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001B1 -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9001B1 KR102029001B1 KR1020160039990A KR20160039990A KR102029001B1 KR 102029001 B1 KR102029001 B1 KR 102029001B1 KR 1020160039990 A KR1020160039990 A KR 1020160039990A KR 20160039990 A KR20160039990 A KR 20160039990A KR 102029001 B1 KR102029001 B1 KR 102029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wall
- connection base
- rear wall
- wall portion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64—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concrete
- E04B2/6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concrete made by filling-up wall cavi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프리캐스트 방식의 분할되는 구조로 제작하고, 이러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구현하므로서, 상차, 적재, 운송, 하차 등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이로 인해 원가대비 비중이 매우 높은 적재비용 및 운송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프리캐스트 방식의 분할되는 구조로 제작하고, 이러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구현하므로서, 상차, 적재, 운송, 하차 등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이로 인해 원가대비 비중이 매우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은, 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와 대응되는 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의 내부와 후면 벽체부의 내부에 각각 매설되는 연결베이스, 상기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및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상기 연결부와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높은 적재비용 및 운송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프리캐스트 방식의 분할되는 구조로 제작하고, 이러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구현하므로서, 상차, 적재, 운송, 하차 등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이로 인해 원가대비 비중이 매우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은, 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와 대응되는 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의 내부와 후면 벽체부의 내부에 각각 매설되는 연결베이스, 상기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및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상기 연결부와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높은 적재비용 및 운송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 구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하여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PC(Precast Concrete)공법은 미리 건축물의 기둥, 보, 슬래브, 벽체 등의 부재를 별도의 장소에서 미리 생산한 후 건축현장에서 조립시공하는 공법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이 용이하고 외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장소에서 생산할 수 있어 양질의 부재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기계화 작업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PC공법에 사용되는 PC구조물 중 PC벽체구조물은 건물의 한쪽면에 부합되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지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내부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철근을 매설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벽체를 제작하고, 상기 벽체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PC벽체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PC벽체구조물은 단순히 두 개의 벽체에 철근 등의 연결장치를 배근한 다음 상기 벽체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결합 안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제작이 완료된 PC벽체구조물의 하중이 무거우므로 상차, 적재, 운송, 하차 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PC벽체구조물의 원가대비 적재비용 및 운송비용이 많이 발생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프리캐스트 방식의 분할되는 구조로 제작하고, 이러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구현하므로서, 상차, 적재, 운송, 하차 등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이로 인해 원가대비 비중이 매우 높은 적재비용 및 운송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은, 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와 대응되는 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의 내부와 후면 벽체부의 내부에 각각 매설되는 연결베이스, 상기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및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상기 연결부와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 상기 간격유지부의 양단에서 동일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 및 후면 벽체부와 각각 접촉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베이스에는 상기 제1체결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 각각에는 상기 절곡부의 제1체결홀을 관통한 결합부가 연결베이스의 제2체결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의 내부에 각각 매설되고 상기 연결베이스와 결합되는 보강부, 상기 연결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트러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 시공방법은, 내부에 연결베이스가 매설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제작하는 제1단계,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배치한 다음,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에 연결부를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에 결합부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을 가공하고, 상기 연결베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한 결합부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에 연결베이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부의 체결홀을 관통한 결합부가 연결베이스의 체결홀에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됨에 따라 건축 현장에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분리형 조립구조물로 제작한 다음 건축 현장으로 개별 운반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상차, 운송, 하차 등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이로 인해 원가대비 비중이 매우 높은 적재비용 및 운송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전달되는 하중 및 건축물의 상부에서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저향력이 향상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결합함에 있어, 매개체 역할을 하는 연결베이스를 위치고정부로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연결베이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와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가 어긋나지 않고 항상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후속공정에서 차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긴장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위치고정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적용된 벽체부의 단계별 제조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긴장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위치고정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적용된 벽체부의 단계별 제조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긴장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위치고정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에 적용된 벽체부의 단계별 제조공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구조물(1)은, 전면 벽체부(10), 후면 벽체부(20), 연결 베이스, 연결부(40), 결합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는 공장 또는 시공현장에서 PC(PRECAST)공법으로 제작되며, 건축물에서 벽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거푸집(100)의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 및 양생한 다음 거푸집(100)을 탈형하므로서, 동일한 형상, 크기, 두께를 갖도록 제작된다.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는 사각형의 평판형 구조이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내부에는 보강부(60)가 매설된다.
