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413Y1 -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413Y1
KR200245413Y1 KR2020010017063U KR20010017063U KR200245413Y1 KR 200245413 Y1 KR200245413 Y1 KR 200245413Y1 KR 2020010017063 U KR2020010017063 U KR 2020010017063U KR 20010017063 U KR20010017063 U KR 20010017063U KR 200245413 Y1 KR200245413 Y1 KR 200245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groove
connecting ro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
Original Assignee
엔지이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지이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지이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7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41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삼각형 형상의 무게중심을 구비하는 블록과 블록을 바에 의해 연결/지지하여 견고한 옹벽을 설치하고, 이로인해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토압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을 구비함과 동시에 곡선반경에 따른 블록 연결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곡선부의 설치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조립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시공속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단순한 구조를 통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옹벽설치용 블록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연결장치는 측면이 접촉되게 일렬/설치되고, 상/하단면이 서로 엇갈리도록 상/하로 접촉/설치되며, 정삼각형 형태의 무게중심을 구비하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내로 삽입되어 블록과 또다른 블록을 연결/지지하는 연결대로 구성되어 연결대의 변화에 따라 상/하 블록의 경사각도가 변화되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A coupling device of assembly block for Wall systems}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삼각형 형상의 무게중심을 구비하는 블록과 블록을 메인연결대 및 보조연결대에 의해 조립/결합하여, 옹벽의 각도를 조절하고, 작업의 용이성 및 견고성을 향상하며, 옹벽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지반붕괴)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하며, 콘크리트 블록을 쌓아 축벽(築壁)을 형성하는 블록식 옹벽과,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사용되는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및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는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역T형식, L형옹벽, 부벽식(扶壁式:L자형) 및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옹벽도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블록식 옹벽은 앞면, 상부면, 바닥면 및 앞면의 대향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몸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부면과 바닥면의 하나에 개방되고, 측벽들로부터 간격지 제 1 및 제 2 포켓 및 원형핀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핀구멍을 구비하는 블록 상호연결수단을 가지고, 제 1 핀구멍은 제 1 포켓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며, 제 2 핀구멍은 제 2 포켓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록식 옹벽은 제 1,2 핀 구멍내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직경을 구비하는 원형의 핀에 의해서만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이 연결 및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블록 후방에서 발생하는 토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핀의 직경이 작아 일정압력이상의 토압이 블록에 가해질 경우,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원형핀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블록의 조립이 와해되어 옹벽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또한, 높이가 높은 옹벽의 경우, 후부에서 작용하는 토압을 견디기 위해서는 옹벽이 토압을 견딜수 있는 일정각도의 경사각을 구비하여야 하나, 상기 기재된 종래의 블록은 제 1,2 핀구멍내로 삽입되는 원형의 핀과, 상기 원형의 핀 끝단이 삽입되는 제 1,2 포켓의 길이에 의해 일정각도(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의 전면편차가 0.5인치 정도)내에서만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 옹벽의 높이가 높을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설치장소에 제약이 있으며 또한 곡선부에서는 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곡선반경이 작은 구간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면, 상부면, 바닥면, 후면 및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결된 두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인 블록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몸체에 바닥면에 소정 