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435Y1 -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435Y1
KR200346435Y1 KR20-2003-0039036U KR20030039036U KR200346435Y1 KR 200346435 Y1 KR200346435 Y1 KR 200346435Y1 KR 20030039036 U KR20030039036 U KR 20030039036U KR 200346435 Y1 KR200346435 Y1 KR 200346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truss
fixing rod
vertical fixing
truss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천섭
김우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to KR20-2003-0039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Abstract

금속제 기판 상에 트러스 거더가 부설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개선된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의 경우 철골보나 보 거푸집의 상부에 설치함에 있어 그 단부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고정 작업에 불편이 있고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없었던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크기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바닥 기판과; 상기 바닥 기판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부설된 다수개의 트러스 거더; 및, 상기 트러스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양 끝단에 소직경의 봉재를 연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수직 고정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를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Truss Girder Attached Deck Plate Equiped with End Fixture}
본 고안은 금속제 기판 상에 트러스 거더가 부설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 거더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수직 고정봉이 마련되고 이 수직 고정봉이 고정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철골보나 보 거푸집의 상부에 거치된 데크 플레이트가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이나 기타 외력에 의하여 설치된 위치로부터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플레이트란 구조물의 바닥판을 형성함에 있어 거푸집 대용으로서 콘크리트 타설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제조된 슬래브용 자재를 말한다. 이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이를 보(beam 또는 girder) 사이에 거치하여 고정한 다음, 상부에 콘크리트를 소정 두께로 타설하여 바닥판을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시공 방식의 경우 공장 생산된 데크 플레이트 제품을 단순히 보 상부에 거치하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현장 작업의 감소에 따라 공사 기간의 단축 및 적정 품질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 최근 들어 이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한 슬래브 시공의 경우 통상적으로철골조 건축물에서의 슬래브 형식으로 주로 적용되고 있던 것이나, 최근 들어서는 데크 플레이트가 가지는 여러 장점들로 인하여 이를 철골 구조물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기존의 일반적인 구조 형식인 철근 콘크리트조 건물에도 접목시켜 그 적용 영역을 확대시켜 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조(이하 'RC조'라고도 칭함) 건축물의 경우 바닥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합판 및 동바리 등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이를 해체하여야 했던 것으로,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대신 전술한 것과 같은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동바리 등 가설재의 설치 작업 없이 데크 플레이트의 설치만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는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가 해체되지 않고 그대로 슬래브 구조체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므로 거푸집 해체 공사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바,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바닥 슬래브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철골보 또는 보 거푸집의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이를 철골보 또는 보 거푸집에 견고히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타설시의 압력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가 밀려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철골조의 경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태그 용접을 실시하여 상부의 기판과 하부의 철골보가 접합되도록 하고 있었으며, RC조의 경우 소정 간격으로 기판 상부에 못을 박아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가 보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의 경우 고정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는 바, 철골보 상부에 설치함에 있어 태그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경우 비교적 얇은 박판 형태의 기판이 용접 모재가 됨에 따라 용접시에 이러한 기판이 쉽사리 녹아 들어가므로 기판의 손상이 심하여 용접 작업이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용착 금속이 모재와 접하는 면적이 충분하지 못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RC조에서의 경우에 있어서도 아연도 강판으로 된 기판 상부에 못을 박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에 상당한 인력이 소요될 수 밖에 없었으며, 아울러 데크 플레이트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자칫 데크 플레이트가 붕괴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는 바, 상기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 고정 방식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수직 고정봉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를 철골보 또는 보 거푸집의 상부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수직 고정봉을 고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간편한 작업에 의해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의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이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보의 상부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보 거푸집의 상부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10: 바닥 기판 20: 트러스 거더
21: 상부철근 22: 하부철근
30: 수직 고정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정 크기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바닥 기판과; 상기 바닥 기판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부설된 다수개의 트러스 거더; 및, 상기 트러스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양 끝단에 소직경의 봉재를 연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수직 고정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의 경우 별도의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철골보 또는 보 거푸집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 작업에 불편함이 있었던 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공지의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트러스 거더의 끝단에 고정수단으로서 수직 고정봉을 마련하여 두고, 이 수직 고정봉을 활용하여 철골보 등에 간편하고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수직 고정봉의 길이는 그 하단부가 기판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기판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아래로 위치하도록 정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철골보 상부에 설치함에 있어 상기 수직 고정봉을 철골보에 용접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 기판 아래로 돌출된 수직 고정봉을 보 거푸집 측면 상부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개념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실시예들을 제시하고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고안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 둔다.
도1 내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의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이의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1)는 전체적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금속제 바닥 기판(10)과 상기 바닥 기판(10)의 상부에 부설된 다수개의 트러스 거더(20)로 이루어진 트러스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거더(20)의 끝단에 소직경의 봉재를 연직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직 고정봉(3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존에 여러 형태로 개발되어 있던 데크 플레이트들 중에서 바닥 기판(10)상에 트러스 거더(20)가 부설된 형태의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트러스 거더(20)의 끝단에 수직 고정봉(30)을 연직 방향으로 형성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의 경우, 대략 평판의 형태를 가지는 바닥 기판 위에 트러스 거더(20)를 일체로 부착하되, 상기 트러스 거더(20)는 소직경의 철선을 연속된 파형을 갖도록 가공한 래티스(25)에 1본의 상부철근(21)과 2본의 하부철근(22)을 부설한 형태를 가지도록 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끝단에 수직 고정봉(3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트러스 거더가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라면 다른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트러스 거더의 끝단에는 수직 고정봉(30)이 세워져 형성된다. 이 수직 고정봉(30)은 본 고안의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1)를 철골보의 상부나 RC조에서의 보 거푸집 상부에 설치함에 있어 고정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에서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소직경의 봉재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수직 고정봉(3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크게 두 가지 형태의 방식을 제시한다. 먼저 도1 및 도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러스 거더(20)를 구성하는 상부철근(21) 또는 하부철근(22)을 수직 하방으로 절곡하여 수직 고정부(30)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와 같은 방식을 따르게 되면 수직 고정부(30)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마련함이 없이 단지 상부철근 또는 하부철근을 절곡하는 것만으로 수직 고정부(30)의 형성이 이루어지므로 제품 생산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시된 예들에서는 하부철근(22)을 절곡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부철근(21)을 절곡하여 상기와 같은 수직 고정부(21)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도3 및 도4에는 상기와 같은 수직 고정부(30)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식에 의해 실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는철근 또는 철선과 같은 소직경의 봉재를 'ㄷ'자형으로 가공한 별도의 부재(35)를 마련한 후 이를 트러스 거더(20)의 끝단에 부착하여 수직 고정봉(3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 이와 같은 방식을 따를 경우 이 부재(35)의 설치에 있어 용접과 같은 작업을 요하는 단점이 있으나, 이는 도시와 같이 양 하부철근(22)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단부 보강재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직 고정봉(30)의 길이를 정함에 있어 그 하단부가 기판(10)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기판(10)보다 소정 길이만큼 아래로 위치하도록 정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1 및 도3에는 수직 고정봉(30)의 하단이 기판(10) 높이와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의 것은 철골 구조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를 철골보의 상부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고정봉(30)의 하단부를 철골보 상면에 용접함으로써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를 철골보(B) 상부에 거치하게 되면 상기 수직 고정봉(30)의 하단이 상기 철골보 상면에 접하는 상태가 되며, 이 수직 고정봉(30)의 하단을 철골보(B)와 용접하게 되면 데크 플레이트(1)의 단부가 철골보(B)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수직 고정부(30)의 하단부에는 이를 소정 각도로 개선(開先)한 개선부(30g)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선부(30g)에 용착 금속(W)이 용이하게 함입될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고정부(30)는 그 하단이 바닥 기판(10)보다 소정 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와 위치하도록 그 길이를 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한 예가 도2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것은 철근 콘크리트조에서 보 거푸집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1)의 단부를 보 거푸집(F)의 상부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고정봉(30)의 하방 돌출된 하단부가 보 거푸집(F)의 상부 측면에 걸림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1)를 보 거푸집(F) 상부에 거치하게 되면, 상기 수직 고정봉(30)의 바닥 기판(10) 하부로 돌출된 부위가 보 거푸집(F)의 내측면에 걸림되고 이로써 본 고안의 데크 플레이트(1)가 보 거푸집(F)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는 타설압으로 인한 데트 플레이트의 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수직 고정봉이 마련되어 있어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를 철골보 또는 보 거푸집의 상부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수직 고정봉을 고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간편한 작업에 의해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소정 크기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바닥 기판;
    상기 바닥 기판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부설된 다수개의 트러스 거더; 및,
    상기 트러스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양 끝단에 소직경의 봉재를 연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수직 고정봉;
    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2. 제1항에서, 상기 수직 고정봉은 하단부가 상기 기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3. 제2항에서, 상기 수직 고정봉은 하단부가 소정 각도로 개선(開先)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4. 제1항에서, 상기 수직 고정봉은 하단부가 상기 기판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직 고정봉은 상기 트러스 거더를 구성하는 상부 또는 하부 철근을 수직 하방으로 절곡하여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직 고정봉은 소직경의 봉재를 'ㄷ'자형으로 가공한 것을 상기 트러스 거더의 끝단에 부착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2003-0039036U 2003-12-15 2003-12-15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0346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36U KR200346435Y1 (ko) 2003-12-15 2003-12-15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36U KR200346435Y1 (ko) 2003-12-15 2003-12-15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435Y1 true KR200346435Y1 (ko) 2004-03-31

