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214A -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214A
KR20170131214A KR1020170052264A KR20170052264A KR20170131214A KR 20170131214 A KR20170131214 A KR 20170131214A KR 1020170052264 A KR1020170052264 A KR 1020170052264A KR 20170052264 A KR20170052264 A KR 20170052264A KR 20170131214 A KR20170131214 A KR 20170131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late
contact
portions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가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우디 filed Critical (주)가우디
Priority to KR102017005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1214A/ko
Publication of KR2017013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에 장착되는 건축물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입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 테두리를 절곡하는 경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2 단계;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하는 제3 단계;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로 커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매립제를 충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Ornament panel for building, Ornament panel structure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에 장착되어 건축물의 외장을 형성하는 건축물 외장패널, 상기 건축물 외장패널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상기 건축물 외장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 외부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위의 경우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벽 구조체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 마감 공사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마감이 알려져 행해지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사각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마감용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시공 능률 향상, 간편성 등의 관점에서 건축물의 벽체 마감 방식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에 있어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몰탈 등을 도포한 후 마감 패널을 압착(혹은 마감 패널 후면에 시멘트 몰탈을 도포한 후 벽체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습식시공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벽체에 먼저 금속 각파이프 등으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마감 패널들을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시공방식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462150호를 참조하면, 건축물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통해 외장재가 건축물에 연결되나, 건축물과 외장재의 연결구조가 빈약하여 건축물로부터의 외장재의 탈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은 공정 자체가 복잡하여 결국, 공사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위 마감용 패널을 이용하여 벽체 마감 공사를 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공정을 간소화하여 비용 절감을 구현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건축물 외장패널을 제조하고, 제조된 건축물 외장패널을 구조용 강관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비용 절감을 구현토록 하는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 방법은, 건축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에 장착되는 건축물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입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 테두리를 절곡하는 경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2 단계;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하는 제3 단계;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로 커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매립제를 충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단, 좌측단, 하측단 및 우측단이 각각 절곡되어 제1-1 절곡부, 제1-2 절곡부, 제1-3 절곡부 및 제1-4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2 절곡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1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1 절곡부, 상기 제1-2 절곡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3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2 절곡부, 상기 제1-4 절곡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1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3 절곡부 및 상기 제1-4 절곡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3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4 절곡부가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1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 및 상기 제3-3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1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3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2 절곡부 및 상기 제3-4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3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2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 및 상기 제3-2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2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4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3 절곡부 및 상기 제3-4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4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 방법의 상기 제1-1 접촉부는, 상기 제1-1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 및 상기 제3-3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절곡되어 구현되고, 상기 제1-3 접촉부는, 상기 제1-3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2 절곡부 및 상기 제3-4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절곡되어 구현되며, 상기 제1-2 접촉부는, 상기 제2 단계에 의한 상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1-2 절곡부의 절곡되는 부분이 결정되어 구현되고, 상기 제1-4 접촉부는, 상기 제2 단계에 의한 상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1-4 절곡부의 절곡되는 부분이 결정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장을 수려하게 함과 동시에 단열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에 장착과 해제가 용이하여 보수 및 교체가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에 의하면, 건축물 외장패널의 배치 및 상기 구조용 강관에의 장착이 용이하며, 인접한 건축물 외장패널 간의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구조용 강관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과 구조용 강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의 절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의 제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제조방법의 제2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구조용 강관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10)(이하, 외장패널)은 건축물 등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P)에 장착되어 건축물의 외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용 강관(P)이란, 토목, 건축 및 기타 구조물에 사용되는 각형강관일 수 있으며, 주로 건물의 기둥이나 외장, 휀스, 기계설비 등의 설치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구조용 각형강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장패널(10)은, 상기 구조용 강관(P)에 설치되어 건축물 등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거나 단열 또는 건축물의 외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과 구조용 강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외장패널(10)은 제1 플레이트(11), 절곡부(14), 접촉부(15), 제2 플레이트(12) 및 매립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는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한 판형 금속판일 수 있으며, 상기 외장패널(10)을 제작하기 위한 편평한 모체(30, 도 11 참조)를 