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804B1 -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804B1
KR101117804B1 KR1020110084886A KR20110084886A KR101117804B1 KR 101117804 B1 KR101117804 B1 KR 101117804B1 KR 1020110084886 A KR1020110084886 A KR 1020110084886A KR 20110084886 A KR20110084886 A KR 20110084886A KR 101117804 B1 KR101117804 B1 KR 10111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roof
support membe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to KR102011008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공기를 단축시킴과 아울러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Concrete roof of a mold}
본 발명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공기를 단축시킴과 아울러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붕이 「八」 자 모양으로 맞물려 있는 건물에서 지붕 아래쪽의 삼각형을 이루는 부분을 박공(Gable)이라 하며, 이는 페디멘트(Pediment)라고도 한다.
상기 지붕이 박공구조인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벽체거푸집의 상부에 보와 슬라브를 형성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및 슬라브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상면에 박공구조의 지붕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밀착시킨 후, 거푸집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슬라브(10) 상면에 박공구조의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장지리의 서포트 길이가 가장 짧고, 중앙부로 갈수록 자장자리의 가장자리 서포트의 길이보다 길게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서포트(20)를 설치하는데, 상기 서포트(20)는, 박공각도에 맞게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길이가 다르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20)에 다수의 멍에(30)을 고정시킨 후, 상기 멍에(30)에 다수의 장선(4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선(40)에 수직보를 형성하는 수직보거푸집(50)과 후비폼(60)을 안착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비폼(60) 저면에 일측이 밀착되어 지지하는 서포트(20')의 타측을 슬라브(10)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20')가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구(70)를 슬라브(10) 상면에 고정시킨 후, 상기 후비폼(60) 상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박공구조의 지붕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박공구조의 지붕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거푸집의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공기가 지연되면서 지붕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품질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한 거푸집을 해체할 때,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멍에와 장선 및 수직보거푸집과 후비폼이 지붕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면서 슬라브 상면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때문에 자재손실율 증가 및 효율성 저하로 자재비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손된 자재의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이 숙련공에 의해 작업되기 때문에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지붕을 형성하는 수직보의 다양한 변화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의 표면이 매끄러워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이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비숙련공에 의한 작업이 가능함으로 인건비의 절감에 따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은,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지붕의 상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슬라브 상면에서 서포트로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벽체거푸집을 연결하는 금속폼의 저면에 설치되어 슬라브 상면에서 서포트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지붕을 형성하는 수직보의 다양한 변화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의 표면이 매끄러워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이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비숙련공에 의한 작업이 가능함으로 인건비의 절감에 따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구성도
도 3은 종래 박공구조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상부지지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 상부지지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 경사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 경사지지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 하부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 하부지지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한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각 지지부재의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 상부지지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 상부지지부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 경사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 경사지지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은,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100)으로서, 상기 지붕의 상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슬라브(10) 상면에서 서포트(20)로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와 벽체거푸집(11)을 연결하는 금속폼(1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슬라브(10) 상면에서 서포트(20)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지지부재(110)는, 상향으로 대향하게 돌출되면서 다수의 결합공(112')이 관통되는 상향경사면(112)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절곡된 상부지지몸체(111)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몸체(111)의 개방된 하단부에 서포트(20)가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편(11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113)의 저면에 돌출되어 서포트(20)의 홀(21)이 결합되면서 서포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11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경사지지부재(130)는, 상기 금속폼(120)을 지지하면서 금속폼(120)의 저면에 고정된 체결볼트(B)가 결합되는 결합공(132')이 관통된 고정경사면(132)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절곡된 경사지지몸체(131)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지지몸체(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서포트(20)가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편(13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133)의 저면에 돌출되어 서포트(20)의 홀(21)이 결합되면서 서포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13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붕의 하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는 금속판(120)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중앙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슬라브(10) 상면에서 서포트(20)로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140)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대향하게 요입되면서 다수의 결합공(142')이 관통되는 하향경사면(142)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절곡된 하부지지몸체(141)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몸체(141)의 개방된 하단부에 서포트(20)가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편(14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143)의 