쳐져 상기 미들빔(200)이 드롭헤드(34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 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둥(300)과 미들빔(20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도 3 및 도 8과 같이 상기 종지지빔(102)의 꺽임부(110)가 상기 제 1 돌출부(346)의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3 돌출부(220)에 안착되는 과정을 거쳐 도 7과 같이 종지지빔(102)과 미들빔(200) 그리고 기둥(3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지지빔(102)이 설치됨에 있어서 별도의 핀이나, 볼트가 불필요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도 4 및 도 6의 상기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의 경사면(388, 224)은 상기 꺽임부(110)가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의 정확한 위치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여 종지지빔(102)이 미들빔(200) 및 드롭헤드(340)의 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하고,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는 상기 꺽임부(110)가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에 접촉될 때 소음 방지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지지빔(102)과 미들빔(200) 그리고 기둥(300) 사이의 결합과정이 반복된 후 상기 종지지빔(102)의 상방에 상기 수평플레이트(106)가 설치되면 도 2와 같은 슬래브 폼 장치가 완성된다.
이때, 도 9의 (a)와 같이 상기 기둥(300), 미들빔(200) 그리고 슬래브 폼(100)의 각각 상단면(101, 201, 301)은 높이가 같고, 콘크리트는 상기 상단 면(101, 201, 301) 위에 타설된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에 필요한 시간이 흐른 뒤에는 다음과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 장치의 해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쐐기(370)를 망치 등으로 쳐서 도 5의 (a)와 같이 제 2 돌기(332)가 경사부(374)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쐐기(370)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고, 상기 쐐기(370)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외측헤드(344)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쐐기(370)는 상기 스톱퍼(322)에 의하여 멈추게 되고 결국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외측헤드(344), 미들빔(200) 그리고 슬래브 폼(100)도 하방으로 이동되어 쐐기(370)와 같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헤드(342)의 테이퍼진 형상은 외측헤드(344)가 내측헤드(342)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내려갈 때 마찰 없이 쉽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내측헤드(342)는 상기 외측헤드(344)의 이동과 무관하게 양생된 콘크리트를 계속해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의 분리작업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통하면 상기 쐐기(370)가 스톱퍼(322)까지 이동되는 수직 높이가 하부 바닥면까지의 높이에 비하여 매우 작아서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100)이 해체작업시에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빔(200)이나 기둥(300)의 상단면(201, 301)이 슬래브 폼(100)의 상단면(101)의 높이와 일치되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슬래브 폼(10)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래브 폼을 이루는 부분 중 플레이트 형상 부분은 목재 중 특히 합판으로 이루어져 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에 비하여 중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큰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은 도 3의 중간기둥과 드롭헤드이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부분 단면도 및 작동상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변형드롭헤드에 변형미들빔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도 3의 중간기둥과 드롭헤드를 변형한 형태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0과 같이 스톱퍼(322)의 상면에 상방으로 세워진 변형중간기둥(430)과, 상기 변형중간기둥(43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변형드롭헤드(440) 및 쐐기(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형중간기둥(43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제 2 돌기(3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기(332)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수평단면 상에서 중앙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기둥만곡면(4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드롭헤드(440)에는 상기 기둥만곡면(432)과 같은 형태의 대향만곡면(442)이 형성된 드롭중앙부(441)가 마련된다.
상기 변형중간기둥(430)과 드롭중앙부(441) 사이에는 상기 기둥만곡면(432)과 대향만곡면(442)이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변형드롭헤드(440)가 변형중간기둥(43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때 변형드롭헤드(44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에도 변형중간기둥(430)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드롭중앙부(441)의 내측면에 접하기 전에 드롭중앙부(441)의 대향만곡면(442)이 기둥만곡면(432)에 접하게 된다.