입체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모체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14) 및 접촉부(15)를 제외한 상기 모체의 편평한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절곡부(14)는, 상기 모체의 테두리를 절곡하면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테두리로부터 절곡된 형상을 띨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14)는 사각 형태로 제작된 상기 제1 플레이트(11)로부터 제공된 4개의 테두리가 절곡된 형태로, 상기 절곡부(14)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에 의해 형성된 입체 형태는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14)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상측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1 절곡부(141),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좌측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2 절곡부(142),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하측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3 절곡부(143)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우측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4 절곡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절곡부(141), 상기 제1-2 절곡부(142), 상기 제1-3 절곡부(143)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의 상기 제1 플레이트(11)로부터 절곡된 길이는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플레이트(11)가 정사각형태라면, 상기 제1-1 절곡부(141), 상기 제1-2 절곡부(142), 상기 제1-3 절곡부(143)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15)는 상기 절곡부(14)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15)는 상기 절곡부(14)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1 절곡부(141)로부터 상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1 접촉부(151), 상기 제1-2 절곡부(142)로부터 상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2 접촉부(152), 상기 제1-3 절곡부(143)로부터 상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3 접촉부(153)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로부터 상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4 접촉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방향이란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소정 면적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15)는,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건축물의 외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용 강관(P)에 접촉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1)가 상기 구조용 강관(P)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15)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15)는,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Q1)가 삽입되는 장착홀(159)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홀(159)은 상기 접촉부(15)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복수개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Q1)는 상기 장착홀(159)에 삽입된 채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부(15)가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Q1)는 상기 장착홀(159) 및 상기 구조용 강관(P)에 볼트/너트 형태로 결합되거나 앵커볼트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외장패널(10)이 상기 구조용 강관(P)에 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12)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 및 상기 절곡부(14)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두께보다 얇은 금속 일례로,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16)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절곡부(14)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된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16)는 단열 소재인 우레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매립부(16)는 우레탄뿐 아니라, 공지된 단열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건축물 외장패널(10) 제조방법에서 상세히 다루겠지만 상기 매립부(16)는 유동성 있는 상태로 상기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절곡부(14)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된 공간(S1)에 주입되어 시간의 경과 또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고체화되어 상기 공간(S1)에 정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절곡부(14)는 상기 매립부(16)가 상기 공간(S1)에 충진되도록 하는 경로인 관통부(149)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부(149)는, 상기 제1-1 절곡부(141), 상기 제1-2 절곡부(142), 상기 제1-3 절곡부(143), 상기 제1-4 절곡부(14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49)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유동성 있는 상기 매립부(16)의 재료로 메워질 수 있다.
즉, 상기 관통부(149)는 상기 공간에 상기 매립부(16)가 메워짐에 따라 홀 형상이 메워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의 절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절곡부(14)의 구체적인 외관과 그 외관이 형성되는 제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절곡부(14)는, 상기 모체를 입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 테두리를 절곡하는 경우, 중첩되는 모서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면서 형성된 제3 절곡부(14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모체는 대략 사각형 형태이므로 상기 모체를 입체 형태 다시 말해 개구가 형성된 육면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테두리를 절곡하여야 하며, 이 때 상기 테두리 중 모서리 부분은 불균일하게 접히게 되거나 구겨지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정한 크기와 외관을 구비한 외장 패널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울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절곡부(145)는,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생성된 모서리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1 절곡부(141), 제1-2 절곡부(142), 제1-3 절곡부(143) 및 제1-4 절곡부(144)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용될 뿐 아니라 상기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절곡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매립부(16)가 매립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절곡부(145)는, 상기 제1-2 절곡부(142)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1 절곡부(1451), 상기 제1-2 절곡부(142)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2 절곡부(1452), 상기 제1-4 절곡부(144)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3 절곡부(1453)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4 절곡부(145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는, 상기 제1-2 절곡부(142)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의 상기 제1 플레이트(11)에 대한 절곡으로 함께 절곡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를 상기 제1-1 절곡부(141)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절곡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2 절곡부(142)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가 상기 제1-1 절곡부(14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에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와의 결합에 이용될 관통홀(H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1 절곡부(141)는 상기 관통홀(H1)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관통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H1)과 상기 대응관통홀(H2)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가 상기 제1-1 절곡부(1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삽입부(Q2)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Q2)는 상기 관통홀(H1) 및 상기 대응관통홀(H2)과 볼트/너트 형태로 결합하거나 결합에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Q2)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절곡부(14)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된 공간(S1)으로 