깊이로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앵글핀의 헤드부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전면에서 상기 바닥면의 수납홈까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앵글핀의 삽입부와 끼워 맞춰지는 핀홀과, 상기 핀홀 및 수납홈과 후면 사이에 수직으로 관통된 수직홀이 형성된 블록을 사각헤드부와 원형의 삽입부를 구비하는 앵글핀에 의해 연결 및 지지하여 옹벽의 경사각을 조절하고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연결하도록 한 것도 있으나, 이 역시, 블록과 블록의 연결/지지 수단이 핀의 개념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앵글핀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원형의 삽입부(선기재된 블록의 원형 핀과 거의 동일)에 의해 블록이 지지/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선기재된 종래의 블록의 문제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수납홈내로 삽입되는 앵글핀의 사각헤드부에 의해 옹벽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나, 삽입부와 헤드부의 편심결합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므로, 옹벽의 경사를 4단계로 밖에 조절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옹벽 높이에 따른 옹벽 후부 토압에 맞추어 옹벽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없었다. 즉, 토압에 비해 옹벽의 경사각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미관 및 안전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이블록 역시 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작은 곡선부의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정삼각형 형상의 무게중심을 구비하는 블록과 블록을 바에 의해 연결/지지하여 견고한 옹벽을 설치하고, 이로인해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토압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을 구비함과 동시에 곡선반경에 따른 블록 연결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곡선부의 설치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조립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시공속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단순한 구조를 통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옹벽설치용 블록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연결장치는 측면이 접촉되게 일렬/설치되고, 상/하단면이 서로 엇갈리도록 상/하로 접촉/설치되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내로 삽입되어 블록과 또다른 블록을 연결/지지하는 연결대로 구성되어 연결대의 변화에 따라 상/하 블록의 경사각도가 변화되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블록 상/하부면 예시도
도 4 는 도 2 의 A-A 단면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메인연결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연결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메인/보조 연결대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고안을 이용한 수직옹벽 조립단면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라 조립된 수직옹벽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 은 본 고안을 이용한 경사옹벽 조립단면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라 조립된 경사옹벽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0a) : 상단블록
(10b) : 하단블록 (11) : 머리부
(12) : 꼬리부 (13) : 연결부
(20) : 연결대 (21) : 메인연결대
(22) : 보조연결대 (100,100′): 제 1 열 블록
(111) : 머리부 전면 (112) : 머리부 후면
(113) : 머리부 측면 (114) : 머리부 측면
(115) : 머리부 삽입홈 (116) : 머리부 체결홈
(115h): 머리부 삽입홈 폭 (116h): 머리부 체결홈 폭
(121) : 꼬리부 전면 (122) : 꼬리부 후면
(123) : 꼬리부 측면 (124) : 꼬리부 측면
(131) : 관통홀 (200,200′): 제 2 열 블록
(211) : 메인연결대 연결홈 (221) : 보조연결대 체결부
(222) : 보조연결대 결합홈 (300,300′): 제 3 열 블록
(500,600) : 쇄석 (700) : 뒷채움토
(800) : 그리드 (900) : 커버블록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일측면 또는 일측단이 접촉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하단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블록(10)과, 상기 상/하단으로 엇갈리게 배열된 상단블록(10a)과 하단블록(10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대(20)에 의해 상단블록(10a)과 하단블록(10b)의 전면(111)이 깊이를 구비하도록 즉, 측면에서 볼 경우, 계단형상을 이루도록 연결/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의 블록 상/하부면 예시도를, 도 4 는 도 2 의 A-A 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평면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는 머리부(11)와, 상기 등변사다리꼴 머리부(11)의 양측면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양측면(123,124)이 형성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꼬리부(12)와, 상기 머리부(11)와 꼬리부(12)를 연결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131)이 형성된 연결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즉, 평면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머리부(11)와 