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15U -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15U
KR20180000415U KR2020160004459U KR20160004459U KR20180000415U KR 20180000415 U KR20180000415 U KR 20180000415U KR 2020160004459 U KR2020160004459 U KR 2020160004459U KR 20160004459 U KR20160004459 U KR 20160004459U KR 20180000415 U KR20180000415 U KR 201800004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late
flange portion
manhole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옥
Original Assignee
정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옥 filed Critical 정성옥
Priority to KR2020160004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15U/ko
Publication of KR20180000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을 시공할 때, 맨홀프레임의 높이와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맨홀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맨홀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플랜지부(22)에 높이조절수단(A)을 결합한 후, 높이조절수단(A)의 볼트부재(50)를 조이거나 풀어서,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the structure of manhole}
본 고안은 맨홀을 시공할 때, 맨홀프레임의 높이와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맨홀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어 지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공(11)이 형성된 맨홀구조체(10)와,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11)에 대응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맨홀프레임(20)과, 상기 맨홀프레임(20)에 결합되는 맨홀뚜껑(30)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관통공(21)과 출입공(11)을 통해 맨홀구조체(1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맨홀프레임(20)은 주물제작되며,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하측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맨홀뚜껑(30)을 지지하는 걸림턱(23)이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맨홀은 인도나 차도에 주로 설치되므로 이러한 맨홀을 시공할 때는 상기 맨홀프레임(20)의 상면이 주변의 인도 또는 차도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측에 맨홀 프레임을 설치할 때는 여러 가지 형태의 스페이서(1)를 상기 맨홀구조체(10)와 맨홀프레임(20)의 사이에 끼워 넣어,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페이서(1)를 이용하여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경우,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상기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정확히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50688호, 등록실용신안 20-0408861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맨홀을 시공할 때, 맨홀프레임의 높이와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맨홀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어 지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공(11)이 형성된 맨홀구조체(10)와,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11)에 대응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맨홀프레임(20)과, 상기 맨홀프레임(20)에 결합되는 맨홀뚜껑(30)을 포함하며,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하측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맨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2)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경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높이조절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A)은 상기 플랜지부(22)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볼트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면에 매입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이 형성된 지지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40)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중간부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판(43)과, 상기 수직판(43)의 상단에서 상기 하판(42)의 내측단쪽으로 연장된 수평판(44)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42)의 외측에는 상기 볼트부재(50)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4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40)의 수직판(43)과 수평판(44)을 내외측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측단이 상기 결합홈(41)에 결합된 플랜지부(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고정볼트(45)(45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플랜지부(22)에 높이조절수단(A)을 결합한 후, 높이조절수단(A)의 볼트부재(50)를 조이거나 풀어서,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맨홀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어 지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공(11)이 형성된 맨홀구조체(10)와,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11)에 대응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맨홀프레임(20)과, 상기 맨홀프레임(20)에 결합되는 맨홀뚜껑(30)이 구비된 것은 종래의 맨홀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맨홀프레임(20)은 주물제작되며,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하측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맨홀뚜껑(30)을 지지하는 걸림턱(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부(22)에는 상기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경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높이조절수단(A)이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A)은 상기 플랜지부(22)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볼트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중간부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판(43)과, 상기 수직판(43)의 상단에서 상기 하판(42)의 내측단쪽으로 연장된 수평판(44)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판(42)과 상기 수평판(44)의 사이에 상기 결합홈(4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하판(42)은 강도가 높은 금속판재질의 호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판(42)의 외측에는 상기 볼트부재(50)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4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면에는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0)가 매입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이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맨홀구조물의 상면에 상기 출입공(11)의 둘레부에 원형을 이루도록 매입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0)의 결합홈(41)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플랜지부(22)에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높이조절수단(A)을 상기 맨홀프레임(20)의 둘레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맨홀프레임(20)의 관통공(21)이 맨홀구조체(10)의 출입공(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맨홀프레임(20)을 배치하면,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이 상기 지지부재(60)의 삽입홈(61)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맨홀프레임(20)이 맨홀구조체(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지지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플랜지부(22)에 90°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맨홀프레임(20)이 지지된 상태에서, 각각의 높이조절수단(A)에 구비된 볼트부재(50)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볼트부재(50)의 나사작용에 의해 각각의 높이조절수단(A)이 각각 별도로 승강되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둘레부 각 부분이 별도로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맨홀구조체(10)의 높이와 경사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맨홀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플랜지부(22)에 높이조절수단(A)을 결합한 후, 높이조절수단(A)의 볼트부재(50)를 조이거나 풀어서,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면에는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이 상면에 형성된 지지부재(60)가 구비되므로, 상기 맨홀프레임(20)을 맨홀구조물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이 상기 삽입홈(61)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 맨홀구조체(10)의 위치를 더욱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40)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중간부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판(43)과 상기 수직판(43)의 상단에서 상기 하판(42)의 내측단쪽으로 연장된 수평판(44)을 포함하여 상기 하판(42)의 상부에 상기 결합홈(41)을 형성하는 고정판(43)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42)의 외측에는 상기 볼트부재(50)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4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상기 플랜지부(2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부재(40)는 단순히 하판(42)과 고정판(43)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0)의 수직판(43) 및 수평판(44)에 고정볼트(45)(45a)를 더 구비하여, 상기 고정볼트(45)(45a)를 이용하여 상기 맨홀프레임(20)이 더욱 견고하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맨홀구조물의 상면에는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재(60)를 맨홀구조물의 상면에 결합할 때, 지지부재(60)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0)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45)를 상기 지지부재(60)의 삽입홈(61)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재(40)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어 고정부재(40)가 플랜지부(22)의 둘레면에 정확히 밀착되지 못하고, 상기 플랜지부(22)의 둘레면과 상기 고정부재(40)의 수직판(43)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40)의해 지지된 맨홀프레임(20)이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볼트(45)를 조이면, 고정볼트(45)의 단부가 상기 플랜지부(2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맨홀프레임(20)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A)은 4개로 구성되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플랜지부(22)에 90°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높이조절수단(A)은 상기 플랜지부(22)에 3개 이상이 결합될 수 있다.
10. 맨홀구조체 20. 맨홀프레임
30. 맨홀뚜껑 A. 높이조절수단
40. 고정부재 50. 볼트부재

