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989Y1 - 시설물 기초대 - Google Patents

시설물 기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989Y1
KR200315989Y1 KR20-2003-0008190U KR20030008190U KR200315989Y1 KR 200315989 Y1 KR200315989 Y1 KR 200315989Y1 KR 20030008190 U KR20030008190 U KR 20030008190U KR 200315989 Y1 KR200315989 Y1 KR 200315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base
ground
concrete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용
Original Assignee
이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용 filed Critical 이하용
Priority to KR20-2003-0008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설물 기초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등 분전함, 교통신호등 제어함 등의 도로 시설물을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시설물 기초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가 구비된 브래킷이 단일부재로 형성된 기초대는 일정규격으로 제작되어, 상기 기초대를 지반에 설치한 후 상기 분전함, 제어함 등의 시설물을 상기 기초대에 고정시키게 되어 각종 도로 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상기 기초대가 한번의 작업에 의해 지반에 설치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시공이 편리하며 그로인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기초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물 기초대{FACILITIES BASE}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등 분전함, 교통신호등 제어함 등의 시설물을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시설물 기초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가 구비된 브래킷이 단일부재로 형성된 기초대는 일정규격으로 제작되어, 상기 기초대를 지반에 설치한 후 상기 분전함, 제어함 등의 시설물을 기초대에 고정시키게 되어 상기 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상기 기초대가 한번의 작업에 의해 지반에 설치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시공이 편리하며 그로인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물 기초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시설물인 우체통, 가로등 분전함, 교통신호등 제어함, 공중전화박스 등은 주로 도로가의 인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상기 도로시설물들은 앙카볼트 및 콘크리트 몰탈에 의하여 형성된 기초구조물에 결착되어 지반에 설치되었다. 구체적으로 도로시설물 중의 하나인 분전함이 지반에 설치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분전함이 설치될 지반에 터파기를 하여 구덩이를 형성시키고, 구덩이의 내부에 목제를 사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제작된 목제형틀을 양측에 대향하여 세우거나 또는 모서리를 만곡되게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정한 치수와 형태로 굳히기 위한 거푸집(20)을 제작한다. 또한, 상기 분전함을 고정시키기 위한 앙카볼트 고정틀(21)을 상기 분전함의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구 간의 연결크기에 맞추어 제작하는데, 이때 상기 앙카볼트 고정틀(21)은 각각의 앙카볼트(22) 사이에 금속이 소재로 사용된 고정재(23)의 용접에 의하여 연결된 것이다.
그 후, 상기 구덩이에 설치된 거푸집(20)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가 굳기전에 상기 앙카볼트 고정틀(21)을 삽입시키되 상기 앙카볼트(22)의 볼트부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머리부는 상기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상기 거푸집(20)을 해체시켜 철거하면 앙카볼트(22)가 고정된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이 형성되고, 다시 상기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의 표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상면을 미장하여 정리한 후 양생시키면, 분전함이 설치될 기초대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전함을 상기 기초대에 안치시키면서 상기 기초대에 형성된 앙카볼트(22)가 상기 분전함의 고정구에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 상기 앙카볼트에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면 상기 분전함은 지반에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대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거푸집(20)을 제작단계, 상기 거푸집(20)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에 앙카볼트 고정틀(21)을 고정시키는 단계, 콘크리트 양생단계, 거푸집(20) 제거단계, 콘크리트 구조물 주변에 흙을 채워넣는 단계, 콘크리트의 표면 정리(미장)단계, 콘크리트 표면 양생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제작되어, 모든 작업이 순차적으로 공정처리 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모든 작업과정이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여 처리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20)을 목제를 사용하여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는 다시 거푸집(20)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 및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 상기 거푸집(20)의 부피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조립과 해체에 필요한 작업여유공간인 구덩이를 넓게 확보해야 하므로, 지반의 굴착범위가넓어져서, 상기 거푸집(20)의 해체작업 후 되메우기도 힘들고, 굴착범위가 넓어지면 우천시 유실의 우려 및 사고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현장에서 