돌출된 채, 상기 매립부(16)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가 상기 제1-1 절곡부(141)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절곡부(14)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된 공간(S1)에 매립되도록 관통부(149)로부터 주입되는 상기 매립제의 재료가 상기 제1-1 절곡부(141)와 상기 제1-2 절곡부(142) 사이 또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와 상기 제1-4 절곡부(144) 사이로 유출되는 경로가 길게 하여 상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가 상기 제1-1 절곡부(141)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된다면, 상기 매립제의 재료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와 상기 제1-2 절곡부(142) 사이 또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와 상기 제1-4 절곡부(144) 사이로 유출되는 경로가 짧아지게 됨과 동시에 직선화되어 상기 유출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의 외측을 향한 면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2 절곡부(1452)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는, 상기 제1-3 절곡부(143)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2 절곡부(1452)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는, 상기 제1-2 절곡부(142)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의 상기 제1 플레이트(11)에 대한 절곡으로 함께 절곡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3-2 절곡부(1452)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는 상기 제1-3 절곡부(143)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기 제3-2 절곡부(1452)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를 상기 제1-3 절곡부(143)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절곡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2 절곡부(142) 및 상기 제1-4 절곡부(144)가 상기 제1-3 절곡부(14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2 절곡부(1452)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와 상기 제1-3 절곡부(143)와의 관계는 상술한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와 상기 제1-1 절곡부(141)와의 관계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접촉부(151)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3 접촉부(153)는 상기 제1-3 절곡부(143)의 끝단이 상기 제3-2 절곡부(1452)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2 접촉부(152)는 상기 제1-2 절곡부(142)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2 절곡부(1452)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4 접촉부(154)는 상기 제1-4 절곡부(144)의 끝단이 상기 제3-3 절곡부(1453)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1 접촉부(151)는 상기 제1-1 절곡부(141)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1451) 및 상기 제3-3 절곡부(1453)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절곡되어 구현되고, 상기 제1-3 접촉부(153)는 상기 제1-3 절곡부(143)의 끝단이 상기 제3-2 절곡부(1452) 및 상기 제3-4 절곡부(1454)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절곡되어 구현되며, 상기 제1-2 접촉부(152)는 상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1-2 절곡부(142)의 절곡되는 부분이 결정되어 구현되고, 상기 제1-4 접촉부(154)는 상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1-4 절곡부(144)의 절곡되는 부분이 결정되어 구현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1)(이하 구조체)는, 건축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P)과 상기 구조용 강관(P)에 장착되는 건축물 외장패널로 구성되어 건축불의 외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1)는, 상기 구조용 강관(P), 제1 외장패널(10) 및 제2 외장패널(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장패널(10)은,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테두리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절곡부(14), 상기 제1 절곡부(14)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는 제1 접촉부(15), 상기 제1 플레이트(11) 및 상기 제1 절곡부(14)에 의해 형성된 제1 개구가 메워지도록 상기 제1 접촉부(15)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1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제1 절곡부(14)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에 의해 제공된 제1 공간(S1)에 수용되는 제1 매립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11), 상기 제1 절곡부(14), 상기 제1 접촉부(15), 상기 제2 플레이트(12) 및 제1 매립부(16)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건축물 외장패널(1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명칭은 다르나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2 외장패널(20)은,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3 플레이트(21), 상기 제3 플레이트(21)의 테두리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절곡부(24), 상기 제2 절곡부(24)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3 플레이트(2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는 제2 접촉부(25), 상기 제3 플레이트(21) 및 상기 제2 절곡부(24)에 의해 형성된 제2 개구가 메워지도록 상기 제2 접촉부(25)에 연결되는 제4 플레이트(22) 및 상기 제3 플레이트(21), 상기 제2 절곡부(24) 및 상기 제4 플레이트(22)에 의해 제공된 제2 공간(S2)에 수용되는 제2 매립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외장패널(2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상기 제1 외장패널(10)과 동일한 구성에 그 명칭만을 달리하므로 상기 제2 외장패널(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접촉부(15)는,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기 위한 제1 고정부(Q1)가 삽입되는 제1 장착홀(159)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촉부(25)는,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부(Q2)가 삽입되는 제2 장착홀(259)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Q1) 및 상기 제2 고정부(Q2)는, 각각 상기 제1 장착홀(159) 및 상기 제2 장착홀(259)에 삽입된 채,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접촉부(15)와 상기 제2 접촉부(25)가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외장패널(10)의 상기 제1 접촉부(15)와 상기 제2 외장패널(20)의 상기 제2 접촉부(25)는 상기 구조용 강관(P) 중 동일한 강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구조용 강관에 상기 제1 접촉부(15)와 상기 제2 접촉부(25)가 동시에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제1 외장패널(10)과 상기 제2 외장패널(2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장패널(10) 및 상기 제2 외장패널(20)이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외장패널(10) 및 상기 제2 외장패널(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스티로폼 등의 경량의 단열 소재가 충진된 채, 실리콘 등에 의해 마감 처리 되어, 상기 제1 외장패널(10)과 상기 제2 외장패널(20)이 서로 견고히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건축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P)에 장착되는 제1 외장패널(10)과 제2 외장패널(20)에 대하여만 서술하였으나, 상기 제1 외장패널(10) 및 상기 제2 외장패널(20)은 본 발명의 구조체의 일부분으로 상기 구조용 강관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외장패널이 장착되어 구조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이하 제조방법)은,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30)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30)를 입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 테두리를 절곡하는 경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2 단계, 모서리가 제거된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하는 제3 단계,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된 상기 제1 플레이트(30)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32)로 커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2)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매립제를 충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3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건축물 외장패널의 모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사각 형태의 판형 금속판을 소정 면적을 갖도록 절삭 또는 가공하여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11의 (a)참조).
