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088Y1 - 벽체용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벽체용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088Y1
KR200432088Y1 KR2020060023974U KR20060023974U KR200432088Y1 KR 200432088 Y1 KR200432088 Y1 KR 200432088Y1 KR 2020060023974 U KR2020060023974 U KR 2020060023974U KR 20060023974 U KR20060023974 U KR 20060023974U KR 200432088 Y1 KR200432088 Y1 KR 200432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panel
rectangular frame
formwork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남
Original Assignee
만종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종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종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3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0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수평 앵글을 일체화시켜 정밀시공 및 조립, 운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벽체용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패널을 수용하는 직사각틀 프레임과, 이 직사각틀 프레임 내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패널의 배부름 현상을 막고 동시에 직사각틀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의 앵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로서, 상기 직사각틀 프레임의 하부에 "ㄱ"자형 수평 앵글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수평 앵글의 수직부의 외면이 거푸집 패널의 패널 외면과 수직된 상태로 하여 동일선상으로 일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푸집, 패널, 수평, 앵글

Description

벽체용 거푸집 패널{Mold pannel for wall}
도 1은 종래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또 다른 거푸집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또 다른 거푸집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벽체용 거푸집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평 앵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벽체용 거푸집 패널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타이와 쐐기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푸집 패널 10a : 패널
20 : 직사각틀 프레임 22 : 채널홈
24 : 보강편 26 : 체결공
30 : 앵글프레임 32 : 리벳
40 : 수평 앵글 42 : 수평부
44 : 체결공 46 : 수직부
60 : 볼트 70 : 너트
80 : 타이 90 : 쐐기
300 : 기초 콘크리트 바닥
<기술분야>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는데 적합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수평 앵글을 일체화시켜 정밀시공 및 조립, 운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벽체용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골조공사에 있어서, 각 층의 층 간 높이는 대개의 경우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는바, 벽체의 골조공사를 함에 있어서, 1층이 기준 층이 되어 거푸집 패널을 세팅하게 된다. 예를 들어, 1층의 높이가 2.4미터의 경우, 1.2미터 높이(세로방향)의 거푸집 패널 두 장을 연결하고 이를 또 횡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규격화된 거푸집 패널은 층 간의 설계 높이가 2.6미터의 경우 거푸집 패널 사이에 스페이서를 매개로 하여 높이를 맞추게 되며, 또한, 바닥 콘크리트의 면이 불규칙한 경우 바닥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바닥 수평장치를 도입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거푸집 패널을 설치할 때 바닥 콘크리트와 수평을 유 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고정수단으로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그에 따른 시공성 및 작업성과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 이르기까지 고안자가 검토한 종래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49981호에 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100)을 설치하기 위해, 먼저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수평목(110)을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시켜 배치하고 이 수평목(110)을 기초 콘크리트 바닥(300)에 고정하기 위해 못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이 수평목(110)의 상면에 각목(120)을 못(122)으로 수평목(110)에 고정하여 이를 토대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설치하였다.
도면 중 부호 130은 양 거푸집 패널(100)의 패널(100a)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는 타이이고, 부호 132는 상기 타이(130)를 고정하는 쐐기이고, 부호 134는 또 다른 거푸집 패널(100)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편이고, 부호 136은 상기 연결편(134)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양 거푸집 패널(100)은 타이(130)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목(110)을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하여 이를 토대로 설치된 거푸집 패널(100)의 경우, 거푸집 패널(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후 해체시에는 먼저 각목(120)과 수평목(110)을 콘크리트 바닥에서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제거해야 함으로써 2단계의 해체작업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상기 수 평목(110)이 콘크리트 바닥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못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함으로써 수평목(110)을 