Family

ID=4934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036U KR200346435Y1 (ko) 2003-12-15 2003-12-15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4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48B1 (ko) 2004-04-13 2006-06-08 주식회사 윈스틸 단부 구조가 개선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160043344A (ko) * 2014-10-13 2016-04-21 김영미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425672B1 (ko) * 2021-02-15 2022-07-28 정성대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48B1 (ko) 2004-04-13 2006-06-08 주식회사 윈스틸 단부 구조가 개선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160043344A (ko) * 2014-10-13 2016-04-21 김영미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648071B1 (ko) * 2014-10-13 2016-08-12 김영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425672B1 (ko) * 2021-02-15 2022-07-28 정성대 무강판 트러스데크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슬래브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25546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EP2181224A1 (en) Improved girders for reinforcing concret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m to pillars in order to provide continuity from bay to bay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JP6108595B2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KR101499337B1 (ko) 광폭 pc 복합거더
KR200407092Y1 (ko) 캔틸레버부의 피씨 패널 지지구조
KR101687748B1 (ko) 탈형 데크
KR200346435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101639009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100769999B1 (ko) 개량형 동바리, 자립식 개량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거푸집 설치구조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JP3938035B2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200390911Y1 (ko) 래티스 철선 단부에 수직 고정봉이 부착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KR20024133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KR200397203Y1 (ko) 단부 구조가 개선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KR100658831B1 (ko) 래티스 철선 단부에 수직 고정봉이 부착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KR100650444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2209501B1 (ko)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