거푸집(20) 및 앙카볼트 고정틀(21)을 직접 제작하므로, 앙카볼트(22)의 사이 간격이나 높이가 정확하지 않아서, 분전함의 관통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기 분전함의 베이스에 관통구를 재가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전함의 베이스가 설치되는 기초대의 표면이 깔끔하게 마감처리되지 않아서 상기 기초대의 표면과 분전함의 베이스에 틈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형태를 갖는 기초대에 상향으로 돌출된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기초대는 일정치수로 미리 제작되어, 굴토작업을 끝낸 구덩이에 콘크리트의 주입시키고 상기 기초대를 삽입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기초대가 지반에 설치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하여 기초대의 설치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일정크기로 제작된 기초대 자체에 볼트가 형성되어 공공시설물의 설치가 더욱 용이한 시설물 기초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 기초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 기초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기초대가 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분전함이 도 1의 기초대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종래에 공공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던 거푸집과 앙카볼트가 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초대 2:브래킷
3:일측벽 4:타측벽
5:지지부 6:지지봉
7:고정부재 8:결합부재
9:시설물 10:베이스
11:관통구 12:철망
상기와 갖은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 시설물(9)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하여지반에 매설되는 시설물 기초대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1)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5)로 이루어진 브래킷(2)과; 상기 지지부(5)의 상면에 안착되는 시설물(9)의 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구(11)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부(5)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부재(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초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2)의 일측벽(3)과 대향하는 타측벽(4)에는 상기 벽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지지봉(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초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2) 하부 각 모서리에는 격자형의 철망(12)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초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 기초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 기초대의 사시도이다.
상기 기초대(1)는 금속이 소제로 사용되어 영구성을 갖는 브래킷(2)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2)은 상하부가 개방 형성되고 사방으로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측벽의 상단에는 고정부재(7)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2)의 각 측벽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브래킷(2)의 모서리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지지부(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7)는 상기 브래킷(2)의 지지부(5) 상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되는데, 이때 고정부재(7)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트가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볼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는 상기 브래킷(2)의 지지부(5)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재(7)의 머리부는 상기 브래킷(2) 지지부(5)의 하부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의 측벽 중 대향하고 있는 일측벽(3)과 타측벽(4) 사이에는 막대형태의 지지봉(6)이 적어도 한개 이상 용접에 의하여 상기 브래킷(2)의 일측벽(4)과 타측벽(4)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기초대(1)가 콘크리트에 삽입되었 때 수평위치를 잡아주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기초대의 개방된 하부에 격자형의 철망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철망(12)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2)의 하부의 각 모서리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어져, 상기 기초대(1)가 콘크리트 몰탈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철망(12) 사이로 콘크리트는 용이하게 브래킷(2) 내부로 채워지면서, 상기 철망(12)에 의해 기초대(1)는 더욱 견고하게 콘크리트내에 고정되면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시설물 기초대에 의하여 도로시설물 중의 하나인 분전함이 지반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분전함의 하부에는 지반과 수평을 이루는 평판형태의 베이스(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0)에는 기초대(1)에 고정되기 위한 관통공(11)가 천공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초대(1)는 제작시 상기 분전함의 베이스(10)와 동일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공(1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고정부재(7)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된다.