상기 보강부(60)는 철근일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100)의 내부에 격자 형태로 셋팅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므로서,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내부에 각각 배근된다.
이러한 보강부(60)는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보강하므로서, 작용하는 하중에 충분하게 저항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베이스(30)는 후술되는 연결부(40)가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에 각각 매설된다.
상기 연결베이스(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보강부(60)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 전면 벽체부(10)에 매설되는 연결베이스(30)와 후면 벽체부(20)에 매설되는 연결베이스(30)는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40)는 연결베이스(30)를 매개로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베이스(30)는 연결부(40)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면 원 형상 외에도 타원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연결베이스(30)는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 다수개의 연결부(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60)에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연결하는 것으로, 간격유지부(41)와 절곡부(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연결베이스(3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에 4개의 연결베이스(30)가 매설되면 상기 연결부(40)도 4개로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부(4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간격유지부(41)는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빈 공간(S)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41)는 상기 빈 공간(S)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대한 버팀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42)는 상기 결합부(50)가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유지부(41)의 양단에서 동일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간격유지부(41)와 절곡부(42)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42)는 상기 간격유지부(4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절곡부(42)는 상기 전면 벽체부(10) 및 후면 벽체부(20)와 각각 접촉되되, 상기 연결베이스(3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42)에는 상기 결합부(50)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제1체결홀(421)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연결베이스(30)에도 상기 결합부(50)가 체결되며 상기 제1체결홀(42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체결홀(3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에는 상기 연결베이스(30)의 제2체결홀(3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가이드홀(11,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1,21)은 일단이 상기 절곡부(42)의 제1체결홀(421)을 향하도록 노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체결홀(421)을 관통한 결합부(50)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홀(11,21)을 관통한 다음 연결베이스(30)의 제2체결홀(31)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연결부(40)를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공지의 앙카볼트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50)는 일부분이 상기 절곡부(42)의 제1체결홀(421)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홀(11,21)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베이스(30)의 제2체결홀(31)에 체결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때, 도 3은 긴장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50)의 일부분은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너트로 적용되는 긴장부(90)로 강결히 체결긴장하여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가 일체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빈 공간(S)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고,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1)을 통해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건축물의 상부에서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부(50)에 각각 긴장부(90)를 체결하면 상기 긴장부(90)의 동작을 통해 결합부(50)가 인장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및 건축물의 상부에서 하중이 전달되면 상기 결합부(50)의 장력 및 수직력을 통해 저항하여 안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1)은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 간의 결합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트러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70)는 상기 간격유지부(41)의 사이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며 양측이 상기 간격유지부(41)에 용접 결합되거나 볼팅 결합되어, 상기 간격유지부(41)들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빈 공간(S)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된다.
즉, 상기 트러스(70)는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강결하게 연결 및 일체화 시키므로서, 상기 빈 공간(S)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 및 연결부(40)가 휨,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1)을 통해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건축물의 상부에서 작용되는 하중이 상기 트러스(70)들에 고루게 분산됨에 따라, 벽체 구조물(1)의 일정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2, 도4, 도5 내지 도7을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내부에 연결베이스(30)가 매설된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제작한다.(제1단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의 거푸집(100) 내부에 다수개의 보강부(60)를 격자 형태로 셋팅한 다음 상기 보강부(60)의 상면에 다수개의 연결베이스(30)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가면서 용접 결합한다.
부가적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60)에는 상기 거푸집(100)의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할 경우 상기 연결베이스(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부(80)가 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80)는 상기 연결베이스(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직선부(81), 상기 직선부(81)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형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부(81)는 저면이 상기 보강부(60)의 상면에 용접 결합되고, 끝단은 상기 연결베이스(30)의 외측면에 용접결합된다.