저면에 돌출되어 서포트(20)의 홀(21)이 결합되면서 서포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14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붕이 박공구조인 건축물을 건축하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슬라브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브에 기둥 및 상층의 슬라브와 보 및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벽체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층의 건물을 형성한 후, 상기 지붕의 설계도면에 맞도록 상부지지부재(110)와 경사지지부재(130) 및 하부지지부재(14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건물에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려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의 최상부 슬라브(10)에 벽체거푸집을 형성하면서 지붕의 설계도면에 따라 상기 지붕이 상부에서 하부로 꺽어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부지지몸체(111)의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지지편(113)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향경사면(112)이 상부로 향하도록 상부지지부재(110)를 슬라브(10)로부터 일정거리 상부로 이격되도록 이동시킨 후, 상부지지부재(110)의 지지편(113)에 스토퍼(20)의 타측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토퍼(20)의 일측을 슬라브(10)에 밀착시켜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13)의 저면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14)에 스토퍼(20)의 홀(21)이 결합되어 걸리므로 스토퍼(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20)로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110)의 상향경사면(112)과 벽체거푸집에 금속폼(120)을 안착시켜 연결하는데, 상기 금속폼(120)은 일정크기의 금속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단부에 리브(12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리브(121)가 면접촉되면서 리브(121)에 관통된 통공(미도시)을 통해 볼트/너트로 고정시키거나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금속폼(120) 저면에 다수의 체결볼트(B)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B)의 간격은 고정경사면(132)에 다수 관통된 결합공(131')의 간격과 동일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금속폼(120)을 상부지지부재(110)의 상부지지몸체(111) 상면과 수직거푸집(50')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금속폼(120) 저면에 경사지지부재(130)를 밀착시키는데, 상기 경사지지부재(130)의 고정경사면(132)이 금속폼(120)의 리브(121)에 밀착됨과 고정경사면(132)에 관통된 결합공(132')으로 체결볼트(B)가 돌출되고, 결합공(132')으로 돌출된 체결볼트(B)에 체결너트(B')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와 수직거푸집(50')에 금속폼(1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경사지지부재(130)를 고정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금속폼(120) 저면에 경사지지부재(130)를 고정시키고, 경사지지부재(130)가 고정된 금속폼(120)을 상부지지부재(110)와 수직거푸집(50')에 안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금속폼(120) 저면에 고정된 경사지지부재(130)의 경사지지몸체(131)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지지편(133)에 스토퍼(20)의 타측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토퍼(20)의 일측을 슬라브(10)에 밀착시켜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33)의 저면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34)에 스토퍼(20)의 홀(21)이 결합되어 걸리므로 스토퍼(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지지부재(130)가 금속폼(120)을 지지하면, 상부지지부재(110)의 상향경사면(112)에 안착된 금속폼(120)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상기 상향경사면(112)에 금속폼(120)이 설계도면에 따라 안착될 경우, 상기 금속폼(120)과 상향경사면(112)에 형성된 결합공(120')(112')이 동일선상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금속폼(120)의 결합공(120')을 통해 상향경사면(112)의 결합공(112')으로 돌출되도록 웨지핀(W)을 결합하고, 상기 상향경사면(112)의 결합공(112')으로 돌출된 웨지핀(W)의 고정공(W')에 고정핀(Wa)을 상부지지몸체(111)의 개방된 하부공간을 이용하여 결합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다수의 결합공(120')(112')을 웨지핀(W)으로 결합한다.
또한, 지붕의 설계도면에 따라 한 쌍의 상부지지부재(110)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지지부재(110)(110') 사이에 상기 지붕이 하부에서 상부로 꺽어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에는 하부지지몸체(141)의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지지편(143)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요입된 하향경사면(142)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부지지부재(140)를 슬라브(10)로부터 일정거리 상부로 이격되도록 이동시킨 후, 하부지지부재(140)의 지지편(143)에 스토퍼(20)의 타측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토퍼(20)의 일측을 슬라브(10)에 밀착시켜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43)의 저면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44)에 스토퍼(20)의 홀(21)이 결합되어 걸리므로 스토퍼(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20)가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110)와 하부지지부재(140)의 상향경사면(112)과 하향경사면(142)에 상기의 과정으로 제작되어 경사지지부재(130)가 고정된 금속폼(120)을 안착시킨 후, 경사지지부재(130)의 지지편(133)에 스토퍼(20)의 타측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토퍼(20)의 일측을 슬라브(10)에 밀착시켜 지지하도록 하는데, 상기 지지편(133)의 저면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34)에 스토퍼(20)의 홀(21)이 결합되어 걸리므로 스토퍼(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의 상향경사면(112)과 하부지지부재(140)의 하향경사면(142)에 안착된 금속폼(120)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상기 상향경사면(112)과 하향경사면(142)에 금속폼(120)이 설계도면에 따라 안착될 경우, 상기 금속폼(120)과 상향경사면(112)에 형성된 결합공(120')(112')과 금속폼(120)과 하향경사면(142)에 형성된 결합공(120")(142')이 동일선상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금속폼(120)의 결합공(120')(120")을 통해 상향경사면(112)의 결합공(112')과 하향경사면(142)의 결합공(142')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웨지핀(W)을 결합하고, 상기 상향경사면(112)의 결합공(112')과 하향경사면(142)의 결합공(142')으로 각각 돌출된 웨지핀(W)의 고정공(W')에 고정핀(Wa)을 상부지지몸체(111)와 하부지지몸체(141)의 개방된 하부공간을 이용하여 결합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다수의 결합공(120')(112') 및 결합공(120")(142')을 웨지핀(W)으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부재(130)에는 설계도면에 맞게 수직거푸집(5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거푸집(50')은, 슬라브(10)에 일측이 밀착된 스토퍼(20)의 타측이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스토퍼(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 지지부재(110)(130)(140)와 금속폼(1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부재(110)(130)(140)의 각 지지몸체(111)(131)(141) 하단부는 각 지지편(113)(133)(143)이 수평선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각 지지부재(110)(130)(140)가 지지하는 금속폼(120)의 가장자리에 지중의 두께에 따른 별도의 수직거푸집을 설치하여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1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거푸집(10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설계도면에 따른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박공구조의 지붕이 형성되면, 금속폼(120)과 상부지지부재(110) 및 금속폼(120)과 하부지지부재(140)를 고정시킨 웨지핀(W)에서 고정핀(Wa)을 분리시키고, 금속폼(120) 저면의 체결볼트(B)에서 체결너트(B')를 분리한 후, 각 지지부재(110)(130)(140)를 지지하는 서포트(20)를 이탈시키면서 각 지지부재(110)(130)(140)와 금속폼(120)이 지붕의 저면으로부터 슬라브(10)에 안착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분리한다.
