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369Y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369Y1
KR200492369Y1 KR2020180005903U KR20180005903U KR200492369Y1 KR 200492369 Y1 KR200492369 Y1 KR 200492369Y1 KR 2020180005903 U KR2020180005903 U KR 2020180005903U KR 20180005903 U KR20180005903 U KR 20180005903U KR 200492369 Y1 KR200492369 Y1 KR 200492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concrete panel
fixture
magne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391U (ko
Inventor
박시환
Original Assignee
박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환 filed Critical 박시환
Priority to KR2020180005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6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로 세워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임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좁게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구; 판 형태로 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고정구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바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부위가 철판으로 된 프래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거푸집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자석; 상기 고정구와 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매립된 상태에서 자석이 이탈된 이후 상기 삽입공에 일측이 삽입되어 바닥으로부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omitted}
본 고안은 벽체로 세워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임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주로 건축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건축물을 시공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공기 단축 및 경제적 시공을 위해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Precast Concrete Panel, 이하 'PC 패널'이라 한다) 제품을 이송하여 와서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방법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조립식 PC 패널은 시공속도가 빠르고, 간편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PC 패널은 주로 건축물의 벽체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벽체를 수직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774865호에서는 '누수방지 및 단열 성능이 개성된 피씨 더블 월'을 제안하였다.
이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초(1) 위에 기립한 내,외측 피씨월(10,20)의 하단 중앙에 기초로부터 돌출된 방수턱(30)이 형성되어 현장 타설콘크리트에 의해 매립 양생되면 외부로부터 하단부측 물 유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 피씨월(10)은 삼각대 형태의 서포트(5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서포트(50)는 기초 바닥측에 수평으로 대응되는 지지바(51)를 기준으로 내측 피씨월(10)에 대응되는 밀착바(52)가 힌지구(53)에 의해 회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51)와 밀착바(52)는 힌지구(53)로부터 가장자리인 자유단 측에 힌지회동되면서 조임 또는 풀림되면서 밀착바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턴버클(5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벽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씨 월의 일면에 각도 가변식 서포트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 정밀한 수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시공 중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지지바(51)와 밀착바(52), 그리고 서포트(50)가 삼각을 이루면서 내측 피씨월(1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지만, 공사 현장에서 지지바(51)와 밀착바(52)를 일일이 기초(1)와 내측 피씨월(10)에 고정시킨 다음 서포트(50)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 능률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지바(51)와 밀착바(52)가 기초(1)와 내측 피씨월(10)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칫 내측 피씨월(10)이 전도될 수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뒤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를 이루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양측을 지지할 지지구와 결합되는 고정구를 패널이 제조될 때 미리 매립하여 놓음으로써 손쉽고 안전하게 벽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는,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좁게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구;
판 형태로 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고정구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바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부위가 철판으로 된 프래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거푸집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자석;
상기 고정구와 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매립된 상태에서 자석이 이탈된 이후 상기 삽입공에 일측이 삽입되어 바닥으로부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된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하여 작업성이 매우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된 더블 월을 지지하는 구조를 보인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3은 고정구의 단면 도면.
도4는 본 고안을 벽체 패널에 매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해 벽체 패널을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3은 고정구의 단면 도면으로서, 이러한 지지장치는 크게 고정구(100)와, 자석(200), 지지구(500)로 이루어진다.
고정구(100)는 합성수지재로 된 몸체부(110)를 갖는데, 상기 몸체부(110)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의 원뿔 형태이며,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복수의 홈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상측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위로부터 내측으로는 도3에서와 같이 수직하게 삽입공(1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40)는 리브(120)와 구획판(130)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리브(12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120)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구획판(130)이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홈부(130)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획판(130)이 세로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세로방향으로도 복수의 홈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구획판(130)은 도3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자석(200)은 원판의 형태로서, 상측으로는 삽입바(210)가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바(210)는 고정구(100)의 삽입공(160)에 꼭 맞게 삽입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자석(200)의 외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도4는 본 고안의 고정구(100)를 벽체 패널(320)에 매립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먼저, 자석(200)의 삽입바(210)를 고정구(100)의 삽입공(160)에 삽입시켜 서로 결합시킨 다음, 거푸집(300,310)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부착시키게 된다.
거푸집(300,310)은 철판으로 되어 있어서, 자석(200)의 저면부위가 자성에 의해 쉽게 부착된다.
이후, 거푸집(300,310)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양생하게 되면, 벽체패널(320)이 제조되는데, 거푸집(300,310)을 탈형하게 되면, 거푸집(300,310)에 부착된 자석(200)이 함께 이탈하게 되며, 고정구(100)만 벽체패널(320)의 내부에 매립되어 남게되는 것이다.
즉, 고정구(100)의 홈부(130)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고, 몸체(110)가 원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자석(200)의 이탈시에 벽체 패널(32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특히 구획판(130)이 하향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버팀력이 증가하여 견고하게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자석(200)의 그 외주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푸집(300,310)의 탈형시에 거푸집(300,310)에 부착된 상태로 쉽게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벽체 패널(320)에는 도5에서와 같이 양측 서로 동일한 위치에 고정구(100)가 각각 매립되며, 자석(200)이 이탈된 부위(321)를 통해 삽입공(160)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므로, 벽체 패널(320)을 바닥부(400)로부터 세운 다음 지지구(500)의 일측을 상기 삽입공(160)에 삽입시키고, 타측은 바닥부(400)와 맞닿도록 설치하게 되면 손쉽게 벽체 패널(32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구(500)는 하측은 바닥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측은 벽체패널(320) 쪽으로 절곡되어 그 절곡된 부위가 삽입공(16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벽체 패널(320)의 시공 완료 후에는 지지구(500)를 제거하게 되면, 고정구(100)만 남게 되고, 자석이 이탈된 부위(321)에 시멘트를 발라 마무리하면 벽체 패널(3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없이 깔끔하게 마감된다.
100 : 고정구
110 : 몸체부
120 : 리브
130 : 구획판
140 : 홈부
150 : 손잡이
160 : 삽입공
200 : 자석
210 : 삽입바
300,310 : 거푸집
320 : 벽체 패널
400 : 바닥부
500 : 지지구