해체하는데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체시 도구 사용에 의해 수평목(110)에 손상을 가하게 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목(110)의 일 측 수직표면(110a)은 거푸집 패널(100)의 패널(100a)과 같이 거푸집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바, 도 2와 같이 거푸집 패널(100)의 패널(100a)과 수평목(110)의 수직표면(110a)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지 않게 설치될 경우, 양생된 콘크리트 표면에 단차가 발생함으로써 하자공사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양생된 콘크리트의 단차발생 부분을 할석(割石)해야 함으로써 공사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수평목(210)을 앵글(220)을 매개로 거푸집 패널(100)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시켜 사용되는 것으로, 이 또한 수평목(210)을 기초 콘크리트 바닥(300)에 못(212)으로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해체할 때 상기 못(212)을 제거한 후, 수평목(210) 제거와 함께 거푸집 패널(100)을 해체해야 함으로써 2단계를 통한 해체작업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해체를 하는 과정에서 해체 도구의 사용으로 인한 앵글(220)과 수평목(210)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262호에 개시된 것으로, 이는 별도의 수평부재(400)를 기초 콘크리트 바닥(300)에 배치하고 이 수평부재(400)의 상부에 거푸집 패널(100)을 위치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수평부재(400)의 높낮이 조절에 의하여 거푸집 패널(100)의 상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평부재(400)와 거푸집 패널(100)을 해체시 고정핀(420)을 제거한 후 수평부재(400)를 먼저 제거한 후 거푸집 패널(100)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 패널(10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수평부재(400)의 제거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2단계의 해체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부재(400)를 먼저 제거해야 하는 이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400)를 구성하는 밀대고정대(402)와 회전방지구(404)가 거푸집 패널(100)의 하부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밀대고정대(402)와 회전방지구(404)가 거푸집 패널(100)의 하부에 걸려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400)가 거푸집 패널(100)의 패널(100a)과 같이 일부 거푸집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바, 수평부재(400)를 구성하는 받침대(406)의 고정판부(408)와 패널지지대(410)의 피고정판부(412)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이에 따른 단차가 발생되어 이로 인해 양생된 벽체의 콘크리트 표면에 단차가 발생되어 하자공사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종합적으로 볼 때 수평부재(400)의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체로 이루어져 설비비용을 증가시키고 취급성을 저해하며 2단계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각각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콘크리트의 표면 단차로 인해 하자공사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거푸집 패널에 수평부재를 간단히 설치하면서도 거푸집 패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수평부재가 설치된 부위에서 콘크리트 표면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벽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거푸집 패널의 무게를 줄이며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용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거푸집 패널에 부착되는 수평부재로서 앵글부재는 재질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하여 거푸집 패널의 전체 무게를 줄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며 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패널을 수용하는 직사각틀 프레임과, 이 직사각틀 프레임 내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패널의 배부름 현상을 막고 동시에 직사각틀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의 앵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로서, 상기 직사각틀 프레임의 하부에 "ㄱ"자형 수평 앵글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수평 앵글의 수직부의 외면이 거푸집 패널의 패널 외면과 수직된 상태로 하여 동일선상으로 일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ㄱ"자형 수평 앵글은 직사각틀 프레임의 하부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ㄱ"자형 수평 앵글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1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 예>
도 5는 본 고안의 벽체용 거푸집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평 앵글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거푸집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거푸집 패널(10)은 패널(10a)을 수용하는 직사각틀 프레임(20)과 이 직사각틀 프레임(20) 내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패널(10a)의 배부름 현상을 막고 동시에 직사각틀 프레임(2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의 앵글프레임(30)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직사각틀 프레임(20)의 하부 측에는 "ㄱ"자형 수평 앵글(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ㄱ"자형 수평 앵글(40)은 수평부(42)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 공(44)이 천공되고 상대 측 직사각틀 프레임(20)에 체결공(도시생략)이 천공되어 볼트(60)와 너트(70)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때 수평 앵글(40)의 수직부(46)의 외면은 패널(10a)의 외면과 수직된 상태로 하여 동일선상으로 일치되게 조립된다.
