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666B1 -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666B1
KR101336666B1 KR1020120034850A KR20120034850A KR101336666B1 KR 101336666 B1 KR101336666 B1 KR 101336666B1 KR 1020120034850 A KR1020120034850 A KR 1020120034850A KR 20120034850 A KR20120034850 A KR 20120034850A KR 101336666 B1 KR101336666 B1 KR 101336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d
slab foam
joint ba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455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66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에는 헤드가 구비된 서포트와,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미들빔과, 상기 헤드와 상기 미들빔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된 슬래브 폼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미들빔 사이에는 조인트 바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미들빔이 콘크리트로부터 하향 이격되면 상기 조인트 바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래브 폼 해체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공사 현장 주변에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으며, 안전사고로 인한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SLAB FORM DEVICE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 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기 위해 거푸집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거푸집을 이용한 시공이 용이하도록 슬래브 폼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는 바둑판처럼 연결된 복수 개의 슬래브 폼과, 슬래브 폼의 하부에 마련되어 슬래브 폼의 하중을 지지하는 미들빔과, 미들빔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콘크리트 양생 후 서포트와 미들빔을 분리하고, 밀착된 상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슬래브 폼을 한꺼번에 떨어뜨리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슬래브 폼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로 인한 부상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브 폼 해체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슬래브 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래브 폼 해체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슬래브 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는 헤드가 구비된 서포트와,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미들빔과, 상기 헤드와 상기 미들빔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된 슬래브 폼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미들빔 사이에는 조인트 바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미들빔이 콘크리트로부터 하향 이격되면 상기 조인트 바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미들빔과 상기 조인트 바를 연결하는 고정핀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는 걸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면 양측에는 상기 고정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향 연장된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빔에는 상기 조인트 바가 인입 고정되도록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하단에는 상기 조인트 바 상측이 고정 지지되도록 함몰된 절곡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슬래브 폼 해체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공사 현장 주변에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슬래브 폼 해체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부상 우려가 감소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는 콘크리트 양생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래브 폼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폼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는 콘크리트 양생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경우 슬래브 폼 해체를 위해 미들빔과 서포트를 분리하면 슬래브 폼이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소음이 발생하고, 슬래브 폼 하중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는 헤드(110)가 구비된 서포트(100)와, 헤드(110)의 길이 방향(x)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미들빔(200)과, 헤드(110)와 미들빔(200)의 폭 방향(y) 양측에 설치된 슬래브 폼(300)을 포함하며, 한 쌍의 미들빔(200) 사이에는 조인트 바(400)가 구비되고, 서포트(100)에는 미들빔(200)이 콘크리트(c)로부터 하향 이격되면 조인트 바(4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를 제공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슬래브 폼(300)을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300)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c)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분리된다.
헤드(110)의 길이 방향(x)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미들빔(200)은 조인트 바(400)로 연결되고, 이러한 조인트 바(400)는 서포트(100)에 구비된 지지프레임(500)에 의해 지지된다.
슬래브 폼(300) 해체 시 지지프레임(500)은 콘크리트(c)로부터 일정 거리 하향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하향 이동하는 조인트 바(400)를 지지하게 된다.
즉,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300)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분리되고, 해체 시 한 쌍의 미들빔(200)을 연결하는 조인트 바(400)가 서포트(100)에 구비된 지지프레임(5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슬래브 폼 해체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미들빔(200)과 조인트 바(400)를 연결하는 고정핀(410)이 구비되고, 지지프레임(500)에는 고정핀(410)을 지지하는 걸림면(5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의 길이 방향(x)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미들빔(200)과 조인트 바(400)를 연결하기 위해 고정핀(410)이 구비되고, 이러한 고정핀(410)은 지지프레임(500)에 지지된다.
한 쌍의 미들빔(200)과 조인트 바(4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핀(4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500)에는 슬래브 폼 해체 시 고정핀(410)을 지지하는 걸림면(510)이 형성된다. 즉, 상호 연결된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300)을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한 쌍의 미들빔(200)과 조인트 바(400)를 연결하기 위해 고정핀(410)이 지지프레임(500)에 형성된 걸림면(510)에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헤드(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고정핀(410)이 동시에 지지되므로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아니하고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면(510) 양측에는 고정핀(4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향 연장된 지지면(5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림면(510) 양측에 지지면(520)이 형성되면 슬래브 폼 해체 시 조인트 바(400)가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지지면(520)은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면(520) 사이의 거리는 상부와 하부의 이격거리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지지면(520) 상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한 쌍의 지지면(520) 하단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미들빔(200)에는 조인트 바(400)가 인입 고정되도록 인입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입홈(210)이 형성되면 조인트 바(400)와 미들빔(2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핀(410)이 구비됨으로써 미들빔(200)과 조인트 바(4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미들빔(200) 측면에는 슬래브 폼(300) 고정을 위한 슬래브 폼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110) 하단에는 조인트 바(400) 상측이 고정 지지되도록 함몰된 절곡면(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드(110) 하단에 절곡면(111)이 형성되면 헤드(110)와 조인트 바(40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절곡면(111)은 조인트 바(400) 상측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브 폼(300) 해체 시 헤드(110)는 양생된 콘크리트(c)를 지지하고, 미들빔(200)을 연결하는 조인트 바(400)와 슬래브 폼(300)만 하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하향 이동하는 조인트 바(400)와 슬래브 폼(300)이 아무런 간섭 없이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서포트 110 : 헤드
111 : 절곡면
200 : 미들빔 210 : 인입홈
300 : 슬래브 폼
400 : 조인트 바 410 : 고정핀
420 : 지지핀
500 : 지지프레임 510 : 걸림면
520 : 지지면
c : 콘크리트
x : 헤드의 길이 방향
y : 헤드의 폭 방향