다음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여 입체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11의 (b), 도 12의 (c) 참조).
여기서, 상기 입체 형태란 상기 제1 플레이트(30)를 절곡하여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를 입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 테두리를 절곡하는 경우, 중첩되는 모서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플레이트(30)는 대략 사각형 형태이므로 상기 제1 플레이트(30)를 입체 형태 다시 말해 개구가 형성된 육면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테두리를 절곡하여야 하며, 이 때 상기 테두리 중 모서리 부분은 불균일하게 접히게 되거나 구겨지게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정한 크기와 외관을 구비한 외장 패널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외장패널을 구조용 강관(P)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홀(359)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홀(359)은 상기 외장패널을 상기 구조용 강관(P)에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가 삽입되는 일종의 홀일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홀(359)의 성형은 이하 설명할 제3 단계 내지 제5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2)에 의해 제공된 공간(S1, 도 3 참조)에 상기 매립제를 충진하기 위한 경로인 관통홀(349)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49)은, 이하 설명할 절곡부(3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를 거친 제1 플레이트(3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절곡되는 영역은 도면 상 절곡부(34)일 수 있다(도 12의 (d) 참조).
즉, 상기 절곡부(34)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절곡되어 사각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4개의 모서리가 세워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30)가 입체 형태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는, 절곡된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테두리 즉, 상기 절곡부(34)가 서로 중첩되도록 절곡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3의 (e), (f)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30)는 대략 사각형 형태이므로 상기 제1 플레이트(30)를 입체 형태 다시 말해 개구가 형성된 육면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테두리를 절곡하여야 하며, 이 때 상기 테두리 중 모서리 부분은 불균일하게 접히게 되거나 구겨지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정한 크기와 외관을 구비한 외장 패널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울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도 12의 (a) 참조).
즉, 상기 절곡부(34)가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생성된 모서리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절곡부(34)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용될 뿐 아니라 상기 입체 형상의 내부 공간에 충진될 매립제가 매립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제3 절곡부에 대한 설명을 참조).
또한, 여기서 상기 중첩되는 절곡부(34)의 일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체결홀(H1, H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홀(H1, H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Q)를 통해 중첩된 절곡부(34)는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H1, H2)이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것은 상기 제2 단계 내지 제5 단계 중 어느 일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된 상기 제1 플레이트(30)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32)로 커버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14의 (h) 참조).
상기 제2 플레이트(32)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보다 두께가 얇은 금속, 일례로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2)에 의해 제공된 공간(S1, 도 3 참조)에 매립제를 충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매립제는, 단열 소재인 우레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매립제는 우레탄뿐 아니라, 공지된 단열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립제는 유동성 있는 상태로 상기 관통홀(349)을 통해 상기 공간(S1)으로 주입되어 시간의 경과 또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고체화되어 상기 공간(S1)에 정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립제는 상기 제2 플레이트(32)와 접촉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단계 내지 상기 제5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된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테두리 끝단부 즉, 접촉부(35)를 외측 방향으로 절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4의 (g) 참조).
