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50Y1 - 수로블록 - Google Patents

수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950Y1
KR200457950Y1 KR2020090007746U KR20090007746U KR200457950Y1 KR 200457950 Y1 KR200457950 Y1 KR 200457950Y1 KR 2020090007746 U KR2020090007746 U KR 2020090007746U KR 20090007746 U KR20090007746 U KR 20090007746U KR 200457950 Y1 KR200457950 Y1 KR 200457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terway
wall member
block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765U (ko
Inventor
한동권
Original Assignee
한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권 filed Critical 한동권
Priority to KR2020090007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9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블록의 구성부품들을 미리 제작한 후 시공현장으로 옮겨서 설치하여 수로를 시공함으로써, 수로를 시공하는 작업을 편리하고 빠른 기간에 할 수 있는 수로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덩이의 바닥에 안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덩이의 경사지에 밀착되는 벽면부를 포함하는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벽면부에 연결되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는 수로블록을 제공한다.
수로, 배수로, 구조물, 생물

Description

수로블록 {BLOCK FOR WATER CHANNEL}
본 고안은 수로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경정리, 도로를 건설하거나 확장한 후에 우수를 용수하거나 오수를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해 조성되는 수로를 형성할 때, 제조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수로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는 도로나 농로 등에 설치 시공되어 오수의 원활한 배수 및 용수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수로는 대부분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요깊이만큼 흙을 터파기 한 후 바닥면을 고르게 한 다음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일정 콘크리트 양생기간이 지난 후 흙으로 다시 메워서 완성하는 것이다.
수로를 형성하는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구조물의 소요길이가 길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아닌, 여러 구간에 걸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현재 가설되는 철근콘크리트 수로공사는 대부부이 지반을 굴착한 후, 굴착부위의 바닥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제작하게 된다.
종래의 수로 구조물은 특성상 먼저 시공한 면과 나중에 시공하는 면 사이의 연결부를 통하여 각종 이물질 침투, 누수가 있어 구조물 내의 철근이 부식되는 등 구조물의 내구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에 따른 충분한 양생기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지하수 유입과 같은 문제로 인하여 시공이 조잡해져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로블록의 구성부품들을 미리 제작한 후 시공현장으로 옮겨서 설치하여 수로를 시공함으로써, 수로를 시공하는 작업을 편리하고 빠른 기간에 할 수 있는 수로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덩이의 바닥에 안치되는 바 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덩이의 경사지에 밀착되는 벽면부를 포함하는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벽면부에 연결되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는 수로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벽면부에는 상기 측벽부재가 상기 벽면부에 올려질 때, 상기 측벽부재의 단부를 상기 벽면부 상단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와 상기 측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벽면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1끼움홈과, 상기 제1끼움홈에 일부가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나머지 일부가 끼워지며 상기 측벽부재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벽면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3끼움홈과, 상기 제3끼움홈에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가 끼워져서 관통되도록 상기 측벽부재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끼움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나 상기 측벽부재에는 토사가 고여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생태공간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블록을 제조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에 시공 장소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수로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기간에 수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로블록의 구성부품들이 서로 조립되는 방식으로 수로의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시공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로블록의 측벽부재가 요철 형태로 형성되므로, 개구리와 같은 파충들의 수로에 들어가더라도 외부로 쉽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에 측벽부재가 보강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을 보인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측벽부재와 벽면부가 보강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을 보인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10)은, 블록본체(20)와, 측벽부재(30)를 포함한다.