Claims (5)

  1. 상단에 헤드(110)가 구비된 서포트(100);
    상기 헤드(110)의 길이 방향(x)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미들빔(200);
    상기 헤드(110) 및 상기 미들빔(200)의 폭 방향(y) 양측에 설치된 슬래브 폼(300);
    상기 한 쌍의 미들빔(200) 사이에 구비되는 조인트 바(400);
    콘크리트(c)로부터 하향 이동되는 상기 조인트 바(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10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들빔(200)과 상기 조인트 바(400)를 연결하는 고정핀(41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00)에는 상기 고정핀(410)을 지지하는 걸림면(510)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미들빔(200)과 상기 조인트 바(400) 사이를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핀(420)이 상기 고정핀(410)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지프레임(500)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510) 양측에는 상기 고정핀(4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향 연장된 지지면(5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빔(200)에는 상기 조인트 바(400)가 인입 고정되도록 인입홈(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 하단에는 상기 조인트 바(400) 상측이 고정 지지되도록 함몰된 절곡면(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KR1020120034850A 2012-04-04 2012-04-04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KR101336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50A KR101336666B1 (ko) 2012-04-04 2012-04-04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50A KR101336666B1 (ko) 2012-04-04 2012-04-04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55A KR20130112455A (ko) 2013-10-14
KR101336666B1 true KR101336666B1 (ko) 2013-12-04

Family

ID=4963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50A KR101336666B1 (ko) 2012-04-04 2012-04-04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96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레이젠 네일용 경화기 및 이를 이용한 네일용 경화기 시스템
CN112962960B (zh) * 2021-02-09 2022-07-01 广西建工集团第三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叠合楼板固接独立支撑早拆模支撑体系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54A (ko) * 2004-07-08 2006-01-12 주식회사 일호 건축공사용 보강빔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007539B1 (ko) * 2007-12-13 2011-01-14 삼목정공주식회사 슬래브 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54A (ko) * 2004-07-08 2006-01-12 주식회사 일호 건축공사용 보강빔
KR101007539B1 (ko) * 2007-12-13 2011-01-14 삼목정공주식회사 슬래브 폼 장치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55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394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090076813A (ko) 슬래브 폼 장치
KR20120117364A (ko) 이동식 비계공법에 사용되는 메인 거더 지지용 피어 브라켓
US20220341193A1 (en) Beam for formwork systems
KR10133666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KR101207580B1 (ko) 헤드 분리형 드롭헤드를 이용한 슬래브 폼 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007539B1 (ko) 슬래브 폼 장치
KR101759710B1 (ko) 건축물의 보 성형을 위한 보 거푸집 받침방법
KR101825587B1 (ko)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042382B1 (ko) 슬래브 폼 장치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639009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JP2002004572A (ja)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構造
KR101186710B1 (ko) 신축이음장치를 구비한 교량용 종방향 점검로
KR101531493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 단부 지지구
KR101602155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바닥 형성용 데크구조체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101350921B1 (ko) 거더교 가설작업용 브래킷
KR101143422B1 (ko)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 구축장치
KR101353089B1 (ko)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KR20130004588U (ko) 건축용 가설구조물
KR102251920B1 (ko) 장 스팬용 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1834630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