꼬리부(12) 양측면은 서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그연장선에 의해 삼각구조를 이루고, 머리부(11)의 전/후면(111,112)과 꼬리부(12)의 전/후면(121,122)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는 머리부(11)와 꼬리부(12)의 양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11)와 연결부(13) 및 꼬리부(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록(10)의 하중지지부 즉, 후부에서 발생되는 토압 및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발생되는 블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머리부(11)의 양끝단과 꼬리부(12)의 중간지점(무게중심부)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가장 안정적인 역학적 구조, 정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11)는 옹벽설치시 외부로 전면(111)이 돌출되는 것으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전/후면(111,112)과 평행하도록 또한, 양측면(113,114)에 연통되도록 하부에 연결대(13)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연결대(13)의 또다른 일측이 삽입되는 체결홈(116)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전/후면(111,112)과 평행하도록 또한 양측면(113,114)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머리부(11)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116)과 삽입홈(115)은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머리부(11) 전/후면(111,112)에 평행하도록 또한, 머리부의 양측면(113,114)을 관통하도록 머리부의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의 폭(115h)은 체결홈의 폭(116h)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의 폭(115h)과 체결홈의 폭(116h) 비율은 대략 1 : 3.2 ~ 3.8 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삽입홈(115)의 일측면과 체결홈(116)의 일측면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의 체결홈(116) 및 삽입홈(115)은 레일과 같은 장홈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체결홈(116)의 일측에는 체결홈을 일정하게 등분하여 표시한 기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꼬리부(12)는 옹벽설치시 뒷채움토 및 뒷채움 잡석내로 삽입되어 블록(10)을 지지하므로써 견고한 옹벽을 도모하는 것으로, 평면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121)이 연결대(13)에 의해 머리부(11)의 후면(1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는 머리부(11)와 꼬리부(13)를 연결하여 일체화 하는 것으로, 쇄석에 의한 뒷채움시 관통/형성된 관통홀(131)내로 쇄석이 삽입되어 블록(1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메인연결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연결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고안의 메인/보조 연결대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기재된 본 고안의 블록(10)은 연결대(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2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블록(10a)의 삽입홈(115) 및 하부에 위치하는 또다른 블록(10b)의 체결홈(116)내로 상/하부가 각각 삽입되는 메인 연결대(21)와, 상기 메인연결대(21)에 결합되고 상부에 위치한 블록(10a)의 삽입홈(115)내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보조연결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연결대(21)는 사각 바(bar)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사각막대형상을 구비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가 블록(10b)의 체결홈(116)내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또다른 블록(10a)의 삽입홈(115)내로 삽입되며, 상부 후면에 보조연결대(22)가 삽입되는 연결홈(211)이 상부면에서 하부면방향(세로길이 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연결대의 폭(21h)은 블록의 삽입홈 폭(115h)과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며, 연결홈(211)의 깊이는 체결홈(116) 외부로 돌출된 메인연결대(21)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즉, 보조연결대(22)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메인연결대(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연결대(22)는 메인연결대(21)의 연결홈(2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면에 연결홈(211)내로 삽입되는 체결부(221)가 돌출/형성되고, 후면에 메인연결대(21)의 연결홈(211)과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는 결합홈(222)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대(20)는 블록의 체결홈(116) 및 삽입홈(115)내로 삽입되는 메인연결대(21)와, 상기 메인연결대의 연결홈(211)내로 삽입되는 보조연결대(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연결대(22)는 일측 보조연결대의 결합홈내로 또다른 보조연결대의 체결부가 삽입되어 다수개의 보조연결대가 연결/결합되고, 결합되는 보조연결대의 개수에 따라 상/하 블록의 전면부 거리차 즉, 옹벽의 경사각이 다양하게 조절된다.