이때, 상기 각 지지부재(110)(130)(140)와 금속폼(120)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에 의해 각 지지부재(110)(130)(140)와 금속폼(120)이 슬라브 상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 충격에 의한 손상을 차단하여 폐기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거푸집 110: 상부지지부재
120: 금속폼 130: 경사지지부재
140: 하부지지부재

Claims (8)

  1. 박공구조의 지붕을 형성하는 거푸집(100)으로서,
    상기 지붕의 상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슬라브(10) 상면에서 서포트(20)로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110)와;
    상기 상부지지부재(110)와 벽체거푸집(11)을 연결하는 금속폼(1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슬라브(10) 상면에서 서포트(20)로 지지하는 경사지지부재(130)와;
    상기 지붕의 하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는 금속판(120)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중앙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슬라브(10) 상면에서 서포트(20)로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지지부재(110)는,
    상향으로 대향하게 돌출되면서 다수의 결합공(112')이 관통되는 상향경사면(112)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절곡된 상부지지몸체(111)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몸체(111)의 개방된 하단부에 서포트(20)가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편(11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13)의 저면에 돌출되어 서포트(20)의 홀(21)이 결합되면서 서포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11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사지지부재(130)는,
    상기 금속폼(120)을 지지하면서 금속폼(120)의 저면에 고정된 체결볼트(B)가 결합되는 결합공(132')이 관통된 고정경사면(132)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절곡된 경사지지몸체(131)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지지몸체(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서포트(20)가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편(13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33)의 저면에 돌출되어 서포트(20)의 홀(21)이 결합되면서 서포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13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지지부재(140)는,
    하향으로 대향하게 요입되면서 다수의 결합공(142')이 관통되는 하향경사면(142)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절곡된 하부지지몸체(141)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몸체(141)의 개방된 하단부에 서포트(20)가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편(14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43)의 저면에 돌출되어 서포트(20)의 홀(21)이 결합되면서 서포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14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KR1020110084886A 2011-08-25 2011-08-25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KR10111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886A KR101117804B1 (ko) 2011-08-25 2011-08-25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886A KR101117804B1 (ko) 2011-08-25 2011-08-25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804B1 true KR101117804B1 (ko) 2012-03-09

Family

ID=4614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886A KR101117804B1 (ko) 2011-08-25 2011-08-25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90B1 (ko) 2018-08-27 2019-12-11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외단열 지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287A (ja) * 1996-11-29 1998-06-16 Misawa Homes Co Ltd 建物の屋根パネル施工用足場及び屋根パネルの施工方法
KR100755329B1 (ko) * 2006-09-07 2007-09-05 오순상 건축물의 지붕구조
KR100773774B1 (ko) * 2006-09-15 2007-11-12 박영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JP2010018975A (ja) * 2008-07-09 2010-01-28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型枠支保工および型枠支保工用水平力処理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287A (ja) * 1996-11-29 1998-06-16 Misawa Homes Co Ltd 建物の屋根パネル施工用足場及び屋根パネルの施工方法
KR100755329B1 (ko) * 2006-09-07 2007-09-05 오순상 건축물의 지붕구조
KR100773774B1 (ko) * 2006-09-15 2007-11-12 박영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JP2010018975A (ja) * 2008-07-09 2010-01-28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型枠支保工および型枠支保工用水平力処理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90B1 (ko) 2018-08-27 2019-12-11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외단열 지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042B2 (en) Steel frame structur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1279811B1 (ko) 패널지지 어셈블리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101639009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101117804B1 (ko)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CN110439279B (zh) 一种飘窗模板加固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028586B1 (ko) 슬래브패널 어셈블리
JP2017227052A (ja) 型枠ハンガー
KR101602155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바닥 형성용 데크구조체
CN203160528U (zh) 一种预制混凝土槽形板
KR101229093B1 (ko)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KR102477121B1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CN107327138B (zh) 一种早拆机构及模板支撑体系
KR101183644B1 (ko) 천정거푸집의 휠러합판 지지장치
KR102409032B1 (ko) 별도의 장선재 없는 리브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JP5746588B2 (ja) 水平スリット材、それを使用した水平打継部の施工方法及び水平打継部の構造
KR101208284B1 (ko) 층고절감형 합성보 구조
CN111005497A (zh) 一种装配式房屋地面加强筋板结构
KR102029001B1 (ko)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