블록본체(20)는 일정넓이와 길이를 갖고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닥부(21)와, 바닥부(21)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는 벽면부(22)를 포함한다.
바닥부(21)에는 생물이 생식할 수 있는 생태공간(21a)이 형성된다. 이 생태공간(21a)은 바닥부(21)에 관통되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바닥부(21)가 땅바닥에 닿아 수로블록(10)이 설치된 후 일정기간 흘러 생태공간(21a)에 토사가 쌓여서,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생식하는 장소로 활용된다.
벽면부(22)는 바닥부(21)에서 절곡되어 일정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벽면부(22)의 상단에는 지지부(2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부(22a)는 벽면부(22) 상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벽면부(22)의 외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벽면부(22)의 상단에는 측벽부재(30)가 안착되는 안착면(22b)이 형성된다. 안착면(22b)은 측벽부재(30)가 안착되어 측벽부재(30)의 일면과 벽면부(22)의 내측면이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측벽부재(30)의 두께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부재(30)는 블록본체(20)의 벽면부(22) 상단에 연결되어 수로의 측면부 를 형성한다.
측벽부재(30)에는 블록본체(20)의 생태공간(21a)과 같이 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생태공간(31)이 구비된다.
이 생태공간(31)은 측벽부재(30)에 관통되어 홀 형태로 형성된다.
즉, 측벽부재(30)가 수로가 형성되는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때, 생태공간(31)에 토사가 모이고, 이 토사에 식물의 뿌리가 내려 번식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한편, 벽면부(22)에 올려져 결합되는 측벽부재(30)를 외측에서 연결하여 하나의 측벽부재(30)와 다른 측벽부재(30)의 내측면이 서로 동일면이 유지되도록 하는
여기서, 측벽부재(30)의 일측면은 수로로 빠진 파충류 등이 식생공간(31)으로 이동할 수 있고, 외부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와 같이, 복수의 블록본체(20)가 연결되고, 이 블록본체(20)의 벽면부(22) 상부로 측벽부재(30)가 올려져 결합될 때 측벽부재(30)들의 외측면이 보강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다.
보강연결부(40)는 하나의 측벽부재(30)와 다른 측벽부재(30)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41)와, 고정부재(41)를 연결하여 측벽부재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2)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1)에는 지지부재(42)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고리가 구비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100)은 블록본체(110)와, 측벽부재(140)와,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블록본체(110)는 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굴착한 구덩이의 바닥에 놓이는 바닥부(120)와, 바닥부(120)에 구비되고 구덩이의 경사지에 놓이는 벽면부(130)를 포함한다.
바닥부(120)는 일정넓이와 길이의 판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20)에는 생물이 생식할 수 있는 생태공간(121)이 형성된다. 생태공간(121)은 바닥부(120)에 관통되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바닥부(120)가 땅바닥에 땋아 수로블록(100)이 설치된 후 일정기간 흘러 생태공간(121)에 토사가 쌓여서, 토사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생식하는 장소로 활용된다.
벽면부(130)는 바닥부(120)의 양측단에 절곡 형성된다. 벽면부(130)는 구덩이의 경사지에 놓일 수 있도록 바닥부(120)와 일정각도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벽면부(130)는 바닥부(120)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적용 가능하다.
또한, 벽면부(130)는 구덩이의 경사지의 하단에서 일정높이까지 놓이도록 형성된다.
측벽부재(140)는 블록본체(110)의 벽면부(130) 상단에 연결부(150)로 연결되어 구덩이의 경사지의 상단까지 놓이는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측벽부재(140)에는 생태공간(141)이 구비된다. 이 생태공간(141)은 측벽부재(140)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태공간(141)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원형의 홀로 형성 되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각, 삼각 형상 등 다양한 형태의 홀로 형성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연결부(150)는 블록본체(110)의 벽면부(130) 상단에 형성되는 제1끼움홈(151)과, 제1끼움홈(151)에 일부 끼워지는 연결부재(152)와, 연결부재(152)가 끼워지며 측벽부재(140)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15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연결부재(152)는 제1끼움홈(151)과 제2끼움홈(153)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끼움홈(151)이나 제2끼움홈(153)에 연결부재(152)의 일단이 끼워져 타단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연결부재(152)가 끼워지지 않은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된 구성이다.
또한, 연결부재(152)는 본 고안의 2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단면이 원으로 된 봉부재를 적용하였으나, 단면의 형상을 원으로 한정하지 않고 삼각, 사각 등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제1,2끼움홈(151)(153)은 연결부재(152)의 단면 형상과 상관없이 연결부재(152)가 끼워져 고정되면 그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2끼움홈(151)(153)과 연결부재(152)는 제1,2끼움홈(151)(153)에 연결부재(152)가 끼워졌을 때, 유동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블록본체(110)의 벽면부(130) 상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151)에 연결부재(152)를 끼우고, 측벽부재(140)를 벽면부(130) 상부에서 내리면서 연결부재(152)를 측벽부재(140)의 제2끼움홈(153)에 끼워서 블록본체(110)에 측벽부재(140)를 연결한다.