도면 중 설명부호 22는 직사각틀 프레임(20)에 다수 형성되어 타이를 설치하는 채널홈을 도시한 것이고, 부호 32는 리벳으로 직사각틀 프레임(20)에 수용된 패널(10a)을 앵글프레임(30)을 통해 고정하는 것이고, 부호 24는 직사각틀 프레임(20)의 내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보강하는 보강편이고, 부호 26은 직사각틀 프레임(20)에 다수 형성되어 타이를 쐐기가 고정토록 하는 체결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ㄱ"자형 수평 앵글(40)은 거푸집 패널(10)의 전체 중량을 줄여 취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의 벽체용 거푸집 패널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로서, 기초 콘크리트 바닥(300)에 수평 앵글(40)이 설치된 거푸집 패널(10)을 위치시킨다. 이때 양 거푸집 패널(10)을 벽체의 폭만큼 정확히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 바닥(300)에 먹줄 치기를 하여 선을 그어 놓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양 거푸집 패널(10)을 벽체의 폭만큼 이격시키고 시공할 벽체의 높이와 폭에 대응하여 여러 장의 거푸집 패널(10)을 위치시키고 직사각틀 프레임(20)에 다수 형성된 채널홈(22)을 통해 타이(80)를 삽입 연결하고 체결공(26)과 타이(80)에 형성된 구멍(82)을 통해 쐐기(90)를 끼워넣어 양 거푸집 패널(10)이 타 이(80)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버팀 강성을 유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다수의 타이(80)와 쐐기(90)를 매개로 거푸집 패널(10)들이 횡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시공할 벽체의 거푸집 패널(10)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할 벽체의 폭만큼 이격된 거푸집 패널(1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시공하게 되는바, 이때 기초 콘크리트 바닥(300)에 위치된 수평 앵글(40)의 수직부(46)의 외면이 거푸집 패널(10)의 패널(10a) 외면과 수직된 상태로 하여 동일선상으로 일치되어 종래처럼 양생된 콘크리트 표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벽체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해체시에는 먼저 쐐기(90)를 제거한 다음 수평 앵글(40)을 포함한 거푸집 패널(10)을 벽체에서 한번에 떼어내면 된다. 이때 수평 앵글(40)의 수직부(46)의 저면(수직부의 앵글 두께)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300)과 선 접촉 형태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치 상기 거푸집 패널(10)이 공중에 뜬 형태로 되어 종래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수평부재 또는 수평목과 같이 콘크리트 바닥에 면 접촉된 것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거푸집 패널(10)을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푸집 패널(1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 앵글(40)은 볼트(60)와 너트(70)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수평 앵글(40)의 손상 정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용 거푸집 패널은, 수평 앵글의 수직부 외면이 패널의 외면과 수직된 상태로 하여 동일선상으로 일치되게 조립되어 콘크리트 표면을 단차없이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수평 앵글의 수직부가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선 접촉 형태로 위치되어 벽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패널을 매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앵글이 거푸집 패널에 볼트와 너트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설치시공 및 양생 후 해체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이 감소되어 취급이 용이하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패널을 수용하는 직사각틀 프레임과, 이 직사각틀 프레임 내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패널의 배부름 현상을 막고 동시에 직사각틀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의 앵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로서,
    상기 직사각틀 프레임의 하부에 "ㄱ"자형 수평 앵글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수평 앵글의 수직부의 외면이 거푸집 패널의 패널 외면과 수직된 상태로 하여 동일선상으로 일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거푸집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 수평 앵글은 직사각틀 프레임의 하부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거푸집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 수평 앵글은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거푸집 패널.
KR2020060023974U 2006-09-06 2006-09-06 벽체용 거푸집 패널 KR200432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74U KR200432088Y1 (ko) 2006-09-06 2006-09-06 벽체용 거푸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74U KR200432088Y1 (ko) 2006-09-06 2006-09-06 벽체용 거푸집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568 Division 2006-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088Y1 true KR200432088Y1 (ko) 2006-11-30

Family

ID=4178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974U KR200432088Y1 (ko) 2006-09-06 2006-09-06 벽체용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07B1 (ko) * 2009-01-22 2009-09-14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의 높이 조절용 로커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07B1 (ko) * 2009-01-22 2009-09-14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의 높이 조절용 로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100688A (en) Method for producing concrete trestle, concrete trestle, and connecting member
US8844224B2 (en) Utility dowel bracket
KR20160129037A (ko) 거푸집 지지 구조체를 위한 어댑터
KR200432088Y1 (ko) 벽체용 거푸집 패널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20100001615U (ko)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200458490Y1 (ko) 콘크리트 측구 시공용 거푸집 프레임
KR200375083Y1 (ko) 벽체 시공용 거푸집 하부 설치 구조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CN204081183U (zh) 一种薄壁方箱空心楼盖芯模抗浮固定装置
KR200292760Y1 (ko) 거푸집 기초가름대
KR200292761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KR200223187Y1 (ko) 키커브라켓트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CN218623430U (zh) 一种楼梯滑动支座安装定位装置
KR100763000B1 (ko)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KR20060041384A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CN210217115U (zh) 一种建筑工程用的模板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100763003B1 (ko) 슬라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