Claims (5)

  1.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좁게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구;
    판 형태로 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고정구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바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부위가 철판으로 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거푸집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그 외주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 자석;
    상기 고정구와 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매립된 상태에서 자석이 이탈된 이후 상기 삽입공에 일측이 삽입되어 바닥으로부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몸체는 원뿔형태로서, 외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가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리브 사이에는 구획판이 가로방향으로 몸체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세로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어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5. 삭제
KR2020180005903U 2018-12-17 2018-12-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KR200492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03U KR200492369Y1 (ko) 2018-12-17 2018-12-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03U KR200492369Y1 (ko) 2018-12-17 2018-12-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91U KR20200001391U (ko) 2020-06-25
KR200492369Y1 true KR200492369Y1 (ko) 2020-09-24

Family

ID=7112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903U KR200492369Y1 (ko) 2018-12-17 2018-12-1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6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44B1 (ko) * 2014-01-20 2015-07-06 박정화 앙카볼트용 인서트구조체
KR101645525B1 (ko) * 2015-12-30 2016-09-07 이형훈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56B1 (ko) * 2009-06-01 2011-07-11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의 폼타이 위치가이드장치 및 위치가이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44B1 (ko) * 2014-01-20 2015-07-06 박정화 앙카볼트용 인서트구조체
KR101645525B1 (ko) * 2015-12-30 2016-09-07 이형훈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91U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5792880B1 (ja) コンクリート打込用複合インサート装置
KR10156546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JP2011247072A (ja) 据付け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20160000702A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와 방법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CN215888951U (zh) 一种预制双肋外墙板
KR20040027856A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101482585B1 (ko)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KR101955352B1 (ko) 건축용 지지수단 고정을 위한 매립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수단 설치방법
KR101799237B1 (ko) 기둥 고정 기초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둥 고정 기초석
KR101425511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20130004811A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28748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설치 공법
KR20160035243A (ko) 철판 콘크리트 기초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46592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20200053874A (ko) 원심 성형 중공 사각 pc 기둥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1592B1 (ko)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KR200233676Y1 (ko) 공기 주머니를 이용한 맨홀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