한편, 연결부(150)의 연결부재(152)를 제작공장에서 블록본체(110)의 성형시 제작틀에 연결부재(152)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블록본체(11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측벽부재(140)의 일측면은 수로로 빠진 파충류 등이 식생공간(31)으로 이동할 수 있고, 외부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에는 벽면부(130)의 상단에 연결부재(152)로 연결되는 측벽부재(140)가 경사지로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연결부(160)가 더 구비되어, 벽면부(130)와 측벽부재(140)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보강 연결부(160)는 벽면부(130)와 측벽부재(14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는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62)와, 벽면부(130)와 측벽부재(14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부재(16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6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62)는 벽면부(130)와 측벽부재(140)가 연결부재(152)에 의해 연결될 때, 벽면부(130)와 측벽부재(140)가 이루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164)는 벽면부(130)와 측벽부재(140)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체결되며, 지지부재부재(162)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고리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200)은, 블록본체(210)와, 측벽부재(240)와, 연결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블록본체(210)가 바닥부(220)와 벽면부(230)로 구성되고, 바닥부(220)에 생태공간(221)이 형성되는 것과, 측벽부재(240)에 다른 생태공간(241)이 형성되는 구성은 상기의 1과 2실시예의 수로블록의 블록본체와 측벽부재와 같은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250)는 블록본체(210)의 벽면부(230) 상단에 형성되는 제3끼움홈(251)과, 제3끼움홈(251)에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부재(252)와, 끼움부재(252)가 끼워져서 관통되도록 측벽부재(24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끼움구멍(253)을 포함한다.
즉, 블록본체(210)의 벽면부(230) 상단에 측벽부재(240)가 올려서, 제3끼움홈(251)과 끼움구멍(253)이 연통되도록 일치시킨 후에, 끼움부재(252)의 일단을 끼움구멍(253)에 끼운 다음 쭉 밀어 넣어서 제3끼움홈(251)에 끼움부재(252)의 일단을 끼워 고정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수로가 형성될 곳을 굴착하여 일정깊이로 땅을 파서 수로블록을 설치할 구덩이를 형성한다. 그리고, 수로블록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덩이의 바닥과 경사면을 고르게 정리한다.
그런 다음, 구덩이의 바닥에 블록본체(20)를 안치시키고, 이 블록본체(20)의 벽면부(22)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면(22b)의 상부로 측벽부재(30)를 이동시킨다.
측벽부재(30)를 서서히 하강시켜 그 하단을 안착면(22b)에 올려놓음과 동시에 측벽부재(30)의 하단 측면을 지지부(22a)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면, 측벽부재(30) 의 내면과 블록본체(20)의 벽면부(22) 내면이 단차 없이 같은 높이의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블록본체(20)의 벽면부(22) 상단에 측벽부재(30)를 올려 안착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로를 시공하고자 하는 구덩이에 모두 설치함으로써, 수로를 완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록본체(110)를 수로를 시공하고자 하는 구덩이에 안치한다. 그런 다음, 블록본체(110)의 벽면부(130)에 형성된 제1끼움홈(151)에 연결부재의 일단을 끼워 고정한다.
이후에, 측벽부재(140)를 블록본체(110)의 벽면부(130) 상부로 옮기고, 측벽부재(140)를 서서히 하강시키면서 제1끼움홈(151)에 끼워져 돌출된 연결부재(152)의 타단이 측벽부재(140)의 제2끼움홈(153)에 끼워지도록 연결부재(152)와 제2끼움홈(153)이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한다.
여기서, 블록본체(110)와 측벽부재(140)는 기중기로 들어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측벽부재(140)를 서서히 내리면서 제2끼움홈(153)에 연결부재(152)의 타단을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측벽부재(140)의 제2끼움홈(153)에 연결부재(152)의 타단이 완전히 끼워짐과 동시에 측벽부재(140)가 블록본체(110)의 벽면부(110)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수로블록(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로블록(100)을 모두 설치함으로써, 수로를 완성한 다.
또한,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록본체(210)를 수로를 시공하고자 하는 구덩이에 안치한다. 그런 다음, 블록본체(210)의 벽면부(230) 상부로 측벽부재(240)를 이동시켜 벽면부(230)의 상단에 살짝 올려놓는다. 이때, 기중기로 측벽부재(240)를 계속 들고 있게 된다.
이후에, 측벽부재(240)를 조금씩 움직이면서 벽면부(230)에 형성된 제3끼움홈(251)과 측벽부재(240)에 형성된 끼움구멍(253)이 동일 직선상에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측벽부재(240)의 끼움구멍(253)에 끼움부재(252)의 일단을 끼우고, 쭉 밀어서 끼움부재(252)의 일단이 벽면부(230)의 제3끼움홈(251)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측벽부재(240)가 끼움부재(252)에 의해 블록본체(210)의 벽면부(230)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수로블록(200)의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에 측벽부재가 보강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측벽부재와 벽면부가 보강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수로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200 : 식생블록 20, 110, 210 : 블록본체
21, 120, 130 : 바닥부 22, 130, 230 : 벽면부
30, 140, 240 : 측벽부재 150, 250 : 연결부재