즉, 도 11의 (a)에서 변형드롭헤드(4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도 11의 (b)와 같이 대향만곡면(442)과 기둥만곡면(432)이 두점(a, b)에서 접하게되어 변형드롭헤드(440)와 변형중간기둥(430) 사이에 다른 부분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변형중간기둥(430)의 모서리 부분(c)이 변형드롭헤드(440)의 내측면에 마찰을 일으키면서 끼이게되어 변형드롭헤드(440)의 상하이동이 정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상기 변형드롭헤드(440)에는 미들빔과 결합되는 부분인 날개부분(444)이 양측으로 마련되는데, 상기 날개부분(444)은 그 상면의 형상이 상기 드롭중앙부(441)를 중심으로 일정길이 수평으로 형성되다가 오목부(445)가 형성된 후에 오목부(445)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며 경사면(447)이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분(444)은 그 하면 중에 상기 경사면(447)의 하방에 위치된 부분에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돌기(449)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변형드롭헤드(440)에 결합되는 변형미들빔(202)에는 상기 오목부(445)에 안착되는 상측핀(208)과 상기 경사돌기(449)에 걸리는 하측핀(209)이 마 련된다.
상기 상측핀(208)은 변형미들빔(202)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측핀(209)은 변형미들빔(202)과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변형미들빔(202)에는 상기 하측핀(209)이 인입되는 핀구멍(2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변형미들빔(202)이 변형드롭헤드(440)에 결합되는 과정은 하측핀(209)이 변형미들빔(20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변형미들빔(202)이 변형드롭헤드(440)에 결합되면서 상측핀(208)이 상기 오목부(445)에 안착된 후에 상기 하측핀(209)이 핀구멍(213)에 끼워지면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핀(208)은 상기 경사면(447)을 따라서 내려가 오목부(445)에 정확하게 결합되어 변형미들빔(202)이 변형드롭헤드(440)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하측핀(209)은 변형드롭헤드(440)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된 변형미들빔(202)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상방으로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일부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3의 드롭헤드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중 쐐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도 3의 미들빔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중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전체 작동 상태도.
도 10은 도 3의 중간기둥과 드롭헤드이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부분 단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10의 변형드롭헤드에 변형미들빔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슬래브 폼 200: 미들빔
300: 기둥 310: 하부기둥
320: 헤드부 322: 스톱퍼
330: 중간기둥 340: 드롭헤드
346: 제 1 돌출부 348: 제 1 안착부재
349: 제 1 돌기 351: 볼트
430: 변형중간기둥 432: 기둥만곡면
440: 변형드롭헤드 441: 드롭중앙부
442: 대향만곡면

Claims (10)

  1.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202)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폼(100)은 복수의 종지지빔(102)과, 인접된 상기 종지지빔(102)들 사이를 이어주는 횡지지빔(104) 및 상기 종지지빔(102)의 상방에 위치되는 수평플레이트(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의 일면에는 수평단면 상에서 오목하게 만곡진 기둥만곡면(4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은 둘레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내측헤드(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에는 상기 기둥만곡면(432) 따라 상하 이동되는 드롭헤드(440)가 마련되고, 상기 드롭헤드(440)에는 상기 미들빔(202)과 결합되는 날개부분(444)의 경사면(447) 하방에 경사돌기(449)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헤드(344)의 일측면에는 경사면(388)이 형성된 제 1 안착부재(34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들빔(202)에는 상기 날개부분(444)의 오목부(445)에 안착되는 상측핀(208)과 상기 경사돌기(449)에 걸리는 하측핀(209)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측헤드(344)의 타측면에는 경사면(362)이 형성된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의 각각 상단면(101, 201) 높이가 동일하거나 상기 미들빔(200)과 기둥(300)의 각각 상단면(201, 301)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빔(102)과 횡지지빔(104)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격자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빔(102)의 끝단에는 꺽임부(11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KR1020090000770A 2008-01-08 2009-01-06 슬래브 폼 장치 KR20090076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50 2008-01-08
KR20080002350 2008-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813A true KR20090076813A (ko) 2009-07-13

Family

ID=4133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770A KR20090076813A (ko) 2008-01-08 2009-01-06 슬래브 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81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7424A (zh) * 2014-07-08 2014-09-17 北京交通大学 防整体坍塌型高大模板支撑体系
WO2019011885A1 (en) * 2017-07-10 2019-01-17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TRANSVERSE BEAM, AND METHOD OF INSTALLING FORMWORK SUPPORT SYSTEM
US20190194961A1 (en) * 2017-12-22 2019-06-27 Bond Formwork Systems, LLC Pass-Through Head Assembly for a Grid Shoring System
WO2019156958A1 (en) * 2018-02-06 2019-08-15 Brand Shared Services Llc Formwork system