Claims (4)

  1.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어 지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공(11)이 형성된 맨홀구조체(10)와,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11)에 대응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맨홀프레임(20)과,
    상기 맨홀프레임(20)에 결합되는 맨홀뚜껑(30)을 포함하며,
    상기 맨홀프레임(20)의 하측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2)가 형성된 맨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2)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높이와 경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높이조절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A)은
    상기 플랜지부(22)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2)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볼트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구조체(10)의 상면에 매입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볼트부재(5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이 형성된 지지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하판(42)과,
    상기 하판(42)의 중간부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판(43)과,
    상기 수직판(43)의 상단에서 상기 하판(42)의 내측단쪽으로 연장된 수평판(44)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42)의 외측에는 상기 볼트부재(50)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4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수직판(43)과 수평판(44)을 내외측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측단이 상기 결합홈(41)에 결합된 플랜지부(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고정볼트(45)(45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시공구조.
KR2020160004459U 2016-08-02 2016-08-02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KR201800004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59U KR20180000415U (ko) 2016-08-02 2016-08-02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59U KR20180000415U (ko) 2016-08-02 2016-08-02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15U true KR20180000415U (ko) 2018-02-12

Family

ID=6128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59U KR20180000415U (ko) 2016-08-02 2016-08-02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1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973B1 (ko) * 2019-04-25 2019-10-29 조흥진 맨홀덮개 분리장치
KR102346853B1 (ko) * 2020-12-16 2022-01-04 정성옥 맨홀 시공 구조체
KR20230000124U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861A (ko)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688B1 (ko) 2007-07-03 2014-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토크 변환 기어를 이용한 패드 설정 간격 유지 기능을 갖는단일 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861A (ko)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688B1 (ko) 2007-07-03 2014-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토크 변환 기어를 이용한 패드 설정 간격 유지 기능을 갖는단일 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973B1 (ko) * 2019-04-25 2019-10-29 조흥진 맨홀덮개 분리장치
KR102346853B1 (ko) * 2020-12-16 2022-01-04 정성옥 맨홀 시공 구조체
KR20230000124U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고정핀이 구성되는 마그네틱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297B2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a structural support apparatus
KR20180000415U (ko)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US20150113893A1 (en) Modular concrete pole base
KR101247201B1 (ko) 펀칭전단 방지용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 시공 방법
JP3205992U (ja) ユニットハウス用基礎の高さ調整機構
KR101499111B1 (ko)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JP2013044093A (ja) 接続装置
KR10161744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US20160305138A1 (en)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779819B1 (ko)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KR20190071060A (ko) 물탱크용 패드
JP6593952B2 (ja) 免震装置の取付け方法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US20130101348A1 (en) Adjustable grate frames
KR200407888Y1 (ko) 창호재용 높이 조절장치
KR100501482B1 (ko) 건축물 시공용 빔 연결 보조 장치
KR101940468B1 (ko) 구조물 지지용 지주의 설치구조 및 지주의 설치방법
JP6371233B2 (ja) 門柱及びこの門柱を備えた門扉
KR101225743B1 (ko)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101827734B1 (ko) 가변형 맨홀철개 조립체
KR20160011982A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KR100978502B1 (ko)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JP6647933B2 (ja) 溝路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72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7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10

Effective date: 2018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