Claims (6)

  1. 구덩이의 바닥에 안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덩이의 경사지에 밀착되는 벽면부를 포함하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벽면부에 연결되는 측벽부재; 및 상기 블록본체와 상기 측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벽면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1끼움홈과, 상기 제1끼움홈에 일부가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나머지 일부가 끼워지며 상기 측벽부재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에는 상기 측벽부재가 상기 벽면부에 올려질 때, 상기 측벽부재의 단부를 상기 벽면부 상단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블록.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벽면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3끼움홈과,
    상기 제3끼움홈에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가 끼워져서 관통되도록 상기 측벽부재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끼움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나 상기 측벽부재에는 토사가 고여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생태공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블록.
KR2020090007746U 2009-06-16 2009-06-16 수로블록 KR200457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746U KR200457950Y1 (ko) 2009-06-16 2009-06-16 수로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746U KR200457950Y1 (ko) 2009-06-16 2009-06-16 수로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65U KR20100012765U (ko) 2010-12-24
KR200457950Y1 true KR200457950Y1 (ko) 2012-01-12

Family

ID=4448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746U KR200457950Y1 (ko) 2009-06-16 2009-06-16 수로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9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437B1 (ko) * 2022-03-10 2022-06-23 주식회사 보은기계 선택적 시공이 가능한 수로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413Y1 (ko) 2001-06-08 2001-10-29 엔지이오테크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271633Y1 (ko) * 2001-12-26 2002-04-1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의 자연친화형 수로
KR20020045413A (ko) * 2000-12-11 2002-06-19 밍 루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KR20020071633A (ko) * 2001-03-07 2002-09-13 코바이오텍 (주) Hp20 및 이소프로필 알콜을 이용한 프라바스타틴 전구체콤펙틴 및 그의 유도체의 정제방법
KR20060102567A (ko) * 2005-03-04 2006-09-28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0676046B1 (ko) 2004-02-02 2007-01-29 코리콤주식회사 생태 블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413A (ko) * 2000-12-11 2002-06-19 밍 루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KR20020071633A (ko) * 2001-03-07 2002-09-13 코바이오텍 (주) Hp20 및 이소프로필 알콜을 이용한 프라바스타틴 전구체콤펙틴 및 그의 유도체의 정제방법
KR200245413Y1 (ko) 2001-06-08 2001-10-29 엔지이오테크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271633Y1 (ko) * 2001-12-26 2002-04-1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의 자연친화형 수로
KR100676046B1 (ko) 2004-02-02 2007-01-29 코리콤주식회사 생태 블럭
KR20060102567A (ko) * 2005-03-04 2006-09-28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65U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CN104499560B (zh) 组合型雨水渗井及施工方法
KR100952608B1 (ko) 기초보강 콘크리트관 구조체
CN103290911B (zh) 钢筋混凝土生态排水沟及其施工方法
CN109281299B (zh) 一种水利农业灌溉防渗渠道的施工方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200457950Y1 (ko) 수로블록
KR20090039448A (ko)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KR100654936B1 (ko)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20060110163A (ko) 조립식 식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200421233Y1 (ko) 자연친화형 조립식 s자형 옹벽 수로
KR100659134B1 (ko)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CN110080216B (zh) 一种利用支护管桩的蓄水系统及其施工方法
CN214993495U (zh) 一种装配栅格网的斜坡式生态海堤结构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100487838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49427Y1 (ko) 수로구축용 콘크리트구조물
CN114263193A (zh) 一种箱涵式电缆沟及施工方法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CN112663559A (zh) 一种装配栅格网的斜坡式生态海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