US10407925B2 (en) 2017-07-10 2019-09-10 Doka Gmbh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US20190277044A1 (en) * 2018-03-12 2019-09-12 Faresin Formwork S.p.A. Support device, of the drop head typ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s for floor slabs, apparatus comprising such device and supporting beam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ice
US10982452B1 (en) 2020-07-31 2021-04-20 Bond Formwork Systems, LLC Secondary joist profile for grid systems
US11047142B1 (en) 2020-07-31 2021-06-29 Bond Formwork Systems, LLC Main beam structure and profile for formwork grid systems
US11268289B2 (en) 2020-07-31 2022-03-08 Bond Formwork Systems, LLC Drophead nut for formwork grid systems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7424B (zh) * 2014-07-08 2015-03-18 北京交通大学 防整体坍塌型高大模板支撑体系
CN104047424A (zh) * 2014-07-08 2014-09-17 北京交通大学 防整体坍塌型高大模板支撑体系
WO2019011885A1 (en) * 2017-07-10 2019-01-17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TRANSVERSE BEAM, AND METHOD OF INSTALLING FORMWORK SUPPORT SYSTEM
WO2019011886A1 (en) * 2017-07-10 2019-01-17 Doka Gmbh METHOD OF INSTALLING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TATE AND FORMWORK SUPPORT SYSTEM
WO2019011881A1 (en) * 2017-07-10 2019-01-17 Doka Gmbh METHOD FOR INSTALLING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US10407925B2 (en) 2017-07-10 2019-09-10 Doka Gmbh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AU2018298695B2 (en) * 2017-07-10 2020-08-13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transverse beam and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US20190194961A1 (en) * 2017-12-22 2019-06-27 Bond Formwork Systems, LLC Pass-Through Head Assembly for a Grid Shoring System
US10711472B2 (en) * 2017-12-22 2020-07-14 Bond Formwork Systems, LLC Pass-through head assembly for a grid shoring system
US11384546B2 (en) 2018-02-06 2022-07-12 Brand Shared Services Llc Formwork with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forming concrete surfaces that transition between upward sloping and downward sloping
WO2019156958A1 (en) * 2018-02-06 2019-08-15 Brand Shared Services Llc Formwork system
CN112166231A (zh) * 2018-02-06 2021-01-01 品牌共享服务有限责任公司 模板系统
US20190277044A1 (en) * 2018-03-12 2019-09-12 Faresin Formwork S.p.A. Support device, of the drop head typ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s for floor slabs, apparatus comprising such device and supporting beam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ice
US10883283B2 (en) * 2018-03-12 2021-01-05 Faresin Formwork S.p.A. Support device, of the drop head typ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s for floor slabs, apparatus comprising such device and supporting beam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ice
US10982452B1 (en) 2020-07-31 2021-04-20 Bond Formwork Systems, LLC Secondary joist profile for grid systems
US11047142B1 (en) 2020-07-31 2021-06-29 Bond Formwork Systems, LLC Main beam structure and profile for formwork grid systems
US11268289B2 (en) 2020-07-31 2022-03-08 Bond Formwork Systems, LLC Drophead nut for formwork grid systems
US11473321B2 (en) 2020-07-31 2022-10-18 Bond Formwork Systems, LLC Main beam structure and profile for formwork grid systems
US11585105B2 (en) 2020-07-31 2023-02-21 Bond Formwork Systems, LLC Secondary joist profile for grid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6813A (ko) 슬래브 폼 장치
KR101007539B1 (ko) 슬래브 폼 장치
KR200436856Y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JP2009500542A (ja) 天井型枠システム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1042382B1 (ko) 슬래브 폼 장치
KR20090106971A (ko)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US20070193194A1 (en) Joists and Floor Panels containing same
KR101947431B1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2041361B1 (ko) 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1728161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가설용 평탄패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JP6370167B2 (ja) 立て起こし具及び立て起こし方法
JP6252834B2 (ja) 地下ピット構造
KR10133666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KR102042462B1 (ko) 가스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2099182B1 (ko) 천정 구조물의 거푸집 고정구조
JP7269110B2 (ja) ビーム支持装置
KR200432088Y1 (ko) 벽체용 거푸집 패널
KR101914232B1 (ko) 건축물의 보강구조 및 설치방법
KR100763000B1 (ko)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442897Y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1117804B1 (ko)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JP5784892B2 (ja) 建物ユニット位置決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物ユニット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