예를 들어, 보조연결대(22) 하나가 경사각을 5°구비할 경우, 메인연결대(21)만으로 블록(10)을 연결하면, 축조되는 옹벽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메인연결대(21)에 하나의 보조연결대를 설치한 후 블록을 연결/결합할 경우, 설치되는 보조연결대에 의해 하단블록과 상단 블록의 전면부에 거리치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옹벽은 5°경사각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보조연결대를 두개 사용할 경우, 옹벽은 10°경사각을 구비하게 되며, 세 개 사용할 경우, 옹벽은 15°경사각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의 체결홈 폭(116h)은 메인연결대의 폭(21h)과 동일하고, 블록의 삽입홈 폭(115h)은 메인연결대(21)와 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보조연결대(22)의 폭이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도 8 은 본 고안을 이용한 수직옹벽 조립단면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고안에 따라 조립된 수직옹벽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수직옹벽(100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먼저 블록 뒤에 뒷채움을 할 수 있도록 절토를 하고, 바닥면에 쇄석(500)을 일정두께로 깔은 다음, 수평을 유지하도록 다져, 블록 설치를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상기와 같이 블록설치의 기초바닥면이 완성되면, 블록 머리부의 끝단점이 서로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제 1 열 블록(100)을 일렬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제 1 열 블록(100)의 블록 체결홈(116)내로 메인연결대(21)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블록 체결홈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씩의 메인연결대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메인연결대는 블록의 상단면에 체결홈을 등분하여 표시된 기호(예;숫자)에 의해 각각의 블록마다 동일한 위치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각 블록마다 메인연결대가 삽입/결합되면, 일렬배열된 제 1 열 블록(100)의 상단면에 하단면이 접촉되도록 또한, 메인연결대의 상부가 삽입홈(115)내로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제 2 열 블록(200)을 설치하고, 메인연결대의 일측이 제 2 열 블록(200)의 삽입홈(116)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2 열 블록(200)을 전면으로 밀면, 메인연결대에 의해 제 1,2 열 블록(100,200)은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열 블록(100)과 제 2 열 블록(200)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도록 즉, 제 1 열의 일측 블록에 설치되는 두개의 메인연결대는 제 2 열의 서로 다른 블록의 삽입홈내로 각각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 2 열 블록 상부에 제 3 열 블록(300)을 설치하고, 제 3 열 블록(300) 상부에 제 4,5,6… 블록을 설치하면 된다. 또한, 일정높이로 블록이 쌓이면, 블록 후부의 절토된 부위에 쇄석(600) 및 현장 유용토로 뒷채움을 한 다음, 이를 다지고, 블록과 쇄석(600) 및 뒷채움토(700)에 연결되도록 그리드(800)를 설치하여 일정높이를 구비하는 블록에 의해 하나의 소옹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소옹벽이 형성되면, 그 상부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또다른 소옹벽을 형성하므로써, 옹벽을 수직으로 형성한다.
도 10 은 본 고안을 이용한 경사옹벽 조립단면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라 조립된 경사옹벽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을 이용하여 높은 옹벽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 경사를 구비하는 경사옹벽(2000)을 설치해야 하므로, 수직옹벽과 마찬가지로 먼저 블록 뒤에 뒷채움을 할 수 있도록 절토를 하고, 바닥면에 쇄석을 일정두께로 깔은 다음, 수평을 유지하도록 다져, 블록 설치를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상기와 같이 블록설치의 기초바닥면이 완성되면, 블록 머리부의 끝단점이 서로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제 1 열 블록(100′)을 일렬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제 1 열 블록(100′)의 체결홈내로 메인연결대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블록 체결홈마다 두개씩의 메인연결대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메인연결대는 블록의 상단면에 체결홈을 등분하여 표시된 기호(예;숫자)에 의해 각각의 블록마다 동일한 위치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각 블록마다 메인연결대가 삽입/결합되면, 토압에 견딜수 있는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메인연결대에 다수개의 보조연결대를 결합한다. 즉, 제 1 열 블록(100′)과 제 2 열 블록(200′)이 하나의 보조연결대 폭만큼 층을 이루고 설치되는 경사각을 원할 경우, 메인연결대의 연결홈내로 보조연결대의 체결부를 삽입/결합하고, 일렬배열된 제 1 열 블록(100′)의 상단면에 하단면이 접촉되도록 또한, 메인연결대의 상부 및 이에 연결된 보조연결대가 삽입홈내로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제 2 열 블록(200′)을 설치하고, 체결홀이 형성된 보조연결대의 후면이 제 2 열 블록(200′)의 삽입홈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2 열 블록(200′)을 전면으로 밀면, 메인연결대에 연결된 보조연결대에 의해 제 1,2 열 블록(100′,200′)은 층을 이루고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열 블록과 제 2 열 블록은 수직옹벽과 같이 서로 엇갈리도록 즉, 제 1 열의 일측 블록에 설치되는 두개의 메인연결대는 제 2 열의 서로 다른 블록의 삽입홈내로 각각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 2 열 블록 상부에 제 3 열 블록(300′)을 설치하고, 제 3 열 블록 상부에 제 4,5,6… 블록을 설치하면 상단블록과 하단블록이 메인연결대에 설치된 하나의 보조연결대 폭만큼 층을 이루고 옹벽이 형성된다.