우선, 분전함이 설치될 지반에 굴토작업을 하여 구덩이를 형성시키고, 상기 구덩이의 내부로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시킨 후 고정부재(7)가 상부로 돌출된 기초대(1)를 콘크리트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기초대(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채워지면서 상기 기초대(1) 측벽 사이에 형성된 지지봉(6)이 기초대(1)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기초대(1)의 측벽을 콘크리트 내부로 완전히 삽입시키지 않고 상기 분전함과 결합되는 상기 측벽의 지지부(5)만이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시키면,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기초대(1)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가 되고, 그대로 양생시키면 상기 기초대(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초대(1)가 콘크리트 몰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기초대(1)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대(1) 외측의 지반이 되는 콘크리트 면을 깔끔하게 마감처리함으로써 상기 기초대(1)의 설치작업은 한 번의 양생과정을 통하여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이 완료되어 지반에 기초대(1)가 설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전함의 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구(11)를 상기 기초대(1)의 고정부재(7)에 각각 끼워 상기 기초대(1)의 지지부(5)로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7)에 결합부재(8)로 사용되는 너트를 결합시켜 고정시키면, 상기 분전함은 간편하게 지반에 고정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 기초대는 분전함, 우체통 등 도로시설물의 제작크기에 맞추어 균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현장에 직접 설치되므로,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은 지반 굴토단계, 콘크리트 주입단계, 기초대 설치단계, 양생 단계, 공공시설물 결합단계를 거쳐 지반에 설치되므로,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기초대가 거푸집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상기 기초대 자체에 볼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기존의 공사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작업에 의한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과정이 간편하고 시공이 편리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노동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기초대의 크기가 공공시설물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된 것이므로 상기 기초대와 공공시설물의 결합은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한, 상기 기초대의 브래킷 내부에는 지지봉 또는 철망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기초대가 콘크리트 몰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기초대의 수평위치를 유지시켜주어 도로시설물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Claims (3)

  1. 도로 시설물(9)을 지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반에 매설하는 시설물 기초대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1)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부(5)로 이루어진 브래킷(2)과;
    상기 지지부(5)의 상면에 안착되는 시설물(9)의 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구(11)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부(5)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 고정부재(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초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의 일측벽(3)과 대향하는 타측벽(4)에는 상기 벽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지지봉(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초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 하부 각 모서리에는 격자형 철망(12)의 끝단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초대.
KR20-2003-0008190U 2003-03-19 2003-03-19 시설물 기초대 KR200315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190U KR200315989Y1 (ko) 2003-03-19 2003-03-19 시설물 기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190U KR200315989Y1 (ko) 2003-03-19 2003-03-19 시설물 기초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989Y1 true KR200315989Y1 (ko) 2003-06-11

Family

ID=4940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190U KR200315989Y1 (ko) 2003-03-19 2003-03-19 시설물 기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9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54B1 (ko) * 2010-02-26 2011-04-06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조립식 물탱크용 저판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8093008A1 (ko) * 2016-11-17 2018-05-24 한국전력공사 지상 배전설비의 콘크리트 기초대 및 이의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54B1 (ko) * 2010-02-26 2011-04-06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조립식 물탱크용 저판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8093008A1 (ko) * 2016-11-17 2018-05-24 한국전력공사 지상 배전설비의 콘크리트 기초대 및 이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74481B1 (ko) 커플러가 구비된 사전 매립형 앵커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철골기둥 앵커링 공법
US7165916B2 (en) Method of on-site construction of concrete column and panel fence system
KR101912324B1 (ko) 스크류 파일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027016B1 (ko) 그레이팅 지지용 받침판 시공방법
KR200315989Y1 (ko) 시설물 기초대
KR100774885B1 (ko) 기초구조물에 매립되는 조립식 앵커 볼트 구조 및 이를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KR200244705Y1 (ko)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JP2013011053A (ja) コンクリート基礎用アンカーボルト保持具と、アンカーボルト付き保持具
JP3585567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施工方法、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埋込インサート
KR100669198B1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101569006B1 (ko) 영구 거푸집을 이용한 밸브실 시공 방법
JPH0841897A (ja) 構築用基礎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102368633B1 (ko)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JP3629684B2 (ja) 遮音壁用基礎ブロック
JPH06306874A (ja) フーチング基礎用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11222928A (ja) 鉄骨柱脚部落込み工法
KR200224744Y1 (ko) 지주설치용 콘크리트 기초장치
JPH0711657A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製造方法
KR200233319Y1 (ko) 조립식 l형 옹벽
JP3185413U (ja) 間仕切り壁
JPH0119005B2 (ko)
JPH11181883A (ja) ラック倉庫及びその建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