상기 파형부(82)는 직선부(81)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60)의 상면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 파형부(82)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60)들에 고루게 접촉된 상태로 용접 고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위치고정부(80)는 상기 연결베이스(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되어, 상기 연결베이스(3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하중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절곡부(42)의 제1체결홀(421)과 연결베이스(30)의 제2체결홀(31) 및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가이드홀(11,21)이 어긋나지 않고 항상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속공정에서 결합부(50)를 통해 절곡부(42)를 전면 벽체부(10) 또는 후면 벽체부(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차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거푸집(100)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 후 경화한 다음 거푸집(100)을 제거하여 전면 벽체부(10)를 제작하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후면 벽체부(20)도 제작한다.
이때, 상기 전면 벽체부(10)가 건축물의 실내 측에 위치되고 후면 벽체부(20)가 실외 측에 위치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전면 벽체부(10) 중 실내를 향하는 면에는 단열도료나 우레탄도료 또는 에폭시도료를 도포한 다음 경화시키므로서, 단열막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단계에는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에 가이드홀(11,21)를 각각 가공하고, 상기 연결베이스(30)에는 상기 가이드홀(11,21)과 연결되는 제1체결홀(421)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홀(11,21) 및 제1체결홀(421)은 드릴로 드릴링하여 가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부(50)가 연결베이스(30)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 연결부(40)를 배치한 다음, 결합부(50)를 통해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에 고정한다.(제2단계)
상기 결합부(50)를 통한 연결부(40)의 고정은 전면 벽체부(10)를 바닥에 수평 형태로 전도시킨 다음 연결부(40)의 하측에 형성된 절곡부(42)가 전면 벽체부(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절곡부(42)가 전면 벽체부(10)의 내부에 매립된 연결베이스(3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면 벽체부(10)에는 가이드홀(11,21)이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연결베이스(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절곡부(42)의 제1체결홀(421)과 연결베이스(30)의 제2체결홀(31)에 결합부(5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체결하여 절곡부(42)를 전면 벽체부(10)에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간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분리형 조립구조물로 제작한 다음 건축 현장으로 개별 운반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상차, 운송, 하차 등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이로 인해 원가대비 비중이 매우 높은 적지 및 운송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후에, 크레인 등의 인양장치로 후면 벽체부(20)를 인양하여 상기 연결부(40)의 상측에 형성된 절곡부(42)의 상면에 안착한 다음, 절곡부(42)의 제1체결홀(421)과 연결베이스(30)의 제2체결홀(31)에 결합부(50)를 체결하여 절곡부(42)를 후면 벽체부(20)에 고정한다.
이후, 콘크리트(C)의 외부로 돌출된 보강부(60)의 일부분에 와이어 로프를 고정한 다음 크레인 등의 인양장치로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한번에 기립시킨다.
이때,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결합은 상기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크레인으로 기립 시킨 다음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로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를 지지한 후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와 같이 기립된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 다음 양생시켜 벽체 구조물(1)을 형성한다.(제3단계)
상기 연결부(40)의 간격유지부(41)에 의해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의 사이에는 빈 공간(S)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빈 공간(S)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 및 양생됨에 따라 상기 전면 벽체부(10)와 후면 벽체부(20)는 일체화 되어 벽체 구조물(1)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벽체 구조물(1)이 완성되면 그 상부에 슬래브 또는 지붕을 시공하여 다층 구조 또는 단층 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 : 벽체 구조물 10 : 전면 벽체부
11,21 : 가이드홀 20 : 후면 벽체부
30 : 연결베이스 31 : 제2체결홀
40 : 연결부 41 : 간격유지부
42 : 절곡부 421 : 제1체결홀
50 : 결합부 60 : 보강부
70 : 트러스 80 : 위치고정부
81 : 직선부 82 : 파형부
90 : 긴장부 100 : 거푸집
11,21 : 가이드홀 20 : 후면 벽체부
30 : 연결베이스 31 : 제2체결홀
40 : 연결부 41 : 간격유지부
42 : 절곡부 421 : 제1체결홀
50 : 결합부 60 : 보강부
70 : 트러스 80 : 위치고정부
81 : 직선부 82 : 파형부
90 : 긴장부 100 : 거푸집
Claims (6)
- 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와 대응되는 후면 벽체부; 상기 전면 벽체부의 내부와 상기 후면 벽체부의 내부에 각각 매설되는 연결베이스; 상기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및 상기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 상기 연결부와 상기 후면 벽체부의 연결베이스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후면 벽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후면 벽체부의 내부에 각각 매설되고, 상기 연결베이스와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끝단이 각각 상기 연결베이스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 및