상기 접촉부(35)는 상기 구조용 강관(P, 도 1 참조)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절곡부(34)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3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35)는 장착홀(359)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359)에 삽입되는 고정부에 의해 상기 구조용 강관(P)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외장패널이 상기 구조용 강관(P)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홀(359)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외장패널(10)의 접촉부(14)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의 제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패널제조방법의 제5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를 사출 금형(W1, W2)에 삽입한 후, 상기 사출 금형(W1, W2)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매립제(36)를 주입하여 상기 매립제(36)가 상기 제1 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2)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출 성형에 의한 제5 단계의 진행은 상기 제5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의 일례로, 상기 매립제(36)는 유동성 있는 상태로 상기 관통홀(349)을 통해 상기 공간(S1)으로 주입되어 시간의 경과 또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고체화되어 상기 공간(S1)에 정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349)은 상기 매립제(36)에 의해 메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외장패널의 외면에서 상기 관통홀(349)은 그 흔적만 남을 뿐 홀 형상을 띠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32)는, 상기 매립제(36)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매립제(36)가 상기 공간(S1)에 주입된 후, 고체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내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2)의 일면과 접촉되어 굳게 되므로, 상기 매립제(36)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2)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제5 단계의 상세는 상기 제5 단계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일례이므로, 공지된 다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제조방법의 제2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제2 단계의 다른 실시예는, 제1 플레이트(40)를 입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테두리를 절곡하는 경우 상기 입체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제거되는 모서리는 절곡부(44)가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40)가 입체 형태로 제작될 때, 중첩되어 상기 입체 형태로의 제작과정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도 18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40) 및 도 19에 도시된 또 다른 제1 플레이트(50)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P: 구조용 강관
1: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10: 건축물 외장패널
11: 제1 플레이트
12: 제2 플레이트
14: 절곡부
15: 접촉부
16: 매립부

Claims (2)

  1. 건축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용 강관에 장착되는 건축물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입체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 테두리를 절곡하는 경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2 단계;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하는 제3 단계;
    상기 입체 형태로 성형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사각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로 커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매립제를 충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단, 좌측단, 하측단 및 우측단이 각각 절곡되어 제1-1 절곡부, 제1-2 절곡부, 제1-3 절곡부 및 제1-4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2 절곡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1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1 절곡부, 상기 제1-2 절곡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3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2 절곡부, 상기 제1-4 절곡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1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3 절곡부 및 상기 제1-4 절곡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3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4 절곡부가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1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 및 상기 제3-3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1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3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2 절곡부 및 상기 제3-4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3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2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 및 상기 제3-2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2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4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3 절곡부 및 상기 제3-4 절곡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4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접촉부는,
    상기 제1-1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1 절곡부 및 상기 제3-3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절곡되어 구현되고,
    상기 제1-3 접촉부는,
    상기 제1-3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제3-2 절곡부 및 상기 제3-4 절곡부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절곡되어 구현되며,
    상기 제1-2 접촉부는,
    상기 제2 단계에 의한 상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1-2 절곡부의 절곡되는 부분이 결정되어 구현되고,
    상기 제1-4 접촉부는,
    상기 제2 단계에 의한 상기 중첩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의 제거에 의해 상기 제1-4 절곡부의 절곡되는 부분이 결정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KR1020170052264A 2017-04-24 2017-04-24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KR20170131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64A KR20170131214A (ko) 2017-04-24 2017-04-24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64A KR20170131214A (ko) 2017-04-24 2017-04-24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93 Division 2016-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214A true KR20170131214A (ko) 2017-11-29

Family

ID=6081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264A KR20170131214A (ko) 2017-04-24 2017-04-24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2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61A (ko)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조은데코 외장 마감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61A (ko)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조은데코 외장 마감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35530A (ja) 建物の基礎構造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110133182A (ko) 건축물 내·외벽 및 바닥의 석재패널 시공방법
KR2017013121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건축물 외장패널 구조체 및 건축물 외장패널 제조방법
KR101928041B1 (ko) 외단열재가 일체화된 벽체모듈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86029Y1 (ko)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KR100795132B1 (ko) 천장용 패널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1879240B1 (ko) 바닥배수용 트렌치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649107B1 (ko)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조립식 frp-콘크리트 혼성 밸브실 제조방법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JP6181398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0426149Y1 (ko) 거푸집용 라인 빔
KR200315989Y1 (ko) 시설물 기초대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JPS5847130Y2 (ja) 外壁パネル
JP2006283393A (ja) 基礎構造体
JP2023016117A (ja) 法面保護ブロック基礎構築用部材および法面保護ブロック基礎
JP3643343B2 (ja) 建物用基礎の施工方法
KR20230076385A (ko) 완성형 화장실용 고정 구조
KR960014626B1 (ko) 공동주택의 벽체 및 천정판재 단일 시공법
KR200428841Y1 (ko) 외벽 무늬 성형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