또한, 수직옹벽과 같이 블록이 일정높이로 쌓이게 되면, 블록 후부의 절토된 부위에 쇄석 및 현장 유용토로 뒷채움을 하고, 이를 다진 다음, 블록과 쇄석 및 뒷채움토에 연결되도록 그리드를 설치하여 일정높이를 구비하는 블록에 의해 하나의 소옹벽을 형성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일정한 경사를 구비하는 옹벽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메인연결대에 연결/결합되는 보조연결대의 개수를 조절하면, 설치되는 옹벽의 경사각이 조절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블록은 블록의 무게중심부가 역학적 구조에 있어 가장 안정적인 정삼각형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어, 보강토 옹벽 공법시 안정성을 향상시켰으며, 블록형태에서 오는 최대각 범위내에서 자유자재로 회전각을 구사할 수 있다.
또한, 토압을 직접적으로 받는 블록 꼬리부와 연결대가 삽입되는 블록 머리부 사이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토압에 의한 블록 파손발생시 블록 해체에 따른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또한, 블록과 블록의 연결수단을 핀의 개념이 아닌 바의 개념을 도입하여 후방에서 발생하는 토압에 충분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대의 형상이 단순하므로, 블록과 블록의 조립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작업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메인연결대에 다수개의 보조연결대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설치되는 보조연결대의 개수에 따라 하단에 설치된 블록전면과, 상단에 설치되는 블록 전면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의 높이에 따라 토압을 견딜 수 있는 다양한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옹벽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체결홈의 일측에 체결홈을 등분하는 기호(예;숫자)가 기재되어 있어, 비전문가라도 동일한 위치에 쉽게 연결대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가 절감되고, 신속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대가 삽입되는 블록의 체결홈과 삽입홈이 서로 평행하도록 또한, 블록 양측면을 서로 연통하도록 장홈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연결대에 의한 블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옹벽설치용 블록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연결장치는 측면이 접촉되게 일렬/설치되고, 상/하단면이 서로 엇갈리도록 상/하로 접촉/설치되며, 정삼각형 형태의 무게중심을 구비하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내로 삽입되어 블록과 또다른 블록을 연결/지지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평면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고 상단면에 양측면을 연통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단면에 양측면을 연통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양측면과 동일 직선상에 양측면이 위치하고 평면이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는 꼬리부;
    상기 머리부와 꼬리부를 연결하고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체결홈의 폭과 삽입홈의 폭은 1 : 3.2 ~ 3.5 의 비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체결홈 일측에는 체결홈을 정간격으로 등분하여 기호로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옹벽설치용 블록내로 삽입되고 후면부에 연결홈을 구비하는 바 형상의 메인연결대와,
    상기 메인연결대의 연결홈내로 삽입되는 체결부가 전면에 형성되고, 후면에 메인연결대의 연결홈과 동일한 결합홈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보조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20010017063U 2001-06-08 2001-06-08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245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063U KR200245413Y1 (ko) 2001-06-08 2001-06-08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063U KR200245413Y1 (ko) 2001-06-08 2001-06-08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892A Division KR100456219B1 (ko) 2001-06-08 2001-06-08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413Y1 true KR200245413Y1 (ko) 2001-10-29

Family

ID=7310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063U KR200245413Y1 (ko) 2001-06-08 2001-06-08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4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10B1 (ko) 2005-09-09 2006-11-24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KR200457950Y1 (ko) 2009-06-16 2012-01-12 한동권 수로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10B1 (ko) 2005-09-09 2006-11-24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앵커바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 설치구조 및 방법
KR200457950Y1 (ko) 2009-06-16 2012-01-12 한동권 수로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2591C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KR100257227B1 (ko) 모듈러 블록지지벽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US4426176A (en) L-Shaped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such L-shaped concrete blocks
US20020187010A1 (en) Retaining wall block
US20070196184A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040161307A1 (en) Hybrid retaining wall system
KR101700830B1 (ko)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64135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WO2006092019A1 (en) Wall assembly
KR100456219B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US20060096180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grid system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26396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
KR100671463B1 (ko) 옹벽용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KR100786825B1 (ko) 결합수단을 구비한 옹벽블록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CN111877396A (zh) 加筋土挡土墙混凝土面板结构和模块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20100100294A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27840A (ko) 옹벽의 다양한 축조방법
KR100778064B1 (ko) 옹벽을 이루는 단위 블록체
US5791826A (en) Embankment retaining wa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