상기 간격유지부의 양단에서 동일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 및 상기 후면 벽체부와 각각 접촉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베이스에는 상기 제1체결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 각각에는 상기 절곡부의 제1체결홀을 관통한 결합부가 연결베이스의 제2체결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보강부에 결합되고, 끝단은 상기 연결베이스에 결합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사이에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에 결합되는 파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부는 상기 보강부의 상면에 용접 결합되어 보강부들에 고루게 접촉됨으로써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연결베이스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구조의 벽체구조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후면 벽체부의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결합부의 돌출된 부분에 너트로 적용되어 체결되는 긴장부; 및
상기 연결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트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벽체 구조물. - 내부에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에 결합되는 연결베이스와, 상기 보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끝단이 각각 상기 연결베이스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부가 매설된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를 제작하는 제1단계;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후면 벽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배치한 다음,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후면 벽체부에 연결부를 고정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전면 벽체부와 후면 벽체부에 결합부가 관통되는 가이드홀을 가공하고, 상기 연결베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한 결합부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보강부에 결합되고, 끝단은 상기 연결베이스에 결합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사이에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에 결합되는 파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부는 상기 보강부의 상면에 용접 결합되어 보강부들에 고루게 접촉됨으로써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연결베이스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벽체 구조물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990A KR102029001B1 (ko) | 2016-04-01 | 2016-04-01 |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990A KR102029001B1 (ko) | 2016-04-01 | 2016-04-01 |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648A KR20170112648A (ko) | 2017-10-12 |
KR102029001B1 true KR102029001B1 (ko) | 2019-10-07 |
Family
ID=6014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9990A KR102029001B1 (ko) | 2016-04-01 | 2016-04-01 |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90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2081B1 (ko) * | 2020-07-10 | 2021-08-2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스터드와 스페이서를 구비한 네일리스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305B1 (ko) * | 2013-08-21 | 2014-03-28 | 안창일 |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0493A (ko) * | 2009-10-14 | 2011-04-20 | 노동신 |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
KR101328436B1 (ko) * | 2012-08-06 | 2013-11-14 | 이영우 | 조립식 옹벽블록 |
-
2016
- 2016-04-01 KR KR1020160039990A patent/KR1020290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305B1 (ko) * | 2013-08-21 | 2014-03-28 | 안창일 |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648A (ko)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22507B2 (en) | Concrete platform production process, concrete platform, and connecting member | |
KR101505579B1 (ko) |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파이프 렉 구조체 또는 보 기둥 접합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 |
KR101523532B1 (ko) |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 |
JP2011005689A5 (ko) | ||
WO2009011516A2 (en) | Form with reinforcing bars, non-support form system and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63132B1 (ko) | 자립 기둥구조체 | |
KR20100121866A (ko) |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 |
JP2014095256A (ja) |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 |
KR102432140B1 (ko) |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 |
KR102029001B1 (ko) |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954387B1 (ko) |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 |
KR101324884B1 (ko) |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 |
KR20170142384A (ko) |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 |
KR101311207B1 (ko) | 철골 철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 |
JP6849491B2 (ja) |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90046336A (ko) |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 |
JP4565331B2 (ja) | 床の構造 | |
KR101436969B1 (ko) |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 |
KR101347556B1 (ko) |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 |
JPH0434161A (ja) | Pc柱及びpc柱構法 | |
KR101954752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2289243B1 (ko) | 철근 선조립기둥, u형 강판보 및 골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식화공법 | |
KR102553200B1 (ko) | 거푸집 일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2349442B1 (ko) | 좌우 방향의 싱글 보와 전후 방향의 더블 보를 갖고 기둥 주변에 콘크리트부가 형성된, 기둥과 보의 결합 구조 | |
KR101968507B1 (ko) |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